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015A -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015A
KR19980040015A KR1019960059139A KR19960059139A KR19980040015A KR 19980040015 A KR19980040015 A KR 19980040015A KR 1019960059139 A KR1019960059139 A KR 1019960059139A KR 19960059139 A KR19960059139 A KR 19960059139A KR 19980040015 A KR19980040015 A KR 19980040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temperature
humidity value
tank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7061B1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9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61B1/ko
Publication of KR19980040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가 1개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 초기 가습기를 동작시킬 경우에 초기온도가 즉, 45℃까지 서서히 올라감으로서 초음파 가습기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습기 동작시 가습조(130)의 초기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보조 히터를 가열시키는 보조히터 제어부(21)를 포함되게 구성한 장치와,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작으면 보조 히터를 오프시키고,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크면 보조 히터를 구동시키고, 메인 히터를 구동시키도록 한 방법을 제공하여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하여 가습기 초기온도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가습조 내부 초기온도를 45℃까지 신속하게 끌어올려 초음파 가습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하여 가습기 초기온도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초음파 가습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동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난방 시설(예 : 에어컨, 선풍기, 보일러, 난로 등등)을 가동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건조해져 사람들의 호흡기를 자극하여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예 : 텔레비전 수상기, 냉장고, 에어컨,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음향기기 등등)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동작하는 중에 발생된 열에 의하여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실내공간의 습도값은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실내공간이 건조해지면 사람(건강한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게 됨을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혹은 환자 등과 같이 병약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에 따라 습도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가정이나 환자들을 수용하는 병원에서는 습도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실내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가습기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일정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기기로서, 이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을 수증기나 미세한 입자인 무화상태로 변환시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여 실내공간의 습도값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임의의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가습기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2에 의하여 살펴보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희망습도값을 설정하는 등 가습기의 전반적인 동작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키가 형성되어 있는 키 입력부(12)와, 가습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14)와,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값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6)와, 가열조(120)나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조(110)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스위칭(온/오프) 동작하는 플로트 스위치(18)와,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을 동작시켜 희망습도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과 진동수단(150)에 의해 발생된 무화(수증기)를 토출구(170)를 통해 가습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팬(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 구동부(2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갈수(渴水)상태를 알리는 부져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키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8)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습기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로서, 키 입력부(12)의 전원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1)와,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고,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값을 체크하는 단계(S302)와, 현재습도값이 체크되면 가습조(130)에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3)와,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이면 키 입력부(12)에 의해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값을 설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304)와, 설정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값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305)와, 판단된 결과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작으면 단계(S302)로 복귀시키고,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키 입력부(12)의 가습모드(예 : 취침, 약, 중, 강, 터보, 퍼지모드) 선택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6)와, 판단된 결과 가습모드 선택키가 온으로 확인되면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의해 가열수단(140)의 히터를 가열하는 단계(S307)와, 히터가 가열되면 진동자 제어부(24)에 의해 진동수단(150)의 진동자를 구동하는 단계(S308)와, 진동자가 구동되면 팬 구동부(26)에 의해 팬(160)을 구동한 후 단계(S302)로 복귀되는 단계(S309)와, 상기 단계(S303)에서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이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의해 부져를 구동하는 단계(S310)와, 부져가 구동되면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311)와, 확인된 결과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지 않았으면 단계(S310)로 복귀시키고, 일정횟수 이상 출력되었으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단계(S312)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 입력부(12)의 전원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S301)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여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값을 체크(S302)한다. 즉, 현재습도값이 체크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가습조(130)가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S303)하여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상태로 확인되면, 키 입력부(12)에 의해 설정된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값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S304)한다. 상기 키 입력부(12)에 의해 설정된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값을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값 보다 큰가를 비교 판단(S305)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된 현재습도값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값을 체크(S302)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단계(S305)에서 판단된 결과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키 입력부(12)의 가습모드(예 : 취침, 약, 중, 강, 터보, 퍼지모드) 선택키가 온인가를 판단(S306)하여 가습모드 선택키중 하나(예 : 약모드)가 온으로 확인되면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메인히터 제어부(20)가 가열수단(140)의 히터를 가열(S307)시킨다.
또한 히터가 가열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진동자 제어부(2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진동수단(150)의 진동자를 구동(S308)한다.
