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8624U -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8624U
KR19980058624U KR2019970003065U KR19970003065U KR19980058624U KR 19980058624 U KR19980058624 U KR 19980058624U KR 2019970003065 U KR2019970003065 U KR 2019970003065U KR 19970003065 U KR19970003065 U KR 19970003065U KR 19980058624 U KR19980058624 U KR 19980058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suspension
buffer
casing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0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성오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70003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8624U/en
Publication of KR19980058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624U/en

Links

Landscapes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를 본체케이싱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현가지지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하방향에서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복수의 완충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용량 및 크기에 관계없이 설치되어, 기기의 작동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으며, 외부로 발산되는 기기소음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which elastically holds a washing tub in a main casing through a buffer member, wherein the buffer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sections having different spring constants in the vertical direction .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uperior effect that th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when the apparatus is operated can be effectively damped, and the noise emitted to the outside can be reliably reduced, regardless of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do.

Description

세탁기의 현가장치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of a washing machine.

세탁기는 일반적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케이싱내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와 세탁조내의 세탁물을 세탁시키는 부하구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탁조는 현가장치에 의해 본체케이싱내에 탄성적으로 현가지지되어 있다. 현가장치는, 기기의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에 의한 하중을 완충스프링을 통해 부세하여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세탁조내에 투입된 세탁물이 그 내부에 고르게 분포되지 아니한 경우, 세탁물을 세탁 또는 헹굼, 탈수시키는 행정중에 세탁조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운행하게 되는데, 이 때, 현가장치는 세탁조가 균형상태로 운행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Generally, a washing machine is constituted by a washing machine in which laundry is contained in a main body casing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load driving part for washing laundry in the washing machine. The washing machine is resiliently retained in the main body casing by a suspension device. The suspension device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the device, and functions to buffer vibrations and shocks transmitted through the buffer spring by loading the laundry by the laundry. That is, when the laundry loaded in the washing tub is not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washing tub, the washing tub is run in one direction while the laundry is washed, rinsed, and dewatered. In this case, the washing tub can be operated in a balanced state .

그런데, 이러한 현가장치는, 기기의 작동시 세탁조를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이 일정한 진동수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공진현상이 발생하여 진동 및 충격이 본체케이싱으로 전달되게 된다. 특히, 세탁물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시키는 탈수행정에서는, 이러한 편중된 회전을 하는 세탁조로부터 진동이 심하게 전달되어 기기소음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래서 최근에는, 세탁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많은 현가장치가 제안되고 있다.However, in such a suspension device, the buffer spring for supporting the washing tub vibrates at a certain frequency when the device is operated, so that a resonance phenomenon occurs and the vibration and impact are transmitted to the main casing. Particularly, in the dewatering process in which the laundry is rotated at a high speed to dewater, vibrations are severely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tank that performs the biased rotation, thereby causing the apparatus noise. Therefore, in recent years, many suspension devices designed to attenuat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from a washing tub have been proposed.

도 8은 세탁조회전방식의 세탁기에 장착된 현가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단면도이다. 종래의 현가장치(31)는, 원형막대형상의 현가바아(33)와 이 현가바아(33)의 일측 단부영역에 마련되는 댐핑부(37)로 구성되어 있다. 댐핑부(37)는, 현가바아(33)에 의하여 관통되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핑케이싱(39)과, 이 댐핑케이싱내에 수용되는 완충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가바아(33)는 그 자유단부에 단면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댐퍼플레이트(3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댐퍼플레이트(35)는, 그 상면에 완충스프링(41)을 지지한 상태로 댐핑케이싱내에 수용되게 된다.FIG. 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mounted on a washing machine rotating type washing machine, and FIG. 9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The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31 is constituted by a circular bar-like suspension bar 33 and a damping portion 37 provided at one side end region of the suspension bar 33. The damping portion 37 is constituted by a damping casing 39 penetrating by the suspension bar 33 and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nd a buffer spring 41 accommodated in the damping casing. The suspension bar 33 is formed with a damper plate 35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on its free end. The damper plate 35 is accommodated in the damping casing in a state in which the buffer spring 41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이러한 구성의 현가장치(31)는, 세탁조의 각 모서리영역에 설치되게 되며, 댐퍼케이싱(39)은 그 외면이 세탁조와 상호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세탁조내에 세탁물이 수용되게 되면, 이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댐퍼케이싱내의 완충스프링(41)이 상향 부세하게 되며, 또한, 내부의 세탁물이 일측으로 편중되어 수용되더라도, 완충스프링(41)에 의해 거의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suspension 3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talled in each corner area of the washing tub,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amper casing 3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ashing tub. Thus, when the laundry is received in the washing tub, the buffer spring 41 in the damper casing is upwardly biased by the load transmitted thereby, and even if the laundry is accommodated in one side, the buffer spring 41 So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almost equilibrium state.

