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796U - 문개폐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문개폐용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9796U KR19980059796U KR2019970003752U KR19970003752U KR19980059796U KR 19980059796 U KR19980059796 U KR 19980059796U KR 2019970003752 U KR2019970003752 U KR 2019970003752U KR 19970003752 U KR19970003752 U KR 19970003752U KR 19980059796 U KR19980059796 U KR 1998005979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handle
- closing
- door open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적인 문개폐용 손잡이의 형상을 변형시켜 구성함으로써, 문에 손잡이를 용이하게 부착하고, 이렇게 손잡이가 부착된 문의 개폐시 사용자의 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문개폐용 손잡이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용이한 손잡이부(100, 220, 230)와, 문에 결합되는 접합부(210) 및, 상기 접합부(210)와 상기 손잡이부(100, 220, 230)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지지대(240)를 포함하는 문개폐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40)는 유한한 곡률반경(R)을 갖는 굴곡형 지지대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00, 220, 230)는 상기 접합부(210)를 통과하고 상기 문의 표면과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약간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문개폐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일반적인 여닫이문과 미닫이문에 쉽게 부착이 가능하고, 이런 문을 열고 닫을 때 부딪칠 염려가 없는 굴절형 지지대를 구비한 문개폐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간을 구분하는 벽에 형성되어 있는 문을 열고 닫기 위해 사용되는 손잡이는 각각의 형상과 제작방법에 따라 수 많은 종류가 존재하며, 이런 손잡이가 사용되는 문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알맞은 형태로 형성되어 이런 손잡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이 다칠 위험이 없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문에 부착되는 문개폐용 손잡이는,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용이한 손잡이부와, 문에 결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일직선상에 배치하여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지지대는 손잡이부의 양 쪽의 단면부위에 결합되어 있으며, 접합부에는 나사못이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고 결합된 손잡이부와 지지대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문개폐용 손잡이의 접합부를 문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하여 이런 문을 열고 닫는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손잡이를 미닫이문 또는 여닫이문의 소정 부위에 나사못을 사용하여 부착할 경우, 다수의 나사구멍들을 포함한 접합부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손잡이부에 의해 가려지게 되므로 나사못을 조이는데 이용되는 일반적인 공구의 사용이 제한되어 특수공구를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문에 부착된 손잡이의 접합부의 위치가 문의 측단부면에서 가까운 위치에 부착되는 경우, 이런 접합부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부도 역시 문을 측단부면에서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손잡이가 부착된 미닫이문을 사용할 경우에 이런 미닫이문과 문틀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이로써, 문의 개폐시 사용자의 주의를 요하게 된다. 또한, 한 방향으로 문이 개폐되는 여닫이문 또는 양 방향으로 문이 서로 개폐되는 여닫이문의 경우에는, 문과 문틀 또는 양 방향으로 개폐되는 문들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에 손잡이를 용이하게 부착하고, 이렇게 손잡이가 부착된 문의 개폐시 사용자의 손을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문개폐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개폐용 손잡이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개폐용 손잡이의 지지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문개폐용 손잡이가 미닫이문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손잡이봉210 : 접합부
220 : 연결부230 : 삽입부
231 : 홈240 : 지지대
400 : 문500 : 문틀
R : 곡률반경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용이한 손잡이부와, 문에 결합되는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문개폐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유한한 곡률반경을 갖는 굴곡형 지지대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접합부를 통과하고 상기 문의 표면과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약간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손잡이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문개폐용 손잡이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문개폐용 손잡이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듯이, 손잡이봉(100)은 원통형으로서, 그 외면은 사용자가 쥐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처리가 되어 있다. 이런 손잡이봉(100)의 양 쪽의 단부에는 손잡이봉(10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삽입부(230)가 끼워져 있다. 이런 삽입부(230)는 손잡이봉(10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연결부(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연결부(220)의 소정의 위치에는 연결부(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접선방향쪽으로 곡률져 있으며 소정의 곡률반경(R)을 갖는 지지대(24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지지대(240)의 단면에는 문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접합부(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런 접합부(210)에는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230)의 둘레에는 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부(230)와 지지대(240) 및 접합부(2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금형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아래에서,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문개폐용 손잡이의 결합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손잡이봉(100)의 양 쪽의 단부에 연결부(220)의 삽입부(230)를 억지끼움식으로 삽입한다. 이렇게 양쪽의 단부에 삽입부(230)가 끼워지면, 압력을 가하여 이런 삽입부(230)의 홈(231)에 손잡이봉(100)의 일부분이 끼워지게 한다. 이렇게 손잡이봉(100)에 끼워진 삽입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20)는 상기 접합부(210)를 통과하고 상기 문의 표면과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약간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된다. 또한, 이렇게 연결부(220)의 삽입부(230)가 끼워진 손잡이봉(100)은 이런 삽입부(230)의 홈(231)을 따라 어느 정도 회전가능하다. 이렇게 결합된 문개폐용 손잡이는 필요에 따라 크롬도금이나 동도금을 하게 된다.
