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433A -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433A
KR19980053433A KR1019960072537A KR19960072537A KR19980053433A KR 19980053433 A KR19980053433 A KR 19980053433A KR 1019960072537 A KR1019960072537 A KR 1019960072537A KR 19960072537 A KR19960072537 A KR 19960072537A KR 19980053433 A KR19980053433 A KR 19980053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on
ion implantation
semiconductor device
diborene
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7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433A/ko
Publication of KR1998005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433A/ko

Links

Landscapes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붕소 이온의 소오스로서 다이보렌을 사용하여 이를 일차적으로 화학적 이온화시킨 후 아크 챔버내에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다시 분해시키는 공정을 도입함으로써 붕소 1가 이온 및 붕소 다중 하전 이온의 생성 효율을 증가시키고 소오스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중 붕소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의 이온 소오스로서 다이보렌을 사용하여 열처리에 의한 화학적 분해를 도입함으로써 이온화율을 증가시키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필수적인 기술인 이온 주입법에서 이온 소오스의 수명 향상 및 공정의 안정성과 다중 하전 이온이나 저에너지 이온 주입 등의 공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오스 이온의 이온화율 증가는 불가피하다. 특히 붕소 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에서 낮은 이온화율은 소오스의 짧은 수명 및 공정 적용에 제한의 원인이 된다.
일반적으로 붕소 이온의 주입 공정은 이온 소오스로서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Boron Trifluoride: BF3)를 아크 챔버내의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충돌시켜 붕소 이온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BF3에서 붕소 1가 이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자와의 많은 충돌이 필요하므로 이온화율은 크게 떨어진다. 특히 다중 하전의 붕소 이온은 더욱 낮을 수 밖에 없다. 또 일정한 가스량에서 불소(F)에 비해 붕소(B)의 분율이 낮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유입되는 붕소의 양은 적을 수밖에 없다. 이렇게 낮은 이온화율에서는 낮은 빔커런트 때문에 붕소 이온의 저에너지 이온 주입 공정이나 다중 하전 붕소 이온을 이용한 공정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혹시 적용할 경우에도 실제 생산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낮은 이온화율을 이온 소오스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붕소 이온 주입 공정에서 BF3를 소오스로서 사용할 경우에 나타나는 낮은 이온화율을 다이보렌(B2H6)을 소오스로 사용하며 열처리에 의한 화학적 이온화를 실시하여 이온화율을 높임으로써 새로운 공정 도입의 제한성을 줄이고, 소오스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온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 박스에 있는 다이보렌을 중간 챔버로 유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이보렌이 유입된 중간 챔버에서 붕소와 수소와 화학적 이온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학적 이온화 과정을 거친 가스를 아크 챔버 내로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한 이온화 과정을 거쳐 이온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이온 빔으로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온 주입 장비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스 박스2: 이온 소오스(다이보렌)
3: 가스 공급 라인4: 중간 챔버
5: 온도 조절 장치6: 가열기
7: 아크 챔버8: 필라멘트
9: 아크 전극10: 이온 빔 추출 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이보렌(B2H6)은 일정한 가스량일 대 BF3에 비하여 붕소의 분율이 높고, 적열 영역에서 붕소와 수소로 화학적 분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이온 소오스로부터 아크 챔버로의 가스 유입 중간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새로운 챔버를 추가하고 이 영역에서 적열을 가하여 붕소와 수소로의 이온화 과정을 거친 가스를 아크 챔버에 유입시켜 사용한다. 이렇게 일차적으로 화학 분해된 가스를 아크 챔버에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전지와의 충돌에 의하여 다시 이온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붕소 1가 이온 및 다중 하전의 붕소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증가된 이온화율은 이온 소오스의 수명을 향상 시키며, 아크 챔버내에서 이온화 과정과 동시에 발생하는 이온들의 표면 증착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첨부 도면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이온 주입 장비의 구조도로서,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스 박스(1)내에 있는 이온 소오스인 다이보렌(2)를 가스 공급 라인(3)을 통해 중간 챔버(4)로 유출시킨다. 다이보렌(2)이 유입된 중간 챔버(4)에 가열기(6)를 통해 적절한 열을 가함으로써 붕소와 수소로 화학적 이온화시킨다. 그리고 화학적 이온화 과정을 거친 가스 아크 챔버(7) 내로 다시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한 두 번째 이온화 과정을 거쳐 이온 빔을 생성한다. 생성된 이온 빔을 이온 빔 추출 홀(10)을 통해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한다. 이러한 2번의 이온화 과정을 거침으로써 붕소 이온 생성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붕소 이온 주입의 이온 소오스로 현재 사용하는 BF3대신에 열처리에 의하여 이온화가 가능한 다이보렌(B2H6)을 사용하여 이온화시킨 가스를 종래의 방법대로 아크 챔버내에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다시 이온화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이온화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온화 및 빔 발생이 진행되는 아크 챔버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되는 일정한 가스 유입량으로 붕소 이온 주입에서 붕소의 저에너지 주입 공정 및 다중 하전을 이용한 공정의 도입이 가능하다. 또한 이온화율의 증가에 의해 소오스의 수명 향상이 가능하며, BF3를 사용할 경우 보다 아크 챔버의 내부 표면에 증착되는 이온들의 양을 감소할 수 있어 아크 챔버의 유지 및 보수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이온 주입기 자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훌륭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스 박스에 있는 다이보렌을 중간 챔버로 유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다이보렌이 유입된 중간 챔버에서 붕소와 수소와 화학적 이온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화학적 이온화 과정을 거친 가스를 아크 챔버 내로 유입시켜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전자와의 충돌에 의한 이온화 과정을 거쳐 이온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이온 빔으로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보렌은 열처리를 통하여 화학적 이온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KR1019960072537A 1996-12-26 1996-12-26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KR199800534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37A KR19980053433A (ko) 1996-12-26 1996-12-26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37A KR19980053433A (ko) 1996-12-26 1996-12-26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33A true KR19980053433A (ko) 1998-09-25

