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765A -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765A
KR19980049765A KR1019960068514A KR19960068514A KR19980049765A KR 19980049765 A KR19980049765 A KR 19980049765A KR 1019960068514 A KR1019960068514 A KR 1019960068514A KR 19960068514 A KR19960068514 A KR 19960068514A KR 19980049765 A KR19980049765 A KR 1998004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et
planetary gear
simple planetary
gear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훈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6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765A/ko
Priority to EP97113982A priority patent/EP0826903A3/en
Priority to CA002212922A priority patent/CA2212922A1/en
Priority to AU34240/97A priority patent/AU3424097A/en
Priority to JP9232153A priority patent/JPH1089423A/ja
Publication of KR1998004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62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 F16H3/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 F16H3/666Gearings having three or more central gears composed of a number of gear trains without drive passing from one train to another with compound planetary gear units, e.g. two intermeshing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3/44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comprising two or more sets of orbital gears arranged in a singl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03/44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without permanent connection between the input and the set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 F16H2057/02047Automatic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08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specially adapted for front-wheel-drive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4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four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02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 F16H2200/2007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ets of orbital gears with two sets of orbital ge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20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 F16H2200/20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 F16H2200/2043Transmissions using gears with orbital motion characterised by the engaging friction means not of the freewheel type, e.g. friction clutches or brakes with five engag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2개의 유성기어셋트가 반경방향으로 조합되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를 적용함으로써, 전장이 매우 짧은 자동 변속기의 설계가 가능하여 횡치 전륜 구동차량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할 목적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외측에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가 둘러 쌓여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로도 작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조합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되, 이들 작동요소 중 어느 2개의 요소를 하나로 묶어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며, 이들 작동요소 중 각 변속단에서 적어도 2개의 요소가 입력 및 반력요소로 각각 선택되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 동력을 전진4속 및 후진1 속의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복합 유성기어셋트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요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용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브레이크 수단과; 를 포함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본 발명은 차량용 4속 자등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유성기어셋트가 반경방향으로 조합되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를 적용함으로써, 전장이 매우 짧은 자동 변속기의 설계가 가능하여 횡치 전륜 구동차량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자동 변속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속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은 기어 트레인에 설치된 다수개의 마찰요소들을 작동 또는 비작동 상태로 제어하여 유성기어 셋트의 3요소(선기어, 링기어, 유성 캐리어)중 어느 요소를 입력요소로 하고, 다른 요소를 반력요소로 선택하여 출력단 회전수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자동 변속장치로 사용되는 복합 유성기어 장치로는 라비뉴 타입과, 심프슨 타입, 그리고 2심프슨 타입의 유성기어장치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장치는 차량의 변속수단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유성 캐리어가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거나, 선기어를 공용으로 하고 유성 캐리어와 링기어가 직결되는 구조를 갖거나, 유성 캐리어와 링기어가 상호간 직결되는 구조 즉, 2개의 유성기어 셋트가 축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변속기에 있어서는 축방향으로의 길이가 길어져 변속기의 전장이 길어지기 때문에 특히 횡치 전륜 구동형 자동변속기의 경우 탑재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여 설계시 이의 전장 단축을 위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유성기어셋트가 반경방향으로 조합되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를 적용함으로써, 전장이 매우 짧은 자동 변속기의 설계가 가능하여 횡치 전륜 구동차량에 적용이 용이하도록 한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외측에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가 둘러 쌓여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로도 작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조합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되, 이들 작동요소 중 어느 2개의 요소를 하나로 묵어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며, 이들 작동요소 중 각 변속단에서 적어도 2개의 요소가 입력 및 반력요소로 각각 선택되어 입력축으로부터 입력되는 회전 동력을 전진4속 및 후진1 속의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요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과 입력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수단과;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요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브레이크 수단과; 를 포함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호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과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호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입력 및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여 입력 및 반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 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와,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륵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 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l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성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한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어 기어 전동수단으로 복합 유성기어셋트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제1,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유성 캐리어,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와,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유성 캐리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선택적으로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 및 선기어로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 각각에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 그리고 제2 단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싱 캐리어와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각 변속단별 마찰요소의 작동표.
