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591A - 자동차의 연료 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591A
KR19980049591A KR1019960068321A KR19960068321A KR19980049591A KR 19980049591 A KR19980049591 A KR 19980049591A KR 1019960068321 A KR1019960068321 A KR 1019960068321A KR 19960068321 A KR19960068321 A KR 19960068321A KR 19980049591 A KR19980049591 A KR 1998004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switching sensor
main bod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591A/ko
Publication of KR1998004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591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 내부에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차체가 한쪽으로 쏠리게 될 경우, 연료 경고등의 점등되거나 엔진이 정지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또한, 연료의 무효 잔량을 제거하고자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료 탱크(1)는 본체(1a)의 내부 공간이 가변 분리막(7)에 의해 2개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일측 공간은 가변 챔버(8)로 형성되고, 타측 공간에는 연료가 수납되며, 연료 펌프(2), 리저버 컵(3), 공급파이프(4), 플로트(5), 및 스위칭센서(6)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챔버에는 파이프(9)를 매개로 에어 펌프(10)가 연결되며, 그 에어 펌프는 스위칭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스위칭센서에 의해 경고등과 함께 온 /오프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 탱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주행시 경사진 길이나 급발진, 급제동시 연료의 쏠림 현상에 의해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연료 경고등의 점등 및 엔진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연료장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와, 연료 속에 들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연료 여과기, 연료를 압송하는 연료 펌프, 및 상기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기화기 혹은 연료분사장치와, 이러한 장치들을 연결하는 연료 파이프 등으로 구성된다.
연료 탱크는 얇은 강판으로 만든 상, 하부 케이스를 상호 결합시켜서 된 탱크 본체에 연료를 넣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주행시 차체의 진동 및 선회, 제동에 의해 연료가 출렁거리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탱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정간격으로 수개의 격벽이 형성되거나 리저버 컵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공지된 연료 탱크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연료 탱크(1)는 자동차의 주행 여건에 따라 연료가 한쪽으로 쏠리거나 출렁이는 경우, 연료 펌프(2) 주위의 연료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연료 탱크(1) 본체 저면에 리저버 컵(3)이 설치된다.
리저버 컵(3)에는 연료 펌프(2)와 연결된 공급파이프(4)의 단부가 최저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연료 탱크(1)의 내부에는 연료의 잔여량을 계측하는 연료측정기가 설치된다. 이 연료측정기는 유면의 높이에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flot; 5)와, 이 플로트(5)에 연동되어 온/오프되는 스위칭센서(6)와, 그 스위칭센서(6)의 시그널에 의해 연료량을 표시하며 계기판에 설치되는 표시부(도시생략)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칭센서(6)는 연료 탱크(1) 즉, 리저버 컵(3) 내측의 잔여 연료의 양이 부족할 경우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연료 탱크는, 연료의 부족은 물론, 경사진 길, 급발진, 급제동시의 연료의 쏠림 현상에 의해 여분의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연료 경고등이 점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로 계속 주행시 엔진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리저버 컵의 용량이 제한적이고, 차량이 장시간 기울어져 연료 탱크 본체의 연료가 리저버 컵의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며, 이때 공급파이프의 단부가 리저버 컵의 유면과 분리되는 것에서 기인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 본체에 일정량의 연료가 잔존함에도 불구하고, 경고등이 점등되고 시동이 꺼지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량의 연료가 남아 있을 때, 차체가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연료의 공급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나 시동의 꺼짐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연료 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연료 탱크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연료 탱크, 1a : 본체, 6 : 스위칭센서, 7 : 가변 분리막, 8: 가변 챔버, 9 : 파이프, 10 : 에어펌프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연료 탱크는 내부에 가변 챔버가 설치되어, 소량의 연료가 남아 경고등이 점등될 경우, 상기 가변 챔버가 부풀려지도록 하므로서, 연료 탱크의 내부 체적이 축소되고, 무효 잔량의 연료의 유면이 상승되어 경고등이 오프되고, 연료가 엔진으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는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연료 탱크는 본체의 내부 공간이 가변 분리막에 의해 2개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일측 공간은 가변 챔버로 형성되고, 타측공간에는 연료가 수납되며, 연료 펌프, 연료 파이프, 연료측정기가 설치된다.
상기 가변 챔버에는 에어 점프가 연결되며, 그 에어 펌프는 연료측정기의 스위칭센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스위칭센서에 의해 경고등과 함께 온 동작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연료 탱크내의 연료가 부족할 경우, 가변 챔버가 부풀려져 잔존 연료의 유면을 상승시키므로서, 차량의 기울어짐이나 연료의 쏠림에 관계없이 연료가 엔진의 연소실로 원활히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연료의 유면이 상승되면 당연히 경고등이 오프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의 연료 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1)은 연료 탱크 전체, (1a)는 외부 케이스를 이루는 연료 탱크의 본체, (2)는 연료 펌프, (3)은 리저버 컵, (4)는 공급파이프를 지칭한다.
