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854U - 창문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창문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854U
KR19980045854U KR2019960058996U KR19960058996U KR19980045854U KR 19980045854 U KR19980045854 U KR 19980045854U KR 2019960058996 U KR2019960058996 U KR 2019960058996U KR 19960058996 U KR19960058996 U KR 19960058996U KR 19980045854 U KR19980045854 U KR 199800458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evaporator
outdoor
air condition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89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계헌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589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5854U/ko
Publication of KR19980045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854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창문형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구비하여 증발기 쪽으로 실내공기를 고루 순환시킴으로서 냉방효과를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체가 실내외로 노출되어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내흡입구 및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실내공간부와 내부에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외흡입구 및 실외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공간부로 구획되어진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증발기와 대응되도록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 표면에 고루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창문형 에어컨
본 고안은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형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구비하여 증발기 쪽으로 실내공기를 고루 순환시킴으로서 냉방효과를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에어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등에 설치되어 전, 후방이 실내, 외로 노출되는 본체(1)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 내부에는 격판(2)에 의해 실내공간부(10)와 실외공간부(9)로 구획되고 격판(2)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3)가 설치된다.
또한, 실외공간부(9)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4)가 설치되고 이의 후방에 상기 압축기(4)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5)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기(5)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5a)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고, 각 냉매관(5a)의 외주면에 이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5b)이 구비된다.
그리고 실외공간부(9)와 대응되는 모터(3)의 후방에 상기 모터(3)에 형성된 회전축(3a)에 냉각팬(6)이 설치되어, 응축기(5) 쪽으로 바람을 송풍시켜 응축기(5)를 공냉시킨다. 또한 실외공간부(9)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9b)가 형성되고 응축기(5)의 후방에 실외토출구(9a)가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3)의 구동으로 냉각팬(6)이 회전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9b)를 따라 흡입되고 후방의 응축기(6)를 거치면서 이를 공냉시키며, 공냉시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실외토출구(9a)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실내공간부(10)의 내부에는 증발기(7)가 ㄱ자형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7)는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쳐 팽창된 냉매가 그 내부에 흐르는 것으로서, 상기 냉매중 액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따라서 실내온도가 내려가는 것이다.
그리고, 모터(3)와 대응되는 실내공간부(10)에 순환팬(8)이 설치된다. 상기 순환팬(8)은 양방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모터(3)에 의해 회전되어 실내공기를 증발기(7) 쪽으로 순환시킨다.
즉, 순환팬(8)의 회전으로 실내공기가 증발기(7) 쪽으로 흡입되는 실내흡입구(10b)가 설치되고, 실내흡입구(10b) 후방의 증발기(7)를 거치면서 열 교환되어 냉각된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구(10a)가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모터(3)가 작동되면 이의 양방향으로 회전축(3a)에 끼워져 설치된 순환팬(8)과 냉각팬(6)이 동시에 회전된다. 또한 압축기(4)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5) 쪽으로 순환되면 냉각팬(6)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공냉된다.
즉, 냉각팬(6)이 회전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9b)를 거쳐 실외공간부(9)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5)를 통과한다. 이때, 상기 응축기(5)에 강한바람이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5)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시킨 뒤 상기 바람은 실외토출구(9a)를 따라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응축기(5)에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되어 응축된 냉매가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따라서 팽창된 기체액체 혼합냉매가 실내공간부(10)의 증발기(7) 쪽으로 순환되어 이중 액체상태의 냉매가 증발하여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3)의 구동으로 순환팬(8)이 회전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10b)를 따라 실내공간부(10) 내부로 흡입된 후 증발기(7)를 거치면서 냉각된다. 또한,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토출구(10a)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고 실내가 냉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창문형 에어컨은 증발기 전방에만 실내흡입구가 형성되어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 표면을 고루 통과하지 못함으로 냉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창문형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구비하여 증발기 쪽으로 실내공기를 고루 순환시킴으로서 냉방효과를 상승시킨 창문형 에어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창문형 에어컨의 평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창문형 에어컨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본체,13-실외공간부,
13a-실외토출구,13b-실외흡입구,
14-실내공간부,14a-실내토출구,
14b-실내흡입구,14c-측면실내흡입구,
16-압축기,18-증발기,
20-응축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가 실내외로 노출되어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내흡입구 및 실내토출구가 형성된 실내공간부와 내부에 응축기 및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외흡입구 및 실외토출구가 형성된 실외공간부로 구획되어진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증발기와 대응되도록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 표면에 고루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창문형 에어컨의 평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창문형 에어컨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 등에 설치되어 전후방이 실내외로 노출되며 내부에는 격판(12)에 의해 실내공간부(14)와 실외공간부(13)로 구획되는 본체(11)가 구비되고, 상기 격판(12)은 중앙에서 회전축(15a)을 통하여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15)가 설치된다.