도 3은 제1 실시예의 작동을 레버 해석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7은 제4 실시예의 각 변속단별 마찰요소의 작동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7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8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9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0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4는 제10 실시예의 각 변속단별 마찰요소의 작동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1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2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3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제14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5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엔진(2)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토오크 컨버터(4)를 통해 토오크 변환이 이루어져 복합 유성기어 셋트로 이루어지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6)로 입력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는 다수의 클러치(8)(10)(12)로 이루어지는 클러치 수단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입력이 이루어지고, 다수의 브레이크(14)(16)로 이루어지는 브레이크 수단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전진 3속을 제외한 모든 운전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요소가 반력요소로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엔진(2)으로부터 발생되는 토오크를 변환시키는 토오크 컨버터(4)는 엔진(2)의 크랭크축에 직결되어 회전하는 펌프 임펠러(18)와; 이 펌프 임펠러(18)와 대향 배치되어 분출되는 오일에 의하여 함께 회전하는 터어빈 런너(20)와; 이들 펌프 임펠러(18)와 터어빈 런너(20) 사이에 배치되어 오일의 흐름을 바꾸어주어 펌프 임펠러(18)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주는 스테이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엔진이 회전을 하면 상기 토오크 컨버터(4)내에 충진된 오일이 펌프 임펠러(18)에서 분출되어 터어빈 런너(20)로 공급되면서 터어빈 런너(20)를 구동시킨 다음 스테이터(22)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22)로 유입된 오일은 그 방향을 바꾸어 다시 펌프 임펠러(18)로 유입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스테이터(22)의 회전에 의하여 스테이터(22)가 분담하는 터어빈 런너(20)의 회전력과 펌프 임펠러(18)의 회전력과의 사이에 차이가 생겨 토오크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토오크 컨버터(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6)는 상기 토오크 컨버티(4)의 터어빈 런너(18)에 연결되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출력축(26)에 배치된다.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는 반경방향으로 조합되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 외측에 또 다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가 둘러 쌓여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선기어로도 작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과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며, 제3 클러치(12)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과 입력축(18)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2, 3 클러치(8)(10)(12)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요소들이 입력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재(40)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과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는 출력축(26)과 연결되어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의 출력축 선단에는 출력기어(46)이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상호 연결부재(40)로서 연결하여 나머지 작동요소와 함께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들 작동요소들을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클러치 업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클러치 수단을 형성하는 제1, 2, 3 클러치(8)(10)(12)는 다판 클러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2 브레이크(14)(16)는 통상의 밴드 브레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어트레인은 도 2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의 작동요소표와 도 3의 레버 해석표를 보면서 변속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레버방식으로 해석하기 위하여는 레버(L)상의 제1노드(N1)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선기어를 겸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 제2노드(N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제3노드(N3)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 제4노드(N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6)로 설정됨을 전제한다.
상기 노드에 대한 요소는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조합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이에 관련되는 기술은 공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진 1속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제1속에서는 제1 클러치(8)과,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변속과정을 가시적으로 도 3을 보면서 살펴보면 제1노드(N1)로 입력되는 제1 입력 속도선(S1)과, 반력요소로 작용하는 제3노드(N3)를 연결하는 직선(L1)을 출력요소인 제2노드(N2)와 가장 가깝게 연결하는 선이 제1 속의 출력 속도선(D1)이 되는 것이다.
