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9172U -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9172U
KR19980059172U KR2019970017656U KR19970017656U KR19980059172U KR 19980059172 U KR19980059172 U KR 19980059172U KR 2019970017656 U KR2019970017656 U KR 2019970017656U KR 19970017656 U KR19970017656 U KR 19970017656U KR 19980059172 U KR19980059172 U KR 199800591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tube
filtered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박성용
주식회사 종합공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용, 주식회사 종합공해 filed Critical 박성용
Publication of KR199800591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72U/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재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여과통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승강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된 여과재로 급수된 물을 통과시켜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과할 원수의 선속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여과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여과재의 교체가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섬유사를 열융착 가공하여 담배 필터와 유사한 형태로 성형한 여과재(111)를 내부에 담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물을 챔버(107)의 물공급관(102)을 통해 공급받아 물출입관(103)으로 급수하고, 물출입관(103)으로 역공급된 역세수를 챔버(107)의 역세처리관(104)으로 배출시키는 여과통(101)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출입관(103)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출입관(10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물출입공(105)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공급관(102)과 역세처리관(104)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통(101)의 하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06)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를 가압하기 위한 승강판(108)과, 상기 승강판(108)을 여과통(101)의 내부에서 승강 되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판(108)에 연결된 승강축(109)과, 상기 서로 연결된 승강판(108)과 승강축(109)을 승강시키는 쟈키(110)를 구비한 여과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여과장치
본 고안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장치의 쟈키와 연결되어 여과통 내부에서 승강되는 승강판에 의해 여과통내에 삽입된 다수의 마이크로 칩 필터(Micro Chip Filter ; 이하 여과재라 한다.)가 압축되도록 하고, 그 압축된 여과재로 여과할 원수를 통과시켜 불순물을 여과한 후 여과된 깨끗환 물을 물출입관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과할 원수의 선속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여과속도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강판에 의한 여과재의 압축을 풀고, 물출입관으로 역세수를 공급하여 여과재들을 세척한 후 역세처리관으로 세척수를 배출시킴으로서 여과재의 교체가 없는 상태에서 보충에 의한 영구적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과장치의 구성은 내부에 모래,자갈,활성탄층을 일정 높이로 적층하고 있는 여과통과, 상기 여과통에 여과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으로 공급된 물이 여과통내부의 모래,자갈,활성탄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깨끗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배출관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해 물공급관을 통해 외부의 물을 여과통 내부로 급수 한다.
그리고.상기 여과통 내부로 급수된 물은 모래,자갈,활성탄층을 통과하면서 불순물들을 여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모래,자갈,활성탄층을 통과한 깨끗한 물은 물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여과된 물을 얻을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여과장치에는 몇가지의 문제점이 있다.
즉, 여과통의 내부에 적층되어 있는 모래층과 자갈층 그리고 활성탄층등을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적층을 하여야 했기 때문에 여과재의 설치면적이 매우 넓어지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여과재의 설치면적이 넓어진 만큼 급수된물이 여과재를 통과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의 여과재 통과유속이 매우 느려지기 때문에 여과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내에 적층되는 모래와 자갈 그리고 활성탄층은 년2회이상 교체를 하여야 하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불편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교체된 여과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원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여과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여과재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여과통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고, 승강판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된 여과재로 급수된 물을 통과시켜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과할 원수의 선속도를 향상시켜 신속한 여과속도를 얻을 수 있으며, 여과재의 교체가 없이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여과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여과장치의 구성과 여과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여과장치의 역세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설명*
101 : 여과통 102 : 물공급관
103 : 물출입관 104 : 역세처리관
105 : 물출입공 106 : 통공
107 : 챔버 108 : 승강판
109 : 승강축 110 : 쟈키
111 : 여과재
본 고안의 구성을 도 1과 도 2에 의해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섬유사를 열융착 가공하여 담배 필터와 유사한 형태로 성형한 여과재(111)를 내부에 담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물을 챔버(107)의 물공급관(102)을 통해 공급받아 물출입관(103)으로 급수하고, 물출입관(103)으로 역공급된 역세수를 챔버(107)의 역세처리관(104)으로 배출시키는 여과통(101)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출입관(103)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출입관(10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물출입공(105)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공급관(102)과 역세처리관(104)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통(101)의 하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06)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를 가압하기 위한 승강판(108)과, 상기 승강판(108)을 여과통(101)의 내부에서 승강 되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판(108)에 연결된 승강축(109)과, 상기 서로 연결된 승강판(108)과 승강축(109)을 승강시키는 쟈키(110)로 여과장치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여과통(101)내에서 쟈키(110)에 의해 하강되는 승강판(108)으로 도 1과 같이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들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판(108)의 가압력에 의해 여과재(111)들은 여과통(101)내부의 하측부로 하강되어 여과통(101)의 바닥면과 승강판(108) 사이에서 압축되어지면서 조밀한 틈새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밸브를 열어 물공급관(102)을 통해 여과통(101)의 내부로 여과되지 않은 원수를 급수하면 원수는 챔버(107)와 통공(106)을 통해 상기의 여과통(101)내부로 공급되어 압축된 여과재(111)들의 틈새를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압축된 여과재(111)들 사이를 빠져나가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은 여과재(111)에 흡수되어 걸러지게 되므로 깨끗한 여과수를 물출입공(105)을 통해 물출입관(103)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역세처리관(104)은 밸브가 잠긴상태를 유지하므로 물공급관(102)으로 공급된 원수는 역세처리관(104)으로 배수되지 않고 모두 여과처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여과통(101)내부로 급수된 원수를 여과한 여과재(111)에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이 묻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를 세척해주어야 다음의 여과작용을 할 수 있게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여과재(111)를 세척할 때는 물공급관(102)의 밸브는 잠그고, 여과재(111)를 압축하며 하강되어 있는 승강판(108)을 쟈키(110)의 역동작으로 상승시킨다.
