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946A -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2946A KR19980052946A KR1019960071978A KR19960071978A KR19980052946A KR 19980052946 A KR19980052946 A KR 19980052946A KR 1019960071978 A KR1019960071978 A KR 1019960071978A KR 19960071978 A KR19960071978 A KR 19960071978A KR 19980052946 A KR19980052946 A KR 199800529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port
- dispenser
- coupled
- guide
- cold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를 작동시켜 냉수가 토출될 때 토출구에서 오버플로우(Over Flow)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펜서용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냉장고에 보관된 수통에서 이동된 냉수가 저장되는 저수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12)의 중앙에 토출구(16a)를 구비한 가이드(14)가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14)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우징(18)이 결합된 하부캡(10)과, 일측면에 토출구(16b)가 형성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16b)를 중심으로 한 걸림구(24)가 형성되고, 걸림구(24)의 내면에는 일측단에 상기 토출구(16a)를 개폐시키는 패킹(35)이 결합되는 샤프트(26)가 결합되고, 외면에는 스프링(30)이 고정된 밸브(20)로 구성된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양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접착부(44)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에 환형의 완충홈(42)이 형성된 튜브(40)로 구성되어 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냉수가 오버플로우 될 때 튜브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걸림구의 외부로 흐르는 잔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의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를 작동시켜 냉수가 토출될 때 토출구에서 오버플로우(Over Flow)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펜서용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에는 도어를 열지 않고 내부에 들어 있는 냉수를 마실 수 있는 식수 디스펜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냉수 디스펜서 장치는 냉장실 도어의 도어포켓 속에 수통이 안착되어 있고, 수통에 들어 있는 물이 냉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외부에서 그 물을 받아 마실 수 있는 장치이다.
식수 디스펜서 장치의 구성요소는 냉장실 도어의 도어포켓에 안착되고 식수가 담겨지는 내부 수통과, 내부 수통의 저면에 결합되어 물을 냉장실의 도어 외부에 안내하는 호스와, 호스의 끝단에 설치된 토출구가 형성된 캡과,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냉장고에 결합되는 종래의 디스펜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토출구가 형성된 캡이고, 20은 밸브이다.
캡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레버가 결합된 상부캡과 토출구(16a)가 형성된 하부캡(10)으로 구성되는데, 하부캡(10)의 내부에는 냉장고의 수통에서 연결된 호스에 의해 저장되는 저수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홈(12)의 중앙부에 토출구(16a)가 구비된 가이드(14)가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고, 바닥에는 러버패킹(13)이 내장되어 있다. 토출구(16a)의 내면에는 저수홈(12)의 바닥면과 동일한 선상으로 걸림편에 의해 형성된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14)가 연장된 저수홈(12)의 표면에는 상기 가이드(14)와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18)이 결합되어 있다.
밸브(20)는 토출구(16b)가 형성된 밑판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케이스(21)가 구비되고,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토출구(16b)를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의 걸림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1)와 걸림구(24)의 사이에는 스프링(30)이 삽입되어 있다. 토출구(16b)의 중앙에는 일정길이의 샤프트(26)가 리브(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26)는 일측단에 패킹(35)이 결합되는 걸림턱(28)이 형성되어 있고, 패킹(35)은 원뿔형태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하부캡(10)의 가이드(14)에 형성된 걸림구(24)와 밸브(20)의 스프링(30)을 결합시키고, 밸브(20)의 케이스(21)에 형성된 샤프트(26)를 하부캡(10)의 토출구(16a)에 삽입시키면 케이스(21)는 하우징(18)의 내부에 삽입되고, 걸림구(24)와 가이드(14)의 하단과 접촉된다. 