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534U -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534U
KR19980053534U KR2019960066722U KR19960066722U KR19980053534U KR 19980053534 U KR19980053534 U KR 19980053534U KR 2019960066722 U KR2019960066722 U KR 2019960066722U KR 19960066722 U KR19960066722 U KR 19960066722U KR 19980053534 U KR19980053534 U KR 199800535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ipe
heater unit
branch pip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양진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6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534U/ko
Publication of KR19980053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3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2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both the cooling liquid and the exhaust gases of the propulsion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by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동절기에 차량의 실내 난방 대기시간을 단축시키며 배기가스내의 에미션 방출량을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엔진의 냉각수 통로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히터 유닛과, 이 히터 유닛의 냉각수 파이프 주위로 배기가스를 순환시키는 배기가스 브랜치 관, 상기한 브랜치 관과 배기관 사이에 제공되어 배기가스를 이들 관중 어느 하나의 관으로 흐르게 하는 흐름조절 수단과, 이 흐름 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히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온시킬 수 있도록 한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각수를 히터 유닛으로 공급하여 이 히터 유닛에서 열교환을 통하여 더운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이 난방 시스템은 냉각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만 차량의 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데, 이 난방 시스템이 그 기능을 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현재 고급차량에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히터를 설치하여 냉각수 온도가 난방작용을 할 수 있는 온도에 이를 때까지 이 히터를 사용하여 난방을 하고 있다.
그러나 냉각수 온도가 일정 온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길기 때문에 특히 동절기에 장시간 공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배기가스에 유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나오게 되므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리고 전기적인 히터를 사용하는 방식은 차량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가스의 높은 열을 이용하여 히터 유닛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급가열하여 조기에 난방을 행할 수 있는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엔진으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과; 상기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하는 냉각수의 일부가 공급되는 히터 유닛과; 상기한 배기관과 연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한 히터 유닛의 주위로 배기가스를 순환시키키 위한 브랜치 관과; 상기한 배기관과; 브랜치 관의 연결부위에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관으로만 배기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흐름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기 난방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배기가스 흐름제어 수단은, 배기관과 브랜치 관의 연결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부재와, 이 댐퍼부재에 고정된 피니온과 치차 결합되는 랙과, 이 랙을 당겨 랙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지석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한 전자석 부재는 수온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가 저온인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조기 난방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어수단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엔진8:히터 유닛
10:브랜치 관12:배기관
14:댐퍼부재16:피니온
18:랙20:전자석 부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조기 난방장치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 (2)는 엔진을 나타낸다.
상기한 엔진(2)의 앞쪽으로는 라디에이터(4)가 위치하여 엔진의 내부를 순환하고 나오는 고온의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한 라디에이터(4)로 흐르는 냉각수의 일부가 관로(6)를 통하여 히터 유닛(8)으로 공급되어 난방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 히터 유닛(8)을 브랜치 관(10)으로 포위하고 있으며, 이 브랜치 관(10)을 배기관(12)과 연통시켜 이 히터 유닛의 외측으로 엔진으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브랜치 관(10)은 그 종단부가 다시 배기관(12)측으로 연통하여 히터 유닛을 순환한 후 대기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상기한 배기관(12)과 브랜치 관(10)의 접속부위에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이들 관중 어느 하나의 관으로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배기가스 흐름제어수단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배기가스 흐름제어수단은, 배기관(12)과 브랜치 관(10) 사이에 위치하여 어느 하나의 관을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부재(14)와, 이 댐퍼부재의 회동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온(16)과, 이 피니온과 치차 결합되는 랙(18), 그리고 이 랙(18)을 직선 운동시키는 전자석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한 랙(18)은 전자석 부재(20)와 탄성부재(2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며, 이 전자석 부재는 통상의 전자제어 유닛(ECU)과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전자제어 유닛의 입력단에는 수온센서(S1)가 연결되어 이 수온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전자석 부재에 자력을 형성하거나 형성된 자력을 소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랙(18)은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가이드 부재(2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6은 머플러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조기 난방장치는, 엔진(2)이 시동되면 연소실로부터 발생되는 연소실에 의해 냉각수가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일부의 냉각수가 히터 유닛(8)까지 이르게 된다.