한편, 기기의 작동이 개시되면, 완충스프링(41)은 세척조의 하중을 신축작용으로 완충시키게 되며, 이 때, 댐퍼케이싱(39)은 완충스프링(41)의 신축에 의해 유동하는 댐퍼플레이트(35)와 상호 접촉하게 된다. 그래서, 세탁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은 댐퍼플레이트(35)와 댐퍼케이싱(39)의 상호 마찰에 의하여 감쇄되게 된다. 때문에, 댐핑부내에는, 세탁조의 크기 및 용량에 적합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완충스프링(41)을 수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started, the buffer spring 41 buffers the load of the washing tank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At this time, the damper casing 39 is connected to the damper plate 35 ). Thus, the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tub are attenuated by the mutual friction between the damper plate 35 and the damper casing 39.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ccommodate a buffer spring 41 having a spring constant suitable for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washing tub in the damping portion.

즉, 완충스프링(41)은 그 고유의 스프링상수에 비례하는 하중을 비틀림 탄성에너지로 축적할 수 있으며, 그 스프링상수가 작을수록 신축력이 우수하다. 그래서, 세탁조를 탄성부세하는 완충스프링(41)은, 그 스프링상수가 작게 되면, 우수한 신축작용에 의해 본체케이싱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바람직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럴 경우 세탁조내에 용량이 큰 세탁물이 투입되게 되면, 그 부하는 완충스프링(41)의 탄성한계를 초과할 수 있어, 이에 의해 진동전달력이 배가 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세탁기의 제작자는, 수차례의 실험을 통하여 검증된 데이터를 토대로, 세탁조의 크기와 용량에 따른 적절한 완충스프링(41)을 가지는 현가장치(31)를 장착하는 것이다.That is, the buffer spring 41 can accumulate the load proportional to its inherent spring constant with the torsional elastic energy, and the smaller the spring constant, the more excellent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force. Therefore, when the spring constant of the cushioning spring 41 for elastically biasing the washing tub becomes small,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main body casing due to excell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can be effectively reduced. However, in such a case, when a laundry having a large capacity is loaded in the washing tub, the load may exceed the elastic limit of the buffer spring 41,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vibration transmitting force can be doubled. Thus, the maker of the washing machine mounts the suspension device 31 having the buffer spring 41 according to the size and capacity of the washing tub, based on the data verifi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그런데, 이러한 종래 세탁기의 현가장치(31)에서는, 댐핑부내에 일정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단일의 완충스프링(4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세탁조의 균형된 운행을 지지하는 완충스프링(41)이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내에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그 자체 용량을 초과하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그 탄성한계를 이기지 못하는 완충스프링(41)은, 세탁조의 균형된 운행을 지지할 수 없게 되고, 또한, 공진형상에 의한 진동을 본체케이싱으로 그대로 전달시키게 된다. 그래서, 전달된 진동에 의해 기기의 소음이 발생되게 된다.In the suspension device 31 of the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since a single cushion spring 41 having a constant spring constant is provided in the damping portion, the cushion spring 41 for supporting the balanced running of the washing tub ) Can not perform the role properly. For example, in the washing tub, a laundry exceeding its own capacity may be introduc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user. In this case, the buffer spring 41, which does not overcome the elastic limit, supports the balanced running of the washing tub And the vibration due to the resonance shape is transmitted to the main casing as it is. Thus, the transmitted vibration causes noise of the apparatu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용량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기기의 작동시 세탁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켜 본체케이싱으로부터 유발되는 기기소음을 확실히 저하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effectively using th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tub are effectively damped during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So that the noise can be surely lowered.

