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65B1 - 자동차용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난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65B1
KR0139565B1 KR1019950059626A KR19950059626A KR0139565B1 KR 0139565 B1 KR0139565 B1 KR 0139565B1 KR 1019950059626 A KR1019950059626 A KR 1019950059626A KR 19950059626 A KR19950059626 A KR 19950059626A KR 0139565 B1 KR0139565 B1 KR 013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engine coolant
heat
heat storage
he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388A (ko
Inventor
한덕전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5005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65B1/ko
Publication of KR97003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65B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자동차용 난방장치는 엔진가 히터유닛 사이에는 축열재가 내장된 동관이 설치되고, 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플이 설치된 컨테이너를 갖는 축열기가 마련된다 .
따라서, 엔진 예열시간을 단축시켜 배기가스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히터유닛에 온수를 빠른 시간에 공급하므로써 차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차창의 성에를 빨리 제거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난방장치
제 1 도는 종래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난방장치 51 : 실린더헤드
53 : 워터펌프 55 : 라딩에터
57 : 냉각팬 59 : 수온조절기
61 : 히터유닛 70 : 축열기
71 : 콘테이너 74 : 동관
74a : 축열제 75 : 배플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 예열시간을 단축시키뿐만 아니라 차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장치는 차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하며, 앞면의 유리가 습기로 인하여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 자동차의 난방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냉각수를 실린더헤드(1)의 워터재킷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워터펌프(2)와,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냉각수를 열을 대기로 전달시켜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3)와, 이 라디에이터(3)의 통풍을 돕는 냉각팬(4)과, 엔진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되어서 상기 라디에이터(3)로 유입되는 엔진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온조절기(5)와, 배기다기관(6)으로 유입된 고온의 열을 회수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히터유닛(7)의 열교환기(미도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도니 종래의 난방장치는 냉각수의 온도가 낮은 경우 특히 엔진의 초기 시동시, 엔진냉각수는 난방장치의 히터유닛으로 유동되어서 상기 히터유닛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시키기에 충분한 열량을 갖지 못하며, 또한 상기 공기를 가열시키기에 충분한 열량을 갖을 때까지 엔진냉각수를 예열시키기에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축열기를 엔진과 히터유닛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빠른 시간에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상승시켜 엔진 예열시간과 히터유닛에 온수를 공급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잇는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엔진을 냉각시키는 엔진냉각수가 유동하는 히터유닛을 이용한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가 히터유닛 사이에는, 그 내부 축열재가 내장된 동관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플이 설치된 컨테이너를 갖는 축열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의하면, 히터유닛에 온도를 빠른 시간에 공급하므로써 차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50)는 엔진을 냉각시키는 엔진냉각수를 실린더헤드(51)의 워터재킷(미도시)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워터펌프(53)와,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엔진냉각수의 열을 대기로 전달시켜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55)와, 이 라디에이터(55)의 통풍을 돕는 냉각팬(57), 엔진냉각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밸브가 자동적으로 개폐되어서 상기 라디에이터(55)로 유입되는 엔진냉각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수온조절기(59)와, 실린더헤드(51)와 연결되며 고온의 열을 이용하여 차실내의 온도를 높이는 히터유닛(61)의 열교환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실린더헤드(51)와 히터유닛(61) 사이에는 축열기(70)가 설치된다. 이 축열기(70)의 컨테이너(71) 상부에는 엔진냉각수가 유입되는 입구부(7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히터유닛(61)가동에 필요한 온수를 공급하는 출구부(73)가 형성된다.
그리고 컨테이너(71)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축열재(74a)가 내장된 동관(74)이 설치되고, 엔진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플(75)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자동차용 난방장치(50)는 우선,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장치(50)를 가동시켰을 때, 이를 순환하는 엔진냉각수에 따른 열량의 전달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엔진냉각수는 워터펌프(53)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헤드(51)의 워터재킷을 경유하여 배기다기관(52)으로 유입하게 된다.
