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944U -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944U
KR19980045944U KR2019960059086U KR19960059086U KR19980045944U KR 19980045944 U KR19980045944 U KR 19980045944U KR 2019960059086 U KR2019960059086 U KR 2019960059086U KR 19960059086 U KR19960059086 U KR 19960059086U KR 19980045944 U KR19980045944 U KR 199800459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tage
fixing
pipes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6324Y1 (ko
Inventor
박상배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9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3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5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324Y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강코일 제품의 하역작업 또는 이송작업에 있어, 2단 적치할때, 2단 코일의 하중에 의해 1단 코일의 받침목이 밀려나게 됨으로써, 2단에 위치하고 있던 코일제품이 낙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일의 하역작업도중 2단 적치된 코일이 자중에 의해 1단 적치된 코일을 양쪽으로 밀어냄으로써 2단 코일 낙하에 따른 사고의 위험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외측 원통파이프(2)에 연결되어 고정핀(9)과의 밀착-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조절너트(6)에 나사봉(5)을 갖춘 밀착조절부(3) 및 각기 다른 외경의 내외측 원통파이프(1), (2)로 결합되어 두 파이프를 잡아당기고 밀어넣고하여 알맞은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핀(9)과 핀구멍(11) 그리고 밀착조절부(3)의 손잡이(8)를 이용하여 풀고, 조이는 등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과의 공간을 유지하고, 기구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고안된 360° 회전식의 바퀴(12a, 12b, 12c) 및 원통형 파이프 양측의 스토퍼(4a), (4b)를 포함하는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에 있다.

Description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본 고안은 철강회사에서 생산되는 코일제품의 하역작업 및 창고 저장 작업중 2단적치 작업이나 선박의 키-코일(key-coil) 선적 및 하화 작업시 1단 적치된 코일이 2단 코일의 하중에 의해 밀려나면서 2단의 키-코일의 바닥으로 떨어져 제품에 손상을 입히는 사고의 방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고정 기구만을 이용할 때 1단 적치한 코일이 바닥에서 밀려나는 것을 막아주므로서 2단 적치의 키-코일이 낙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운송품질 향상에 의한 생산성 증대 및 고객 만족을 기하고 작업중 코일 사이에서 작업자 협착사고 위험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밀림방지용 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제품 창고의 코일제품 저장방법은 창고바닥에 W형의 연속적으로 제작된 코일 전용 스키드(SKID)를 설치하여 그 홈에 코일을 적치토록 함으로서 미끌림을 방지하고 있어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인 코일 저장 창고에는 코일전용 스키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을 뿐더러 특히 다양한 제품을 운송해야 하는 선박의 경우는 선박의 바닥에 철강제품 전용스키드를 설치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선박창내의 철재바닥에 라인(LINE)별로 깔개목을 2∼3줄씩 깔아놓은 후 그위에 코일을 놓고 코일의 하단부에는 삼각목을 이용하여 미끌리지 못하도록 쐐기를 박아서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선적작업을 해오고 있다.
게다가 선박의 특성상 안전 항해의 필요에 의해 선박 좌우현의 바란스 유지 및 제품의 유동을 최소화 시켜야 함으로, 이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1단 적치의 코일 상단에 2단 적치시 키-코일을 박아주는 방법을 이용한 작업을 해오고 있다.