도 1은 본 고안의 현가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현가장치의 확대사시도,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spension,

도 3은 댐핑부의 확대분해사시도,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amping portion,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Figure 4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3,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의 단면도,5 to 7 are sectional views of a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종래의 현가장치의 부분분해사시도,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uspension device,

도 9는 도 8의 조립단면도이다.9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3 : 본체케이싱 5 : 세탁조3: main body casing 5: washing tub

11 : 부하구동부 21 : 현가장치11: load driving part 21: suspension

22 : 현가바아 23 : 댐퍼플레이트22: suspension bar 23: damper plate

25 : 댐핑부 26 : 완충스프링25: damping portion 26: buffer spring

27 : 구획플레이트 29 : 댐퍼케이싱27: partition plate 29: damper casing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를 본체케이싱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현가지지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하방향에서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복수의 완충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spension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tub in which a washing tub is housed in a main casing in a resilient manner with a buff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wherein the buffer member has a spring constant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uffer sections.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는,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복수개의 완충스프링이며; 상기 복수개의 완충스프링이 상하방향에서 직렬로 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uffer member is 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each having a different spring const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are combin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한편, 상기 세탁조와 상기 본체케이싱중 어느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현가바아와; 상기 현가바아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한 댐퍼케이싱과; 상기 댐퍼케이싱내에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현가바아의 자유단부에 고정지지되는 댐퍼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댐퍼케이싱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uspension bar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tub and the main body casing; A damper casing penetrating the suspension bar and capable of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amper plate slidable in the damper casing and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free end of the suspension bar, wherein the buffer member is supported by the damper plate and received in the damper casing.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의 각 완충구간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구획분리하는 복수개의 격리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comprise a plurality of isolation plates for separating the buffering memb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respective buffering zone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현가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탁기(1)에는, 본체케이싱내에 세탁조(5)와 동력구분전달부(11)가 상하로 마련되어 있으며, 세탁조(5)는 현가장치(21)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지지되어 있다. 세탁조는,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스핀바스켓(7)을 가지고 있고, 스핀바스켓내에는, 수용된 세탁물을 급수되는 세탁수 및 세제와 혼합시켜 세탁시키는 펄세이터(9)가 마련되어 있다.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drawing, the washing machine 1 is provided with a washing tub 5 and a power dividing and conveying unit 11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of in the main body casing. The washing tub 5 is resiliently As shown in Fig. The washing tub has a cylindrical spin basket (7)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shing tub. A pulsator (9) is provided in the spin basket to mix the laundry with the wash water and the detergent.

한편, 동력구분전달부(11)는 구동모터(13)와 샤프트조립체(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동모터(13)와 샤프트조립체(15)는 구동풀리(17) 및 벨트(19)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모터(13)의 구동력이 샤프트조립체(15)에 전달되게 된다. 회전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조립체(15)는, 스핀바스켓(7) 또는 펄세이터(9)를 소정의 방향으로 선택적 회전시킨다. 즉, 세탁시와 헹굼시엔, 스핀바스켓(7)은 정지시키고 펄세이터(9)만 좌우로 회전시켜 세탁공정을 수행하고, 탈수시에는, 스핀바스켓(7)과 펄세이터(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과정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divider transmitting portion 11 is constituted by the driving motor 13 and the shaft assembly 15. These drive motors 13 and shaft assemblies 15 are interconnected via a drive pulley 17 and a belt 19 so that the drive force of the drive motor 13 is transmitted to the shaft assembly 15. The shaft assembly 15 receiv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selectively rotates the spin basket 7 or the pulsator 9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at is, when washing and rinsing, the spin basket 7 is stopped and only the pulsator 9 is rotated to the left and right to perform the washing process. When the spin basket 7 and the pulsator 9 are dewatered, the spin basket 7 and the pulsator 9 ar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dehydration process is performed.

도 2는 현가장치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3은 댐핑부의 확대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조립단면도이다. 본 현가장치(21)는, 종래의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원형막대형상의 현가바아(22)와 이 현가바아(22)의 일측 말단에 설치된 댐핑부(25)로 구성되어 있다. 현가바아(22)는, 댐핑부(25)가 설치되는 일측 말단에 그 단면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댐퍼플레이트(23)가 마련되어 있다.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uspension, Fig. 3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amping portion, and Fig. 4 is an assembled sectional view of Fig. The present suspension device 21 includes a suspension bar 22 of a circular rod shape and a damping portion 25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spension bar 22,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uspension bar 22 is provided with a damper plate 23 extended at one end of the damper portion 25 in the radial direction.

