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444U -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444U
KR19980050444U KR2019960063615U KR19960063615U KR19980050444U KR 19980050444 U KR19980050444 U KR 19980050444U KR 2019960063615 U KR2019960063615 U KR 2019960063615U KR 19960063615 U KR19960063615 U KR 19960063615U KR 19980050444 U KR19980050444 U KR 199800504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hole
case
rib
fix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2516Y1 (ko
Inventor
양동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63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516Y1/ko
Priority to US09/001,001 priority patent/US6134335A/en
Publication of KR19980050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5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5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기술, 특히 마이크가 내장된 모니터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다. 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마이크구멍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와, 이 프론트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케이스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의 사이에 삽입되며 마이크구멍과 대응된 소정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중간케이스 및 전방부가 마이크구멍을 향하도록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있으며, 마이크의 착탈이 용이하고 견고한 체결상태가 장기간 유지된다.

Description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크(Microphone)가 내장(內裝)된 모니터(Monitor)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퍼스널컴퓨터(PC)의 수요가 폭증(爆增)하고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PC의 본체에 사운드카드(Sound Card)와 씨디롬드라이버(CD-ROM Driver) 등을 장착하여 멀티미디어(Multi-Media)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PC의 경우, 음성이나 음향을 입출력하기 위해 마이크와 스피커(Speaker)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키고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이러한 마이크와 스피커를 모니터에 내장(內裝)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타입의 모니터로써, 시판되고 있는 제품의 예로는, 일본 마쯔시다(Matsushida)사의 뷰소닉 17인치형 모니터(Model 명: ViewSonic 17GA) 등이 있다. 이 모니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양측에 좌우 스피커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 중앙에 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스피커와 마이크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프론트케이스(Front Case: 50) 해당 부위에는 각각 스피커 구멍(Speaker Hole: 51)과 마이크 구멍(Microphone Hole: 5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니터에 마이크를 내장시키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무(Rubber) 등과 같은 탄성(彈性) 재질의 보호부재(101) 내에 마이크(102)를 안착(安着)시킨 상태에서, 이 보호부재(101)를 모니터의 프론트케이스(Front Case: 103) 후방 소정 위치에 별도의 체결구(104)와 스크류 나사(105)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 상태에서, 마이크(102)의 전방부는, 모니터의 프론트케이스(103)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마이크 구멍(106)을 통해 모니터 전방을 향해 노출(露出)된다. 부재번호 107은, 보호부재(101)내에 안착된 마이크(102)와 PC본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의 음성입력부(도시되지 않음)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을 나타낸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니터 제작시 또는 사용 중 마이크 고장으로 인한 교체시, 전술한 스크류 나사를 일일이 풀고 죄는 과정이 반드시 수반되기 때문에, 상당한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스크류 나사가 체결되는 상대물인 프론트케이스는 대개 합성수지 재질이기 때문에, 마이크의 장착과 탈거를 여러번 반복하게 되면, 스크류나사의 조임상태가 헐거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마이크(더욱 정확히는, 마이크 보호부재)가 정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못하게 되어 수신감도가 저하되거나, 심지어는 이탈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마이크 보호부재를 프론트케이스 후면에 접착시켜 고정하는 방법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 방법은 마이크 해체시 프론트커버의 마이크 보호부재 접착면에 늘어붙은 잔여물을 처리,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채택이 어렵다.
또한, 앞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Rear Case)의 사이에 별도의 중간케이스(Intermediary Case)가 구비된 타입의 모니터에 대해서는 적용이 매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모니터로써, 시판되고 있는 제품의 예로는, 본원인인 삼성전자주식회사의 17인치형 모니터(모델명: Syncmaster 17GLSi 및 Syncmaster 17GLi 등)를 들 수 있으며, 도 3에 그 개략적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에서, 중간케이스(151)는, 프론트케이스(152)와 리어케이스(153)의 사이에 설치되어,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154)의 무게를 분산지지하여 모니터 케이스의 휨(Sagging)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프론트케이스(152) 및 리어케이스(153)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가 부여됨으로써 모니터의 디자인적인 면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컬러밴드(Color Band)'로도 불리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모니터에 마이크를 내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마이크 장착부가 프론트케이스(152) 와 중간케이스(15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장착 공간 확보가 용이하지 않고, 중간케이스(151)가 스크류 나사의 체결시 방해가 되는 것을 피할 수가 없다. 따라서, 마이크의 장착과 탈거가 극도로 어렵지만, 현재까지 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된 바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의 사이에 중간케이스가 구비되며,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 장착시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마이크의 착탈이 용이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태양에 의하면, 마이크구멍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마이크구멍과 대응된 소정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중간케이스; 및 전방부가 상기 마이크구멍을 향하도록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구멍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냅부를 구비한 마이크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기 구멍 주위를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 내벽의 복수개소로 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이를 안내하고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한 태양에 의하면, 마이크구멍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상기 마이크구멍 주위를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 및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자체의 일부는 상기 리브 내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리브 내벽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냅부를 구비한 마이크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의 상기 스냅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 내벽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 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를 상기 리브 내에 삽입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게 된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사이에 중간케이스가 구비된 타입의 모니터에 적용되어 마이크를 쉽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마이크가 장착된 홀더를, 이 홀더에 형성된 전술한 스냅부를 이용하여, 프론트케이스의 마이크구멍 주위에 형성된 리브 내벽 또는 중간케이스의 구멍 주위에 형성된 리브 내벽에 대해 탄성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의 착탈이 간편하고, 견고한 체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된 종래의 모니터 외관을 도시하는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모니터의 프론트케이스 후방에 마이크가 장착되는 종래의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 분해사시도.