상기의 쐐기용으로 박아주는 2단 적치 코일을 키-코일(key-coil)이라한다.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작업상황도와 같이, 키-코일(D)의 하중이 발생되면 코일과 코일사이(B), (C)의 빈 공간쪽으로 1단 적치의 코일(B)이 깔개목(다) 및 삼각고임목(나a)과 함께 밀려나면서 키-코일(D)이 바닥으로 떨어져 제품손상을 가져오고 있으며, 역으로 양하지에서의 양하작업시에는 양쪽 키-코일중(D, E) 어느 한쪽코일(E)을 들어올렸을 경우 쐐기 역할이 해제되면서 그 공간(B, C)쪽으로, 코일(D)의 하중이 작용되어 역시 바닥의 코일(B)이 밀려나면서 코일(D)이 낙반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중 줄걸이 작업원이 코일사이(B, C)에 위치하고 있을 시 갑작스런 코일 미끌림에 의해서 협착재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코일고정 방법을 탈피하여 작업중의 밀림현상을 완벽하게 방지 함으로서 제품의 운송품질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대 및 회사의 경쟁력을 높이며, 고객만족을 위한 대 수요가 납기관리에 철저를 기하고, 적치 및 양하작업장에서의 운전원 및 줄걸이 작업원의 안전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므로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키-코일을 놓기 위해 확보된 코일간의 공간 사이로 고정기구의 바퀴를 이용하여 코일 폭 중간위치까지 밀어 넣은 후 외경이 서로 다른 원통파이프로 결합된 기구의 좌우 양쪽을 잡고 공간 양측 코일하단부에 박혀있는 삼각 고임목 위치까지 빼내어 밀착고정시켜 주므로서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하여 코일의 밀림현상을 막아주는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파이프의 고정방법은 안쪽의 인입용 파이프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놓은 여러 구멍중 밀착 조절부 너트의 측면과 가장 근접된 곳의 구멍에 고정용 핀(PIN)을 끼운후, 바깥쪽 파이프와 결합되어 있는 밀착 조절장치의 손잡이를 이용 조절너트를 회전시켜 고정핀과 밀착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 원통형 파이프 지지대 양측의 밀착판을 포함하는 구성의 코일 고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림방지용 코일(coil) 고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기구의 분리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상황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내측원통 파이프7 : 밀착판
2 : 외측 원통파이프8 : 손잡이
3 : 밀착조절부9 : 고정핀
4a, 4b : 스토퍼10 : 체인
5 : 나사봉11 : 핀구멍
6 : 조절너트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고정장치는 외경이 각기 다른 내측의 원통 파이프(1)와 외측원통 파이프(2)가 서로 결합되어 기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내측원통 파이프(1)에는 고정핀(9)을 코일간 공간폭에 따라 필요한 곳에 꽂을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11)을 뚫어 놓았다.
또한, 외측원통 파이프(2)에는 고정핀(9)과 밀착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밀착 조절부(3)를 부착하였다.
상기의 밀착조절부(3)는 도시된 확대 단면도와 같이 외측원통 파이프(2)의 끝에 가공된 나사봉(5)을 연결시킨 후, 나사봉(5)에 맞게 가공된 조절너트(6)를 손잡이(8)를 이용회전시켜 고정핀(9)과 밀착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고정핀(9)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인(10)을 손잡이(8)와 연결시켰으며, 기구의 사용이 종료되면, 체인(10)을 손잡이(8)에서 빼낼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하였다.
한편, 밀착 조절부(3)의 밀착판(7)은 마모방지를 위하여 별도로 조절너트(6)측면에 부착시켰다. 또한 도 2의 입체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내외 원통 파이프(1), (2) 양쪽에는 코일 하단부에 있는 삼각고임목을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스토퍼(stopper)용 철판(4a), (4b)을 삼각목에 맞게 제작하여 부착하였으며, 원통파이프(1), (2) 하단부에는 360° 회전이 가능한 바취(12a), (12b), (12c)를 달아 코일고정기구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의 작업상황도와 같이 철강재 코일의 부두 선적작업 및 하화작업시 또는 창고 적치작업시에 발생되는 2단 적치 키-코일(D)에 의한 하중이 코일 B를 빈공간(B-C)쪽으로 밀어냄으로 키-코일(D)이 바닥에 떨어져 손상을 입게되며, 역으로 양쪽 키-코일(D, E)이 박힌 상태에서 양하지에서의 하화시 키-코일(E)을 먼저 뽑아내었을 경우, 역시 키-코일(D)의 하중이 작용하여 바닥코일(B)이 밀려나면서 키-코일(D)이 낙반되어 손상을 입게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키-코일 작업전 상기의 고안된 고정기구를 코일(B, C) 사이에 기구의 바퀴를(12a, 12b, 12c)를 이용하여 밀어넣고, 원통파이프(1), (2)를 손으로 잡아 벌려 코일(B, C) 하단부의 삼각고임목(나a, 나b)에 기구의 스토퍼면(4a, 4b)을 밀착시킨 후, 기구공정핀(9)을 밀착조절부(3)의 밀착판(7)과 근접된 구멍에 꽂아놓고 마지막으로 밀착조절너트(6)의 손잡이(8)를 이용하여 회전시켜서 밀착판(7)과 기구고정핀(9)이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완벽하게 코일 사이의 지지봉 역할을 하게되므로 코일의 미끌림을 방지하게 되며, 키-코일 작업종료후는 상기의 고안된 기구의 밀착조절부(3)를 역으로 회전시켜 밀착판(7)과 고정핀(9)의 밀착을 해제시킨 후, 고정핀(9)을 뽑아내고 양쪽의 원통파이프(1), (2)를 안으로 모아 길이를 축소시킨 후, 바퀴(12a, 12b, 12c)를 이용하여 밖으로 빼낼 수 있다.
