KR19980062828U -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 Google Patents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828U
KR19980062828U KR2019970007227U KR19970007227U KR19980062828U KR 19980062828 U KR19980062828 U KR 19980062828U KR 2019970007227 U KR2019970007227 U KR 2019970007227U KR 19970007227 U KR19970007227 U KR 19970007227U KR 19980062828 U KR19980062828 U KR 199800628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roduct
powder
plate
present
oper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석
Original Assignee
송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창석 filed Critical 송창석
Priority to KR2019970007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828U/ko
Publication of KR199800628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828U/ko

Link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루비누 또는 밀가루등 제반 분말제품의 용이하고 위생적인 인출수단을 목적으로 안출된 분말제품 용기의 분말인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출공(11)과 제어돌기(12)를 갖는 저장용기(10) 저부에 스프링(22)에 탄설되고 합치공(21)을 천공한 작동판(20) 및 저부에 인출관(31)을 갖는 지지판(30)을 구성하고, 작동판(20)은 단턱(23a)을 형성하면서 2단 절곡된 일측부를 지지판(30) 외측으로 길게 노출시킨 구조이다.
한편으로 작동판과 지지판은 원형으로 구성하여 작동판이 축봉(24)으로 회동되게 하고, 일단의 돌기(23b)로 조작되게 하여 인장스프링(22')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구조도 제공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분말제품을 별도로 퍼서 담는 수단을 탈피하여 원터치 조작으로 간단히 인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말제품의 인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고, 특히 분말제품이 비산된다던가 신체에 묻는 경우가 없어 매우 위생적이다.
또한, 종래에는 분말제품을 상부쪽으로부터 점차 퍼 내려가기 때문에 특히 본 고안은 분말제품이 하부쪽에서부터 인출되므로 분말제품 전체가 하향이동하여 수시로 움직여 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호 응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Description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본 고안은 가루비누 또는 밀가루등 제반 분말제품의 용이하고 위생적인 인출 수단을 목적으로 안출된 분말제품 용기의 분말인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을 목적으로 하는 가루비누나 요리를 목적으로 하는 밀가루 등은 소정크기의 저장용기에 담아 보관하고 있으며 필요시에는 별도의 용기로 퍼내어 사용한다.
특히, 가루비누의 경우 가루비누와 함께 제공되는 종이팩을 그대로 보관하였다가 별도로 제공되는 스푼으로 퍼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세제가 비산된다던가 손에 묻게 되므로 매번 손으로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또 이와 같은 일이 자주 반복되게 되면 피부가 손상되거나 거칠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밀가루에 있어서도 인출시 밀가루나 비산되거나 신체 또는 의복에 묻게 되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한 분말제품들은 적정용기에 담겨져 있으면서 상부로부터 점차 인출되어지는 바, 이때 용기 하부쪽에 있는 분말제품은 오랫동안 움직임이 없이 보관됨에 따라 상호 응착되어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으며, 분말제품의 인출시 스푼이나 기타 정량용기로 인출하기는 하나 그 량이 정밀하지 못하여 분말제품의 정량인출에도 개선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 분말제품을 소정의 저장용기에 수용하되 하부인출구조를 채택하여 분말제품이 인출될때마다 분말제품 전체가 조금씩 움직이도록 하여 분말제품이 상호 응착되는 폐단을 시정하고 나아가 원터치 구조로써 제품의 인출이 신속, 용이하고 인출과정에서 신체에 묻는다던가 비산되는 일이 없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장용기 저부에 배출공을 형성하고 또 이 배출공과 일치되도록 합치공을 형성한 작동판, 그리고 상기 배출공 및 합치공과 일치되는 인출관 등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작동판의 합치공의 배출공 및 인출관 등과 어긋나게 위치해 있다가 사용할 때에는 순간적으로 상기 작동판을 눌러준다던가 밀어주면 각 구멍이 일치되면서 분말제품이 신속히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도 3의 요부평면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저장용기11 : 배출공
12 : 제어돌기20 : 작동판
21 : 합치공22 : 스프링
22' : 인장스프링23a : 단턱
23b : 돌기24 : 축봉
30 : 지지판31 : 인출관
32 : 개방부
본 고안은 분말제품을 수용하는 저장용기(10)를 구비하되 그 저부 중앙에는 배출공(11)을, 그리고 저면일측으로는 제어돌기(12)를 각각 형성한다.
