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113A -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113A
KR19980040113A KR1019960059255A KR19960059255A KR19980040113A KR 19980040113 A KR19980040113 A KR 19980040113A KR 1019960059255 A KR1019960059255 A KR 1019960059255A KR 19960059255 A KR19960059255 A KR 19960059255A KR 19980040113 A KR19980040113 A KR 19980040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ata
video
graphic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195B1 (ko
Inventor
박우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59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19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7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arranged in matrix form
    • H03K19/17724Structural details of logic blocks
    • H03K19/17728Reconfigurable logic blocks, e.g. lookup tabl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78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 및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신호 각각을 처리하여 선택적으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거나 이들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출력하도록 된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은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에 응답하여 복조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분리를 하여, 이 비디오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제1 신호 처리부;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용 신호를 처리하여 그래픽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신호 처리부;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스 처리부; 그래픽스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유닛; 및 처리부들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각각의 수단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도록된 제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로 장비를 구입할 필요가 없으로 또한 각각의 신호원들은 한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제 1 도는 종래의 디지털 CATV 컨버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제 2 도는 종래의 TV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는 인터넷 사용을 위한 장치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부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제 5 도는 제 3 도의 PLD에 관련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트랜스포트 및 암호해독부, 35 : MPEG 비디오 디코더, 38 : 그래픽스 프로레서, 39 : 비디오 인코더, 41 : 컬러 공간 변환기, 42 : 컬러 룩업 테이블, 43 : 컬러 팔렛트, 45 : 비디오 선택 로직
본 발명은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방식의 CATV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TV를 통해 행할 수 있도록 일체화 된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 CATV는 공중파 TV와는 달리 많은 채널을 갖추고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가입자는 가입과 동시에 중앙국에서 보내오는 많은 채널을 선택하여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해서 소위 셋탑 박스(set top box)를 장치하고 유선으로 중앙국과 연결하게 된다. 유선을 통해서 방송 신호가 입력되는 셋탑 박스 내에 구성된 튜너 및 복조기 등을 통해서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가 추출되고, 이 셋탑 박스에 연결된 텔레비젼을 통해 ㅅㅇ기 추출된 신호에 따른 프 로그램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아날로그 방식에 반하여 고화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 디지털 방식의 셋탑 박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식을 채용한 종래의 셋탑 박스에 대한 것을 살펴보기 위해서 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한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지털 방식의 셋탑 박스는 디지털 방식이라 해도 아날로그 방식과 같이 유선을 통한 RF 신호를 수신하여 종국에는 TV를 통한 디스플레이 형식에 맞는 아날로그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야 한다.
그러나 RF 신호는 디지털 포맷에 맞게 보내져 오는 신호이므로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제 1 도에 개략적으로 블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셋탑 박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디지털 방식의 셋탑 박스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RF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 및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신호의 에러 정정을 위한 복조 및 FEC 등으로 구성된 튜너 및 NIU(Network Interface Unit)부(11),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형태의 데이터를 재구성하고 암호 해독을 위한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해독(decryption)부(12),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의 복원을 위한 MPEG 비디오 디코더(15), 이 MPEG 비디오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DRAM(16), 복원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TV 신호로 변환하여 변환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NTSC 인코더(17), 복원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19), 이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를 위한 CPU(13), 및 시스템의 시작 프로그램과 각종 응용 프로그램의 저장용 DRAM 및 ROM(1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자가 제작한 소정의 프로그램은 각 가입자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압축을 거쳐 QAM 방식으로 변조된 후에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이때 신호는 아날로그 형성으로 된 RF 주파수의 신호로서 이 신호는 가입자집에 설치된 셋탑 박스에 있는 튜너 및 NIU(1)에 입력된다. 튜너에 의해서 해당 채널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선국된 후에 아날로그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 후 AD 변환기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러면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르 복원하기 위해서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 및 데티어 전송에 따른 에러 발생을 정정하기 위해서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으로 에러 정정한 후에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 해독부(12)에 입력된다.