그러므로 다수라인의 작업이 이어지는 경우에도 본 코일 고정기구 1대로서 옮겨가면서 연속작업을 안전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1개 작업장에서 1세트(set)의 코일고정기구로써 안전하게 키-코일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가 있으며, 키-코일 작업중 밀림현상에 의한 제품 손상을 없애줌으로써 제품의 운송품질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대 및 대외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게 되었고, 고객만족을 위한 대 수요가 납기관리 향상에도 상당한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코일간 공간에서의 갑작스런 미끌림으로 인한 협착사고의 불안감을 해소시켜 주므로써, 운전원과 줄걸이 작업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Claims (1)

  1. 외측 원통파이프(2)에 연결되어 고정핀(9)과이 밀착-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조절너트(6)에 나사봉(5)을 갖는 밀착조절부(3) 및 각기 다른 외경의 내외측 원통파이프(1), (2)로 결합되어 두 파이프를 잡아당기고 밀어넣고하여 알맞은 길이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정핀(9)과 핀 구멍(11) 그리고 밀착조절부(3)의 손잡이(8)를 이용하여 풀고 조이는 등 회전이 가능하도록 바닥과의 공간을 유지하고 기구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고안된 360° 회전식의 바퀴(12a, 12b, 12c) 및 원통형 파이프 양측의 스토퍼(4a, 4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KR2019960059086U 1996-12-27 1996-12-27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KR200196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86U KR200196324Y1 (ko) 1996-12-27 1996-12-27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086U KR200196324Y1 (ko) 1996-12-27 1996-12-27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944U true KR19980045944U (ko) 1998-09-25
KR200196324Y1 KR200196324Y1 (ko) 2000-10-02

Family

ID=19484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086U KR200196324Y1 (ko) 1996-12-27 1996-12-27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3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540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06Y1 (ko) * 2008-07-31 2011-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선용 파이프 적치대
KR101310960B1 (ko) * 2009-09-15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시추설비의 파이프 적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1540A (ko) *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적재용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324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4780C (en) Transport device
US9809144B2 (en) Removable frame systems for vehicle shipping
EP3397519B1 (en) Transport frame for a wind turbine blade
US10688908B2 (en) Securing assembly
CA2953379A1 (en) Pipe intermodal logistics system
US4365768A (en) Cable reel adapter
US2961269A (en) Beam clamp
US20100074708A1 (en) Method of securing freight containers on deck of ship, and spring lashing bar, space adjuster and securing system used in the method
KR200196324Y1 (ko) 밀림방지용 코일 고정장치
US7887272B2 (en) Load security device including a coupling part with snap action
US5836536A (en) Cable storage assembly
US2364897A (en) Hoist grapple
US3147715A (en) Transport vehicle construction
US5390970A (en) Shipping container stacking pin tool
US4893713A (en) Protector pallet for aircraft wheel assemblies
US5513727A (en) Circumferential chock with lockable, concave clamping jaws
US2020000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CN209010091U (zh) 一种倾桶用的叉车防滑装置
US3438340A (en) Adjustable and self-storing freight tiedown apparatus
AU2012210854B8 (en) Transport device
WO2018132009A1 (en) Marine reel lay method pipeline installation vessel and method
US3788690A (en) Billet turning wrench
KR200494142Y1 (ko) 선박 상가 대차 고정용 스토퍼
RU34476U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еревозки труб
AU2005225017A1 (en) Transport and storage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