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8155A -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8155A
KR19980048155A KR1019960066707A KR19960066707A KR19980048155A KR 19980048155 A KR19980048155 A KR 19980048155A KR 1019960066707 A KR1019960066707 A KR 1019960066707A KR 19960066707 A KR19960066707 A KR 19960066707A KR 19980048155 A KR19980048155 A KR 19980048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trol device
distance
video cameras
vie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범
박순용
최영수
안상호
Original Assignee
김성년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년, 한국원자력연구소,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김성년
Priority to KR101996006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8155A/ko
Publication of KR1998004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815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드웨어 구현이 간단하고, 관측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시각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입체 영상 카마레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두 대의 영상 카메라중, 한 카메라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와 물체까지의 거리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두 대의 영상 카메라가 각각 장착된 회전 기어가 구동하여 두 영상 카메라간의 주시각을 자동 조절함과 동시에 실시간 처리하는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하는 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카메라간의 주시각을 자동제어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하는 입체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 카메라(이하 : 입체카메라)는 사람의 눈과 같이 두 대의 카메라로 구성되며, 관측물체의 원근에 따라 자동 초점 기능과 주시각 제어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주시각제어 기능은 사람의 눈동자가 관측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라 모였다. 벌어졌다 하는 것과 같이 입체 카메라의 두 카메라간 주시각을 조절하여 관측물체에 대한 좌우 영상 시차를 최소화하므로서 인간이 보는 입체 영상과 비슷한 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획득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종래 입체 영상 시스템에서의 자동주시각제어에 관한 연구는 주로 두 영상카메라의 출력영상에 대한 차영상으로부터 물체와 카메라의 거리를 추출하여 주시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카메라에서 획득된 두 영상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 처리함으로써 차영상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거리에 의하여 주시각을 결정하였다.
그러나, 카메라의 영상을 이용하여 거리를 추출하는 문제는 아직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며, 아직 확실한 해결 방법이 없고 시간이 매우 많이 요구되는 처리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제어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데는 많은 경비가 소요되며, 실시간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구현에 어려움이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하드웨어 구현이 간단하고, 관측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으로 주시각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입체영상카메라의 자동주시각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을 구비한 영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와 카메라의 거리를 데이터 베이스화함으로서 달성되는데 즉,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두 대의 영상 카메라중, 한 카메라의 초점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물체가지의 거리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두 대의 영상카메라가 각각 장착된 회전기어가 구동하여 두 영상카메라 간의 주시각을 자동조절함과 동시에 실시간처리하는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물체와 영상 카메라간의 거리와 주시각과의 관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시각(2) : 관측 물체
(3) : 카메라(4) : 회전 기어
(5) : 물체와 카메라간의 거리
(6) : 두 카메라간 거리의 반
도 1은 물체와 영상 카메라간의 거리와 주시각과의 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초점 기능을 가진 두 대의 영상카메라(3)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 정보를 주시각 제어에 사용되는 관측물체(2)로부터 영상 카메라(3)까지의 거리로 이용하였다.
상기 영상 카메라(3)의 초점 정보는 카메라(3)와 관측 물체(2)까지의 거리 정보이므로, 초점정보와 거리정보의 상관 관계를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초점이 맞는 관측 물체(2)까지의 거리에 따라 두 대의 영상 카메라(3)가 각각 장착된 회전기어(4)를 모터(도시없음)가 구동하여 두 대의 영상 카메라(3)간의 주시각을 변화시켜 줌으로서 자동 주시각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초점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 렌즈를 사용하므로, 실시간으로 초점이 맞추어지고, 거리정보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모터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주시각제어의 실시간 구현이 가능하다.
현재 상용화된 카메라의 렌즈들 중 초점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카메라는 모두 초점 정보를 디지탈값으로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초점 정보를 이용하면 물체거리정보를 데이타베이스화 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의하여 두 대의 영상카메라(3)가 각각 장착된 회전기어(4)를 모터가 구동하여 두 영상 카메라(3)간의 주시각을 제어한다.
두 카메라간 거리와 물체와 카메라간의 거리가 주어질 때 주시각(1)은 다음 식과 같이 구해진다.
[수학식 1]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카메라의 초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모터와 카메라가 장착된 회전 기어가 구동하여 두 카메라간의 주시각을 조정하므로, 하드웨어 구현이 간단하고 실시간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산업, 교육, 의료 및 군사용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입체 영상 정보를 이용하는 모든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두 대의 영상 카메라중, 한 영상 카메라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카메라와 물체까지의 거리를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키며, 상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두 대의 영상카메라가 각각 장착된 회전기어기 구동하여 두 영상카메라 간의 주시각을 자동조절함과 동시에 실시간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KR1019960066707A 1996-12-17 1996-12-17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KR199800481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07A KR19980048155A (ko) 1996-12-17 1996-12-17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07A KR19980048155A (ko) 1996-12-17 1996-12-17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8155A true KR19980048155A (ko) 1998-09-15

Family

ID=6644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707A KR19980048155A (ko) 1996-12-17 1996-12-17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81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47B1 (ko) * 2000-12-01 2003-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차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8320B1 (ko) * 2005-08-31 2007-11-22 (주)브이쓰리아이 스테레오 입체 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주시각 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47B1 (ko) * 2000-12-01 2003-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교차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78320B1 (ko) * 2005-08-31 2007-11-22 (주)브이쓰리아이 스테레오 입체 카메라 시스템의 실시간 주시각 자동제어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8622B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JP5346266B2 (ja) 画像処理装置、カメラ及び画像処理方法
KR100519864B1 (ko) 화상정보입력장치및그방법
US5635947A (en) Eye movement tracking display
JP4398352B2 (ja) 医療用立体撮像装置
US20180160048A1 (en)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images for display apparatus
KR101737085B1 (ko) 3차원 카메라
JP200035425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提供媒体
JP5856344B1 (ja) 3d画像表示装置
JPH03292093A (ja) 3次元表示装置
JP6553130B2 (ja) ステレオビデオ内視鏡の光学系と、ステレオビデオ内視鏡とステレオビデオ内視鏡の光学系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JP2006208407A (ja) 立体画像観察用顕微鏡システム
JP5281202B2 (ja) 集積2d/3dカメラ
EP2512146A1 (en) 3-d video processing device and 3-d video processing method
GB2226923A (en) Automatic convergent stereoscopic machine vision
KR100399047B1 (ko) 교차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685590B2 (ja) 立体表示システム
JPH06235885A (ja) 立体映像表示装置
JP4727356B2 (ja) 医療用立体観察装置
KR19980048155A (ko) 입체 영상 카메라의 자동 주시각 제어장치
JP4236345B2 (ja) 実体顕微鏡
JP2002085330A (ja) 立体視内視鏡装置
US8174588B1 (en) Stereo video microscope
KR200180439Y1 (ko) 입체 영상 카메라의 주시각 자동 제어장치
JP2003107601A (ja) 立体画像撮影装置および立体画像撮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