즉, 이는 입력 회전수 보다 출력 회전수가 아주 작이지게 되어 제1 속의 변속비로 감속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 속의 변속과정을 가시적으로 도 3을 보면서 살펴보면, 제1노드(N1)의 제1 입력 속도선(S1)과, 반력요소로 작용하는 제4노드(N4)를 연결하는 직선(L2)을 출력요소인 제2노드(N2)와 가장 가깝게 연결하는 선이 제3 속의 출력 속도 선(D2)이 되면서 제1속 보다는 빠른 속도로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에 의하여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3 속의 변속과정을 가시적으로 도 3을 보면서 살펴보면, 제1노드(N1)로 입력되는 제1 입력 속도선(S1)과, 또 다른 이력요소로 작용하는 제3노드(N3)의 제2 입력 속도선(S2)를 연결하는 직선(L3)을 출력요소인 제2노드(N2)와 가장 가깝게 연결하는 선이 제3 속의 출력 속도선(D3)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4 속의 변속과정을 가시적으로 도 3을 보면서 살펴보면, 제3노드(N3)로 제2 입력 속도선(S2)과, 반력요소로 작용하는 제4노드(N4)를 연결하는 직선(L4)을 출력요소인 제2노드(N2)와 연결하는 선이 제4 속의 출력 속도선(D4)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에서의 제4속은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시킨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2)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3에서와 같이, 제4노드(N4)의 제3 입력 속도선(S3)과, 반력요소로 작용하는 제3노드(N3)를 연결하는 직선(L5)을 출력요소인 제2노드(N2)와 가장 가깝게 연결하는 선이 후진 출력 속도선(R)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2 단순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하고, 각 작동요소의 클러치 업을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즉, 복합 유성기어 셋트(6)를 상기 토오크 컨버터(4)의 터어빈 런너(20)에 연결되는 입력축(24)의 후측에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에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일체로 형성된 동력전달부재(48)과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제3 클러치(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8)(44)(32)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2 클러치(10)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연결된다는 것은 이에 연결부재(40)로서 연결되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과 통시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에는 후단부에 출력기어(46)가 장착되는 출력축(26)이 연결되어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2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반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의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2 단순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를 상호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하되, 그 말단부를 출력축(26)과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며, 각 작동요소의 클러치 업을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며, 제3 클러치(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입력축(26)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2)(36)(38)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3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2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반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제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를 연결부재(40)로서 연결하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 및 링기어(36)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2 클러치(8)(10)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요소들이 선택적 또는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4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입력요소가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과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에 의하여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제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D)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를 연결부재(40)로서 연결하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을 연결하는 연결부재(40)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8)(40)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4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4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으로 입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우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와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6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2 단순 유성기어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34)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하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3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2)(34)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입력 및 반력요소로 작용할 때에는 이에 연결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 또한 연동된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과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4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6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과,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으로 입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양 유성 캐리어(44)(34)가 상호 연결되어 있는 바, 함께 연동되면서 입력요소가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제 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7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하고, 이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2)(44)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재(4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7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선기어(38)와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으로 입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l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제 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과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8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하고, 이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의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과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2 클러치(8)(10)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요소들이 선택적 또는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변속기 하우징(4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입력요소가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에 의하여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9 실시예의 기어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하고,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돠는 동력전달 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3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2)(34)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4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2 클러치(10)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10)의 유성 캐리어(34) 사이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9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선기어(38) 및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으로 입력요소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한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하여 입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였으며,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6)는 입력축(24)과 동일선상으로 배치되는 동력전달부재(48)상에 배치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14)의 링기어(36)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에서 제2 클러치(10)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연결된다는 것은 이에 연결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과 동시에 연결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2, 3 클러치(8)(10)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요소들이 선택적 또는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과 변속기 하우징(40)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고, 제3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과 변속기 하우징(42)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0 실시예의 기어트레인은 도 14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2)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의하여 입력이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2)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1 클러치(8)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1 클러치(8)에 의하여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2 클러치(10)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4)의 작동으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되며, 이의 제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3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 클러치(8)의 작동으로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3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의한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상기 