또한, (5)는 플로트, (6)은 스위칭센서를 지칭한다. 플로트(5)와 스위칭센서(6)는 연료측정기를 구성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의한 연료 탱크(1)는 연료가 소량 남아 있을 경우 차체가 쏠림에 의해, 경고등이 점등되거나, 시동이 오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가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는 본체(1a)의 내부벽에 부착되는 가변 분리막(7)에 의해 2개로 분리된다. 여기서, 가변 분리막(7)은 신축성을 갖는 러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가변 분리막(7)에 의해 구획된 본체(1a)의 일측 공간은 가변 챔버(8)로 형성된다. 가변 챔버(8)에는 파이프(9)를 통해 에어 펌프(10)가 연결된다. 에어 펌프(10)는 연료측정기의 스위칭센서(6)와 접속되어, 경고등과 함께 온/오프된다.
또한, 본체(1a)의 타측 공간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연료가 수납되고, 연료 펌프(2), 리저버 컵(3), 연료 파이프(4), 플로트(5) 및 스위칭센서(6)가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에 의거하여, 본 실시예의 연료 탱크(1)는 연료가 부족하여 플로트(5)가 하강되고, 스위칭센서(6)에 의해 경고등이 온 동작되면, 그와 함께 시그널을받는 에어 펌프(10)가 가동되어, 가변 챔버(8)로 공기를 불어 넣게 된다.
따라서, 신축성을 갖는 가변 분리막(7)은 도 2의 점선 (7a)과 같이 부풀려져, 가변 챔버(8)의 용적을 확대하고, 본체(1a)의 용적을 축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1a)에 수용된 연료의 유면은 다시 상승되고, 플로트(5)도 따라서 상승되며, 스위칭센서(6)에 의해 경고등이 오프된다.
따라서, 본체(1a)에 저장된 연료는 무효 잔량까지 엔진의 연소실로 원활하게 공급된다.
반면, 연료 탱크(1)에 새로이 연료가 충진될 경우, 에어 펌프(10)는 역구동되고 가변 챔버(8)의 에어가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연료 탱크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소량의 연료가 남아 있을 경우라도, 차체의 쏠림에 관계없이 항상 연료의 공급을 원활하게 수행하므로서, 연료 경고등의 점등이나 엔진의 시동 꺼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연료의 무효 잔량을 줄이는 효과도 아울러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연료가 저장되도록 밀페되게 구성된 본체와, 그 본체의 내측 저면에 설치된 리저버 컵과, 그 리저버 컵의 내측에 설치된 연료 펌프 및 공급파이프와; 상기 연료의 유면을 따라 승강되는 플로트와, 이 플로트에 연동되어 온/오프되어 경고등을 점등시키는 스위칭센서로 구성된 연료측정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가변 분리막에 의해 구획된 가변 챔버와; 그 가변 챔버에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스위칭센서에 접속되어 경고등과 함께 온/ 오프되는 에어 펌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분리막은 러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
KR1019960068321A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연료 탱크 KR19980049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21A KR19980049591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연료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21A KR19980049591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연료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591A true KR19980049591A (ko) 1998-09-15

Family

ID=6644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321A KR19980049591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연료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5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0456A (en) Automatic oil level maintenance system
KR100535594B1 (ko) 연료 탱크의 구조
KR19980049591A (ko) 자동차의 연료 탱크
KR19980054887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100223661B1 (ko) 자동차 액체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KR0137527Y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KR19980034216U (ko) 연료탱크내의 연료 안정화 구조
KR19980056742A (ko) 연료탱크내의 수분분리 배출장치
KR200196341Y1 (ko) 차량의 연료경고램프 오작동 방지장치
KR100461443B1 (ko) 연료펌프의 연료 필터 구조
KR20040051627A (ko) 연료공급 시스템
KR100590954B1 (ko) 자동차 연료 내 수분 및 공기 분리 장치
KR19990004997A (ko) 연료 탱크
KR100231998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게이지 유니트
KR100471310B1 (ko) 원웨이밸브가 설치된 연료탱크
KR0129287Y1 (ko) 차량용 연료펌프의 안전장치
KR100435287B1 (ko) 디젤자동차 연료필터의 자동 배수구조
KR0139758Y1 (ko) 연료 공급장치
KR100356057B1 (ko) 천연압축가스 차량의 가스-오일 분리용 필터의 교체경보장치
KR200333653Y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에어 밴트 니플
KR100439881B1 (ko) 디젤차량의 연료관내 공기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0980952B1 (ko) 연료쏠림 방지기구
KR20030025333A (ko) 연료필터의 워터 센서구조
KR200175417Y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경고등어셈블리
KR200162519Y1 (ko) 연료탱크의 레벨링 튜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