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3574U -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574U
KR19980043574U KR2019960056693U KR19960056693U KR19980043574U KR 19980043574 U KR19980043574 U KR 19980043574U KR 2019960056693 U KR2019960056693 U KR 2019960056693U KR 19960056693 U KR19960056693 U KR 19960056693U KR 19980043574 U KR19980043574 U KR 199800435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pressure regulator
pressur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56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574U/ko
Publication of KR199800435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574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14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 F02M63/0015Valves characterised by the valve actuating means electrical, e.g. using solenoid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최적으로 제어하여 연비 향상과 출력을 증대시켜 주는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FT)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적정한 압력으로 주입노즐(4)측으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FP)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2)의 밸브(3)에 의해 개폐되어서 상기 연료펌프(FP)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실린더나 흡기 매니폴드측으로 분사시키는 주입노즐(4)과;
분사되는 연료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FT)측으로 연결된 연료회수관로에 압력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압력도조절기는 전자제어로 작동되는 전자식 압력조절기(10)로 형성되며, 엔진 측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RPM 센서(6)와;
자동차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감지하는 부하량 센서(7)를 설치하여, 이들 센서들에서 감지된 현재 구동상태의 엔진의 RPM과 부하량에 따른 최적의 분사량을 유지하기 위한 작동제어프로그램으로 상기 솔레노이드(2)와 연료펌프(FP) 및 압력조절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연료분사제어기(E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분사량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본 고안은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엔진 구동상태에 알맞은 최적으로 제어하여 연비 향상과 출력을 증대시켜 주는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분사장치는 처음에는 항공기용 기관의 기화기의 빙결(氷結)현상 방지나 플루트 실의 고장을 배제할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그 후 경주용 자동차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일반 자동차에서는 보통 기화기로도 연료공급장치의 요구 조건을 충족할 수 있고, 또 분자장치의 채용은 비용을 증대시키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이유로 실용화가 늦었으나, 최근에는 배기가스에 의한 환경 오염 문제와, 출력 증대, 연비 향상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료분사장치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기계식 연료분사장치이다.
도 1에서 1은 압력조절기, 2는 솔레노이드, 3은 밸브, 4는 주입노즐을 각각 가리킨다.
이 일예의 기계식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은, 연료탱크(FT)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적정한 압력으로 주입노즐(4)측으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FP)와; 이 연료펌프(FP)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2)의 밸브(3)에 의해 개폐되어서 실린더나 아니면 흡기 매니폴드측으로 분사시키는 주입노즉(4)과; 분사되는 연료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FT)측으로 연결된 연료회수관로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1)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기계식 연료분사장치는 연료탱크(FT)의 연료를 연료펌프(FP)에 의해 일정압력으로 가압하여 주입노즐(4)츨으로 공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 제어시스템의 제어에 의하여 솔레노이드(2)의 밸브(3)가 주입노즐(4)을 개폐시킴에 따라 적정량의 연료가 실린더측으로 분사시키는 작용을 하는 바, 주입노즐(4)에서 연료의 분사시에 연료의 공급압력이 규정치보다 높아지면 압력조절기(1)가 작동하여 소정의 작용으로 개폐되면서 연료를 연료탱크(FT)측으로 환수시켜 연료펌프로부터 공급된 연료의 압력을 규정된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계식 연료분사장치는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 압력을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자동차의 주행상태는 항상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수나 자동차의 부하량에는 변화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연료의 분사량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주어야만 높은 연비와 최고 출력을 유기하고, 유해 배기가스 감소 등의 문제점을 원만하게 해결하여 최적의 주행상태를 얻을 수 있으나, 상기 일예와 같은 기계식 연료분사장치는 연료공급압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최적의 주행상태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계식 연료분사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따라 연료분사장치를 제어하여서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분사량을 최적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연료분사량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엔진에 연료를 공급해 주는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으로,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적정한 압력으로 주입노즐측으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의 밸브에 의해 개폐되어서 상기 연료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실린더나 흡기 매니폴드측으로 분사시키는 주입노즐과, 분사되는 연료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측으로 연결된 연료회수관로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기는 전자제어로 작동되는 전자식 압력조절기로 형성되며, 엔진측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RPM센서와, 자동차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감지하는 부하량 센서(17)를 설치하여, 이들 센서들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의하여 자동차의 현재 운행상태를 파악하여 최적의 분사량으로 상기 솔에노이드와 연료펌프 및 압력조절기를 작동 제어해주는 작동제어프로그램을 갖는 연료분사제어기를 구비하는 연료분사량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자동차의 엔진이 최적의 상태에서 구동되도록 하여 연비를 향상시켜 는 것은 물론, 출력을 증대시켜 주고, 연소효율을 높여 환경에 유해한 성분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예 기계식 연료분사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력조절기2 : 솔레노이드
3 : 밸브4 : 주입노즐
6 : RPM 센서7 : 부하량 센서
10 : 전자식 압력조절기ECU : 연료분사제어기
FP : 연료펌프FT : 연료탱크
본 고안에 따른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게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예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일예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의 구성에서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은 종래의 일예 기계식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을 원용하고 있다.