제1 내지 10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동일선상으로 배치하였으나, 본 제11 실시예에서는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상호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클러치 훅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를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되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 및 링기어(32)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40)와 함께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게 되며,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의 링기어(32),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34)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상기 입력축(24)과 상호 제1, 2 기어(50)(52)를 개재시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연결된 동력 전달부재(48)와 제1 기어(50)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제2 기어(52)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제3 클러치(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1 기어(50)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2),(44)(36),(38)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 단순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선기어(38)가 입력축(24)에 형성되는 제1 기어(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은 제1,3 클러치(8)(12)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이의 기어(50)와 기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1 실시예의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8)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와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반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의 제4속에서는 입력속도 보다 빠른 출력이 이루어지는 오버 드라이브 상태가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와 링기어(36)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의한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상기 제1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상호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클러치 훅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선기어(38)와 링기어(36)가 연결부재(40)로서 연결돠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및 링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과 함께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며,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캐리어(3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8)와 유성 캐리어(44)는 제1 기어(50)를 개재시켜 입력축(24)과 연결되고,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 및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는 제2 기어(52)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24)과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기어(42)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1 기어(42)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44)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3 클러치(12)는 제1 기어(50)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들이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3 클러치(12)가 제2 기어(52)와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 사이에 개재된다 함은 이의 링기어(36)가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연결되어 있는 바, 이의 선기어(38)에 전달되는 동력을 단속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는 그의 말단부에 출력기어(46)를 보유하는 출력축(26)이 연결되어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2 실시예는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반력요소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리서(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의한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상기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상호 평형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클러치 훅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선기어(38)와 링기어(36)가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되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및 링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함께 4개의 작동 요소를 보유하며,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캐리어(44)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는 제1 기어(50)를 개재시켜 입력축(24)과 연결되고,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제2 단순 유성 기어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는 제2 기어(52)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24)과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2 기어(52)의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선기어(38) 및 링기어(36)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기어(52)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3 클러치(12)는 제1 기어(50)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연결된 제2축(26)과 입력축(2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8)(36),(34),(44)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3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반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 (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제14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3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상호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클러치 훅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와 링기어(36)가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되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 및 링기어(32)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44)와 함께 4개의 작동 요소를 보유하며,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캐리어(44) 및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링기어(36)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셋트(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링기어(32),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가 상기 입력축(24)와 제1,2,3 기어(50)(52)(54) 연결로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연결되는 제1 기어(50) 사이에 개재되고, 제2 클러치(10)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6)와 제2 기어(52) 사이에 개재되며, 제3 클러치(12)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제3 기어(54)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38)(36)(32)가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4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와,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8)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와 링기어(36)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8)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반력요소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로 변환되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3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의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5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 구성도로서, 이는 상기 제14 실시예에서와 같이, 입력축(24)과 출력축(26)을 상호 평행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클러치 훅을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28)(30)의 유성 캐리어(44)와 선기어(38)가 연결부재(40)로서 상호 연결되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 및 링기어(32)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과 함께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며,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30)의 유성캐리어(34) 및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에 출력축(26)을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40)는 제1 기어(50)를 개재시켜 입력축(24)과 연결되고,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34)는 제2 기어(52)에 의하여 상기 입력축(24)과 연결되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는 제3 기어(54)에 의하여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복합 유성기어 셋트(6)에 엔진(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으로 작용하는 제1 클러치(8)는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와 제1 기어(50) 사이에 개재되며, 제2 클러치(10)는 제2 기어(52)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48) 사이에 개재되고, 제3 클러치(10)는 제3 기어(54)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러치(8)(10)(12)들의 선택적인 작동으로 이에 연결되는 요소들이 선택적 또는 2개의 요소가 동시에 입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제1 브레이크(14)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며, 제2 브레이크(16)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와 변속기 하우징(4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요소들이 선택적인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4 실시예의 기어 트레인은 도 7의 마찰요소 작동표와 같이 마찰요소가 작동하면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진 1속에서는 제1 클러치(8)과, 제1 브레이크(14)가 작동 제어된다.