한편, 댐핑부(25)는,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과, 댐퍼플레이트(23)와 동형상을 가지는 역시 복수개의 구획플레이트(27), 그리고, 댐퍼케이싱(29)을 가지고 있다. 각 구획플레이트(27)에는 현가바아(22)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공이 그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케이싱(29)에도 역시 현가바아(22)가 수직관통하는 관통공이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과 구획플레이트(27)는, 현가바아(22)에 각각 교번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완충스프링(26)은 현가바아(22)의 하측으로부터 점차적으로 상측을 향해 그 스프링상수가 커지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damping unit 25 includes 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having different spring constants and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27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damper plate 23 and a damper casing 29, Lt; / RTI >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bar 22 vertically penetrates is formed in the central area of each partition plate 27.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uspension bar 22 vertically penetrates also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damper casing 29. 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and a partition plate 27 are alternately fitted to the suspension bar 22 and the buffer springs 26 gradually move from the lower side of the suspension bar 22 toward the upper side, So that the constant is increased.

댐퍼플레이트(23)와 각 구획플레이트(27)는, 그 상면에 각기 완충스프링(26)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마련된 수용리브(24)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 완충스프링(26)은 현가바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기립방향으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현가바아(22)에 끼워진 이들 완충스프링(26)과 구획플레이트(27)의 상측에는, 댐퍼케이싱(29)이 역시 현가바아(22)에 의하여 관통되게 되며, 이들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댐퍼케이싱(29)은, 완충스프링(26)의 신축작용에 의하여 현가바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하다.The damper plate 23 and each partition plate 27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th a receiving rib 24 provided so as to sandwich the lower end of the buffer spring 26. Each buffer spring 26 is connected to the suspension bar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amper casing 29 is also penetrated by the suspension bar 22 on the upper side of the buffer spring 26 and the partition plate 27 sandwiched between the suspension bar 22 and housed in the interior of the suspension bar 22,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damper casing 29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pension bar 22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ction of the buffer spring 26.

이러한 구성의 현가장치(21)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3)의 상측 내벽면에서 내향 연장된 플랜지부(4)에 상단부가 결속되게 되고, 세탁조(5)의 하측 외벽면에서 외향 연장된 플랜지부(6)의 하단부에 마련된 댐핑부(25)가 접면하도록 설치되게 된다. 댐핑부(25)는, 세탁조(5)에 마련된 플랜지부(6)의 하면과 그 댐퍼케이싱(29)의 상부가 상호 접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댐퍼케이싱(29)에 전해지는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하중은 그 내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완충스프링(6)에 전달되게 된다.1,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spension 21 is connected to the flange portion 4 extending inwardly from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casing 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tub 5 And the damping portion 2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6 extending outward from the outer wall surfac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damping portion 25 is form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6 provided in the washing tub 5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amper casing 29 are brought into mutual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aundry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6) provided therein.

이 때, 댐핑부(25)내에 현가바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은 종래 단일의 완충스프링으로 얻을 수 없는 특성을 갖게 되며, 이 때, 완충스프링들의 조합된 스프링상수는, 다음식에 의해 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pension bar 22 in the damping portion 25 have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be obtained by a single conventional buffer springs. At this time, The spring constant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 ,

···.....

(여기서,는 댐핑부내에 복수개로 마련된 각 완충스프링의 하측으로 부터의 스프링상수이고,는 현가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조합된 완충스프링의 스프링상수이다.)(here, Is a spring constant from the lower side of each buffer spring provided in the damping section, Is the spring constant of the cushioning spring combined along the length of the suspension bar.)

이하에서는, 상기 식을 참조하여 본 댐핑현가바아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amping suspension ba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quations.

