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5784U -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 Google Patents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5784U
KR19980055784U KR2019980009884U KR19980009884U KR19980055784U KR 19980055784 U KR19980055784 U KR 19980055784U KR 2019980009884 U KR2019980009884 U KR 2019980009884U KR 19980009884 U KR19980009884 U KR 19980009884U KR 19980055784 U KR19980055784 U KR 199800557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rotective cap
curved portion
syringe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7073Y1 (ko
Inventor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최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봉 filed Critical 최수봉
Priority to KR2019980009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07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073Y1/ko

Link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슐린 자동 주입기와 결합 사용하며 환자 피부에 접하는 누름편에 설치되는 ㄱ 형 주사침과 이송관 및 연결구로 구성된 주사기 유니트에서,
주사침은 이송관과 연결되는 수평 상의 연결리브와,
누름편에 수직으로 돌출된 주사침부와,
주사침부 상단에서 수평부의 수평선상 위의 일정 높이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만곡부 끝에서 수평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 끝에서 시작하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의 수평선상에서 중심을 두고 같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의 1/4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이며,
주사침부 상단에 상단과 연장되는 만곡부를 두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므로 주사침부의 절단을 예방하고, 누름편에는 보호캡관홈을 두어 보호캡관이 이에 끼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용 보호캡관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며, 보호캡관의 내경이 일정하게 주사침부보다 크도록 하였으므로 초기에 주사액이 흐를 때 모세관 현상에 의한 주사액의 누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본 고안은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주사침부 상단에 만곡부를 두고, 만곡부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가 이어져서 연결리브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주사침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사액(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주사액이라 함은 주로 인슐린을 지칭한다)은 도시된 도 1 에서와 같이“-”자형의 수평형 주사침(일명, 일자형 나비 주사침)(1)과, 이송관(2) 및 연결구(3)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사침은 일자형 나비 주사침(1)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조직에 직접 자입할시 보면서 자입해야 함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즉, 인슐린은 당뇨병 환자가 직접 주사침을 자입하여 공급하고 있는데, 일자형 나비 주사침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몸(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해야하므로 자입시 직접 자입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하는 사용자는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상기, 일자형 나비 주사침(1)은 피부 조직에 자입할시 비스듬히 자입해야하기 때문에 주사침의 입구가 세포 조직에 의해 막히기 쉽다. 즉, 피부 조직은 세포의 조직 배열이 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자입시 주사침의 입구가 쉽게 막혀 버리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인슐린의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 나비 주사침(1)은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되기 때문에 유동이 쉽게 이루어져 피부 조직이 손상되고 혈액이 흘러나오면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일자형 나비 주사침(1)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되기 때문에 세포조직에의해 주사침이 쉽게 막히고, 또 인슐린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이송관(2)의 직경이 굵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 과다한 인슐린 주입이 이루어질 가능성 있고, 또 고가인 인슐린 낭비가 초래되기도 한다.
예컨대, 인슐린을 공급하기 위해 주사침을 자입하기 전에 이송관(2)과 주사침(1)속에 있는 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슐린 자동 주입기(4)의 펌핑으로 인슐린을 송출하여 이송관과 주사침 입구를 통해 밖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관(2)의 직경이 굵어 많은 양의 인슐린이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이 굵어짐에 따라 제작 코스트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연결구(3)는 인슐린 자동 주입기(4)의 커넥터부(5)에 직선 방향으로 꼽아서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도중 자칫 빠질 염려가 있는 결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출원인이 주사침을 ㄱ 형태로 구부려 피부에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를 개발한바 있는바, 이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침 부재(A)와 이송관(B) 및 연결구(C)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침 부재(A)는 주사침(11)의 형상을“-+”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사침(11)은 연결리브(12)에 삽입 설치되며, 이 연결리브(12)에 상기 이송관(B)을 일체로 되게 연결 형성한다. 연결리브(12)에 삽입 설치되는 주사침(11)은 도 3에서와 같이 굴곡부(13)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또 주사침(11)을 자입할시 푸시할 수 있는 누름편(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누름편(14)에 전방으로 소독 처리된 부직포를 소재로한 세균 감염 방지 부재(15)를 고착한다. 