그러면 엔진(2)에 의하여 회전하는 입력축(24)의 동력은 제1 클러치(8)의 작동에 의하여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링기어(36)가 입력요소로 작용하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1 속의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하면 트랜스 제어 유닛에서는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시키게 된다.
제1속과 같은 입력의 상태에서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에 의하여 반력요소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2)로 이루어지면서 제2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2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증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서는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을 해제하고, 제2 클러치(10)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2 속의 입력의 상태에서 제2 클러치(10)의 작동에 따른 제2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어 2개의 입력요소로 갖게 되므로, 유성기어 셋트의 특성상 직결의 상태가 되면서 제3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3 속의 상태에서 차속과 스로틀 개도가 더욱 증대되면,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서는 제3속에서 작동하고 있던 제1 클러치(8)의 작동은 해제하고, 제2 브레이크(16)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1의 입력은 해제되고, 제2 브레이크(16)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8)가 반력요소로 작용하면서 제4 속의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후진을 위하여 셀렉터 레버를 후진 레인지(R)로 변환시키면, 트랜스 제어유닛에서는 제3 클러치(12)와 제1 브레이크(14)를 작동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제3 클러치(12)의 작동으로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링기어(38)를 통해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브레이크(14)의 작동에 의하여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유성 캐리어(44)가 반력요소로 작용하게 되면서 후진 변속이 이루어져 출력요소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28)의 선기어(38)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30)의 유성 캐리어(34)를 통해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2 내지 제15 실시예에 적용되는 클러치 수단을 형성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수단을 형성하는 브레이크들은 제1 실시예와 같이, 다판 클러치와 밸브 브레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경방향으로 조합되는 복합유성기어 셋트를 적응함으로써, 전장이 매우 짧은 자동변속기의 설계가 가능하여 횡치 전륜 구동차량에 적용이 매우 용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3)

  1.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외측에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가 둘러 쌓여져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로도 작용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조합하여 5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되, 이들 작동요소 중 어느 2개의 요소를 하나로 묶어 4개의 작동요소를 보유하며, 이들 작동요소 중 각 변속단에서 적어도 2개의 요소가 입력 및 반력요소로 각각 선택되어 입력축으로 부터 입력되는 회전 동력을 전진4속 및 후진1 속의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복합 유성기어 셋트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요소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클러치 수단과;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의 4개의 작동요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작동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이들 작동요소들이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작동하는 브레이크 수단과; 를 포함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동일축상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일체로 연결하여 하나의 작동요소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9.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의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의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6.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7.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의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8.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19.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제2축과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0.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1.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제2축과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2.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3.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제2축과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4. 청구항 1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를 겸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2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호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과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상호 연결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유성 캐리어,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7.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8.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29.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입력 및 반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0.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여 입력 및 반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 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와,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1.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토록 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 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와;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축과 출력축이 배치되어 기어 전동수단으로 복합 유성기어셋트에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기어 전동수단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기어와; 입력축과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기어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7. 청구항 35에 있어서, 기어 전동수단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재 및 유성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기어와; 입력축과,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기어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8. 청구항 35에 있어서, 기어 전동수단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기어와; 입력축과, 제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및 유성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기어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39. 청구항 35에 있어서, 기어 전동수단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기어와; 입력축과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기어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기어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0. 청구항 35에 있어서, 기어 전동수단은 입력축과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기어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기어와; 입력축과,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기어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1.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2.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2축과 제1 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1 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3.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제2축과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4.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 셋트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1 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1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2 클러치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3기어 사이에 개재되는 제3 클러치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5.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6.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7.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8.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1 브레이크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제2 브레이크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49.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제1, 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유성 캐리어,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와,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50.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유성 캐리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51.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 및 선기어로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변속기 하우징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52.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를 상호 연결하여 출력요소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상기 복합 유성기어셋트를 형성하는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선기어와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 각각에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 및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가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각각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로 배치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53. 청구항 1 또는 35에 있어서, 복합 유성기어셋트는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선기어와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캐리어를 상호 연결하고; 기어 전동수단은 제1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유성 캐리어 및 링기어, 그리고 제2 단순 유성기어셋트의 링기어와 입력축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입력축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로 이루어지며; 클러치 수단은 상기 제2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입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클러치로 이루어지고,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 단순 유성기어 셋트의 유성 캐리어와 링기어가 선택적으로 반력요소가 되도록 이들 각각의 요소와 입력축 사이에 개재되는 브레이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트레인.
