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814A -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0814A
KR19980060814A KR1019960080181A KR19960080181A KR19980060814A KR 19980060814 A KR19980060814 A KR 19980060814A KR 1019960080181 A KR1019960080181 A KR 1019960080181A KR 19960080181 A KR19960080181 A KR 19960080181A KR 19980060814 A KR19980060814 A KR 19980060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hole
frame assembly
cathode ray
electr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행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101996008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0814A/ko
Priority to DE19757357A priority patent/DE19757357C2/de
Priority to US08/998,990 priority patent/US5929558A/en
Priority to CN97123487A priority patent/CN1101592C/zh
Publication of KR19980060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814A/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 조립체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곡율을 가지는 유공부와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와 상기 무공부의 장변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섀도우마스크와,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며, 이는 섀도우마스크와 지지부의 결합이 간편하고, 스커트부의 스프링 백 현상에 따른 전자빔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널의 내부에 장착되어 색선별 기능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가 개량된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형광막(11)이 형성된 패널(10)과, 이 패널(10)의 내부에 형광막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섀도우마스크(21)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20)와, 상기 패널(10)과 봉착되는 것으로 그 네크부(31)에 전자총(40)이 봉입되고 그 콘부(32)에 편향요오크(50)가 설치된 펀넬(3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칼라 음극선관은 상기 네크부(31)에 장착된 전자총(40)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편향요오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21)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형광막(11)의 각 형광점에 랜딩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섀도우마스크와 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종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21)과 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섀도우마스크(21)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H)이 형성된 유공부(21a)와 이 유공부(21a)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21b)와, 상기 무공부(21b)로부터 하방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스커트부(21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은 상기 스커트부(21c)가 용접되어 지지되는 지지부(22a)와, 이 지지부(22a) 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22b)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20)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21c)와 지지부(22a)의 결합은 소정의 간격으로 저항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이루어져 왔는데, 용접시 상기 스커트부(21c)가 프레임(22)의 지지부에 밀착되면서 유공부(21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H)이 변변형된다. 즉, 상기 섀도우마스크(21)는 판상의 부재를 성형( forming)하게 되는데, 유공부(21a)에 대한 스커트부(21c)의 포밍시 스프링 백 현상에 의해 설정된 상태로 성형되지 못하고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과 용접시 스프링 백량 만큼 밴딩된 상태로 용접되므로 용접되는 부위의 유공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이 변형되는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자총(40)으로부터 방출되어 형광막(11)에 랜딩됨으로써 이를 여기시키는 전자빔 즉, 열전자는 상기 섀도우마스크(21)의 전자빔 통과공(H)를 모두 통과하지 못하고 15 내재 30% 정도만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빔 통과공(H)를 통과하지 못한 전자빔은 섀도우마스크의 유공부(21a)에 충돌됨으로써 섀도우마스크(21)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22)이 가열되고, 나아가서는 섀도우마크(21)의 도밍현상이 유발된다. 이러한 도밍현상은 섀도우마스크(21)의 유공부(21a)의 장단변부가 스커트부(21c)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더욱 심하게 나타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도밍현상에 의해 상기 유공부(21a)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H)의 위치가 이동되어 상기 전자총(3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정확하게 형광막(11)의 형광점에 랜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줄여 유공부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프레임과 섀도우마스크의 결합이 용이하여 이들의 결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의 일부절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섀도우마스크 62; 무공부
62b; 보강비드 63; 스커트부
70; 프레임 71; 지지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곡율을 가지는 유공부와,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와, 상기 무공부의 장변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가 형성되지 않은 섀도우마스크의 무공부의 단변부에 보강비드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60)와 프레임(70)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져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색선별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섀도우마스크(60)는 소정의 곡율을 가지며 사각형상의 유공부(61)에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부(61)의 가장자리에는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지 않은 무공부(62)가 소정의 목으로 형성되며 이 무공부(62)의 장변부(62a) 측에는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스커트부(63)가 형성되고, 상기 무공부(62)의 단변부(62b) 측에는 스커트부가 형성되지 않고, 구조적 강도향상을 위하여 보강비드(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마스크(60)를 지지하는 프레임은 상기 스커트부(63)와 용접되는 지지부(71)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70)의 지지부(71)와 섀도우마스크(60)의 스커트부(63)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용접에 따른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섀도우마스크(60)의 성형시 일측만 성형되므로 사각형형상의 프레임에 섀도우마스크의 결합이 용이하고, 종래와 같이 장변부와 단변부측의 스커트부 성형시 장변부와 단변부 스커트부 상호간의 합력에 의한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장변부측에만 형성된 스커트부와 지지부의 용접시 유공부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자빔 통과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전자빔 통과공(H)를 통과하지 못한 전자빔에 의한 섀도우마스크의 가열시 섀도우마스크(60)의 단변부측이 프레임(70)에 지지되지 않은 자유단이므로 섀도우마스크의 도밍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섀도우마스크의 열팽창에 따른 전자빔 통과공의 이동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단순화되므로 이의 보상이 용이하다. 즉,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열팽창에 따른 전자빔의 이동은 무공부의 장변부측(62a)이 지지된 스커트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주로 장변부의 직각방방향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장변부와 단변부에 형성된 스커트부에 의해 기인하는 도밍현상의해 전자빔 통과공의 이동이 복합적인 방향성분을 가지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프레임의 지지부에 무공부의 장변부측에만 만들어진 스커트부가 결합되므로 프레임에 대한 섀도우마스크와 결합과 고정이 간단하다.
둘째; 섀도우마스크의 성형이 용이하며 스커트부의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섀도우마스크의 도밍량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섀도우마스크의 무공부 단변부에 보강비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섀도우마스크가 구조적으로 약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는 도면에 도시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2)

  1. 다수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되며 소정의 곡율을 가지는 유공부와, 유공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는 무공부와, 상기 무공부의 장변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스커트부를 포함하는 섀도우마스크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스커트부와 결합되는 지지부를 가지는 프레임을 포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가 형성되지 않은 섀도우마스크의 무공부의 단변부 보강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19960080181A 1996-12-30 1996-12-3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9980060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181A KR19980060814A (ko) 1996-12-31 1996-12-3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DE19757357A DE19757357C2 (de) 1996-12-30 1997-12-22 Lochmaskenanordnung für eine Farbkathodenstrahlröhre
US08/998,990 US5929558A (en) 1996-12-30 1997-12-29 Shadow mask assembly with thermal expansion compensation
CN97123487A CN1101592C (zh) 1996-12-30 1997-12-30 彩色阴极射线管的荫罩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0181A KR19980060814A (ko) 1996-12-31 1996-12-3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814A true KR19980060814A (ko) 1998-10-07

Family

ID=6642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181A KR19980060814A (ko) 1996-12-30 1996-12-3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08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6960B2 (ja)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10042896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9980060814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9581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940008155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95808B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95809B1 (ko)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JPH10144227A (ja) シャドウマスクを備えたカラー陰極線管
KR200151015Y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72516B1 (ko) 음극선관
KR94000654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JPH0729505A (ja) カラー陰極線管のシャドウマスク
KR100261122B1 (ko) 섀도우마스크
KR95000064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200881Y1 (ko) 칼라음극선관의새도우마스크
KR950001220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00061591A (ko) 음극선관용 마스크프레임 어셈블리
KR930011792B1 (ko) 칼라 음극선관
JPS5934046Y2 (ja) シヤドウマスク支持構体
KR200145256Y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KR1998006080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0127860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비틀림방지장치
KR100477733B1 (ko) 섀도우마스크프레임조립체
KR20010094307A (ko) 음극선관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 지지 프레임
KR19980021588A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