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386U -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 Google Patents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386U
KR19980049386U KR2019960062551U KR19960062551U KR19980049386U KR 19980049386 U KR19980049386 U KR 19980049386U KR 2019960062551 U KR2019960062551 U KR 2019960062551U KR 19960062551 U KR19960062551 U KR 19960062551U KR 19980049386 U KR19980049386 U KR 199800493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elt hanger
hanger
guide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55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재망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25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386U/en
Publication of KR19980049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386U/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 걸이를 당겨 줄 수 있는 구동수단과 이때의 이동을 안내해 줄 수 있는 필러 상의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어 걸려지는 벨트의 걸림위치를 앞쪽으로 일정거리 옮겨 줄 수 있게 함으로써, 시트를 앞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착용해도 벨트로 인해 받는 압박감을 없앨 수 있게 한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comprising a drive means for pulling the belt hanger and a guide means on the filler for guiding the movement at this time, is used to draw out from the retractor By providing a fixed distance to the front of the belt to be caugh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that eliminates the pressure caused by the belt even if the belt is worn while the seat is pulled forward. It is.

Description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본 고안은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벨트의 걸림위치를 앞쪽으로 옮길 수 있게 하여 벨트 착용시의 압박감을 덜어 줄 수 있게 한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that can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that can be moved to the front position of the belt to reduce the feeling of pressure when wearing the belt will be.

일반적으로 체형이 작은 운전자의 경우 시트를 운전대 쪽으로 바짝 당겨서 운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벨트의 걸림위치가 뒷쪽에 멀리 있게 되어 보통 운전자 보다 압박감을 더욱 많이 받게 된다.In general, a driver of a small body is driven by pulling the seat toward the steering wheel. At this time, when the belt is wor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belt is farther from the rear, so that the driver receives more pressure than the normal driver.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벨트 걸이를 당겨 줄 수 있는 구동수단과 이때의 이동을 안내해 줄 수 있는 필러 상의 가이드수단을 구비하고, 이것을 이용하여 리트렉터로부터 인출되어 걸려지는 벨트의 걸림위치를 앞쪽으로 일정거리 옮겨 줄 수 있게 함으로써, 시트를 앞쪽으로 당긴 상태에서 벨트를 착용해도 벨트로 인해 받는 압박감을 없앨 수 있게 한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and has a driving means capable of pulling the belt hanger and a guide means on the filler capable of guiding movement at this time, and is drawn out from the retractor using this. It provides a structur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which makes it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belt to the front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even if the belt is worn while the seat is pulled forward, the belt hanger can be removed. There is a purpose.

도 1a,1b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1a,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센터 필러 11: 프런트 필러10: center filler 11: front pillar

12: 가이드 홈13: 벨트 걸이12: guide groove 13: belt hanger

14: 와이어 15: 위치 고정턱14: wire 15: positioning jaw

16: 사이드 필러 17: 걸림단16: side pillar 17: hang end

18: 벨트 인출구19: 모터18: belt outlet 19: motor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센터 필러(10)의 상단부에서부터 프런트 필러(11)로 이어지는 길이중간까지 가이드 홈(12)을 길게 형성하는 동시에 이곳에 벨트 걸이(1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12)의 앞쪽 끝단에는 와이어 권취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곳에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4)를 상기 벨트 걸이(13)에 연결하여 와이어 권취에 따라 벨트 걸이(13)가 앞쪽으로 옮겨질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long guide groove 12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llar 10 to the middle of the length leading to the front pillar 11, and at the same time slidably installs the belt hook 13, the guide groove 12 At the front end of the wire), a wire winding means is installed, and a wire 14 extending therefrom is connected to the belt hook 13 so that the belt hook 13 can be moved forward according to the wire winding. It is characterized by.

특히,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은 자체 탄성복원이 가능한 리트렉터 또는 드럼을 포함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wire winding means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motor including a retractor or a drum capable of self-resilience.

또한, 상기 가이드 홈(12)의 뒷쪽 끝단에는 벨트 걸이(13)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는 위치 고정턱(15)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jaw 15 tha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13).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첨부한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도면부호 12 는 가이드 홈을 나타낸다.Here, 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guide groove.

상기 가이드 홈(12)은 벨트 걸이(13)의 위치이동을 안내해 주는 수단으로서, 필러 상에 절개부 형태로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12 is a means for guiding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belt hanger 13, is formed in the form of a cutout on the filler.

이러한 가이드 홈(12)은 센터 필러(10)의 상단부위에 형성되는 수직구간과, 이 수직구간 윗쪽에서부터 센터 필러(10)와 프런트 필러(11)를 이어주는 사이드 필러(16)의 길이중간까지 형성되는 수평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벨트 걸이(13)의 위치가 수평구간이 끝나는 앞쪽까지 옮겨질 수 있게 된다.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in the vertical sect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llar 10, and from the top of the vertical section to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side pillar 16 connecting the center pillar 10 and the front pillar 11 It consists of a horizontal section, and thus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13 can be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section.