KR1019960068514A 1996-08-30 1996-12-20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49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14A KR19980049765A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EP97113982A EP0826903A3 (en) 1996-08-30 1997-08-13 Gear train for a four-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CA002212922A CA2212922A1 (en) 1996-08-30 1997-08-13 Gear train for a four-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AU34240/97A AU3424097A (en) 1996-08-30 1997-08-18 Gear train for a four-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ed in vehicles
JP9232153A JPH1089423A (ja) 1996-08-30 1997-08-28 車両用4速自動変速機のギヤトレー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514A KR19980049765A (ko) 1996-12-20 1996-12-20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765A true KR19980049765A (ko) 1998-09-15

Family

ID=19489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514A KR19980049765A (ko) 1996-08-30 1996-12-20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26903A3 (ko)
JP (1) JPH1089423A (ko)
KR (1) KR19980049765A (ko)
AU (1) AU3424097A (ko)
CA (1) CA22129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96B1 (ko) * 2011-08-20 2013-08-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연속 가변식 자동변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382B4 (de) * 2005-03-23 2012-10-31 Zf Friedrichshafen Ag Mehrstufengetriebe
WO2012053142A1 (en) * 2010-10-21 2012-04-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DE102013225202B4 (de) * 2013-12-06 2019-01-10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3226480A1 (de) * 2013-12-18 2015-06-18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DE102016207445A1 (de) * 2016-04-29 2017-11-02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Antriebsstra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Getriebe
CN106801725B (zh) * 2017-03-03 2019-05-24 武汉理工大学 一种实现轴系快速正反转的机械装置
DE102017006266A1 (de) * 2017-07-01 2019-01-03 Daimler Ag Getriebevorrichtung für einen elektrischen Antrieb eines Kraftfahrzeugs, sowie elektrischer 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CN109986945B (zh) * 2017-12-29 2022-08-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驱动系统及车辆
CN109990060A (zh) * 2017-12-29 2019-07-0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变速器、动力驱动系统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8868A (en) * 1946-06-21 1949-08-09 Studebaker Corp Transmission
US4229996A (en) * 1978-12-06 1980-10-28 Ford Motor Company Compact four speed automatic transmission
US4224838A (en) * 1978-12-06 1980-09-30 Ford Motor Company Four speed ratio automatic transmission with compact gearing
JPS6293544A (ja) * 1985-10-17 1987-04-30 Nissan Motor Co Ltd 遊星歯車式変速機
US5342258A (en) * 1991-08-16 1994-08-30 Motion Sciences Inc. Combinational incrementally variable transmissions and other gearing arrangements allowing maximum kinematic degrees of freedom
US5429557A (en) * 1994-03-21 1995-07-04 Ford Motor Company Multiple-speed automatic transaxle for automotive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296B1 (ko) * 2011-08-20 2013-08-09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연속 가변식 자동변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6903A3 (en) 1998-04-01
AU3424097A (en) 1998-03-05
JPH1089423A (ja) 1998-04-07
CA2212922A1 (en) 1998-02-28
EP0826903A2 (en) 1998-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818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49765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815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814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817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17104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49898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62816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796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1710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10024989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62813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2254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62797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812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5658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819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22541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트레인
KR0162800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0026259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0162798B1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17001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16995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37699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KR19980037696A (ko) 차량용 4속 자동 변속기의 기어 트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