Family

ID=66382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537A KR19980053433A (ko) 1996-12-26 1996-12-26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43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724A (ja) * 1987-06-09 1988-12-15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03178126A (ja) * 1989-12-06 1991-08-02 Seiko Instr Inc 不純物ドーピング装置
KR940004863A (ko) * 1992-08-13 1994-03-16 이헌조 포토다이오드
JPH07249590A (ja) * 1994-03-08 1995-09-26 Nissin Electric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
JPH08125196A (ja) * 1994-10-26 1996-05-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およびドーピング方法
JPH08274344A (ja) * 1995-01-30 1996-10-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ドーピング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724A (ja) * 1987-06-09 1988-12-15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の製造方法
JPH03178126A (ja) * 1989-12-06 1991-08-02 Seiko Instr Inc 不純物ドーピング装置
KR940004863A (ko) * 1992-08-13 1994-03-16 이헌조 포토다이오드
JPH07249590A (ja) * 1994-03-08 1995-09-26 Nissin Electric Co Ltd 半導体の製造方法
JPH08125196A (ja) * 1994-10-26 1996-05-1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およびドーピング方法
JPH08274344A (ja) * 1995-01-30 1996-10-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ドーピング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3944B2 (en) Directional gas injection for an ion source cathode assembly
US7446326B2 (en) Technique for improving ion implanter productivity
TWI479531B (zh) 離子源與來自其之特定離子物種離子電流輸出的改善方法
TWI518733B (zh) 離子源、離子植入系統與產生多個電荷離子於離子源內的方法
KR20120093242A (ko) 이온 소스 구성요소의 세척 방법
US20110143527A1 (en) Techniques for generating uniform ion beam
US20070178678A1 (en) Methods of implanting ions and ion sources used for same
KR20130138813A (ko) 게르마늄 및 붕소 이온 주입들을 위한 co-가스의 실행
KR101586122B1 (ko) 동위원소로 농축된 레벨의 도펀트 기체 조성물의 이온 주입 공정에의 사용 방법
KR20110031204A (ko) 이온 소스 세척 방법 및 기구
TWI659456B (zh) 在非質量分析離子佈植系統中的離子束品質的改進方法
US6329650B1 (en) Space charge neutralization of an ion beam
JP5652771B2 (ja) 分子イオンを生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53433A (ko) 반도체 소자 제조 공정에서의 이온 주입 방법
Hill Ion and electron sources
KR0165000B1 (ko) 이온주입기의 배기시스템
KR20030097284A (ko) 이온 주입 설비의 이온 소스
KR102272833B1 (ko) 작업물을 프로세싱하는 방법
CN106611690A (zh) 减少或防止在离子注入机的离子源内形成沉积物的方法
KR100497192B1 (ko) 이온주입장비의 플라즈마 플러드 건
KR102219501B1 (ko) 작업물 내로 프로세싱 종을 주입하는 방법 및 작업물 내로 도펀트를 주입하는 방법, 및 작업물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장치
Leung Development of high current and high brightness negative hydrogen ion sources
Horsky et al. Boron Beam Performance and in‐situ Cleaning of the ClusterIon® Source
KR20000050281A (ko) 2가 이온을 이용한 이온주입방법
Leung Review of negative ion source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