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780U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780U
KR19980058780U KR2019970003235U KR19970003235U KR19980058780U KR 19980058780 U KR19980058780 U KR 19980058780U KR 2019970003235 U KR2019970003235 U KR 2019970003235U KR 19970003235 U KR19970003235 U KR 19970003235U KR 19980058780 U KR19980058780 U KR 199800587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portable radiotelephone
pedestal
desktop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7869Y1 (ko
Inventor
정경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70003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6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거치하고, 휴대하기 편한 탁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경사대, 받침다리 및 받침대로 이루어진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데이터 입출력을 하기 위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본 고안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휴대 및 거치에 편리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거치대는, 주로 충전의 목적으로 차량 내에 설치되거나, 보관장소에 놓여졌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의 장착부(4)에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 부근에 내측으로 경사져 돌풀된 걸림쇠(3a)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쇠(3a)의 하단에 일체로 푸쉬버튼(3)을 형성하며, 상기 푸쉬버튼(3)은 인장스프링(5)의 탄성력으로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5)은 걸림돌기(6)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의 장착부(4)에 휴대용 무선전화기(80)를 견고히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80)의 이탈시 분리하기 위하여, 그의 내측에 이젝터(7)가 구비되고, 상기 이젝터(7)에는 압축코일 스프링(8)이 설치되어 탄성력으로 지지되어 지는 구조이다.
상기 구성에 따라서 휴대용 무선전화기(80)를 누인채 강압적으로 누르면, 상기 걸림쇠(3a)가 일측으로 경사져 돌출되어졌기 때문에 걸림쇠(3a)가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걸림홈(81)에 걸린다. 상기 걸림쇠(3a)는 하측에 일체로 푸쉬버튼(3)이 돌출된 형상으로 연장되어져 인장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졌기 때문에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걸림쇠(3a)가 걸림홈(81)에 걸림과 동시에 장착부(4)상에 돌출된 이젝터(7)의 상단부(7a)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사라지고, 이젝터(7)의 하단부(7b)는 지지판(9)의 윗면쪽으로 돌출한다.
상기 이젝터(7)는 대경부가 형성되고, 그의 외주로 걸림돌기(7c)가 형성되어 상기 대경부와 지지판(9) 사이에 압축코일 스프링(8)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걸림돌기(7c)는 이젝터(7)의 상하이동을 제한한다. 이때, 상기 이젝터(7)는 압축코일 스프링(8)에 의하여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이동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80)의 밑면을 지지한다. 상기 상태에서는 압축코일 스프링(8)이 압축응력을 받고 있어서 이젝터(7)가 계속적으로 상방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거치대에 있어서는 주로 충전의 목적으로 제작되어져 있기 때문에,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사용할 때에 데이터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설치가 불가능하고, 수평으로 놓여져 있어 데이터를 입력할 때 디스플레이상에 나타나는 입력수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거치하기 위한 탁상용 거치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데이터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경사져 있는 탁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과 휴대에 편리하도록 접을 수 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중용량, 대용량의 배터리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차량용 거치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거치대에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도 1의 A-A 의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B-B 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대의 힌지부와 받침대의 힌지부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대의 힌지부와 받침다리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와 경사대의 스냅의 결합과, 받침다리와 경사대의 걸림턱과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사대의 상측힌지부와 받침대의 힌지고정부의 결합을 나타낸 조립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거치대의 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거치대의 받침다리와 받침대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탁상용 거치대가 휴대에 편리하도록 접힌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장착된 탁상용 거치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경사대21: 장착부
22: 배터리 구멍40: 받침다리
50: 받침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휴대 및 거치에 편리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90)는 휴대용 무선전화기(200)가 직접 거치되는 경사대(20)와, 기초를 이루는 받침대(50)와, 경사대와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경사대의 각도를 유지해 주는 받침다리(40)로 구성된다.