이때, 가이드 홈(12)의 단면은 걸림단(17)을 갖는 ㄷ 자형태로 되어 있어 이곳에 끼워지게 되는 벨트 걸이(13)가 홈 바깥쪽으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groove 12 is a c-shape having a locking end 17 so that the belt hook 13 to be fitted therein is not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특히, 가이드 홈(12)의 뒷쪽 끝단부위 즉, 센터 필러(10) 상에 형성되는 수직구간의 아래쪽 끝단부위에는 양편에서 서로 마주보는 2 개의 위치 고정턱(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위치 고정턱(15)은 와이어 권취수단에 의해 윗쪽으로 당겨지는 벨트 걸이(13)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In particular,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2,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ection formed on the center pillar 10, two position fixing jaws 15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are formed. The fixing jaw 15 serves to hold the belt hanger 13 which is pulled upward by the wire winding means.

또한, 도면부호 13 은 벨트 걸이를 나타낸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3 denotes a belt hanger.

상기 벨트 걸이(13)는 일종의 D-링으로서, 센터 필러(10) 상의 벨트 인출구(18)를 통해 실내 쪽으로 연장되는 벨트를 걸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한다.The belt hanger 13 is a kind of D-ring, and means a means for hanging the belt extending toward the room through the belt outlet 18 on the center pillar 10.

이러한 벨트 걸이(13)는 상기 가이드 홈(12)내에 끼워지면서 이것의 걸림단(17) 안쪽에 걸려지게 되는 보울트 체결부위를 이용하여 지지되며, 이렇게 지지된 상태에서 홈을 따라 앞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The belt hanger 13 is supported by the bolt fastening portion which is fitted in the guide groove 12 and is caught inside the locking end 17 thereof, and can be moved forward along the groove in this supported state. Will be.

또한, 도면부호 19 와 14 는 모터와 와이어를 각각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s 19 and 14 denote motors and wires, respectively.

상기 모터(19)는 벨트 걸이(13)를 움직여 줄 수 있는 구동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 홈(12)의 앞쪽 끝단부위에 설치된다.The motor 19 is a driving means capable of moving the belt hanger 13, and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guide groove 12.

이때의 모터 축에는 일정길이의 와이어(14)를 감아줄 수 있는 드럼이 장착되어 있으며, 모터의 작동과 함께 드럼이 회전하게 되면, 와이어(14)가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shaft is equipped with a drum that can wind the wire 14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en the drum rotates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the wire 14 can be wound or unwinded.

이러한 모터(19)는 시트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는 시트 트랙 상의 센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아 일정량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때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와이어(14)가 감겨지면서 벨트 걸이(13)의 이동거리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motor 19 may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rom a sensor (not shown) on the seat track capable of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seat, and the wire 14 is woun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rotation at this time. The moving distance of the hook 13 can be adjusted.

상기 와이어(14)는 벨트 걸이(13)를 실질적으로 당겨주는 수단으로서, 모터(19)의 드럼에 수회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홈을 따라 연장되어 벨트 걸이(13)의 일측 예를 들면, 보울트 체결부위의 상단에 일체 연결될 수 있게 된다.The wire 14 is a means for substantially pulling the belt hanger 13. The wire 14 extends along the groove in a state of being wound several times on the drum of the motor 19 so that one side of the belt hanger 13, for example, a bolt fastening portion Can be connected integrally to the top of the.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어(14)를 권취하는 수단으로 상기 모터(19) 대신에 자체 탄성복원이 가능한 리트렉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벨트 걸이(13)를 움직이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시트 조절과 동시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직접 벨트 걸이(13)를 조작하여 그 위치를 앞쪽이나 뒷쪽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retractor capable of self-resilience in place of the motor 19 as a means for winding the wire 14, in this case for moving the belt hanger (13)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rive source, at the same time as the seat adjustment, the driver or the passenger can directly control the belt hanger 13 to adjust its position forward or backward.

따라서, 첨부한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가 정상적으로 놓여져 있는 상태에서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이때에는 센서에 의한 위치 검지신호가 모터로 입력되지 않아 벨트 걸이에 아무런 조작력도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의 벨트 걸이는 가이드 홈의 뒷쪽 끝단에 위치되어 있어 착용자의 바로 뒷쪽에서 벨트가 걸어지게 되므로 벨트로 인한 압박감을 받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elt is worn in the state in which the seat is normally placed as shown in FIG. 1A, the position detection signal by the sensor is not input to the motor, and thus no operation force is applied to the belt hanger. The belt hanger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belt hangs right behind the wearer so that the belt does not feel pressured by the belt.

