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0587U -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Google Patents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0587U KR19980060587U KR2019970004674U KR19970004674U KR19980060587U KR 19980060587 U KR19980060587 U KR 19980060587U KR 2019970004674 U KR2019970004674 U KR 2019970004674U KR 19970004674 U KR19970004674 U KR 19970004674U KR 19980060587 U KR19980060587 U KR 1998006058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ding plate
- container
- containers
- box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내부 각면에 부착되어 층을 이루는 다수개의 용기와, 상기 절곡판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중의 최상측용기를 덮도록 상기 절곡판의 상부에 쒸워지는 뚜껑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여러종류의 물품을 각각 다른 공간에 넣어 간단히 정리 또는 진열하거나 포장을 간단히 하여 선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물상자 등은 대개 하나의 공간부를 가진 용기와, 이 용기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선물상자에 여러종류의 물품을 섞이지 않게 넣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의 내부에 격리판(3)를 설치하고 뚜껑(5)를 덮어, 선물이나 정리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반 분식점의 메밀국수 용기나 만두용기와 같이, 하나의 용기상측에 다른 동일한 크기의 용기를 충상으로 포개어 쌓아 사용하는 용기도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격리판(3)을 사용하여 다수의 공간부를 형성시킨 후, 이 공간부에 여러종류의 물품을 넣어 보관하거나 선물하는 용기는 격리판의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에 넣은채로 진열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층상으로 쌓아 사용하는 용기는 층중에서 중간층이나 바닥층에 물품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는 그 상측의 용기를 모두 내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진열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용기를 모두 동일평면상에 넣어 높아야 하므로 진열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러종류의 물품을 각각 다른 공간에 넣어 정리 또는 진열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을 간단히 하여 선물할 수 있는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상자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21 : 절곡판13, 15, 17, 23, 25, 27 : 용기
19, 29 : 뚜겅S1, S2, S3, S4, S5 : 면
L : 절곡선11a : 단부선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는 다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내부 각면에 부착되어 층을 이루는 다수개의 용기와, 상기 절곡판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중의 최상측용기를 덮도록 상기 절곡판의 상부에 쒸워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절곡판의 절곡면이 5개이고 용기가 3개인 일실시예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면(S1, S2, S3, S4, S5)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절곡판(1)의 내부 각면에 다수개의 용기(13, 15, 17)가 부착되어 층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절곡판(11)을 오무려 다각형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절곡판(11)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중의 최상측용기(13)를 덮도록 상기 절곡판(11)의 상부에서 뚜껑(19)이 쒸워져 있다.
상기 절곡판(11)과, 용기(13, 15, 17) 및 뚜껑(19)은 종이 또는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다.
상기 절곡판(11)에는 상기 다수의 면(S1, S2, S3, S4, S5)이 형성되도록 절곡되는 절곡선(L)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절곡선(L)에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일정한 깊이의 스크래치선이 파여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용기(13, 15, 17)는 상측이 개구된 5각 용기로서, 그 일외측면 또는 인접한 두 개의 외측면은 상기 절곡판(11)의 내측 면에 각각 다른 높이로 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용기(13)의 인접한 2개의 외측면은 상기 절곡판(11)의 면(S1) 및 면(S2)의 최상측에 부착되고, 상기 용기(15)의 하나의 외측면은 상기 절곡판(11)의 면(S3)에 부착되되 상기 용기(13)의 하측에 부착되며, 상기 용기(17)의 인접한 2개의 외측면은 상기 절곡판(11)의 면(S4) 및 면(S5)에 부착되되 상기 용기(15)의 하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뚜껑(19)은 상기 용기(13, 15, 17)와 동일한 형상의 5각용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9)을 연 상태에서 절곡판(11)을 펼치면, 용기(13, 15, 17)가 정렬되고 용기(15, 17)의 개구부가 외측으로 드러나므로, 다른 종류의 물품을 상기 용기(13, 15, 17)에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고 담은 상태로 정렬이 된다.