도 3은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의 사이에 중간케이스가 삽입되는 타입의 모니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A 및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요부발췌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 마이크 고정 홀더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마이크 고정 홀더를 전방으로 부터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마이크 고정 홀더가 프론트케이스 및 중간케이스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케이스
2 : 중간케이스
3 : 마이크구멍
4 : 구멍
5 : 마이크
11 : 마이크 고정 홀더
13a, 13b : 스냅부
본 고안의 다른 특징과 효과는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도 4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론트케이스(1)와 리어케이스(도시되지 않음 - 도 3 참조)의 사이에 중간케이스(2)가 삽입되는 타입의 모니터에 적용된다.
전술한 프론트케이스(1)의 상부 소정 위치에, 프론트케이스(1)를 관통하도록 마이크구멍(3)이 형성되고, 이 마이크구멍(3)과 대응되는 위치의 전술한 중간케이스(2)에는 구멍(4)이 형성된다. 마이크(5)는, 중간케이스(2)에 형성된 구멍(4)을 관통하여 마이크(5)의 전방부가 전술한 마이크구멍(3)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위와 같이 마이크(5)를 프론트케이스(1)에 대해 직접 장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마이크 고정 홀더(11)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이 마이크 고정 홀더(11)는 내부에 마이크(5)를 수용한 상태로 전술한 중간케이스(2)의 구멍(4)을 관통하며 구멍(4)과 체결된다.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상세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5)의 전방부(음성 또는 음향 입력원을 향하는 부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이크(5)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12)와, 이 몸체(12)에 형성되어 몸체(12)를 구멍(4)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냅부(13a, 13b)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 고정 홀더(11)는 마이크(5)를 직접 안착 수용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마이크(5)가 탄성재질의 보호부재 (14) 내부에 안착되고, 이 보호부재(14)가 전술한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몸체(12) 내부에 압입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도, 마이크(5)의 전방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은 당연하다.
스냅부(13a, 13b)는, 몸체(12)의 일측 부위와 일체로 결합되고, 타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몸체(12)로 부터 점차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는다. 그리고, 이 스냅부(13a, 13b)의 단부에는 걸림턱(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12)의 마이크(5)가 수용된 측과의 반대측 중앙부에는, 마이크(5)와 PC본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의 음성입력부(도시되지 않음)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선(31)이 몸체(12)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멍(15)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모니터에 장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다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 4B는, 도 4A의 요부 발췌도이다.