통상, 방송시 유료화에 따라 특정 가입자에게 공급하기 위해서 암호화되므로 이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해서 해독하고 케이블 전송 방식에 의해 구성된 데이터 패킷 단위들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오디오 및 비디오의 압축된 비트스트림으로 재구성하여 비디오 스트림은 MPEG 비디오 디코더부(15)로 가고, 오디오 스트림은 MPEG 오디오 디코더부(18)로 간다.
MPEG 비디오 디코더부(15)에 입력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원래의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되어 NTSC 인코더부(17)로 보내어져 TV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MPEG 오디오 디코더부(18)로부터 복원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DAC(19)를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스피커(도시 없음)를 통해 출력된다.
여기서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제어는 CPU(13)에서 행하게 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네뉴 화면같은, CPU로부터 출력된 그래픽 관련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부(15)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기능을 통해 그래픽 데이터로 변환되어 NTSC 인코더부(17)를 통해 T로 출력된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향에 따라 일반인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TV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소위 TV 인터넷 단말기라고 하는 것으로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서, 개략적은 구성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그 구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일반 전화선의 모뎀 인터페이스를 위한 모뎀 DAA(Data Access Arrangement; 21), 모뎀 데이터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모뎀 모듈(22), 전체적인 시스템의 제어와 각 입출력 장치들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CPU(23), CPU의 처리 등의 일시적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DRAM(24), 각종 프로그램의 저장 및 새로운 정보의 저장 등을 위한 플래쉬 ROM(25), 인터넷의 그래픽스 화면의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26), 그래픽 화면의 일시 저장을 위한 비디오 메모리인 VRAM(27), 디지털 그래픽스 데이터를 TV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NTSC 인코더(2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TV 인터넷 단말기는 인터넷 관련 데이터가 전화선을 통해 모뎀 DAA(21)에 입력되면, DAA에서는 입력된 인터넷 관련 데이터에 대해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화나된 인터넷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 디지털 데이터는 모뎀 도듈부(22)에 입력되어 여기서 복조가 이루어진다. 복조된 데이터는 CPU(23)의 도움으로 그래픽 데이터로 처리되어 그래픽스 프로세서(26)에 입력된다. 그러면, 처리된 데이터를 tv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 그래픽스 프로세서(26)에 의해 아날로그 rRGB신홀 변화나되어 NTSC 인코더(28)에 이해서 TV 신호로 변환됨으로써 TV에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신호신호 공급원, 즉 CATV 및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는 상이하나, 이들을 처리하여 표시하는 출력 장치는 널리 보급된 TV를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들을 사용하고자 할 때는 각각의 신호정보 공급원을 각각 처리하는 별도의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입해서 설치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어느 것이나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예를 들면 TV를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에 근거하여, 이를 통합한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며, 이를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2가지 기능의 통합에 있어 디지털 비디오 화상과 인터넷의 그래픽스 화상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기능을 갖춘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 및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신호 각각을 처리하여 선택적으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에 응답하여 복조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분리를 하여, 비디오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제 1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용 신호를 처리하여 그래픽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이들을 적당히 혼합하여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스 처리 수단; 상기 그래픽스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단들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각각의 수단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도록 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서로 다른 신호 공급원을 각각 처리할 수도 있으며, 이들 신호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주로 방송 신호가 디스플레이되고 있을 때, 인터넷 그래픽스를 그 화면의 일정 영역에 메뉴화면이나 상태 화면 등을 겹쳐서 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사용상에 편리함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바령의 목적에 따라 구성된 본 발명의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블록도로 제 3 도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복합 매체로서는 이를테면 2개의 신호 공급원, 즉 디지털 형태로 전송된 방송 신호 및 데이터 통신에 적합한 형태로 전송된 데이터 스트림을 포함한다. 이들 신호들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입력되면 선택적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혼합되어 이를 테면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제어 및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CPU(31)와 이에 결합된 DRAM(32); 시스템의 각 기능의 제어 신호 발생, CPU와의 인터페이스, 및 어드레스 디코딩을 위한 프로그래머블로직 디바이스(PLD; 33); NIU로부터 입력되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전송 데이터를 받아 암호를 해독하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분리를 위한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 해독부(34); 압축된 MPEG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MPEG 비디오 디코더(35) 및 이에 관련된 DRAM(36); 데이터 통신용 정보의 그래픽스 데이터와 MPEG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 및 비디오 데이터의 버퍼용인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38) 및 이에 관련된 DRAM(37); 상기 그래픽스 프로세서(38)로부터 입력된 RGB(Red, Green, Blue) 데이터를 TV 시니호로 변환하기 위한 비디오 인코더부(3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38)에 대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 4 도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이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3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도의 MPEG 디코더(35)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또는 CPU(31)로부터의 데이터 통신에 따른 그래픽스 데이터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R, , B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디바이스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은 차후 설명한다.