만일, 첨부한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의 위치가 앞쪽으로 바짝 당겨져 있는 상태에서 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이때에는 시트의 이동량을 검지한 센서의 신호에 의해 모터가 작동되면서 와이어를 감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가이드 홈의 뒷쪽 끝단에 있던 벨트 걸이가 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홈을 따라 이동되면서 앞쪽 끝단까지 올 수 있게 되므로 벨트의 걸림위치가 벨트 걸이의 이동거리만큼 앞쪽으로 옮겨질 수 있게 된다.If the belt is worn while the seat position is pulled forward as shown in FIG. 1B, the motor is operated by the sensor signal detecting the movement amount of the seat, and the wire is wou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belt hanger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is pulled by the wire and moved along the groove, the belt hanger can come to the front end, so that the locking position of the belt can be moved forward b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belt hanger.

여기서, 시트를 원래의 위치로 옮겨 놓게 되면, 이때에는 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감고 있던 와이어를 풀어 주게 되므로 벨트 걸이를 홈 뒷쪽으로 수동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Here, if the seat is mov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motor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winding wire, it is possible to manually move the belt hanger behind the groove.

이에 따라, 시트를 앞쪽으로 당긴 만큼 벨트의 걸림위치도 이에 상응하여 앞쪽으로 옮길 수 있게 되므로 체형이 작은 운전자인 경우에도 벨트에 의한 압박감을 거의 받지 않고 장시간 벨트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ating position of the belt can be moved forward accordingly as the seat is pulled forward, so that even a small driver can wear the belt for a long time without receiving a feeling of pressure caused by the belt.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시트의 위치에 따라 벨트의 걸림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체형이 작은 운전자들도 편안한 상태로 장시간 벨트를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for varying the locking position of the bel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at, so that even a small driver can wear the belt for a long time in a comfortable state.

Claims (3)

센터 필러(10)의 상단부에서부터 프런트 필러(11)로 이어지는 길이중간까지 가이드 홈(12)을 길게 형성하는 동시에 이곳에 벨트 걸이(1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홈(12)의 앞쪽 끝단에는 와이어 권취수단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곳에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4)를 상기 벨트 걸이(13)에 연결하여 와이어 권취에 따라 벨트 걸이(13)가 앞쪽으로 옮겨질 수 있게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The guide groove 12 is formed lo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enter pillar 10 to the middle of the length leading to the front pillar 11, and the belt hook 13 is slidably installed there, and the front of the guide groove 12 is provided. At the end, a wire winding means is installed at the same time, and a wire 14 extending therefrom is connected to the belt hanger 13 so that the belt hanger 13 can be moved forward according to the wire winding. Structure that can move position of belt hanger to s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권취수단은 자체 탄성복원이 가능한 리트렉터 또는 드럼을 포함하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wire winding means comprises a motor including a retractor or a drum capable of self-resilient resto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12)의 뒷쪽 끝단에는 벨트 걸이(13)의 위치를 고정시켜 줄 수 있는 걸림턱(15)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걸이의 위치를 옮길 수 있는 구조.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2) is provided with a locking jaw (15)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belt hanger (13). .
KR2019960062551U 1996-12-30 1996-12-30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KR19980049386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551U KR19980049386U (en) 1996-12-30 1996-12-30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551U KR19980049386U (en) 1996-12-30 1996-12-30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86U true KR19980049386U (en) 1998-10-07

Family

ID=5400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551U KR19980049386U (en) 1996-12-30 1996-12-30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386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2285Y2 (en) Belt pretensioners for vehicle safety belt systems
JP2004010008A (en) Seat vertical device
JP2006526536A (en) Belt lock device for vehicle seat
JP2916439B2 (en) Belt tensioner
JPS623316Y2 (en)
EP0175493B1 (en)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KR19980049386U (en) Structure that can move belt hanger
AU2003227770A1 (en) Sunroof support frame for motor vehicle
JPH08183426A (en) Buckle driving device for seat belt
JP4435911B2 (en) Electr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JP2002166822A (en) Seat belt device for wheelchair
JPH10194081A (en) Automatically attachable and detachable seat belt device for automobile
KR102024049B1 (en) Hight adjustable seatbelt system
JPS60255544A (en) Device for applying tension to seat belt
JP2013532610A (en) Electric tightening device for seat belts of transport vehicles
JP3030824U (en) In-vehicle microphone mounting structure
JPH0556684U (en) Seat belt device
JPS58101857A (en) Seat belt winding-up device
GB2320469A (en) Seat belt pretensioner with a roller
KR200234040Y1 (en) Rewinding preventer for safty belt of a car
JP3196420B2 (en) Seat belt equipment
KR0160253B1 (en)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belt
KR19980051690U (en) Safety belt induction device
JPS609085Y2 (en) Passive seat belt device
KR200254268Y1 (en) Stopper device for seat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