세탁조내에 소정량의 세탁물이 투입되게 되면, 댐퍼케이싱(29)에 그 하중이 전해지게 되고, 이 때, 그 하중이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에 전달되게 된다. 이 때, 댐핑부(25)의 스프링상수는, 현가바아(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의 스프링상수가 조합된이며, 세탁조(5)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이 스프링상수을 초과하면, 복수개의 완충스프링들중 가장 스프링상수가 작은 하측에 배치된 완충스프링(26a)이 먼저, 그 하중에 대해 탄성변형되어 수축되게 된다. 이 때, 완충스프링(26a)은 세탁조(5)로 부터의 소정 하중 즉, 스프링상수에 비례하는 하중을 비틀림 탄성에너지로 축적하게 된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laundry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damper casing 29, and the load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at this time. At this time, the spring constant of the damping portion 25 is set such that the spring constants of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spension bar 22 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tub 5 is the spring constant The buffer spring 26a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having the smallest spring constant is first elastically deformed and contracted with respect to the load. At this time, the buffer spring 26a accumulates a load proportional to a predetermined load, that is, a spring constant, from the washing tub 5 with torsional elastic energy.

스프링상수가 가장 작은 하측의 완충스프링(26a)이 완전 수축되게 되면, 이 때 조합된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의 스프링상수는 처음보다 소정 증가한가 되게 된다. 그래서, 가장 작은 스프링상수를 갖는 완충스프링(26a)의 탄성한계를 초과한 세탁조(5)의 하중을 상향 부세하게 된다. 이 때에도, 세탁조(5)의 하중이 이들 조합된 완충스프링(26)의 스프링상수를 초과하게 되면, 수축된 완충스프링(26a)의 바로 상측의 완충스프링(26b), 즉, 스프링상수가 다음으로 작은 완충스프링(26b)이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 완충스프링(26b)도 역시, 세탁조(5)로 부터의 비틀림 탄성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When the lower cushion spring 26a having the smallest spring constant is completely contracted, the spring constant of the plurality of cushion springs 26 combined at this time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amount . Thus, the load of the washing tub 5 exceeding the elastic limit of the buffer spring 26a having the smallest spring constant is increased upward. In this case also, when the load of the washing tub 5 exceeds the spring constant of the combined buffer spring 26, the buffer spring 26b immediately above the contracted buffer spring 26a, that is, The small buffer spring 26b is elastically deformed. This buffer spring 26b also accumulates the torsional elastic energy from the washing tub 5.

이렇듯, 세탁조(5)의 하중에 따라 댐핑부(25)의 스프링상수는 단계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세탁조(5)는 단계적으로 수축하는 완충스프링(26)에 그 하중을 비틀림 탄성에너지로 잃게 되어, 결국에 댐핑부(25)는, 세탁조내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량에 따른 하중을 모두 흡수하게 된다. 그래서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량에 관계없이, 세탁조(5)는 균형된 운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물의 량이 적으면, 이에 따라 댐핑부(25)내에 수용된 완충스프링(26)의 스프링상수가 작게 되므로, 기기의 세탁 또는 탈수행정시 완충스프링(26)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spring constant of the damping unit 25 increases stepwise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washing tub 5, and conversely, the washing tub 5 loses its load to the cushion spring 26 contracting in stages , So that the damping unit 25 absorbs all of the load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aundry contained in the washing tub. Therefor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the washing tub 5 can be operated in a balanced manner. When the amount of the laundry is small, the spring constant of the buffer spring 26 accommodated in the damping portion 25 is small. Therefore, the noise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buffer spring 26 during the washing or dewatering operation of the appliance It is possible to attenuate effectively.