실외공간부(13) 일측에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6)가 설치되고 이의 후방에 상기 압축기(16)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응축기(20)는 내부에 고온고압의 냉매가 흐르도록 되어 있고, 상기 실외공간부(13)와 대응되는 모터(15)의 후방에 냉각팬(17)이 설치되어 응축기(20) 쪽으로 바람을 송풍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외공간부(13)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13b)가 형성되고 응축기(2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13a)가 형성되어, 모터(15)의 구동으로 회전축(15a)에 끼워진 냉각팬(17)이 회전되면서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13b)를 따라 흡입되고 후방의 응축기(20)를 거치면서 이를 공냉시킨다. 한편 공냉시 가열된 공기는 실외토출구(13a)를 따라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실내공간부(14)의 내부에는 ㄱ자형상의 증발기(18)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8)는 그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쳐 팽창된 냉매가 흐르는 것으로서, 주위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증발시키고 또한 냉매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실내온도가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실내공간부(14)와 대응되는 모터(15)의 전방에 순환팬(19)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팬(19)은 양방향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모터(15)에 의해 회전되어 실내공기를 증발기(18) 쪽으로 순환시킨다.
한편, 본체(11)의 전방에 순환팬(19)의 회전으로 실내공기가 증발기(18) 쪽으로 흡입되는 실내흡입구(14b)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1)의 실내공간부(14) 좌측면에 증발기(18)와 대응되도록 측면실내흡입구(14c)를 더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18) 표면에 고루 접촉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실내흡입구(14b) 및 측면실내흡입구(14c) 후방의 증발기(18)를 거치면서 열 교환되어 냉각된 냉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실내토출구(14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일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방이 시작되면 압축기(16)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20) 쪽으로 순환되고 냉각팬(17)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상기 응축기(20)가 공냉된다.
즉, 모터(15)가 작동되면 이의 양방향으로 설치된 순환팬(19)과 냉각팬(17)이 회전된다. 따라서, 냉각팬(17) 회전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13b)를 거쳐 실외공간부(13)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20)를 통과하며 상기 응축기(20)를 공냉시킨다.
이후, 상기 응축기(20)를 냉각시킨 상기 바람은 실외토출구(13a)를 따라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응축기(20)에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되어 응축된 냉매가 도시되지 않은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따라서 팽창된 기체액체 혼합냉매가 실내공간부(14)의 증발기(18) 쪽으로 순환되어 이중 액체상태의 냉매가 증발하여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15)의 구동으로 순환팬(19)이 회전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14b) 및 측면실내흡입구(14c)를 따라 실내공간부(14) 내부로 흡입된 후 증발기(18)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18)는 ㄱ자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음으로 상기 실내흡입구(14b) 및 측면실내흡입구(14c)를 통하여 전방과 좌측방에서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18)를 고루 통과하면서 냉기를 흡수하여 냉각된다.
이후, 냉각된 실내공기가 실내토출구(14a)를 거쳐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실내가 시원하게 냉방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원리에 벗어남이 없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포함되는 모든 수정, 변형 및 개량을 이에 포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창문형 에어컨은 창문형 에어컨 본체의 실내공간부 좌측면에 측면실내흡입구를 더 구비하여 증발기 쪽으로 실내공기를 고루 순환시킴으로서 냉방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1)가 실내외로 노출되어 내부에 증발기(18)가 설치되고 실내흡입구(14b) 및 실내토출구(14c)가 형성된 실내공간부(14)와 내부에 응축기(20) 및 압축기(16)가 설치되고 실외흡입구(13b) 및 실외토출구(13a)가 형성된 실외공간부(13)로 구획되어진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실내공간부(14) 좌측면에 증발기(18)와 대응되도록 측면실내흡입구(14c)를 더 형성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증발기(18) 표면에 고루 접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에어컨.
KR2019960058996U 1996-12-27 1996-12-27 창문형 에어컨 KR199800458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96U KR19980045854U (ko) 1996-12-27 1996-12-27 창문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8996U KR19980045854U (ko) 1996-12-27 1996-12-27 창문형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854U true KR19980045854U (ko) 1998-09-25

Family

ID=5399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8996U KR19980045854U (ko) 1996-12-27 1996-12-27 창문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585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5626A (ko) 에어콘의 응축기 냉각장치
KR20000020818A (ko) 창문형 슬림 에어컨
KR200153996Y1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기 냉각장치
KR19980045854U (ko) 창문형 에어컨
KR20050058136A (ko) 열효율이 개선된 창문형 에어컨
KR200148716Y1 (ko) 환풍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
KR19980028862U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장치
KR200148712Y1 (ko) 창문형 에어컨의 강제배기장치
KR200313220Y1 (ko)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KR20000044074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19980045844U (ko) 창문형 에어컨
KR200335271Y1 (ko) 에어콘 실외기의 공기가이드구조
KR19980045851U (ko) 창문형 에어컨
KR200159701Y1 (ko) 실외흡입부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KR200285314Y1 (ko) 에어컨 장치
KR20000044071A (ko) 열전 반도체를 이용한 에어컨
KR19980023013U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장치
KR910007570Y1 (ko) 창문형 냉방 공조기의 응축 효율 증대 장치
KR200148706Y1 (ko)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KR0122712Y1 (ko) 보조방열기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19980045867U (ko)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열교환기 냉매관구조
KR19980054849A (ko) 창문형 에어컨의 응축장치
KR100399682B1 (ko) 냉열반도체를 이용한 냉방장치
JP3596714B2 (ja) 冷風除湿機の送風構造
KR200164943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