아래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합된 문개폐용 손잡이를 문에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문개폐용 손잡이가 미닫이문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문(400)의 소정의 위치, 즉, 사용자가 편리하게 문(400)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위치에 문개폐용 손잡이를 위치한다. 이때, 문개폐용 손잡이의 곡률반경(R)을 갖는 지지대(240)의 외측면이 문틀(500)에 대해 문(400)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쪽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그런 다음, 공구를 사용하여 한 쪽의 접합부(210)를 문(400)에 고정한 후에 다른 쪽의 접합부(210)를 고정한다. 이때, 접합부(210)가 문(400)에 고정시킬 수 없게 비틀려 있을 경우, 손잡이봉(100)을 삽입부(230)에 형성되어 있는 홈(231)을 따라 지지대(240)의 끝단부에 형성된 접합부(210)들이 수평을 이루게 적당히 비틀면 된다.
이렇게 문(400)에 부착된 문개폐용 손잡이가 상기 접합부(210)를 통과하고 상기 문(400)의 표면과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약간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며, 이런 공간은 사용자가 문을 닫을 경우에도 사용자의 손이 문과 문틀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없는 공간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문개폐용 손잡이는 일체형으로 접합부와 손잡이봉 사이에 굴곡된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런 굴곡형 지지대를 갖는 손잡이를 미닫이문이나 여닫이문에 고정시켜 사용할 경우에 사용자가 쉽게 손잡이를 잡고 문을 열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이런 문을 닫을 때에도 문틀이나 문에 부딪칠 염려가 없다.
또한, 이런 손잡이봉을 문에 부착시 다수의 구멍이 있는 접합부가 손잡이봉에 가려지지 않아서 나사못을 사용하여 결합할 경우 다른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부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문개폐용 손잡이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용이한 손잡이부(100, 220, 230)와, 문에 결합되는 접합부(210) 및, 상기 접합부(210)와 상기 손잡이부(100, 220, 230)가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지지대(240)를 포함하는 문개폐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40)는 유한한 곡률반경(R)을 갖는 굴곡형 지지대이고, 그럼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00, 220, 230)는 상기 접합부(210)를 통과하고 상기 문의 표면과 수직인 평면으로부터 약간 편향된 위치에 배치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개폐용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3752U KR200162861Y1 (ko) | 1997-03-04 | 1997-03-04 | 문개폐용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3752U KR200162861Y1 (ko) | 1997-03-04 | 1997-03-04 | 문개폐용 손잡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9796U true KR19980059796U (ko) | 1998-11-05 |
KR200162861Y1 KR200162861Y1 (ko) | 1999-12-15 |
Family
ID=1949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3752U KR200162861Y1 (ko) | 1997-03-04 | 1997-03-04 | 문개폐용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62861Y1 (ko) |
-
1997
- 1997-03-04 KR KR2019970003752U patent/KR20016286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62861Y1 (ko) | 1999-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03096A (en) | Hair clip | |
US5015013A (en) | Connector fitting for connecting corrugated conduit sections | |
US5283930A (en) | Cord clamp with hasp for folded cords and the like | |
USD429817S (en) | Eye protector with lens | |
USD464691S1 (en) | Exercise bar | |
USD426898S (en) | Combined textured sleeve with stanchion | |
KR19980059796U (ko) | 문개폐용 손잡이 | |
KR100390243B1 (ko) | 케이블클램프 | |
US6119703A (en) | Hook tape to plastic roller bodies | |
JPH11235212A (ja) | 腕輪を連結材により時計に取付けた腕時計 | |
GB2279249A (en) | Adjustable length elastic band | |
JPH08149662A (ja) | フラットケーブル用固定具 | |
US5211497A (en) | Connecting device | |
JP4398583B2 (ja) | 電線補修用カバ− | |
KR0136167Y1 (ko) | 문설주용 경첩 | |
JPS5830556Y2 (ja) | 洗濯挾み | |
KR200143357Y1 (ko) | 부채 | |
FR2826995B1 (fr) | Ferrure de verrouillage d'ouvrant coulissant a boitier technique et parement distincts et fixes sur l'ouvrant | |
KR970025473A (ko) | 끈고정구 | |
KR200193701Y1 (ko) | 창틀프레임 조인트 구조 | |
KR870000185Y1 (ko) | 귀덮개와 밴드의 연결구 | |
JPH0749695Y2 (ja) | 絶縁カバー | |
JP3940480B2 (ja) | 電線保護管用継手 | |
KR950002520Y1 (ko) | 출입문 목재손잡이의 커버체와 록관의 결합구조 | |
JPS6236349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27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