상기, 세균 감염 방지 부재(15)의 재질은 천연 목재 펄프로 사용한다. 상기, 이송관(B)의 직경을 가늘게 형성하고, 그 길이는 보다 길게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C)는 이송관(B)의 하측 선단부에 연결 형성하고, 이 연결구(C)에 수나사부(15)를 형성하여 암나사부(16)를 갖는 보호캡(17)과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C)는 인슐린 자동 주입기(4)의 커넥터부(5)와 결합되는데 이 커넥터부(5)는 암나사부(5a)를 형성하여 결합된다. 도 2 에서 미설명부호 18은 주사침 보호캡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출원인의 주사기 유니트를 사용하여 인슐린 자동 주입기(4)의 인슐린을 공급받고자 하려면, 먼저, 연결구(C)에 결합된 보호캡(17)을 분리하고 커넥터부(5)와 나사 결합한다. 이어서, 주사침(11)에 삽입된 주사침 보호캡(18)을 분리해 낸다. 이후, 누름편(14)을 손가락 끝으로 푸시하면서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자입시킨다. 이때, 주사침(11)은“-+”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조직에 수직으로 자입시킬수 있어 사용자는 주사침이 자입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순간적으로 자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시킬 때 뒤따르는 고통을 안전히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주사침(11)이“-+”형으로 구성되어 수직으로 자입되기 때문에 층으로 이루어진 피부 조직에 의한 주사침(11)의 입구가 막힐 염려가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B)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송관(B)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B)과 주사침(11) 속의 공기를 제거할 시 인슐린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음에 따라 도 5에서와 같이 사용할 시 자입할 수 있는 부위의 폭이 넓어짐으로 사용상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누름편(14)의 전방으로 멸균 처리된 천연 부직포를 고착 구성함에 따라 주사침(11)을 피부 조직에 자입하여 인슐린을 공급할 시 합성수지로 된 누름편(14)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세균감염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침(11)의 형상을“-+”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피부 조직에 자입하여 사용할 때 수직으로 자입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주사침(11)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아 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또 혈액이 흐르지 않으며 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주사기 유니트는 도 6 과같이 주사기 보호캡(18)이 설치되어 사용하는데, 주사기 보호캡(18)은 주사침(11)과 같은 직경의 끼움경(18-1)과, 주사침(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경인 삽입경(18-2)을 갖는다. 따라서 주사침(11)에 주사기 보호캡(18)을 끼울 때 끼움경(18-1)의 내벽에 주사침(11)이 끼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주사침(11)을 손상시키기도 하고, 끼움경의 직경이 작아서 초기 공기를 빼기 위하여 주사액을 흘릴 때 모세관 현상으로 세균감염부재(14-1)로 주사액이 침투하여 주사 시의 환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아울러 주사침(11)의 수직부와 굴곡부(13) 사이에는 급격한 절곡부(11-1)가 있어 도 7 과같이 사용 중에 이동이 심할 경우(운동이나 작업을 많이 하거나, 사용 전에 사용자가 고의로 필요에 의하여 수직부 선단 위치를 옮기는 경우) 절곡부(11-1)에 과중한 스트레스가 가하여 절단이 되기도 하여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슐린 자동 주사기의 주사기 유니트의 주사침을 수직의 주사침부와 수평의 연결리브와 주사침부 상단의 만곡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주사침부의 절단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수직 주사침 상단에 만곡부를 이루게 하고, 만곡부는 하향 경사진 경사부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경사부 끝은 수평부와 연결토록 한다.
도 1 은 종래의 주사기 유니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주사기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 는 일반적인 주사기 유니트를 주사기에 결합시켜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 은 도 3 의 유니트를 사용하기 전의 구조를 나타낸 당면도,
도 7 은 도 6 의 주사침의 요동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9 는 보호캡관의 고정을 설명하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도,
도 10은 보호캡관의 고정을 설명하는 본 고안의 다른 예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연결리브 14;누름편
14-2;보호캡관홈 14-3;돌기
18;보호캡관공 110;주사침부
111;만곡부 113;경사부
180;보호캡관 181;보호캡관공
즉 본 고안은 인슐린 자동 주입기와 결합 사용하며 환자 피부에 접하는 누름편에 설치되는 ㄱ 형 주사침과 이송관 및 연결구로 구성된 주사기 유니트에서,
주사침은 이송관과 연결되는 수평 상의 연결리브와,
누름편에 수직으로 돌출된 주사침부와,
주사침부 상단에서 수평부의 수평선상 위의 일정 높이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만곡부 끝에서 수평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 끝에서 시작하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의 수평선상에서 중심을 두고 같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의 1/4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은 본 고안의 단면도로, 인슐린 자동 주입기(4)와 결합 사용하며 환자 피부에 접하는 누름편(14)에 설치되는 ㄱ 형 주사침(11)과 이송관(B) 및 연결구(C)로 구성된 주사기 유니트에서,
주사침(11)은 이송관(B)과 연결되는 수평 상의 연결리브(12)와,
누름편(14)에 수직으로 돌출된 주사침부(110)와,
주사침부(110) 상단에서 수평부의 수평선상 위의 일정 높이로 만곡하는 만곡부(111)와,