그리고, 제 3 도 및 제 4 도의 각 부분의 블록들의 고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적절한 때에 공급되는 제어신호로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제 3 도에 도시한 PLD(33)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 또한 제 5 도에 도시되었다. 이에 대해서 자세한 것 또한 후에 설명한다.
제 3 도로 돌아가서, 먼저 사용자가 디지털 방식의 방송 신호를 받아 CATV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는 종래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하였듯이, 이 신호의 특성은 압축된 신호가 전송되어 오는 것으로서, 이를 테면 MPEG 비디오 데이터 처리로 제한된다. 이러한 특성의 신호는 NIU로부터 제공된다. 이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데이터 압축을 거쳐 QAM 방식으로 변조된 후에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CATV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형상으로 된 RF 주파수의 신호로서 이 신호는 가입자집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셋탑 박스에 있는 튜너 및 NIU(도시 없음)에 입력되고, 이 튜너에 의해서 해당 채널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된 후에 아날로그 중간 주파수로 변환된 후 내장된 AD 변환기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러면 변조되기 전의 데이터로 복원하기 위해서 QAM 복조 및 데이터 전송에 따른 에러 발생을 정정하기 위해서 FEC 방식으로 에러 정정한 후에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 해독부(34)에 입력된다. 그러므로 이 신호는 디지털 데이터로서 복조됨과 아울러 에러가 정정된 상태의 압축된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이며 방송 프로그램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신호이다. 이 신호는 클럭신호(CLK)와 함께 제 3 도에 도시된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 해독부(34)에 인가된다.
이 신호는 통상 암호화되어 있으므로,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및 암호해독부(34)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해독되어 시스템 정보와 MPEG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로 각각 분리된다.
여기서, 분리된 MPEG 비디오 데이터는 MPEG 비디오 디코더(35)에 입력되어 YUV(휘도, 색상) 신호로 복원되어 이 디코더(35)에 결합되어 있는 기억장치로서 예를 들면 DRAM(36)에 저장된다. 그러면 DRAM(36)에서는 이를테면 8비트의 YUV 데이터로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 8비트의 YUV 데이터를 처리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부(38)로 입력된다.
언급하였듯이, 8비트의 YUV 데이터를 받는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부(38)의 구성은 제 4 도와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부(38)는 MPEG 비디오 디코더(35)로부터 입력되는 YUV(휘도 및 색 신호) 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컬러 공간 변환기(CSC; Color Space Converter)(41); 데이터 통신에 관련된 것으로서(이에 대해서는 후술함), CPU(31)로부터 그래픽 데이터로 처리된 인덕스된 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컬러 룩업 테이블(Color lookup Table; 42); MPEG 비디오 데이터와 그래픽스 데이어의 혼합(blending)된 RGB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컬러 팔렛트(43); TV 모니터의 디스플레이에 필요한 동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CRT 제어기(44); MPEG 비디오 데이터, 그래픽스 데이터 또는 혼합된 데이터의 출력을 선택하기 위한 비디오 선택 로직(45); 선택된 RGB 각각의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3개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 46)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 이와 같은 구성의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부(38)에는 MPEG 비디오 디코더(35)로부터 입력되는 8비트의 YUV 데이터가 제 4 도의 CSC(41)에 입력되어, 상기 YUV 데이터가 RGB 24비트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어서 비디오 선택 로직(45)에 입력된다.