상기 경사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장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21)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좌우측과 밑쪽에서 떠받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대(20)의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착부(21)에는 좌우측과 밑쪽에 각각 걸림돌기(23a)(23b)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상기 장착부에 놓고 누르면 걸림돌기(23a)(23b)에 의해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장착부(21) 중 밑쪽에서 형성된 부분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와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대(21)는 중용량 또는 대용량 배터리를 조립한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장착되도록 바닥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뚫려 있는 배터리 구멍(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사대(21)의 밑면에는 상측과 하측의 양쪽에, 각각 밑면에서 돌출된 힌지부(24)(28)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힌지부 중 상측힌지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상용 거치대를 휴대시 받침대와 결합하도록 돌출부(25)와 걸림구멍(27)과 걸림용 리브(2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경사대(21)의 밑면에는, 탁상용 거치대를 휴대시 받침다리(4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냅(29)과 걸림턱(30)이 형성된다. 상기 스냅(29)은 상기 받침다리(40)가 삽입되면 상하 양쪽에서 잡아주도록,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돌출물로 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0)은 상기 스냅에 삽입된 받침다리(40)의 위치를 고정하는 홈이 파여 있다.
상기 받침다리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대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받침다리(40)는 전체가 'U'형이고, 양단은 안쪽으로 꺾여져 이루어지므로써 상기 경사대의 상측힌지부(24)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40)의 단면은 원형을 이루고 있어, 힌지부와 결합되어도 회전이 용이하다.
상기 받침대(50)는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상기 경사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사용할 때, 탁상용 거치대의 하중이 골고루 분포되어 사용중 넘어지지 않도록 전체가 원형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50)는 원형판의 일부에서 연장된 부분에 힌지부(55)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55)는 상기 경사대의 하측힌지부(28)와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50)의 중앙 부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다리(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턱(52)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받침대(50)에서 돌출되고, 가운데가 움푹 파인 형상을 이룬다. 상기 고정턱(52)의 움푹 파인 내부에는 고정돌기(5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받침다리(40)가 삽입되었을 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탁상용 거치대을 휴대시, 상기 받침대에는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고정부(51)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대의 상측힌지부(24)가 삽입되므로써 경사대와 받침대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24)에는 기다란 장착홈(57)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안에는 걸림돌기(58)가 돌출되어 있어 상기 경사대의 상측힌지부(24)가 삽입될 때, 상측힌지부의 걸림구멍(27)에 상기 걸림돌기(58)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탁상용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의 경사대와 받침다리와 받침대의 상호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경사대와 받침대는 도 3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에 형성된 힌지부(55)에 상기 경사대의 하측힌지부(28)가 끼워지고,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힌지부(55)의 구멍에 걸림턱이 형성된 핀힌지(56)가 삽입된다. 이와같은 힌지부의 구성으로 상기 경사대(20)와 받침대(50)는 상호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대와 받침다리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대의 상측힌지부(24)에 상기 받침다리(40)의 양단이 끼워지고, 상기 상측힌지부(24)의 구멍을 통과한 상기 받침다리(40)의 양단에 다시 고정부재(31)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다리와 받침대는 도 3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에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턱(52)에 상기 받침다리(40)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턱(52)의 안쪽에 돌출된 고정돌기(53)에 의해 상기 받침다리(40)가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탁상용 거치대에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장착된 모습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200)는 바닥에서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데이터 인터페이스 케이블의 설치가 가능하고, 데이터 입력에 편리하도록 뉘여져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200)에는 중용량 또는 대용량의 배터리(201)가 부착되는데, 상기 장착대에는 직사각형의 구멍이 뚫려 있어 상기 구멍으로 배터리 부분의 교체가 가능하고, 상기 배터리의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200)는 상기 경사대(2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탁상용 거치대에 있어서, 사용후 휴대를 위해 탁상용 거치대의 각 요소들을 분리, 재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의 고정턱(52)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받침다리(40)를 분리한다. 