만곡부(111) 끝에서 수평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만곡부(111)는 주사침부(110) 상단 끝에서 시작하며, 만곡부(111)는 주사침부(110) 상단의 수평선상에서 중심(P)을 두고 같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의 1/4을 이루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편(14)에는 주사침부(110) 보호용 보호캡관(180)이 안치되는 보호캡관홈(14-2)이 형성되고, 보호캡관(180)의 내경은 주사침부(110)보다 굵은 동일한 직경의 보호캡관공(181)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캡관홈(14-2)에는 보호캡관(180)을 홀딩하는 돌기(14-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누름편(14)의 보호캡관홈(14-2)에 보호캡관(180)이 안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주사침부(110)가 보호캡관(180)의 보호캡관공(181)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 경우 보호캡관공(181) 내경은 주사침부(110)보다 직경이 크므로 주사침부(110)를 보호캡관(180)에 끼우기가 쉬우며, 보호캡관(18)은 누름편(14)의 보호캡관홈(14-2)에 형성한 돌기(14-3)에 의하여 끼움 고정된다. 이는 실제로 초기 인슐린을 주사침부(110)를 통하여 배출하여 이송관(B) 내부의 공기를 없앨 때 직경이 큰 보호캡관공(181)을 통하여 초기 배출되므로 이전의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세균감염부재(14-1)등으로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한 손에 보호캡관(180)을 다른 한 손에는 누름편(14)을 잡고 보호캡관(180)을 당겨 주사침부(110)를 분리시킨 다음, 주사침부(110)를 피부(배)에 대고 눌러 주사침부(110)가 피부 속에 주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배를 심하게 움직이거나 사용 전에 부주의로 휘어진 주사침부(110)를 펴는 등으로 인하여 주사침부(110)를 움직인다 하여도 주사침부(110)가 만곡부(111)에 의하여 완충 작용을 하므로 주사침부(110)상단의 손상(절단)을 막을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수평부(12)보다 수평선상 위에 있는 만곡부(111)를 수평부(12)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만곡부(111) 끝에서 하향 경사진 경사부(113)를 두므로 경사부(113)와 수평부(12)가 무리 없이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주사침부(110)와 만곡부(111)는 상호 만곡 연결되므로 주사침부(110)와 만곡부(111)의 연결부에서 충격에 따른 절단의 우려가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사침부 상단에 상단과 연장되는 만곡부를 두어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므로 주사침부의 절단을 예방하고, 누름편에는 보호캡관홈을 두어 보호캡관이 이에 끼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용 보호캡관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며, 보호캡관의 내경이 일정하게 주사침부보다 크도록 하였으므로 초기에 주사액이 흐를 때 모세관 현상에 의한 주사액의 누출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

  1. 인슐린 자동 주입기와 결합 사용하며 환자 피부에 접하는 누름편에 설치되는 ㄱ 형 주사침과 이송관 및 연결구로 구성된 주사기 유니트에서,
    주사침은 이송관과 연결되는 수평 상의 연결리브와,
    누름편에 수직으로 돌출된 주사침부와,
    주사침부 상단에서 수평부의 수평선상 위의 일정 높이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만곡부 끝에서 수평부로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 끝에서 시작하며, 만곡부는 주사침부 상단의 수평선상에서 중심을 두고 같은 반경으로 이루어지는 원주의 1/4을 이루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누름편에는 주사침부 보호용 보호캡관이 안치되는 보호캡관홈이 형성되고, 보호캡관의 내경은 주사침부보다 굵은 직경의 보호캡관공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보호캡관홈에는 보호캡관을 홀딩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자동 주사기용 주사기 유니트.
KR2019980009884U 1998-06-10 1998-06-10 인슐린자동주사기용주사기유니트 KR200237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84U KR200237073Y1 (ko) 1998-06-10 1998-06-10 인슐린자동주사기용주사기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84U KR200237073Y1 (ko) 1998-06-10 1998-06-10 인슐린자동주사기용주사기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784U true KR19980055784U (ko) 1998-10-07
KR200237073Y1 KR200237073Y1 (ko) 2001-10-25

Family

ID=6951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884U KR200237073Y1 (ko) 1998-06-10 1998-06-10 인슐린자동주사기용주사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0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073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57845B (zh) 输液套装
US6749589B1 (en) Subcutaneous injection set for use with a reservoir that has a septum
MX2007011443A (es) Sistema de medio de acceso.
RU21317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рывистого или непрерывного введения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средства
US5545143A (en) Device for subcutaneous medication delivery
US7740610B2 (en) Single-use syringe
ES2261452T3 (es) Valvula medica con caracteristicas de flujo positivo.
WO2004004800A3 (en) Infus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ATE420683T1 (de) Injektionsvorrichtung zum anlegen einer subkutanen infusionsanordnung
KR20210055696A (ko) 연장 세트를 갖는 말초 정맥내 카테터 조립체
MY100375A (en) Reusable injection catheter
US20140081242A1 (en) Valved catheter
US6605075B1 (en) Flushable hub
EP1011764B1 (en) I.v. catheter with needle guard
KR200237073Y1 (ko) 인슐린자동주사기용주사기유니트
KR200493225Y1 (ko) 주사침 방향표시부가 형성된 주사기
KR102166115B1 (ko) 빛이 나오는 주사기
KR200256333Y1 (ko) 혈관 주사용 바늘 어셈블리
KR200162248Y1 (ko) 주사액 연속 주입용 주사기 유니트
US20220111140A1 (en) Drug infusion set
JP3482577B2 (ja) 皮下埋込みポート
KR20040007850A (ko) 혈관 주사용 바늘 소켓
KR20210049621A (ko) 혈액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정맥주사용 카테터
KR0127720Y1 (ko) 한방시술용 약액침
RU2463087C2 (ru) Инъекционная площадка для впрыскива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