중간케이스(2)의 구멍(4) 주위를 따라 리브(6)가 돌출 형성되고, 이 리브(6)의 내벽 복수개소로 부터 가이드부(7a, 7b, 7c, 7d)가 돌출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7a, 7b, 7c, 7d)는, 리브(6)의 상부 내벽의 소정 간격을 갖는 2개소로 부터 돌출된 한쌍의 상부 가이드부(7a, 7b)와 하부 내벽의 소정 간격을 갖는 2개소로 부터 돌출된 또 한쌍의 하부 가이드부(7c, 7d)로 이루어지며, 상부 가이드부(7a, 7b)의 단부와 하부 가이드부(7c, 7d)의 단부 사이에는 소정 간격의 틈새가 형성된 형상으로 된다. 이 가이드부(7a, 7b, 7c, 7d)는 전술한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구멍(4)으로 삽입할 때, 이를 안내하고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스냅부(13a, 13b)가 상부 가이드부(7a, 7b) 및 하부 가이드부(7c, 7d) 사이의 틈새에 끼워진 채 안내된다. 따라서, 이 틈새의 폭은, 스냅부(13a, 13b)의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상부 가이드부(7a, 7b)의 내측에 또 한쌍의 리브(8a, 8b)가 형성되는 데, 이 리브(8a, 8b)는 마이크 고정 홀더(11) 삽입 시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몸체(12)와 밀착되면서, 이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프론트케이스(1)의 마이크구멍(3) 주위를 따라 리브(9)가 돌출 형성되고, 이 리브(9)의 내벽 복수개소로 부터 가이드부(10a, 10b)가 돌출 형성된다. 이 가이브부(10a, 10b) 역시, 전술한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중간케이스(2)의 구멍(4)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이의 유동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7은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정위치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중간케이스(2)의 구멍(4)을 관통하여 삽입함에 따라, 스냅부(13a, 13b)가 리브(6)의 내벽에 닿아 스냅부(13a, 13b)의 경사각이 좁혀지게 된다. 이윽고, 스냅부(13a, 13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a, 14b)이 구멍(4)을 빠져나오게 되는 정도까지 삽입되면, 이 걸림턱(14a, 14b)이 구멍(4)의 턱에 걸리게 되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구멍(4)으로 부터 뽑혀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이 상태는 마이크 고정 홀더(11)내에 안착된 마이크(5) 전방부가 프론트케이스(1)의 마이크구멍(3)과 맞닿는 정도의 상태이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정위치에 완전히 장착되게 되면, 마이크(5)의 전방부가 마이크구멍(3)을 향해 노출됨에 따라, 음성 또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게 되고, 프론트케이스(1)에 형성된 리브(9) 및 중간케이스(2)에 형성된 리브(6)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고 견고한 체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어떠한 이유에서건,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리브(6)의 바깥으로 노출된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스냅부(13a, 13b)에 압력을 가해 오므림으로써, 전술한 걸림턱(14a, 14b)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이 후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길이와 폭, 프론트케이스(1)와 중간케이스(2)의 간격 및 구멍(4)의 직경 등은, 상호 간의 관계가 유지되는 범위내에서,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데, 본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간케이스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모니터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마이크 고정 홀더의 형상과 구조는 상술한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한다.
프론트케이스(20)의 마이크구멍(21) 주위에 리브(22)가 돌출 형성되며, 마이크 고정 홀더(11)는 이 리브(22) 내에 삽입 수용된다. 스냅부(13a, 13b)의 걸림턱(14a, 14b) 위치와 대응되는 리브(22) 내벽 상의 소정 위치에는, 걸림홈(23a, 23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장착하기 위해,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리브(22) 내로 삽입하게 되면, 스냅부(13a, 13b)가 리브(22) 내벽에 닿아 스냅부(13a, 13b)의 경사각이 좁혀지게 된다. 계속 삽입하게 되면, 스냅부(13a, 13b)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14a, 14b)이 전술한 걸림홈(23a, 23b)에 걸리게 되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리브(22)로 부터 뽑혀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또한 이 상태는 마이크 고정 홀더(11)내에 안착된 마이크 전방부가 프론트케이스(20)의 마이크구멍(21)과 맞닿는 정도의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이크 고정 홀더(11)가 정위치에 완전히 장착되게 되면, 마이크의 전방부가 마이크구멍(21)을 향해 노출됨에 따라, 음성 또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 고정 홀더(11)를 탈거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리브(22)의 바깥으로 노출된 마이크 고정 홀더(11)의 스냅부(13a, 13b)에 압력을 가해 오므림으로써, 전술한 걸림턱(14a, 14b)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킨 후, 빼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프론트케이스와 리어케이스 사이에 중간케이스가 구비된 타입의 모니터에 적용되어 마이크를 쉽게 착탈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내부에 마이크가 장착된 홀더를, 이 홀더에 형성된 스냅부를 이용하여, 프론트케이스의 마이크구멍 주위에 형성된 리브 내벽 또는 중간케이스의 구멍 주위에 형성된 리브 내벽에 대해 탄성적으로 체결할 수 있으므로, 마이크의 착탈이 간편하고, 견고한 체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7)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구멍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상기 리어케이스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마이크구멍과 대응된 소정 위치에 구멍이 형성된 중간케이스; 및
    전방부가 상기 마이크구멍을 향하도록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구멍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냅부를 구비한 마이크 고정 홀더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케이스의 상기 구멍 주위를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와, 상기 리브 내벽의 복수개소로 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가 상기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될 때 이를 안내하고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상기 마이크구멍 주위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의 상기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리브와, 상기 리브 내벽의 복수개소로 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의 상기 스냅부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를 상기 중간케이스의 구멍을 통해 삽입하면 상기 걸림턱이 상기 구멍의 턱에 걸려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마이크구멍이 형성된 프론트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와 결합되는 리어케이스;
