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2686A -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2686A
KR19980052686A KR1019960071705A KR19960071705A KR19980052686A KR 19980052686 A KR19980052686 A KR 19980052686A KR 1019960071705 A KR1019960071705 A KR 1019960071705A KR 19960071705 A KR19960071705 A KR 19960071705A KR 19980052686 A KR19980052686 A KR 19980052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initial ignition
ignition
ignit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71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2686A/ko
Publication of KR19980052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686A/ko

Links

Landscapes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팬히터을 사용하고자 전원스위치(30)를 온시키면, 기화기 예열히터(20)에 의해 기화기(12)가 예열되고 예열된 기화기(12)로 초기착화를 위해 전자펌프(50)의 펌핑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여 기화시키는 제 1 단계(101)(102), 상기 제 1 단계에서 공급된 연료가 기화되면 절반 개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기화된 연소가스를 버너(18)로 공급하고, 이어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연소가스를 착화시키면 제어부(40)는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내지 105),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으면 제어부(40)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전량개방하여 정상연소모드에 필요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 3 단계(106)(107)를 구비하여 초기착화시와 정상연소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므로서, 초기착화시 공급된 연소가스량이 많아 미처 연소되지 않은 미연가스의 실내배출에 따라 발생되는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본 발명은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을 절반정도로 조절하여 공급하고, 착화에 따른 정상적인 연소시에는 전량의 연소가스를 공급하여 초기착화시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이 많아 미처 연소되지 않은 미연가스 배출에 따른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가스배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에 사용되는 분젠식버너는 연료탱크에서 전자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의 연료를 충분히 예열된 기화기에서 기화되어 가스로서 노즐를 통해 분출되고, 인젝터(injecter)의 작용에 의해 1차공기구에서 1차공기를 흡입한다.
상기와 같이 1차공기구를 통해 흡입된 1차공기와 가스의 혼합기체는 혼합관을 통하여 버너헤드에 도달하여 적당하게 배열되어 있는 염공에서 분출하여 연소를 수행하게 된다.
도3은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종래 팬히터에 적용되는 분젠식버너를 나타낸 도면으로, 분젠식버너의 구조는 기화기(12), 노즐(14), 혼합관(16), 버너(18)로 구성되어 지며, 상기 기화기(12)는 외부파이프와, 상기 외부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파이프의 내부에 기화기 필터가 삽입되고, 상기 외부파이프의 외주연에 기화기(12)를 예열시키기 위한 기화기 예열히터(2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즐(14)은 기화기(12)와 연동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됨)에 의해 상기 노즐(14)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관(16)은 노즐(14)로 부터 분출되는 연료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를 혼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너(18)는 상기 혼합관(16)과 연동되어 있으며, 혼합관(16)에서 연소용 공기와 혼합된 연료는 염구망(22)으로 분출됨과 동시에 이그나이터에 의해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젠식버너는 사용자가 운전스위치를 온시키면 기화기(12)의 외부파이프의 외주연에 장착된 기화기 예열히터(20)가 통전하여 상기 기화기(12)의 외부파이프 및 내부파이프를 가열시키고, 이 가열에 의해 기화기(12)의 온도가 일정온도에 도달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이그나이터가 구동되고, 전자펌프가 펌핑을 행하며, 솔레노이드밸브가 노즐(14)을 열어주게 된다.
따라서, 전자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된 연료는 기화기 예열히터(20)에 의해 가열된 기화기(12)내의 내부파이프로 유입되고, 기화기(12)에서 기화된 연료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열려진 노즐(14)을 통해 혼합관(16)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연소용 공기와 혼합하여 버너(18)의 염구망(22)을 통해 분출되고, 이어 이그나이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된 불꽃에 의하여 점화되어 연소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팬히터는 초기착화시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이 정상연소시와 동일하게 공급되어 초기착화에 필요한 연소가스량 보다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이 많아 초기착화시 연소되지 않은 미연가스가 실내로 배출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을 절반정도로 조절하여 공급하고, 착화에 따른 정상적인 연소시에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완전히 개방시켜 전량의 연소가스를 공급하므로서 초기착화시 공급된 연소가스량이 많아 미처 연소되지 않은 미연가스 배출에 따른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가스배출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팬히터을 사용하고자 전원스위치를 온시키면, 기화기 예열히터에 의해 기화기가 예열되고 예열된 기화기로 초기착화를 위해 전자펌프의 펌핑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여 기화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공급된 연료가 기화되면 절반 개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기화된 연소가스를 버너로 공급하고, 이어 이그나이터의 구동에 의해 연소가스를 착화시키면 제어부는 이그나이터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그나이터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으면 제어부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전량개방하여 정상연소모드에 필요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 3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종래의 팬히터에 적용되는 버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2 : 기화기 14 : 노즐
16 : 혼합관 18 : 버너
20 : 기화기 예열히터 22 : 염구망
30 : 전원스위치 40 : 제어부
50 : 전자펌프 60 : 솔레노이드밸브
70 : 이그나이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 팬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30)가 제어부(40)에 접속되어 있으며, 기화기(12)를 예열하는 기화기 예열히터(20)와, 기화기(12)로 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50)와, 기화기(12)에서 기화된 연소가스를 버너(18)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밸브(60)와, 버너(18)로 공급된 연소가스를 착화시키는 이그나이터(70)가 각각 제어부(40)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팬히터을 사용하고자 전원스위치(30)를 온시키면(101), 제어부(40)는 기화기 예열히터(20)를 제어하여 기화기(12)를 예열시키고, 기화기 예열히터(20)에 의해 기화기(12)가 예열되면, 제어부(40)는 전자펌프(50)를 제어하여 기화기(12)로 연료를 공급하여 기화시키고(102), 기화된 연소가스는 착화시에 필요한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절반 개방된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버너(18)로 공급되며(103),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연소가스가 버너(18)로 공급되면 제어부(40)는 이그나이터(70)를 구동하여 공급된 연소가스를 착화시키게 된다(104).
한편, 제어부(40)는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버너(18)로 공급된 연소가스가 착화되었나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는 버너(18)의 일측에 설치되어 버너(18)의 불꽃을 통해 검출되는 전압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105).
따라서, 제어부(40)는 전압검출에 따라 착화가 이루어졌으면, 솔레노이드밸브(60)를 제어하여 절반 개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전량 개방시켜 정상적인 연소모드에 필요한 연소가스를 공급하게 된다(106)(107).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초기착화시와 정상연소시 솔레노이드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연소가스량을 조절하여 공급하므로서, 초기착화시 공급된 연소가스량이 많아 미처 연소되지 않은 미연가스의 실내배출에 따라 발생되는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팬히터을 사용하고자 전원스위치(30)를 온시키면, 기화기 예열히터(20)에 의해 기화기(12)가 예열되고 예열된 기화기(12)로 초기착화를 위해 전자펌프(50)의 펌핑에 의해 연료를 공급하여 기화시키는 제 1 단계(101)(102), 상기 제 1 단계에서 공급된 연료가 기화되면 절반 개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통해 기화된 연소가스를 버너(18)로 공급하고, 이어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연소가스를 착화시키면 제어부(40)는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내지 105), 상기 제 2 단계에서 이그나이터(70)의 구동에 의해 착화가 이루어졌으면 제어부(40)는 솔레노이드밸브(60)를 전량개방하여 정상연소모드에 필요한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 3 단계(106)(10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KR1019960071705A 1996-12-24 1996-12-24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KR19980052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05A KR19980052686A (ko) 1996-12-24 1996-12-24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705A KR19980052686A (ko) 1996-12-24 1996-12-24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686A true KR19980052686A (ko) 1998-09-25