이어 상기 배출공(11)과 어긋난 위치에 합치공(21)을 천공한 작동판(20)을 저장용기(10) 저면에 밀착, 구성하되 일측의 스프링(22)으로 탄력, 설치하고 그 일단은 단턱(23a)을 형성하여 상기 제어돌기(12)에 접면, 제어되도록 한다.
그리고 작동판(20)의 저면에는 상기 배출공(11)과 일치되게 인출관(31)을 형성한 지지판(30)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지지판(30)은 그 가장자리 상면을 저장용기(10) 저면에 용착하여 고정시키고 이와 함께 내측으로는 상기 작동판(20) 및 스프링(22)을 수용한다. 그리고 작동판(20)은 단턱(23a)을 형성하면서 2단절곡된 일단부를 지지판(30) 외측으로 길게 노출시킨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작동판(20)과 지지판(30)을 원형으로 형성하되 작동판(20)의 일측에는 돌기(23b)를 돌설하여 지지판(30)의 일측 개방부(3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작동판(20)을 그 중앙의 축봉(24)으로 저장용기(10) 저면중앙부에 회동가능하도록 축설한다.
한편, 상기한 작동판(20)은 저장용기(10) 저면 일측에 연결된 일측 인장스프링(22')과 그 일단을 연결하는 한편 이때의 작동판(20)에 있어서도 그 합치공(21)은 평시에는 저장용기(10) 저부의 배출공(11)과 어긋나게 위치하는 상태이다.
또한, 작동판(20)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축봉(24)을 축으로하여 회동되는 구조임에 따라 상기 배출공(11)은 저장용기(10) 저부에서 다소 한쪽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즉 상기한 지지판(30)은 각 스프링(22)(22')과 작동판(20)을 수용하는 상태로 그 상면 가장자리가 저장용기(10)의 저면에 용착, 고정되는 구조이나 한편으로는 이 지지판(30)을 볼트너트 결합수단으로 하여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작동판(20)이 저부 지지판(30)에 내설되어 지지되면서 일측 스프링(22)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상태로써 상기 스프링(22)의 탄성에 의해 항상 일방(도면상 오른쪽)으로 탄력을 받게 되나 그 일측의 단턱(23a)이 저장용기(10) 저부 일단의 제어돌기(12)에 접면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 이때의 합치공(21)은 저장용기(10)의 배출공(11) 및 지지판(30)의 인출관(31)등과는 어긋난 위치에 있어 저장용기(10)내의 분말제품(도시없음)은 인출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분말제품을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분말제품을 담을 별도의 용기를 인출관(31) 저부에 위치시킨 다음 작동판(20)의 노출된 일단을 밀어주면 작동판(20)은 스프링(22)을 수축시키면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때 그 합치공(21)이 배출공(11) 및 인출관(31)과 일치되면서 이를 통하여 분말제품을 배출되게 된다.
분말제품을 선택된 적정수준으로 배출시킨 다음 작동판(20)의 누름을 해지하면 작동판(20)은 스프링(22)의 탄력으로 밀려나와 원위치로 복귀되고, 이와 함께 그 합치공(21)도 배출공(21) 및 인출관(31)과 다시 어긋난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분말 제품의 배출은 중단되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사용자가 약 1초 간격으로 작동판(20)을 눌렀다가 떼는 동작으로 분말제품을 인출하게 되면 분말제품의 효과적인 정량인출에 거의 근접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제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그 기술수단은 본 고안의 기본적 기술수단과 같이 하나 구조를 다소 변경한 것이다.
즉, 작동판(20)은 원형으로 구성되어 축봉(24)을 축으로하여 회동되는 구조이고, 이 역시 그 일단이 인장스프링(22')과 연결되어 일방(도 4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항상 당겨지는 상태이다.
상기 작동판(20)은 일단에 돌기(23b)가 형성되어 지지판(30)의 일측 개방부(3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바, 평시에는 작동판(20)의 합치공(21)이 배출공(11) 및 인출관(31)과 어긋난 위치에 있다가 상기 돌기(23b)를 밀어 주면 작동판(20)이 인장스프링(22')을 신장시키며 축봉(24)을 축으로 회동되고 이때 합치공(21)이 배출공(11) 및 인출관(31)과 일치됨에 따라 이를 통하여 분말제품이 배출되게 된다.