이에 의해서 엔진냉각수는 실린더헤드(51) 뿐만 아니라 배기다기관(5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고온의 배기가수르부터 열을 회수하여 가열된다 .
그리고 가열된 엔진냉각수는 배기다기관(52)에 열결되어 있는 축열기(70)에 유입되게 된다. 이때, 축열기(70)의 컨테이너(71) 입구부(72)에 유입된 엔진냉각수는 동관(74)들 사이에 형성된 수관(76)을 따라 유동하게 되고, 배플(75)의 설치에 의해서 엔진냉각수의 유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동관(74)의 내부에는 축열재(74a)가 내장되어 엔진 냉각수는 이 축열재(74a)에 열을 방출하게 되고 출구부(73)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축열기(70)의 컨테이너(71) 출구부(73)로부터 배출된 엔진냉각수는 히터유닛(61)으로 유동되어서 전술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에 열량을 제공한 후, 라디에이터(55)로 유입되어 워터펌프(53)로 다시 유입되는 냉각수 순환경로를 형성시킨다.
한편, 동관(74)내에 내장된 축열재(74a)는 78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액체상태로 되는 성질이 있어 엔진냉각수가 통과하는 동안 액체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축열기(70)의 컨테이너(71)는 단열이 되어 외부로 부터의 열손실이 적으며 엔진 정지후에도 고온의 액체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겨울철 초기 엔진시동시에는 엔진냉각수의 온도는 저온이며 엔진냉각수가 정상운전 온도가 되기까지는 5분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 바, 이 축열기(70)를 통과한 엔진냉각수는 축열기(70)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히터유닛(61)가동에 필요한 온수를 공급하게 되며 엔진예열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엔진냉각수에 열을 공급하므로서 엔진으로 들어가는 엔진냉각수의 온도를 빠른 시간에 상승시켜준다. 이로서 엔진 예열시간을 단축시켜 배기가수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히터유닛에 온수를 빠른 시간에 공급하므로써 차실내로 더운 공기를 공급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에도 차창의 성에를 빨리 제거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히터를 이용한 자동차용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히터유닛(61) 사이에 축열재(74a)가 내장된 동관(74)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냉각수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플(75)이 설치된 컨테이너(71)를 갖는 축열기(70)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난방장치.
KR1019950059626A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난방장치 KR013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626A KR0139565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626A KR0139565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388A KR970034388A (ko) 1997-07-22
KR0139565B1 true KR0139565B1 (ko) 1998-07-01

Family

ID=6661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626A KR0139565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용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38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1479B2 (en) Vehicle power steering waste heat recovery
JP4436361B2 (ja) 自動車のキャビンを加熱する方法及び装置
US4532894A (en) Hea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s
US4285316A (en) Fuel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4905893A (en) Reserve automobile heating system
US6691925B2 (en) Heater/defroster for an automobile
JPH1071837A (ja) 車両用内燃機関の冷却系装置
JP5801593B2 (ja) 車両用蓄熱式加温装置
KR0139565B1 (ko) 자동차용 난방장치
US6112713A (en) Diesel engine pre-heater
US3417920A (en) Auxiliary heating apparatus
US105980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coolant volume reduction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A2209253C (en) Heat recovery system and heat exchanger therefor
US4693417A (en) Heating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KR100490672B1 (ko) 저공해 자동차 엔진 배기열 회수 보조난방장치
JP4034010B2 (ja) 車両用蓄熱システム
KR20010035906A (ko) 자동차 난방보조장치
US4623092A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S61263823A (ja) 車両用暖房装置
JPH0341930Y2 (ko)
JPS5836574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046454B1 (ko) 차량용 연소식 히터의 고장 및 소음 방지 구조
JP2531823Y2 (ja) 自動車用暖房装置
DE2705748A1 (de) Heizung fuer kraftfahrzeuge
JPS6240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