분리된 상기 받침다리(40)는, 상기 경사대(20)에 형성된 스냅(29)과 걸림턱(30)에 끼운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대에 형성된 상측힌지부(24)를 상기 받침대의 힌지고정부(51)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상측힌지부의 돌출부(25)가 상기 힌지고정부(51)의 힌지장착홈(57)에 끼워지면, 상기 상측힌지부(24)의 걸림구멍(27)에 힌지고정부의 걸림돌기(58)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측힌지부의 걸림용 리브(26)는 상기 상측힌지부(24)가 무리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성된, 휴대시 탁상용 거치대의 모습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사용함에 있어 휴대가 가능한 탁상용 거치대를 사용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데이터 인터페이스 케이블과 연결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고,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중용량 또는 대용량 배터리의 교체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데이터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탁상용 거치대는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직접 거치되는 경사대와, 기초를 이루는 받침대와, 경사대와 받침대를 연결시키고 경사대의 각도를 유지해 주는 받침다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안쪽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상기 장착부에 놓고 누르면,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중용량 또는 대용량 배터리를 조립한 휴대용 무선전화기가 장착될 수 있도록, 바닥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밑면의 상하측에 각각 돌출된 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는 밑면의 하측에서 돌출되어, 휴대시 상기 받침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냅과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는 U 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안쪽으로 꺾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하중이 골고루 분포되어 안정감을 주도록 전체가 원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일측에서 돌출한 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휴대시 상기 경사대의 힌지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타측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 내부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힌지고정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경사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서 연장된 고정턱과, 고정턱 내부에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설치된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밑면에 고무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와 받침대는 각각의 힌지부에 핀힌지를 삽입하여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대와 받침다리는 상기 경사대의 상측 힌지부에 상기 받침다리의 양단이 끼워지고, 상기 받침다리의 양단 끝에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KR2019970003235U 1997-02-27 1997-02-27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KR200167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35U KR200167869Y1 (ko) 1997-02-27 1997-02-27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235U KR200167869Y1 (ko) 1997-02-27 1997-02-27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80U true KR19980058780U (ko) 1998-10-26
KR200167869Y1 KR200167869Y1 (ko) 2000-02-01

Family

ID=19496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235U KR200167869Y1 (ko) 1997-02-27 1997-02-27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10B1 (ko) * 2006-11-24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재생기기의 거치대
KR200447150Y1 (ko) * 2007-11-29 2009-12-29 한국오케이아이엔디(주)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879Y1 (ko) 2010-11-08 2011-01-17 박일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KR101360098B1 (ko) * 2012-03-08 2014-02-20 김종인 공기 필터 프레임의 제조장치
KR101412222B1 (ko) 2012-11-23 2014-06-26 광주광역시 광산구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10B1 (ko) * 2006-11-24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휴대용 재생기기의 거치대
KR200447150Y1 (ko) * 2007-11-29 2009-12-29 한국오케이아이엔디(주) 이동 정보 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69Y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2229B1 (en) Joint of a foldable bed for babies
US7700223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238042B2 (en) Support assembly for portable device
US6829495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TWI553442B (zh) 底座
US8068335B2 (en) Fixing device
KR200167869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탁상용 거치대
CN110098545A (zh) 一种转换器
US20050037717A1 (en) Latching assembly for a removabable cover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13226117A (zh) 多功能托架
KR200192692Y1 (ko) 휴대폰의 배터리 팩 자동분리장치
US6839225B2 (en) External keyboard structure
CN209675557U (zh) 设有托架的插排设备
JP4133900B2 (ja)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JPH07202996A (ja) 電話機基台および電話機基台と電子モジュールの組立体
JP2003051875A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CN215776328U (zh) 一种组合野餐桌
CN217827571U (zh) 脚架及烤炉
CN218544073U (zh) 可收纳的便携式补光灯
KR200293950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밧데리케이스 결착구조
CN218468675U (zh) 一种底座结构及支架
CN219020502U (zh) 一种多功能阅读架
CN213542018U (zh) 外接装置、手持云台及手持云台组件
CN215837689U (zh) 绘画书桌
CN215887633U (zh) 一种底座装置及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