또, 분말제품의 배출이 완료된 후 상기 돌기(23b)를 밀어주던 것을 해지하면 작동판(20)은 인장스프링(22')의 인장력으로 역회전하면서 최초의 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분말제품의 배출은 중단되게 된다.
본 고안은 종래 분말제품을 별도로 퍼서 담는 수단을 탈피하여 원터치 조작으로 간단히 인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말제품의 인출이 용이하고 신속하고, 특히 분말제품이 비산된다던가 신체에 묻는 경우가 없어 매우 위생적이다.
또한, 종래에는 분말제품을 상부쪽으로부터 점차 퍼 내려가기 때문에 장기간이 지나면 하부쪽 분말제품이 상호 응착되어 사용이 어려운 경우도 있으나 본 고안은 분말제품이 하부쪽에서부터 인출되므로 인출될때마다 분말제품 전체가 하향이동하여 수시로 움직여 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호 응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동판을 약 1초동안 조작할 경우 어느 정도의 분말제품이 인출된다는 것을 알게 되므로 이를 감안하여 작동판이 조작회수를 조절하여 분말제품의 정량인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

  1. 분말제품을 수용하는 저장용기(10)의 저부에 배출공(11)과 제어돌기(12)을 각각 형성하고 그 저부에는 일단이 스프링(22)에 탄력설치되고 일측으로 합치공(21)이 천공된 작동판(20)을, 그리고 인출관(31)을 갖는 지지판(30)을 순차 설치하는 한편, 지지판(30)은 스프링(22)과 작동판(20)을 수용하는 구조로 고정되며, 작동판(20)의 일단을 외방으로 노출하는 것과 함께 그 일측의 단턱(23a)이 상기 제어돌기(12)에 접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제품 용기의 분말인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판(20) 및 지지판(30)은 일측에 돌기(23b) 및 개방부(32)를 갖는 원형의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돌기(23b)는 개방부(32)를 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는 한편 작동판(20)은 일측 인장스프링(22')으로 연결하되 그 중앙의 축봉(24)을 축으로하여 회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제품 용기의 분말인출구조.
KR2019970007227U 1997-04-08 1997-04-08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KR1998006282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227U KR19980062828U (ko) 1997-04-08 1997-04-08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227U KR19980062828U (ko) 1997-04-08 1997-04-08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828U true KR19980062828U (ko) 1998-11-16

Family

ID=6967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227U KR19980062828U (ko) 1997-04-08 1997-04-08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82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61120B2 (ja) フードプロセッサ用機械式安全装置
US5860564A (en) Ice dispensing chute
CA2290260A1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US7506656B2 (en) Dispenser of washing agents for a household washing machine, in particular a dishwasher
US6102253A (en) Metering dispenser for soap powder
KR19980062828U (ko) 분말제품용기의 분말인출구조
EP1493375A1 (en) Multidose detergent dispenser for dishwasher
KR20030070006A (ko) 개별 태블렛을 분배하는 태블렛 디스펜서
JP2011116379A (ja) 混合注出器
KR0185748B1 (ko) 고정 기능을 갖춘 하수구 세척제 투여기를 사용한 하수구 세척 방법 및 그를 위한 투여기
JP2001233370A (ja) 2ピース振出容器用キャップ
US5381925A (en) Stirrer/straw dispenser
US2636208A (en) Drain receptacle for bottle cleaning shot
EP0714834A1 (en) Improved structure of safe bottle cap
US2857940A (en) Dispenser for detergents
KR19990067228A (ko) 액상 손 트리트먼트 분배용 개량형 장치 및 그 방법
KR200160601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CA2330432C (en) Coin counting device
JP2006141805A (ja) 定量取出式調味料入れ
KR200302347Y1 (ko) 식용분말 배출용 디스펜서
KR200352886Y1 (ko) 일정량 분말 배출기
JPH0610471Y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Z74794A3 (en) Device for metering detergents located inside a washing machine drum
KR950004192Y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구 자동개폐장치
EP2998165B1 (en) Dosage dispenser for a waste holding tank having a pour 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