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0274A - Car window lock - Google Patents

Car window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0274A
KR19980050274A KR1019960069074A KR19960069074A KR19980050274A KR 19980050274 A KR19980050274 A KR 19980050274A KR 1019960069074 A KR1019960069074 A KR 1019960069074A KR 19960069074 A KR19960069074 A KR 19960069074A KR 19980050274 A KR19980050274 A KR 19980050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oor
ignition key
switch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0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0274A/en
Publication of KR1998005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274A/en

Link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전원(B+)을 단자(W),(D)로 절환하는 도어개폐스위치(10)와, 그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D)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회로(20)와, 상기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W)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동작되는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와,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스위치(S10-S40)와, 그 윈도우 스위치(S10-S40) 또는 상기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의하여 구동되어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모터(M10-M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뭉치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고 하차한 후에 자동차 윈도우가 열려있는 경우 이그니션 키를 이그니션 키 뭉치에 다시 넣지 않고 도어 잠금용 키 뭉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윈도우를 잠글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locking device for an automobile, wherein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for switching the battery power source B + to terminals W and D, and the terminal D of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It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door control circuit 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according to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witch 10.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window lock relay RY, the window switches S10-S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he window switches S10-S40 or the window lock relay RY. It is driven by the includes a window motor (M10-M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can lock the car window by using the door lock key bundle without re-inserting the ignition key into the ignition key bundle when the driver opens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and then disengages the ignition key bundle.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Window lock of the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뭉치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고 하차한 후에 자동차 윈도우가 열려있는 경우, 이그니션 키를 이그니션 키 뭉치에 다시 넣지 않고 도어 잠금용 키 뭉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윈도우를 잠글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에 관한 것 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ow locking device of a vehicle, and in particular, when the driver's car window is opened after removing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and getting off, the key lock for the door lock is used without re-inserting the ignition key into the ignition key bundle. It is about a car's window lock that allows you to lock your car window.

종래의 자동차 윈도우 제어를 위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와, 이그니션 키의 위치에 따라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절환하는 이그니션 스위치(2)와, 그 이그니션 스위치(2)의 단자(IG1)와 연결되는 에어콘/전동휀(3)과,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2)의 단자(IG2)와 연결되는 종합콘트롤 유니트(4)와,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2)의 단자(ST)와 연결되는 전자제어장치(5)와, 그 전자제어장치(5)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윈도우 릴레이(6)와, 그 파워윈도우 릴레이(6)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을 절환하고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스위치(S1-S4)와, 그 윈도우 스위치(S1-S4)를 통하여 공급된 전원에 따라 각각의 윈도우를 구동하기 위한 윈도우 모터(M1-M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vehicle window control apparatus includes a battery 1, an ignition switch 2 for switching the power of the battery 1 according to a position of an ignition key, and an ignition switch ( 2) the air conditioner / motor drive 3 connected to the terminal IG1,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 connected to the terminal IG2 of the ignition switch 2, and the terminal of the ignition switch 2; An electronic controller 5 connected to the ST, a power window relay 6 for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1 in accordance with a signal appli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ler 5, and the power window relay 6 Window switch S1-S4 for switch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window and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and window motor M1 for driving each window according to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window switches S1-S4. -M4).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그니션 키 뭉치(2a)와, 그 이그니션 키 뭉치(2a)에 형성된 이그니션 키 홀더(2b)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ignition switch 2 includes an ignition key bundle 2a and an ignition key holder 2b formed on the ignition key bundle 2a.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윈도우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그니션 키가 이그니션 스위치(2)의 단자(IG2) 위치에 있을 때 종합콘트롤 유니트(4)는 소정의 제어신호를 파워윈도우 릴레이(6)에 인가한다. 그러므로, 파워윈도우 릴레이(6)의 접점이 턴온되고 이에 따라 파워윈도우 릴레이(6)를 통하여 배터리(1)의 전원이 윈도우 스위치(S1-S4)에 공급된다.In the apparatus for vehicle window contro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gnition key is located at the terminal IG2 of the ignition switch 2, the integrated control unit 4 appli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the power window relay 6. . Therefore, the contact of the power window relay 6 is turned on and thus the power of the battery 1 is supplied to the window switches S1-S4 via the power window relay 6.

