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5595A -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5595A
KR19980045595A KR1019960063798A KR19960063798A KR19980045595A KR 19980045595 A KR19980045595 A KR 19980045595A KR 1019960063798 A KR1019960063798 A KR 1019960063798A KR 19960063798 A KR19960063798 A KR 19960063798A KR 19980045595 A KR19980045595 A KR 1998004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structure
forgings
coupl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1971B1 (ko
Inventor
정헌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63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97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9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의 분해 및 결합을 신속히 행할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O링(10)이 설치되도록 홈을 형성한 단조물(11)(11')을 연결할 제 1파이프(1) 및 제 2파이프(2)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고, 상기 양 단조물(11)(11')에 카바조립되며 외주에 다수의 돌조(12a)가 형성된 커플링(13)을 구비하며, 상기 단조물(11)(11') 및 커플링(13)의 양 끝단에 걸쳐지도록 조립되는 클립(14)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를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본 발명은 보일러 등의 기기에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의 분해 및 결합을 신속히 행할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등과 같이 가스 또는 물을 취급하여 가동되는 기기에는 상기 가스 및 물 등의 기체 또는 액체 등을 보내거나 빼기 위한 다수의 파이프가 배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제 1파이프(1)와 제 2파이프(2)를 연결시킴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1)의 끝단에 나사부(1a)를 형성하고, 제2파이프(2)의 끝단에 확장된 돌출턱(2a)을 형성하며, 일단에 걸림턱(3a)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부(1a)에 결합되는 너트(3)를 제 2파이프(2)에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제 1파이프(1)와 제 2파이프(2)사이에 패킹(4)을 개재한 상태에서 너트(3)를 나사부(1a)에 조립하게 되면, 너트(3)의 걸림턱(3a)이 제 2파이프(2)의 돌출턱(2a)을 밀어내려 패킹(4) 및 제 1파이프(1)에 압압되므로써 상기 제 1파이프(1)와 제 2파이프(2)는 서로 연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너트(3)를 조이는 방법은 상기 제 1파이프(1)의 나사부(1a)를 스패너를 사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 2파이프(2)의 너트(3)를 또다른 스패너를 사용하여 서로 역방향으로 돌려 조이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성은, 제2파이프(2)의 단부를 확장시켜 돌출턱(2a)을 형성하여야 하며, 제 1파이프(1)의 단부에 나사부(1a)를 형성하여여야 하는 등의 제조상의 까다로움이 있게 되며, 양 파이프의 결합 및 결합해제시 필히 스패너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특히 A/S시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며 더불어 연결 및 해제의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다른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제 1파이프(1)의 단부에 나사구멍(5a)을 형성한 단조물(5)를 부착하고, 제 2파이프(2)의 단부에 조립구멍(6a)을 형성한 브라켓 또는 단조물(6)을 부착하여, 상기 단조물(5)에 패킹(4)을 삽입후 스쿠류(7)를 사용하여 양 단조물(5),(6)을 조립되게 하므로써 제 1파이프(1)와 제 2파이프(2)를 서로 연결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연결구조 역시 양 파이프의 결합 및 결합해제시 별도의 스쿠류를 구비하여 필히 드라이버등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게 되어 특히 A/S시 많은 불편함이 발생되며 더불어 연결 및 해제의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파이프 연결방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를 신속히 행할 수 있도록 한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O링이 설치된 단조물을 연결할 양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고, 상기 양 단조물에 카바조립되는 커플링을 구비하며, 상기 양 단조물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커플링을 통해 조립되는 클립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파이프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파이프연결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클립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파이프 2: 제2파이프
10: O링 11,11': 단조물
13: 커플링 13a: 돌조
14: 클립 15: 입구
16: 손잡이부 18,18': 절곡단부
19: 통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파이프연결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를 구성하는 클립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O링(10)이 설치되도록 홈을 형성한 단조물(11)(11')을 연결할 제 1파이프(1) 및 제 2파이프(2)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고, 상기 양 단조물(11)(11')에 카바조립되며 외주에 다수의 돌조(13a)가 형성된 커플링(13)을 구비하며, 상기 양 단조물(11)(11')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상기 커플링(13)을 통해 조립되는 클립(14)을 구비한다.
상기 클립(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5) 및 입구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부(16)를 지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단에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단부(18)(18')를 형성하며, 양 측면에 통공(19)을 형성한다.
이러한 형상의 상기 클립(14)은 그 입구(15)가 탄성적으로 작용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설치방법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제 1파이프(1) 및 제 2파이프(2)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된 단조물(11)(11')의 외주홈을 통해 O링(10)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 단조물(11)(11')을 서로 맞대어 놓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미 파이프내에 삽입되어진 커플링(13)을 상기 맞대어진 양 단조물(11)(11')에 카바되도록 압입하여 조립시킨다.