즉,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으로서, 연료탱크(FT)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적정한 압력으로 주입노즐(4)측으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FP)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2)의 밸브(3)에 의해 개폐되어서 상기 연료펌프(FP)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실린더나 흡기 매니폴드측으로 분사시키는 주입노즐(4)등은 종래의 일예 기계식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을 원용하고 있다.
단,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에서는, 분사되는 연료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FT)측으로 연결된 연료회수관로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기의 구성이, 전자제어로작동되는 전자식 압력조절기(10)로 형성되며, 엔진 측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RPM 센서(6)와; 자동차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감지하는 부하량 센서(7)를 설치하여, 이들 센서들에서 감지된 데이터에 의하여 자동차의 현재 운행상태를 파악하여 설정된 소정의 연료분사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한 솔레노이드(2)와 연료펌프(FP) 및 압력조절기(10)의 작동을 제어해 주는 연료분사제어기(ECU)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연료분사제어기(ECU)에는 실험데이터에 의하여 얻어진, 엔진의 RPM과 부하량에 따른 최적의 분사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2)와 연료펌프(FP) 및 압력조절기(10)의 작동제어프로그램이 입력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의 일실시예 연료분사량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자동차의 엔진을 가동시켜, 아이들상태나 주행상태가 되면 엔진의 RPM과 부하량에 관한 데이터가 각각 RPM 센서(6)와 부하량 센서(7)에 감지되어 연료분사제어기(ECU)에 입력된다.
연료분사제어기(ECU)는 엔진의 RPM과 부하량에 관한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일정간격으로 체크하여 미리 압력 설정된 작동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솔레노이드(2)와 연료펌프(FP) 및 압력조절기(10)의 작동을 제어하여 분사압을 가변 조정하면서 연료분사를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료분사량 제어장치에 의하면, 연료분사제어기가 자동차에 엔진 구동영역에 따라 미리 입력된 적정의 분사압으로 연료가 분사되도록 연료분사장치를 제어하므로서,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게 최적의 상태 즉, 희박 연소 조건에서 엔진이 구동되도록 하여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연비를 향상시켜 주고, 연소효율을 높여 환경에 유해한 성분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여주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자동차 연료분사장치의 구성으로서, 연료탱크(FT)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적정한 압력으로 주입노즐(4)측으로 공급해 주는 연료펌프(FP)와;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솔레노이드(2)의 밸브(3)에 의해 개폐되어서 상기 연료펌프(FP)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실린더나 흡기 매니폴드측으로 분사시키는 주입노즐(4)과; 분사되는 연로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탱크(FT)측으로 연결된 연료회수관로에 압력조절기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압력조절기는 전자제어 작동되는 전자식 압력조절기(10)로 형성되며, 엔진측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RPM 센서(6)와; 자동차에 가해지는 부하량을 감지하는 부하량 센서(7)를 설치하여, 이들 센서들에서 감지된 현재 구동상태의 엔진의 RPM과 부하량에 따른 최적의 분사량을 유지하기 위한 작동제어프로그램으로 상기 솔레노이드(2)와 연료펌프(FP) 및 압력조절기(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연료분사제어기(ECU)로 구성되는 것을 특지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KR2019960056693U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KR199800435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93U KR19980043574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693U KR19980043574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574U true KR19980043574U (ko) 1998-09-25

Family

ID=5399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693U KR19980043574U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57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7179A1 (en) * 2000-08-25 2002-02-28 4C Soft Inc Electronic study method using multimedi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7179A1 (en) * 2000-08-25 2002-02-28 4C Soft Inc Electronic study method using multimed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512B1 (ko) 성층 연소 엔진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US20070186909A1 (en) Fuel pump control system for cylinder cut-of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151971A (ja) 内燃機関の負圧制御装置
JPH10151970A (ja) 内燃機関の負圧制御装置
US5878713A (en) Fuel control system for cylinder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233932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9990067079A (ko) 기통내분사내연기관의 제어장치
US5605136A (en)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with injector response delay compensation
US6170473B1 (en) Discharging by-pass for high pressure direct injection pump
JPH10157613A (ja) ブレーキ負圧センサの異常検出装置
US6625974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9980043574U (ko) 자동차의 연료분사량 제어장치
US6862515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ntrol arrangement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178615A (ja) 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の故障診断装置
JP3489368B2 (ja) 内燃機関の負圧制御装置
KR19980038658A (ko) 연료 분사 제어장치
KR100535541B1 (ko) 이지알 시스템의 분배특성 개선장치
KR950008325Y1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KR19980058738A (ko) 순간가속을 위한 연료공급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6110A (ko) 직분식 가솔린 엔진의 연료분사 시스템
KR20220084818A (ko) 엔진의 pda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9980078512A (ko) 전자제어 연료분사 엔진의 베이퍼록 발생시 재시동보완장치
JPS6232228A (ja) 内燃エンジン用燃料供給装置
KR19990003448A (ko) 차량의 급출발 및 급가속 방지를 위한 연료분사방법
KR19980021354U (ko) 배기가스 회수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