그런데 시동초기에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으므로 히터 유닛(8)은 난방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엔진(2)에서 배기관(12)을 따라 나오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다음과 같은 작용으로 브랜치 관(10)으로 흐르면서 히터 유닛(8)을 가열시키게 된다.
즉, 수온센서(S1)로부터 감지되는 수온은 시동초기에는 저온이므로 예를 들어 냉각수의 온도가 60℃ 이하에서는 전자제어 유닛(ECU)은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여 전자석 부재(20)를 전자석으로 만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전자석 부재(20)가 자력을 띄게 되면, 이 자력에 의해 랙(18)이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므로 이 랙과 치차 결합된 피니온(16)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피니온(16)에 연결된 댐퍼부재(14)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기관(12)측을 차단하고 브랜치 관(10)측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엔진(2)으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는 브랜치 관(10)을 통하여 히터 유닛(8)까지 공급되므로 이곳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급속히 가열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히터 유닛(8)은 블로워를 온시켜 차량의 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기 난방장치는, 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난방에 사용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급속히 상승시키므로 조기 난방을 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기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특히 동절기에 장시간 워밍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기가스내의 유해물질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엔진으로부터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12)과;
    상기한 엔진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순환하는 냉각수의 일부가 공급되는 히터 유닛(8)과;
    상기한 배기관(12)과 연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며 상기한 히터 유닛(8)의 주위로 배기가스를 순환시키키 위한 브랜치 관(10)과;
    상기한 배기관(12)과 브랜치 관(10)의 연결부위에 제공되어 어느 하나의 관으로만 배기 가스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흐름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조기 난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기가스 흐름제어 수단은, 배기관(12)과 브랜치 관(10)의 연결부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부재(14)와, 이 댐퍼부재에 고정된 피니온(16)과 치차 결합되는 랙(18)과, 이 랙을 당겨 랙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석 부재(20)를 포함하며,
    상기한 전자석 부재는 수온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신호가 저온인 경우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 유닛과 연결되는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KR2019960066722U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KR199800535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722U KR19980053534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722U KR19980053534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34U true KR19980053534U (ko) 1998-10-07

Family

ID=54004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722U KR19980053534U (ko) 1996-12-31 1996-12-31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53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36B1 (ko) * 2001-09-26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리히터 배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136B1 (ko) * 2001-09-26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리히터 배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6361B2 (ja) 自動車のキャビンを加熱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227551B1 (ko) 수냉식 엔진의 냉각장치
HU208280B (en) Apparatus for heating the passenger space of vehicles
CN106061774B (zh) 具有内燃机和余热收集壳体的车辆
JP2004332596A (ja) 熱電発電装置
US20020157810A1 (en) Disconnectable heat exchanger
US8096109B2 (en) System of a fuel cell and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KR19980053534U (ko) 차량용 조기 난방장치
WO2002006646A1 (f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comportant un rechauffeur de combustible
US20070080237A1 (en) Motor vehicle heating device comprising an additional heater
JP2755460B2 (ja) 自動車用暖房装置
CN114571950B (zh) 一种发动机排气余热利用装置和车辆
JPH0224218A (ja) 車輌用暖房装置
KR100394854B1 (ko) 이지알 쿨러를 이용한 히터성능 향상장치
SK277750B6 (en) Device for leading of heat into the cooling circuit of liquid cooled combustion engine
JP3154590B2 (ja) 車両用暖房装置
JPS61263823A (ja) 車両用暖房装置
KR100354364B1 (ko) 엔진 흡기 온도 조절장치
ATE299445T1 (de) Heizungsanlage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DE59909464D1 (de) Heizungsanlage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KR100422616B1 (ko) 전기 자동차용 난방장치
KR0139565B1 (ko) 자동차용 난방장치
SU1368198A1 (ru) Отопител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9980044490A (ko) 자동차 디젤엔진 화이트 스모크 저감장치
KR19990028342U (ko) 엔진의 냉각수 가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