비디오 선택 로직(45)에서 보면 이에 입력되는 2개의 서로 다른 성질의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 선택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선택은 제어신호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 신호와 각 구성 요소간 관계를 갖는 PLD(33)가 채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지만, 비디오 선택 로직에 대해 PLD(33)는 본 경우(CATV 동작)에 VID_SEL(0:1)이라는 제어 신호가 이를 테면 (0, 1)로서 인가되어 비디오 데이터가 선택된다. 따라서, 각각의 RGB의 8비트 데이터가 제 4 도의 DAC(46)에 각각 입력되어 VCLK(Video Pixel Clock)에 의해 아날로그 RGB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출력되는 RGB 아날로그 신호는 CRT 제어부(44)에 의해 출력되는 동기신호(Vsync, Hsync, Blank, Csync)들과 함께 제 3 도의 비디오 인코더(39)에 입력됨으로써, 아날로그 RGB 신호를 TV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다음에,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에 관계된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이미 설명하였지만, TV 인터넷 단말기는 인터넷 관련 데이터가 전화선을 통해 모뎀 DAA에 입력되면, DAA에서는 입력된 인터넷 관련 데이터에 대해서 디지털 시니호 처리를 위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인터넷 관련 정보를 갖고 있는 디지털 데이터는 모뎀 모듈부에 입력되어 여기서 복조가 이루어진다. 복조된 데이터는 CPU(31)의 도움으로 그래픽 데이터로 처리되어 제 3 도의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38)에 입력된다.
그래픽스 화면의 처리는 소위 GUI(Graphics User Interface)에 의한 메뉴 화면이나 인터넷의 화면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CPU(31)에 의한 그래픽 데이터는 16비트 데이터 폭을 가지며, 이는 그래픽스 프로세서 및 비디오 오버레이(38)를 통해 이에 관련된 DRAM 비디오 메모리(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그래픽스 데이터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룩업 테이블(42)에 의해 16비트의 인덱스된 데이터가 24비트 RGB 데이터로 변환딘 후 비디오 선택 로직(45)에 입력된다. 그러면, PLD(33)에 의해서 본 경우(데이터 통신 처리) VID_SEL(0:1)가 (0, 0)으로 되어 그래픽스 데이터가 선택된다. 이어서, DAC(46)에 의해서 아날로그 RGB 신호로 변환된 것이 출력된다. 이하 과정은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하면, 두 개의 상이한 입력 디지털 소스가 별도로 선택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개별적인 처리외에도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MPEG 비디오 데이터와 그래픽스 데이터의 혼합을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동작은 주로 MPEG 비디오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화면의 일정 영역에 메뉴 화면이나 상태 화면 등을 겹쳐서 한 화면에 출력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35)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CPU(31)로부터 입력되는 그래픽스 데이터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가투이, 각각 CSC(41)와 컬러 룩업 테이블(42)에 의해 24비트의 RGB 형태로 변환되어 컬러 팔렛트(43)에 입력된다. 입력된 각각의 데이터는 이들이 혼합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PLD(33)로부터의 제어 신호인 B_L(0:3)가 취한 값에 따라 비디오와 그래픽스 데이터가 혼합된 24비트의 RGB 데이터로 출력된다. B_L이 취한 값, 예를 들면 4비트로 표시된 수치에 따라 MPEG 비디오 대 그래픽스 데이터의 혼합비가 결정되는데, 이에 관한 것은 본 명세서 끝 부분에 수록된 표1과 같이 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2개의 신호가 혼합되어 하나의 신호로서 출력되고, 이 데이터는 비디오 선택 로직(45)에 입력되는데, 비디오 선택 신호인 VID_SEL(0:1) 값이 (1, 0)이 되면 입력된 신호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출력 이후의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상이한 데이터 입력원을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기능에 더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상이한 데이터 입력원을 혼합한 형태로서 처리하여 TV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전술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각각의 블록에 필요했던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PLD에 대해서 설명한다.