이때 밸브(20)에 형성된 걸림구(24)의 외부에 내장된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 케이스(21)가 하우징(18)의 내부에서 슬라이드되고, 샤프트(26)의 걸림턱(28)에 패킹(35)을 결합시킴에 따라 패킹(35)는 가이드(14)의 상단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디스펜서는 냉장고의 수통에서 호스를 통과한 냉수가 저수홈(12)에 충전되면 레버에 의해 샤프트(26)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패킹(35)과 가이드(14)가 분리됨에 따라 저수홈(12)에 충전된 냉수가 토출구(16a)로 이동되어 밸브(20)에 형성된 토출구(16b)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그러나, 저수홈(12)에 내장된 냉수가 레버에 의해 샤프트(26)가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냉수와 사프트의 접촉력에 의해 가이드(14)의 토출구(16a)에 저항과 냉수의 수압 등으로 밸브(20)의 걸림구(24)의 외측으로 오버플로우 되어 잔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캡의 하우징 내부에 고무패킹을 삽입시켜 냉수가 오버플로우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하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하부캡 12 : 저수홈
13 : 러버패킹 14 : 가이드
16a,16b : 토출구 18 : 하우징
20 : 밸브 22 : 리브
24 : 걸림구 26 : 샤프트
28 : 걸림턱 30 : 스프링
35 : 패킹 40 : 튜브
42 : 완충홈 44 : 접착부
본 발명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은 냉장고에 보관된 수통에서 이동된 냉수가 저장되는 저수홈에 토출구가 형성된 가이드가 내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에 일정거리 이격된 동심원상에 하우징이 결합된 캡과, 일측면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가 밑판에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토출구를 중심으로 한 걸림구가 형성되고, 걸림구의 내면에서 결합되어 일측단에 패킹이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샤프트가 상기 토출구에 슬라이드되록 스프링이 결합된 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접착부가 형성되는 튜브로 구성되어 달성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가 조립되는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하부캡이고, 20은 밸브이며, 40은 튜브이다.
캡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레버가 결합된 상부캡과 토출구(16a)가 형성된 하부캡(10)으로 구성되는데, 하부캡(10)의 내부에는 냉장고의 수통에서 연결된 호스에 의해 저장되는 저수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저수홈(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러버패킹(13)이 내장되어 있다. 저수홈(12)의 중앙부에는 내부에 토출구(16a)가 형성된 가이드(14)가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되어 있다. 토출구(16a)의 내면에는 저수홈(12)의 바닥면과 동일한 선상으로 리브에 의해 형성된 가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홈(12)의 표면에 연장된 가이드(14)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동일한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하우징(18)이 결합되어 있다.
밸브(20)는 토출구(16b)가 형성된 면에 일측방향으로 원통형의 케이스(21)가 구비되고, 케이스(21)의 내부에는 토출구(16b)를 중심으로 하여 원통형의 걸림구(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구(24)의 내부에 형성된 토출구(16b)의 중앙에는 일정길이의 샤프트(26)가 리브(22)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샤프트(26)는 케이스(21)에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끝단에는 걸림턱(28)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35)은 원뿔형태의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중심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30)은 일정길이를 가진 원형의 코일스프링 이다.
튜브(40)는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원통형 형태로 양측단의 외측부로 연장된 접착부(44)가 형성되고, 일측의 외주면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완충홈(42)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펜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밸브(20)의 케이스(21) 내부에 형성된 걸림구(24)의 외주면에 스프링(30)을 고정시키면 스프링(30)은 샤프트(26)를 중심으로 일정길이 케이스(21)의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저수홈(12)의 하우징(18)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14)의 외주면으로 튜브(40)의 관통홀에 가이드(14)에 삽입되도록 고정시키고 가이드(14)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공에 샤프트(26)가 슬라이되도록 결합시키면 저수홈(12)의 표면에 형성된 하우징(18)의 내부로 케이스(21)가 삽입된다. 이때 스프링(30)은 튜브(40)와 가이드(14) 사이에 위치되고, 밸브(20)의 걸림구(24)는 튜브(40)의 접착부(44)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저수홈(12)으로 돌출된 샤프트(26)의 걸림턱(28)에 패킹(35)을 삽입시켜 밸브(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레버가 결합된 상부캡을 하부캡(10)의 나사산에 결합시켜 레버를 작동시키면 밸브(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샤프트(26)가 저수홈(12)의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패킹(35)이 가이드(14)에서 분리된다. 