    상기 프론트케이스의 상기 마이크구멍 주위를 따라 돌출 형성된 리브; 및
    상기 마이크의 적어도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며 자체의 일부는 상기 리브 내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리브 내벽에 대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냅부를 구비한 마이크 고정 홀더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의 상기 스냅부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 내벽의 상기 걸림턱과 대응 되는 위치에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마이크 고정 홀더를 상기 리브 내에 삽입할 때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960063615U 1996-12-30 1996-12-30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1425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15U KR200142516Y1 (ko) 1996-12-30 1996-12-30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US09/001,001 US6134335A (en) 1996-12-30 1997-12-30 Display device with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15U KR200142516Y1 (ko) 1996-12-30 1996-12-30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444U true KR19980050444U (ko) 1998-10-07
KR200142516Y1 KR200142516Y1 (ko) 1999-06-01

Family

ID=1948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615U KR200142516Y1 (ko) 1996-12-30 1996-12-30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34335A (ko)
KR (1) KR2001425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428A (ko) *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50026250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닛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312B2 (en) * 2000-07-31 2007-06-19 Panaseca,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viewing of computer monitors to minimize eyestrain
US6592223B1 (en) * 1999-10-07 2003-07-15 Panaseca,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viewing of computer monitors to minimize eyestrain
JP2001331195A (ja) * 2000-05-19 2001-11-30 Sony Corp 車載機器、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モニタ装置
KR100350422B1 (ko) * 2000-12-27 2002-08-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030033153A1 (en) * 2001-08-08 2003-02-13 Apple Computer, Inc. Microphone elements for a computing system
TWM241958U (en) * 2003-09-09 2004-08-21 Tatung Co Detachable fixing seat for electronic device
EP1626612A3 (en) * 2004-08-11 2009-05-06 Sonion Nederland B.V. Hearing aid microphon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AU2005282632A1 (en) * 2004-09-03 2006-03-16 Panaseca, Inc. Vision center kiosk
CN100499971C (zh) * 2005-11-04 2009-06-10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平面显示器
US9430002B2 (en) * 2013-01-2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160076181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EP4354253A1 (en) * 2021-08-23 202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ir vent ho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3011A (en) * 1995-04-03 1997-03-18 Apple Computer, Inc. Microphone assembly mounted to a bezel which frames a monitor screen of a compu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4428A (ko) * 2013-01-21 2014-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50026250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닛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2516Y1 (ko) 1999-06-01
US6134335A (en) 200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2516Y1 (ko) 마이크가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US5590209A (en) Mount for supporting a microphone on a helmet
EP0953862A3 (en) Apparatus for installing eyeglass lens
WO1997045765A1 (en) Method and kit for attaching side shields to eyeglass temples
US6678152B2 (en) Assembly in a displaying apparatus
US4593227A (en) Cathode ray tube mounting means
US7614132B2 (en) Connector reveal
JP2001069381A (ja) 監視カメラ用レンズカバー
KR100312489B1 (ko) 모니터의 동작부 덮개장치
CN218165082U (zh) 一种spa浴缸转角板及浴缸
KR0139547Y1 (ko) 멀티식 모니터의 마이크고정장치
JP5200467B2 (ja) 表示装置
KR200239036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마이크장착장치
KR960006404Y1 (ko) 컴퓨터 본체케비넷의 카드홀더 고정장치
KR200172455Y1 (ko) 바홀더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악세사리바를 가진 디스플레이모니터
KR100208764B1 (ko) 전화기 연결 박스 구조
KR920004455Y1 (ko) 전면판넬의 액정표시장치
KR200168708Y1 (ko) 칼라밴드에 콘덴서마이크를 가진 lcd 모니터
KR0133707Y1 (ko) 스피커의 메탈그릴 취부장치
KR19990024777U (ko) 텔레비전의 스피커 결합구조
KR0124871Y1 (ko) 스피커 고정장치
KR0116655Y1 (ko) 텔레비젼 케이싱 틈새 방지장치
KR940000917Y1 (ko) 대형 tv의 스피커 고정구조
JPS6137022Y2 (ko)
KR19980059862U (ko) 통신기기용 셀프의 인레이라벨 실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