PLD는 주어진 조건에 맞는 논리 신호를 적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논리회로로서, 이 기능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CPU(31)로부터 어드레스, 데이터, CPU에 의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블록에 대한 제어 신호와 어드레스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각 제어 신호에 대한 정의는 다음의 표3에 나타낸 것과 같으며 이들 조건에 부합되는 로직 구성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서 용이하게 설계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1은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MPEG 비디오와 그래픽스 데이터의 혼합을 처리하는 기능에 필요한 컬러 팔렛트의 혼합 레벨을 표한 것으로 혼합 레벨에 따라(1 부터 16) PLD(33)가 출력하는 B_L(0:3)의 값을 나타낸 것이며, 예를 들면 혼합 레벨이 11일 경우 이에 대응하는 B_L 데이터(0:3)은 1010이며, 이것이 컬러 팔렛트(43)에 가해지면 그래픽스 데이터는 25%, MPEG 비디오 데이터는 75%의 비율로 서로 혼합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2는 비디오 선택 로직(45)에 관련한 것으로서, 이 로직(45)에 표2와 같이 VID_SEL[0:1]이 PLD(33)로부터 인가되면 각각에 상응하여 비디오 선택 로직(45)은 입력된 것 중 선택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CPU(31)의 의해서 피제어된 PLD(33)로부터 이에 상응하여 VID_SEL[0:1]로서 10을 출력하였다면, 이 신호가 비디오 선택 로직(45)에 인가되어 이 로직은 컬러 팔렛트(43)로부터 출력된 혼합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내부적으로 스위칭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제어에 대해서 표3에 나타낸 PLD로부터의 다양한 제어 신호가 각각의 블록에 인가되어 해당 블록이 고유 동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이와 아울러 표3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신호들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였다.
표 1 : 컬러 팔렛트의 혼합 레벨
표 2 : 비디오 선택 로직의 출력 신호
표 3 : 신호 설명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V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는 여러 가지 형태의 단말기 장치를 하나의 복합 장치로 구성함으로써 각각 중복되는 블록을 단일화함으로써 구성에 대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합함으로서 사용자의 사용이 간편해지는 잇점이 있다.
또한, 현재의 경우에는 TV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하는 디지털 CATV 셋탑 박스와 TV 인터넷 단말기 또는 인터넷 기능 내장형 TV가 각각 별도의 장치로 제공되고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하나의 통합된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앞으로 TV에 대한 케이블 모뎀이 가능해지면 하나의 케이블을 사용하는 매우 편리한 시스템으로 될 것이다.