한편, 상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현가장치(21)의 일측 단부가 본체케이싱(3)에 형성된 플랜지부(4)에 고정설치되고, 타측 단부에 마련된 댐핑부(25)가 세탁조(5)의 플랜지부(6)와 접면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대의 구성, 즉, 현가장치(21)에 마련된 댐핑부(25)를 본체케이싱(3)의 플랜지부(4)와 상호 접면하도록 설치하여도 상술한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damping portion 2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spension 21 is fixed to the flange portion 4 formed on the body casing 3 and the damping portion 25 provided a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washing tub 5, The damping portion 25 provided on the suspension device 21 is provid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4 of the main casing 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lange portion 6 of the main casing 3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ame object as described above can be achieved.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핑부의 단면도이다. 도 5의 댐핑부(31)에는, 단일의 완충스프링(2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완충스프링(26)은 그 피치의 간격이 일측방향에서 점차적으로 변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서는, 동심적으로 높이차있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완충스프링(26)이 댐핑부내에 수용되어 있고, 도 7에서는 일정한 피치를 가지는 원추코일형상의 완충스프링(26)이 수용되어 있다. 이들 각 댐핑부내에 설치된 완충스프링(26)도, 상측으로 부터의 하향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단계적으로 수축되어 그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이 때, 가변적으로 완충스프링(26)의 스프링상수가 결정되게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5 to 7 are sectional views of a damping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cushioning spring 26 is provided in the damping portion 31 of Fig. 5, and the cushioning spring 26 is formed such that the interval of the pitch is gradually deformed in one direction. 6, 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26 arranged concentrically at high heights are accommodated in the damping portion. In FIG. 7, a buffer spring 26 of a conical coil shape having a constant pitch is accommodated. When the downward load is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 buffer springs 26 provided in the respective damping portions are also contracted stepwise to support the load. At this time, the spring constant of the buffer spring 26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same object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현가바아장치는, 세탁조내에 투입되는 세탁물의 용량 및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기의 작동시 세탁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킴으로써, 외부로 발산되는 기기소음을 확실하게 저하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suspension bar apparatus of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rrespective of the capacity and size of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tub, effectively damping vibrations and shock transmitted from the washing tub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duce the noise of the radiating device.

Claims (4)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를 본체케이싱내에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현가지지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에 있어서,1. A suspension apparatus for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washing tub having a washing tub; 상기 완충부재는,The cushioning member, 상하방향에서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복수의 완충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And a plurality of buffer sections having different spring constant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완충부재는,The cushioning member, 각기 상이한 스프링상수를 갖는 복수개의 완충스프링이며;A plurality of buffer springs each having a different spring constant; 상기 복수개의 완충스프링이 상하방향에서 직렬로 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Wherein the plurality of buffer springs are combined in seri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세탁조와 상기 본체케이싱중 어느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현가바아와;A suspension bar having one end fixed to one side of the washing tub and the main body casing; 상기 현가바아에 관통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가능한 댐퍼케이싱과;A damper casing penetrating the suspension bar and capable of flow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댐퍼케이싱내에 슬라이딩가능하며 상기 현가바아의 자유단부에 고정지지되는 댐퍼플레이트를 포함하며;And a damper plate slidable in the damper casing and fixed to and supported by the free end of the suspension bar;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댐퍼케이싱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Wherein the buffer member is supported by the damper plate and is accommodated in the damper casing.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완충부재의 각 완충구간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구획분리하는 복수개의 격리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현가장치.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eparating plates for separating the buffering memb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respective buffering zones of the buffering member.
KR2019970003065U 1997-02-25 1997-02-25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KR1998005862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65U KR19980058624U (en) 1997-02-25 1997-02-25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065U KR19980058624U (en) 1997-02-25 1997-02-25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624U true KR19980058624U (en) 1998-10-26

Family

ID=6969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065U KR19980058624U (en) 1997-02-25 1997-02-25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862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9932A (en) * 2020-02-13 2021-08-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Suspender component and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9932A (en) * 2020-02-13 2021-08-1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Suspender component and washing machine
CN113249932B (en) * 2020-02-13 2024-05-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Boom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6177B1 (en) A laundry tub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EP1595019B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1314906B (en) Dynamic vibration absorber
JPH0898989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with vibration damping assembly
JP6212716B2 (en) Washing machine
US5887455A (en) Washing machine
JP4555755B2 (en) Drum washing machine
KR200157097Y1 (en) Vibration absorbing apparatus of a drum washing machine
KR19980058624U (en) Suspension of washing machine
US3939674A (en) Suspension mounting assembly for automatic washers
KR102509394B1 (en) Washing machine
SU1663074A1 (en) Washing machine
KR100272587B1 (en) Suspension in washing machine
KR100332770B1 (en) Washing machine
KR100437781B1 (en) device for reducing vibration in automatic washing machine
JPH08206388A (en) Dehydrator and washer
US4640105A (en) Automatic washer suspension system
KR100488046B1 (en) Suspension apparatus of top-loading washer
JPH078677A (en) Vibration-isolating device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JP2014183889A (en) Washing machine
KR200142968Y1 (en) Damping apparatus of a washer
JP2019051193A (en) Washing machine
KR0169351B1 (en) Device of preventing vibration for a washing machine
KR100324740B1 (en) Drum washing machine
KR0136465Y1 (en) Structure for absorbing the vibration of a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