커플링(13)의 조립으로 양 파이프는 가조립상태를 이루게 되고, 커플링(13)의 조립시 O링(10)이 압압되어져 패킹기능에 의한 양 파이프의 수밀이 이루어 진다.
커플링(13)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이제는 상기 커플링(13)을 통해 클립(14)을 조립시키게 된다.
즉 클립(14)의 손잡이부(16)를 잡고 입구(15)를 밀어 넣게 되면, 클립의 입구(15)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게 되어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클립(14)의 조립상태가되면 커플링(13)의 돌조(13a)들이 클립(14)의 통공(19)을 통해 노출된 상태가 되고, 클립(14)의 상하단에 형성된 절곡단부(18)(18')가 커플링(13) 및 양 단조물(11)(11')의 상하단으로 밀착인입되어 카바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클립(14)의 탄성작용에 의해 커플링(13)이 파지되어 안정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됨과 동시에 클립의 상하단에 형성된 절곡단부(18)(18')가 양 단조물(11)(11')의 상하단을 파지하는 상태가 되는 까닭에 상기 양 단조물(11)(11')에 용접고정된 제 1파이프(1) 및 제 2파이프(2)는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됨이 없이 안정된 연결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A/S 등을 위해 연결된 양 파이프를 해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연결조립순의 역순으로 먼저 손잡이부(16)를 잡고 클립(14)을 분리시키고, 다음으로 커플링(13)을 양 파이프의 어느 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게 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파이프 연결구조는, 외주면에 O링이 설치된 단조물을 연결할 양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고, 상기 양 단조물에 카바조립되는 커플링을 구비하며, 상기 양 단조물의 끝단에 걸쳐지도록 커플링을 통해 조립되는 클립을 구비한 구성에 의해,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관파이프의 연결 및 분해를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므로 이와 같이 변경된 실시예들은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외주면에 O링(10)이 설치되도록 홈을 형성한 단조물(11)(11')을 서로 연결할 제 1파이프(1) 및 제 2파이프(2)의 단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고, 상기 양 단조물(11)(11')에 카바조립되는 커플링(13)을 구비하며, 상기 단조물(11)(11') 및 커플링(13)의 양 끝단에 걸쳐지도록 조립되는 클립(14)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14)은 입구(15) 및 입구 반대방향으로 손잡이부(16)를 지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하단에 안쪽으로 절곡된 절곡단부(18)(18')를 형성하며, 양 측면에 통공(19)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KR1019960063798A 1996-12-10 1996-12-10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KR100191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798A KR100191971B1 (ko) 1996-12-10 1996-12-10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798A KR100191971B1 (ko) 1996-12-10 1996-12-10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95A true KR19980045595A (ko) 1998-09-15
KR100191971B1 KR100191971B1 (ko) 1999-06-15

Family

ID=1948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798A KR100191971B1 (ko) 1996-12-10 1996-12-10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9065A (zh) * 2018-05-21 2018-09-28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两管型母线的连接方法及连接结构
KR102297291B1 (ko) * 2020-12-16 2021-09-03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배수관로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352A (ko) 2020-10-05 2022-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상관 이중 샘플링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524661B1 (ko) * 2021-04-15 2023-04-21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브 연결부위 고정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9065A (zh) * 2018-05-21 2018-09-28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两管型母线的连接方法及连接结构
CN108599065B (zh) * 2018-05-21 2024-01-09 深圳市沃尔核材股份有限公司 一种风电塔用两管型母线的连接方法及连接结构
KR102297291B1 (ko) * 2020-12-16 2021-09-03 주식회사 차후에스엔피 배수관로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1971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1342B2 (en) Anti-ovaling mechanical coupler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EP0837277B1 (en) Retainer for use in fluid couplings
US20080314205A1 (en) Quick release pliers for push-fit couplers
CA2298364A1 (en) Interlocking pipe coupling
US6641178B2 (en) Jointing system for pipes
EP1281907B1 (en) Sleeve-type pipe joint with axially compressed packing ring
US4299413A (en) Pipe coupling
KR100191971B1 (ko) 배관파이프 연결구조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JPH06101787A (ja) パイプ連結具
EP0657680A2 (en) Tube coupling block
KR200344322Y1 (ko)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 구조
KR930004986Y1 (ko) 관 연결구
KR20028008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37739Y1 (ko) 파이프의 결합 구조
JP2702069B2 (ja) 銅管などの可塑性管の接手装置
KR200352644Y1 (ko) 가압력 조절 나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 구조
KR200175515Y1 (ko) 나선관용 연결구
KR200245593Y1 (ko) 배관 연결구
JPH0353111Y2 (ko)
KR20110011808U (ko) 가스 보일러용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63189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960007449Y1 (ko) 배관 이음용 커플링
JPH035503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