Family

ID=6638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705A KR19980052686A (ko) 1996-12-24 1996-12-24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26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5321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 fuel burner
KR19980052686A (ko) 팬히터의 초기착화시 미연소 가스배출 제어방법
KR19980022962A (ko) 팬히터의 초기연소 제어방법
KR100187058B1 (ko) 팬히터의 기화기내 타르발생 제어방법
KR950000402B1 (ko) 난방기
JP3737435B2 (ja) 気化ガス混合燃焼装置及び方法
KR0157489B1 (ko) 팬히터의 전자펌프 제어방법
KR100187047B1 (ko) 유압송무화식 오일연소기의 제어방법
KR100212917B1 (ko) 연소기기의 점화/소화 제어방법
KR19980052690A (ko) 로터리히터의 초기구동 제어방법
KR100224009B1 (ko) 석유연소기의 기화기 적정온도 유지장치 및 유지방법
JP4538171B2 (ja) 気化式燃焼装置
KR19980022960A (ko) 연소열을 이용한 분젠식 버너의 연료기화장치 및 방법
KR19980052687A (ko) 팬히터의 기화기내 타르발생 제어방법
JP4578731B2 (ja) 気化式燃焼装置
JP3855399B2 (ja) 燃焼装置
JP2941630B2 (ja) 液体燃料気化式燃焼装置
JPS6210589Y2 (ko)
KR0154452B1 (ko) 온풍난방기의 불꽃감지기 세척장치 및 운전제어방법
JPS6219652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9980069418A (ko) 로터리히터의 초기착화 제어방법
JPS63156919A (ja) 液体燃料気化式燃焼器
KR960001601A (ko) 연소기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7432A (ko) 연소기기의 제어방법
JPH1137412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