이때, 운전자가 윈도우 스위치(S1-S4)를 절환시킴에 따라 배터리(1)의 전원이 윈도우 모터(M1-M4)에 공급되어 해당 윈도우가 개폐된다.At this time, as the driver switches the window switches S1-S4, the power of the battery 1 is supplied to the window motors M1-M4 to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window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윈도우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자동차 윈도우를 열어 놓은 상태로 이그니션 키 뭉치(2a)로부터 이그니션 키를 뽑아 하차하면, 자동차 윈도우를 닫기 위하여 이그니션 키를 이그니션 키 뭉치(2a)에 다시 삽입하여 이그니션 스위치(2)의 단자(IG2)쪽으로 돌린 후 윈도우 스위치(S1-S4)를 이용하여 윈도우를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window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pulls out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2a with the car window open, the ignition key is replaced by the ignition key bundle ( 2a) was inserted into the terminal IG2 of the ignition switch 2, and then the window was closed by using the window switches S1-S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 도어의 도어 키 뭉치에 윈도우 잠금용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뭉치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고 하차한 후에 자동차 윈도우가 열려있는 경우 이그니션 키를 이그니션 키 뭉치에 다시 넣지 않고 도어 잠금용 키 뭉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윈도우를 잠글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inconvenienc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locking the window in the door key bundle of the driver's door, the driver when the car window is opened after the driver pulls out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It provides a car window lock that allows the car window to be locked using a key lock for the door without putting the key back into the ignition key bun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을 소정의 단자들로 절환하는 도어개폐스위치와, 그 도어개폐스위치의 일측 단자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회로와, 상기 도어개폐스위치의 타측 단자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에 따라 동작되는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와,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스위치와, 그 윈도우 스위치 또는 상기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어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모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or opening and closing switch for switching the battery power to predetermined terminals, and a door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ar door in accordance with the battery power supplied through one terminal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witch; And a window lock relay operated according to battery power supplied through the other terminal of the door open / close switc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and a battery switch supplied through the window switch or the window lock rela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riven by a window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윈도우 제어를 위한 장치의 배선도.1 is a wiring diagram of a device for conventional vehicle window control.

도 2는 일반적인 이그니션 키 뭉치를 표시한 도.Figure 2 shows a typical bundle of ignition key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의 배선도.3 is a wiring diagram of a window lock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자동차 도어의 개략도.4 is a schematic view of a car do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도어개폐스위치 10a : 도어 키 뭉치10: door open / close switch 10a: door key bundle

20 : 도어제어회로 30 : 자동차 운전석 도어20: door control circuit 30: car driver's seat door

RY :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 S10-S40 : 윈도우 스위치RY: Window lock relay S10-S40: Window switch

M10-M40 : 윈도우 모터M10-M40: Window Mot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원(B+)을 단자(W),(D)로 절환하는 도어개폐스위치(10)와, 그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D)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회로(20)와, 상기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W)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배터리 전원(B+)을 절환하는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와, 배터리 전원(B+)을 절환하여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스위치(S10-S40)와, 그 윈도우 스위치(S10-S40) 또는 상기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의하여 구동되어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모터(M10-M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 window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open / close switch 10 for switching a battery power B + to terminals W and D, and a door open / close switch 10 thereof. The door control circuit 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D) of the battery power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W)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switch ( A window lock relay RY for switching the battery power B + according to B +), a window switch S10-S40 for switching the battery power B +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and the window switch S10- S40 or a window motor (M10-M40) is driven by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window lock relay (RY)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여기서, 상기 윈도우 스위치(S10-S40) 및 윈도우 모터(M10-M40)는 각각 자동차 뒷쪽 좌/우 윈도우와 자동차 앞쪽 좌/우 윈도우에 해당된다.The window switches S10-S40 and the window motors M10-M40 correspond to the rear left / right window and the front left / right window of the vehicle, respectively.

상기 도어개폐스위치(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석 도어(30)의 도어 키 뭉치(10a)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is formed on the door key bundle 10a of the driver's seat door 30 of the vehic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window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자동차가 시동중이거나 또는 이그니션 키가 이그니션 키 뭉치(2a)의 단자(IG2) 위치에 꽂혀 있을 경우,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윈도우 스위치(S10-S40)를 이용하여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킨다.First, when the vehicle is being started or the ignition key is plugged in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IG2 of the ignition key bundle 2a, the corresponding window is opened and closed using the window switches S10 to S40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related art.