그리고, 선물등의 목적으로 포장을 하거나 내부에 담겨진 물품이 보이지 않게 하거나 재치 공간을 줄일 때에는, 절곡판(11)을 잡고 오무리면, 도 2에 도시한 상태를 거쳐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절곡판(11)의 단부선(11a)이 마주치게 되어 5각기둥이 형성된다. 다음에 뚜껑(19)을 덮으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판(11)의 단부선(11a)의 일부가 뚜껑(19)에 의해 구속되므로 절곡판(11)의 펴짐이 용이하게 방지되어 5각기둥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에서는, 2개의 용기(13, 17)는 그 인접한 두 개의 외측면이 상기 절곡판(11)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절곡판(11)은 5개의 면(S1, S2, S3, S4, S5)을 형성하고 있지만 3개의 용기밖에 부착할 수 없게 되어 있으나, 각 용기의 하나의 측면만을 상기 절곡판의 면에 각각 부착시키고 절곡판의 높이를 크게 하므로써 5개의 용기를 층상으로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판(21)의 절곡면을 4개로 하고 용기(23, 25, 27)를 3개로 하여 4각기둥을 형성하여 사각뚜껑(19)을 쒸우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절곡면을 갖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절곡면수 이내의 개수의 용기와, 상기 절곡판이 형성하는 다각기둥을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 구조도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절곡판이 형성하는 다각기둥은 4각으로 하고 절곡판의 부착하는 용기는 3각상자로 하거나, 상기 절곡판이 형성하는 다각기둥은 5각으로 하고 절곡판의 내측에 부착하는 다각용기는 4각으로 하는 등, 절곡판의 절곡면수보다 적은 다각의 용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곡판이 하나의 판이 절곡선을 따라 절곡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의 판이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절곡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에 의하면, 다양한 절곡면수를 갖는 절곡판의 내측면에 다수의 다각상자를 부착/구성함에 의해, 여러종류의 물품을 각각 다른 공간에 넣어 정리 또는 진열을 용이하게 하고 포장을 간단히 하여 선물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다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내부 각면에 부착되어 층을 이루는 다수개의 용기와, 상기 절곡판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중의 최상측용기를 덮도록 상기 절곡판의 상부에 쒸워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판은 다수의 판이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다수의 면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4674U KR19980060587U (ko) | 1997-03-13 | 1997-03-13 |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4674U KR19980060587U (ko) | 1997-03-13 | 1997-03-13 |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0587U true KR19980060587U (ko) | 1998-11-05 |
Family
ID=6969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4674U KR19980060587U (ko) | 1997-03-13 | 1997-03-13 |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60587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018A (ko) * | 2002-11-12 | 2004-05-20 | 최덕환 | 수납 겸용 포장상자 어셈블리 |
-
1997
- 1997-03-13 KR KR2019970004674U patent/KR19980060587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2018A (ko) * | 2002-11-12 | 2004-05-20 | 최덕환 | 수납 겸용 포장상자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X2012003258A (es) | Caja utilizable flexible. | |
EA016761B1 (ru) | Упаковка | |
JP2012030893A (ja) | 開放パッケージ | |
CA2482624C (en) | Display package | |
KR100850876B1 (ko) | 딸기 포장용기 | |
EP1373100B1 (en) | Display package for articles such as eggs | |
EP0825953A1 (en) | Package for fragile goods | |
KR100835836B1 (ko) | 적층이 용이한 선물용 포장상자 | |
US6817473B2 (en) | Household product package with tamper evident cap | |
US7472792B2 (en) |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 |
KR200424470Y1 (ko) | 다용도 포장용기 | |
KR19980060587U (ko) | 다수의 용기를 구비한 상자 | |
KR101469677B1 (ko) | 속포장용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 |
EP1923332A1 (en) | Package comprising windows | |
KR100773989B1 (ko) | 포장용 상자 | |
US3482679A (en) | Produce package and blank for producing a lid for the same | |
KR200298028Y1 (ko) | 포장 박스 내부에 들어가는 골판지를 이용한 적층 포장체 | |
KR100354713B1 (ko) | 일회용 접는컵 | |
JP3028198U (ja) | 弁当容器 | |
JP7537204B2 (ja) | 内容物取り出し容器 | |
JP3048212U (ja) | 包装用仕切り体 | |
JP3044661U (ja) | 多数の容器を備えた箱 | |
JP3179593U (ja) | 包装体 | |
JP4588517B2 (ja) | 包装箱の支持部材 | |
KR200438339Y1 (ko) | 포장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