이 발명은 각각의 다른 형태의 비디오와 그래픽 데이터를 스위치하거나 혼합하여 커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디지털 셋탑 박스와 인터넷 TV기능을 효과적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 및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신호 각각을 처리하여 선택적으로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합 매체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선을 통해 들어오는 디지털 방식의 신호에 응답하여 복조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분리를 하여, 이 비디오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제1 신호 처리 수단; 상기 회선을 통한 데이터 통신용 신호를 처리하여 그래픽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대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그래픽스 처리 수단; 상기 그래픽스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신호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수단들에 제어 신호를 보내어 각각의 수단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도록 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스 처리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처리 수단의 각각의 신호를 선택된 혼합(blending) 비율로 혼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처리 수단은 유선을 통한 디지털 형태의 신호를 받아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QAM 복조/FEC 처리부; 트랜스포트 디멀티플렉서; 이에 접속되어 처리된 결과를 상기 그래픽스 프로세서로 공급하는 MPEG-2 비디오/오디오 디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중앙 처리 장치(CPU)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 처리 수단은 회선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데이터 액세스 장치(DAA)와, 이에 접속되어 모뎀 전송에 의한 데이터의 처리를 위한 데이터 모뎀을 포함하며, 상기 모뎀을 통한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서 복원되고, 이 복워나된 데이터는 상기 그래픽스 프로세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스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신호 처리 수단에 접속된 컬러 공간 변환기, 상기 제2 신호 처리 수단에 접속된 컬러 룩업 테이블, 상기 컬러 공간 변환기 및 상기 컬러 룩업 테이블에 접속된 컬러 팔렛트, 이 컬러 팔렛트에 접속된 비디오 선택 로직, 및 이 로직으로부터 나온 디지탈 컬러 데이터에 대응하는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로를 포함하며, 상기 비디오 선택 로직은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수단 및 이들 신호를 선택된 혼합비로 혼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매체 처리 시스템.
KR1019960059255A 1996-11-29 1996-11-29 복합매체처리시스템 KR10042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255A KR100426195B1 (ko) 1996-11-29 1996-11-29 복합매체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255A KR100426195B1 (ko) 1996-11-29 1996-11-29 복합매체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113A true KR19980040113A (ko) 1998-08-17
KR100426195B1 KR100426195B1 (ko) 2004-06-23

Family

ID=37329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255A KR100426195B1 (ko) 1996-11-29 1996-11-29 복합매체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36B1 (ko) * 1996-11-29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매체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59350A (en) * 1992-12-09 1997-08-19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Operations center for a television program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
CA2151461C (en) * 1992-12-09 2004-09-21 John S. Hendricks Advanced set top terminal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
JP3299821B2 (ja) * 1993-09-06 2002-07-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番組選択メニュー方式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EP0700205A3 (en) * 1994-08-31 1997-04-02 Toshiba Kk Multimedia television receiver and initialization process therefor
KR0140964B1 (ko) * 1994-10-28 1998-06-15 구자홍 텔레비젼(tv) 수상기의 통신 제어 장치와 통신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236B1 (ko) * 1996-11-29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매체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195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24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program guide format
US6490002B1 (en) Supplemental data path for supporting on-screen displays from external sources in a monitor/TV receiver using a secondary analog signal path
JP4265053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受信装置、印刷装置、並びに印刷方法
JP3962482B2 (ja) 混合ビデオ映像信号発生装置
EP0701367B1 (en) Program guide interface
JP2003046898A (ja) 補助情報処理能力を有するビデオ信号処理システム
KR100218474B1 (ko) 에치티엠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장치
JP2004104415A (ja) 受信装置
KR10022299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아날로그 방송 수신방법 및 장치
CN102256082B (zh) 一种支持多种数字电视制式的电视机
KR100426195B1 (ko) 복합매체처리시스템
JP429807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3153116A (ja) 放送受信装置
KR100308298B1 (ko)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20100225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EP1099342B1 (en) Use of on-screen display (osd) for supplying control and auxiliary information to external devices
KR20010086240A (ko) 디지털 시청각 데이터 전송 시스템용 디코더 및디코더에서 그래픽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KR100391070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장치:
JP3539451B2 (ja) 電子番組ガイド装置および方法
JP3541903B2 (ja)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433236B1 (ko) 복합매체처리시스템
RU2666521C2 (ru) Способ одновремен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нескольких телевизионных программ
KR2000006644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JP2001186435A (ja) テレビジョン番組表示装置
KR100428603B1 (ko) 디지털티브이의그래픽정보디스플레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