이어서 역세처리관(104)의 밸브를 열고, 물출입관(103)을 통해 여과통(101)내부로 물을 공급하면 승강판(108)의 상승에 의해 원상태로 팽창되어 다시 넓은 공간을 점유하던 여과재(111)들이 물과 함께 와류된다.
이때, 여과통(101)으로 공급된 물과 함께 와류되는 여과재(111)는 묻어 있던 이물질을 떨어뜨리고, 여과재(111)에서 떨어진 이물질들은 여과통(101)의 통공(106)과 챔버(107)를 통해 세척수와 함께 역세처리관(104)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의 역세수에 의해 여과재(111)들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다음의 여과공정에서 급수되는 물을 확실하게 여과시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승강판의 승강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여과재들을 압축한 상태에서 여과시킬 원수를 여과통내로 공급하여 여과시키는 수단이므로 보다 확실한 여과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통의 내부에서 승강판의 하강에 의해 조밀하게 압축되어지고, 승강판의 상승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퍼지는 작용을 하는 여과재에 의해 여과재의 여과통 점유면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여과통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판의 승강작용으로 담배 필터와 유사하게 섬유사를 열융착 가공한 여과재를 압축하여 여과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여과시킬 원수의 선속도를 보다 높일 수 있어 신속한 여과속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여과작용이 완료되면 역세수에 의해 여과재를 원상태로 팽창시킨 후 세척하여 주기 때문에 여과재의 교체 없이 보충에 의해 영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여과장치는 식수를 여과하는 것 외에도 하수 및 생활오수의 고도처리, 초순수 제조의 전처리, 산업폐수의 고도처리, 호수 및 하천수의 재이용, 상수 및 공업용수 등의 여과, 수영장 정수의 재이용, 냉각수 재이용, 양어장 정수의 재이용, 중수도설비, 해수여과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섬유사를 열융착 가공하여 담배 필터와 유사한 형태로 성형한 여과재(111)를 내부에 담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의 물을 챔버(107)의 물공급관(102)을 통해 공급받아 물출입관(103)으로 급수하고, 물출입관(103)으로 역공급된 역세수를 챔버(107)의 역세처리관(104)으로 배출시키는 여과통(101)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출입관(103)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출입관(10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물출입공(105)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가 여과된 물과 함께 물공급관(102)과 역세처리관(104)으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통(101)의 하측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06)과,
    상기 여과통(101)내부의 여과재(111)를 가압하기 위한 승강판(108)과,
    상기 승강판(108)을 여과통(101)의 내부에서 승강 되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판(108)에 연결된 승강축(109)과,
    상기 서로 연결된 승강판(108)과 승강축(109)을 승강시키는 쟈키(110)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여과장치.
KR2019970017656U 1997-06-16 1997-07-03 여과장치 KR19980059172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4474 1997-06-16
KR19970014474 1997-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72U true KR19980059172U (ko) 1998-10-26

Family

ID=6952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56U KR19980059172U (ko) 1997-06-16 1997-07-03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917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382B2 (en) Gravity type fiber filter
KR101242378B1 (ko) 부유체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시설
CN206526559U (zh) 一种上流式自清洗过滤器
KR19990033489U (ko) 여과장치
KR100828009B1 (ko) 상향식 막 분리형 여과장치
KR200149923Y1 (ko) 여과장치
JP2006116411A (ja) ろ過装置
KR19980059172U (ko) 여과장치
KR20020063332A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9980059173U (ko) 여과장치
JP2011136323A (ja) ろ過材の積層方法に特徴を有する上向きろ過装置
CN205204901U (zh) 可连续冲洗悬浮式生物滤床
CN210993153U (zh) 一种清洁过滤装置
KR10188430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KR100884825B1 (ko) 수평 여과에 의한 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25613Y1 (ko) 급속여과지용 스트레이너블럭
KR101705299B1 (ko) 공기역세가 가능한 부상여재 여과처리장치
KR19980033551A (ko) 여과장치
KR200191877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0425050B1 (ko) 여과와 역세가 동시에 진행되는 연속형 여과기
CN212662817U (zh) 一种转盘微过滤器
KR0142996B1 (ko)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CN211189230U (zh) 多介质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