이때, 저수홈(12)에 내장된 냉수가 토출구(16a)를 통해 걸림구(24)의 토출구(16b)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밸브(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될 때 샤프트(26)와 냉수가 접촉되어 걸림구(24)의 외측으로 오버플로우 되는 것은 튜브(40)에 의해 방지된다. 그리고, 튜브(40)의 완충홈(42)에 의해 밸브(20)가 상하로 슬라이드되는 동안에 팽창수축이 원할하게 이루지고, 냉수를 차단시킬 때는 밸브(20)의 걸림구(24)에 고정된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2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샤프트(26)에 결합된 패킹(35)과 가이드(14)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토출구(16)를 차단시켜 냉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가이드(14)의 외주면에 튜브(40)를 결합시켜 밸브(20)가 이동될 때 발생하는 토출구(16a)에서 냉수가 오버플로우되는 것을 튜브(4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걸림구(24)의 외측으로 흐르는 잔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 냉장고에 보관된 수통에서 이동된 냉수가 저장되는 저수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홈(12)의 중앙에 토출구(16a)를 구비한 가이드(14)가 내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측면에 상기 가이드(14)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하우징(18)이 결합된 하부캡(10)과, 일측면에 토출구(16b)가 형성된 케이스(21)의 내부에는 상기 토출구(16b)를 중심으로 한 걸림구(24)가 형성되고, 걸림구(24)의 내면에는 일측단에 상기 토출구(16a)를 개폐시키는 패킹(35)이 결합되는 샤프트(26)가 결합되고, 외면에는 스프링(30)이 고정된 밸브(20)로 구성된 디스펜서에 있어서,내부에 상기 스프링(30)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접착부(44)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일측에 환형의 완충홈(42)이 형성되어 된 튜브(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투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1978A KR19980052946A (ko) | 1996-12-26 | 1996-12-26 |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71978A KR19980052946A (ko) | 1996-12-26 | 1996-12-26 |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2946A true KR19980052946A (ko) | 1998-09-25 |
Family
ID=6638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71978A Withdrawn KR19980052946A (ko) | 1996-12-26 | 1996-12-26 |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529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087B1 (ko) * | 2010-11-04 | 2011-02-17 | 김철진 | 냉장고용 도어 완충장치 |
-
1996
- 1996-12-26 KR KR1019960071978A patent/KR19980052946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6087B1 (ko) * | 2010-11-04 | 2011-02-17 | 김철진 | 냉장고용 도어 완충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10104A (en) | Vacuum bottle with bellows pump | |
KR101774176B1 (ko) | 이중 마개 구조를 가지는 액체 용기 | |
US6206058B1 (en) | Integrated vent and fluid transfer fitment | |
CA2455448C (en) |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 |
US6378742B1 (en) | Fluid dispensing closure | |
US6732876B2 (en) | Automatically sealing lid assembly | |
US7798361B2 (en) | Vented container | |
US20120018459A1 (en) | Dispenser assembly | |
AU2001296840A1 (en) | Fluid dispensing closure | |
US3132776A (en) | Combination closure member, pouring device and insert cup for a container | |
EP3154869B1 (en) | Cover device for a drink container | |
US6056163A (en) | Liquid dispenser | |
GB2403712A (en) | Bottled water dispenser | |
US5778921A (en) | Relay controlling valve structure for twin-tap faucet | |
KR19980052946A (ko) | 디스펜서용 토출구의 오버플로우 방지구조물 | |
US5927317A (en) | Venting structure of a waterbed | |
KR200146565Y1 (ko) | 디스펜서용 밀폐형 패킹 | |
US8297483B2 (en) | Liquid dispenser | |
KR20210148291A (ko) | 유체 용기 폐쇄 장치 | |
KR200255232Y1 (ko) |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 |
JP7570412B2 (ja) | 飲料ボトルクロージャ | |
KR200179890Y1 (ko) | 액체용기의 공기흡입구 | |
KR200386874Y1 (ko) | 용기용 캡 | |
JP2002145292A (ja) | 弁付きキャップおよび弁付きボトル | |
KR20180128233A (ko) | 정수기용 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