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445U -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445U
KR19980049445U KR2019960062610U KR19960062610U KR19980049445U KR 19980049445 U KR19980049445 U KR 19980049445U KR 2019960062610 U KR2019960062610 U KR 2019960062610U KR 19960062610 U KR19960062610 U KR 19960062610U KR 19980049445 U KR19980049445 U KR 199800494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able
tension spring
fixing device
presen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6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성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600626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445U/ko
Publication of KR199800494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445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C 등에 사용되는 플랫 케이블을 텐션 스프링의 성질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는 바디(1)에 장착되는 3개의 브라켓(7,9,11)과, 상기 브라켓(7,9,11)에 장착되는 텐션 스프링(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텐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본 고안은 PC 등에 사용되는 플랫 케이블을 고정하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텐션 스프링의 성질을 이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랫 케이블을 클립으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상기 플랫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불편하였고, 고정 후 플랫 케이블이 클립에서 잘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후 플랫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의 일예로서, 바디에 장착되는 3개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텐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텐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텐션 스프링에 의해 플랫 케이블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바디3:플랫 케이블
5:텐션 스프링7,9,11:브라켓
15:굴곡부17:고정부
19:단차부21:장착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랫 케이블(3)은 바디(1)와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4) 사이에 고정된다.
상기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는 바디(1)에 장착되는 3개의 브라켓(7,9,11)과, 상기 브라켓(7,9,11)에 장착되는 텐션 스프링(5)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텐션 스프링(5)은 좌우 대칭형으로서, 브라켓(7,9)에 장착되는 굴곡부(15)와, 상기 굴곡부(15)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며 플랫 케이블(3)을 고정하는 고정부(17)와, 상기 고정부(17)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단차부(19)와, 상기 단차부에서 연장되며 브라켓(11)에 장착되는 장착부(2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플랫 케이블을 고정한다.
바디(1)에 플랫 케이블(3)을 밀착시킨 후, 상기 바디(1)에 장착된 브라켓(11)에 텐션 스프링(5)의 장착부(21)를 장착시키고, 다른 2 브라켓(7,9)에 텐션 스프링(5)의 굴곡부(15)를 끼워 넣는다. 이것에 의해 텐션 스프링(5)의 고정부(17)가 플랫 케이블(3)을 고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는 텐션 스프링을 사용하여 플랫 케이블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바디(1)에 장착되는 3개의 브라켓(7,9,11)과, 상기 브라켓(7,9,11)에 장착되는 텐션 스프링(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스프링(5)은 좌우 대칭형으로서, 브라켓(7,9)에 장착되는 굴곡부(15)와, 상기 굴곡부(15)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며 플랫 케이블(3)을 고정하는 고정부(17)와, 상기 고정부(17)에서 하부로 굴절되는 단차부(19)와, 상기 단차부에서 연장되며 브라켓(11)에 장착되는 장착부(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KR2019960062610U 1996-12-30 1996-12-30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KR199800494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610U KR19980049445U (ko) 1996-12-30 1996-12-30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610U KR19980049445U (ko) 1996-12-30 1996-12-30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445U true KR19980049445U (ko) 1998-10-07

Family

ID=540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610U KR19980049445U (ko) 1996-12-30 1996-12-30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4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2290A (ko) 전기 접속기의 와이어 홀딩 장치
ES2176305T3 (es) Abrazadera para tubos y cables, con pieza de base y arco de sujecion.
US6494413B1 (en) Wire harness-fixing clamp
KR970703630A (ko) 표면 조립된 플러그 인 커넥터(surface-mounted plug-in connector)
KR910002046A (ko) 바이패스편을 가지는 콘택트
KR19980049445U (ko) 플랫 케이블 고정장치
KR920012799A (ko) 배관 또는 배선 고정용 연결기
KR870003591A (ko) 고정가능 램프홀더 장착시스템
ATE89683T1 (de) Mehrpolige entstoerdrossel, insbesondere fuer datenleitungen mit mehreren leitungszuegen.
FR2731116B1 (fr) Connecteur electrique dont le dispositif d'encliquetage presente au moins un element elastique
KR970008741A (ko) 케이블 커넥터
KR840000584Y1 (ko) 로드 안테나의 부착 장치
KR970045730A (ko) 와이어 고정 클립
KR970039071A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970012858A (ko) 차량용 보조 휴즈박스
KR970039121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의 취부구조
KR970039171A (ko) 밴드클립 장착용 콘넥터
JPS6017796Y2 (ja) 接触ばねのリ−ド金具取付装置
KR970041803A (ko) 차량의 바디와 프레임의 도킹 장치
KR970045747A (ko) 차량용 와이어 고정용 클립
KR970054918A (ko) 절곡형 커넥터 터미널
KR970045749A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DE3887022D1 (de) Kontaktklemme.
KR970039111A (ko)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의 고정부재
KR19980042317U (ko)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