한편,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뭉치(2a)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고 하차한 후에 자동차 윈도우가 열려있는 경우, 이그니션 키를 도어 키 뭉치(10a)에 꽂아 단자(D)쪽으로 돌려 자동차 도어를 닫고, 이어서 이그니션 키를 단자(W)쪽으로 돌린다.On the other hand, if the driver's car window is open after removing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2a and getting off, insert the ignition key into the door key bundle 10a and turn it toward the terminal D to close the car door, and then the ignition key. To the terminal (W).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B+)이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에 공급되어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의 접점이 턴온되고, 아울러 배터리 전원(B+)이 윈도우 모터(M10-M40)에 공급된다.Accordingly, the battery power B + is supplied to the window locking relay RY so that the contact point of the window locking relay RY is turned on, and the battery power B + is supplied to the window motors M10-M40.

그러므로, 윈도우 모터(M10-M40)이 구동되어 윈도우 스위치(S10-S40)의 작동없이 전체 윈도우가 닫혀질 수 있다.Therefore, the window motors M10-M40 are driven to close the entire window without the operation of the window switches S10-S4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석 도어의 도어 키 뭉치에 윈도우 잠금용 단자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자가 이그니션 키 뭉치에서 이그니션 키를 뽑고 하차한 후에 자동차 윈도우가 열려있는 경우 이그니션 키를 이그니션 키 뭉치에 다시 넣지 않고 도어 잠금용 키 뭉치를 이용하여 자동차 윈도우를 잠글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erminal for locking a window in the door key bundle of the driver's door, so that when the driver pulls out the ignition key from the ignition key bundle and gets off, the ignition key is not put back into the ignition key bundle. It has the effect of locking the car window by using the key lock for the door lock.

Claims (2)

배터리 전원(B+)을 단자(W),(D)로 절환하는 도어개폐스위치(10)와, 그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D)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제어회로(20)와, 상기 도어개폐스위치(10)의 단자(W)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따라 동작되는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와,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스위치(S10-S40)와, 그 윈도우 스위치(S10-S40) 또는 상기 윈도우 잠금용 릴레이(RY)를 통하여 공급된 배터리 전원(B+)에 의하여 구동되어 해당 윈도우를 개폐시키기 위한 윈도우 모터(M10-M40)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The vehicle door according to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for switching the battery power source B + to the terminals W and D, and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D of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The door control circuit 20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indow, the window locking relay RY operated according to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terminal W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switch 10, and the corresponding window. A window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indow by being driven by the window switch S10-S40 for opening and closing, and the battery power B + supplied through the window switch S10-S40 or the window lock relay RY. Window lock of the car, consisting of (M10-M4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스위치(10)는 자동차 운전석 도어(30)의 도어 키 뭉치(10a)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잠금 장치.The window lock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oor open / close switch (10) is formed on a door key bundle (10a) of the driver's seat door (30).
KR1019960069074A 1996-12-20 1996-12-20 Car window lock KR1998005027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74A KR19980050274A (en) 1996-12-20 1996-12-20 Car window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74A KR19980050274A (en) 1996-12-20 1996-12-20 Car window lo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74A true KR19980050274A (en) 1998-09-15

Family

ID=66383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074A KR19980050274A (en) 1996-12-20 1996-12-20 Car window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027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0274A (en) Car window lock
KR930002982Y1 (en) Lock circuit of car door
KR0135570B1 (en) Window locking apparatus of a car
JP2527501Y2 (en) Control device for power window for back door
KR100235027B1 (en) Working circuit of sunroof for automobile
KR19980037050U (en) Vehicle power window control circuit
KR200155428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ning of window for a vehicle
KR970010999B1 (en) Power-window controlling apparatus
KR950005606Y1 (en) Power window of car
KR200153059Y1 (en) Power window apparatus for a car
KR0178911B1 (en) Power window auto closing device of vehicle
KR19980023655A (en) Vehicle window one-touch open device
KR100190397B1 (en) Apparatus of locking speed changing lever of a car
KR100443995B1 (en) Door glass on-off controller in a car
KR200171657Y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window for a car
KR19980048727U (en) Start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KR19980058583A (en) Vehicle power window automatic locking device
KR19990021361U (en) Vehicle window closing device
KR19990039634U (en) Power Window Auto Lock
KR19980062159A (en) Vehicle power window drive
KR19980021901U (en) Automotive Power Window Control System
KR19990040106A (en) Window closed circuit when vehicle is parked
KR19980014013A (en) Power window of a vehicle with automatic closing function
KR19980053716U (en) Power Window Control
KR19990052029A (en) Window switchgear using door k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