또한 진동자가 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팬 구동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 구동부(26)에 의해 팬(160)을 구동(S309)한다. 즉, 가열수단(140)의 히터와, 진동수단(150)의 진동자와, 팬(160)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와 진동자와 팬(160)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값을 체크(S302)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S303)에서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미도시)를 구동(S310)한 후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는가를 확인(S311)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를 구동(S310)하여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는가를 확인(S311)하여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었으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S312)시켜 사용자에게 수조(110)와 가습조(130)내에 물이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상기한 종래의 가습기는 가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가 1개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아 초기 가습기를 동작시킬 경우에 초기온도가 즉, 45℃까지 서서히 올라감으로서 초음파 가습기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결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하여 초기온도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45℃까지 신속하게 끌어올려 초음파 가습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가습기 동작시 가습조(130)의 초기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보조 히터를 가열시키는 보조히터 제어부(21)를 포함되게 구성한 장치와,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작으면 보조 히터를 오프시키고,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크면 보조 히터를 구동시키고, 메인 히터를 구동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주지적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습기 구성관계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가습기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가습기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방 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키 입력부
14 : 습도 감지센서 16 : 온도 감지센서
18 : 플로트 스위치 20 : 메인히터 제어부
21 : 보조히터 제어부 22 : 모터 제어부
24 : 진동자 제어부 26 : 팬 구동부
28 : 디스플레이 구동부 30 : 데이터부
110 : 수조 120 : 가열조
130 : 가습조 140 : 가열수단
150 : 진동수단 160 : 팬
170 : 토출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를 보인 구성 블록도로서,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희망습도값을 설정하는 등 가습기의 전반적인 동작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키가 형성되어 있는 키 입력부(12)와, 가습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14)와,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값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6)와, 가열조(120)나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조(110)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스위칭(온/오프) 동작하는 플로트 스위치(18)와,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을 동작시켜 희망습도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과 진동수단(150)에 의해 발생된 무화(수증기)를 토출구(170)를 통해 가습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팬(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 구동부(2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갈수(渴水)상태를 알리는 부져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키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8)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부(30)를 구비한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 동작시 가습조(130)의 초기온도가 45℃ 이하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보조 히터를 가열시키는 보조히터 제어부(21)를 더 포함되게 구성한다.
상기 메인히터 제어부(20)는 메인히터(미도시)를 가열시키고, 보조히터 제어부(21)는 보조히터(미도시)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습도 감지센서(14)에 의해 가습공간의 현재 습도값을 체크하는 단계(S501)와, 온도 감지센서(16)에 의해 가습조(130) 온도를 체크하는 단계(S502)와, 키 입력부(12)의 전원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03)와,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단계(S501)로 복귀시키고, 전원이 온이면 가습조(130)에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504)와,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상태이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의 부져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켜 갈수상태를 표시한 후 단계(S501)로 복귀시키는 단계(S505-1)를 수행하고,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이면 키 입력부(12)에 의해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값을 세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505)와, 세팅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값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506)와, 판단된 결과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작으면 발광다이오드(LED)에 희망습도 초과를 표시한 후 단계(S501)로 복귀시키는 단계(S507-1)를 수행하고,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507)와, 판단된 결과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작으면 보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508-1)를 수행하고,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크면 보조히터 제어부(21)에 의해 보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508)와, 보조 히터가 구동되면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의해 메인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509)와, 메인히터가 구동되면 팬 구동부(26)에 의해 팬을 회전시키는 단계(S510)와, 팬이 회전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가습모드(예 : 퍼지모드, 약모드, 중모드, 강모드, 터보모드, 취침모드 중에서 하나의 모드)를 수행한 후 단계(S501)로 복귀시키는 단계(S511)를 수행함을 보이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 입력부(12)의 키를 조작하여 가습기의 동작환경인 희망습도값과 위험습도값 및 위험온도값 등 가습기의 동작 환경을 설정하면, 이를 인식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온도 및 습도값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외부에 별도로 메모리를 설치할 수도 있음)에 저장하고, 위험온도값과 위험습도값 및 희망습도값을 표시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므로 인하여 발광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키 입력부(12)에서 입력되는 각종 키의 상태나 동작환경이 표시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가습기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메인히터 제어부(20)와 진동자 제어부(24) 및 팬 구동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가습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가습조(130)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 감지센서(16)에 의해 검출된 가습조(130)내의 온도값과 실내공간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감지센서(14)에 의해 검출된 현재습도값과 수조(110)에서 배출되어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온/오프 상태로 스위칭 동작하는 플로트 스위치(18)에 의해 검출된 가습조(130)내의 갈수(渴水)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현재 온도값에 의해서 가습조(130) 내부의 온도를 판단하여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살균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실내공간의 현재습도값에 의해서 대기중(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을 말함)의 습도값을 판단하여 대기중의 현재습도값이 희망습도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진동자 제어부(2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가습조(130)가 갈수(渴水)상태인가를 판단하여 물이 정상으로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진동자 제어부(24)와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팬 구동부(26)에 각각 제어신호를 출력하지만 가습조(130)가 갈수상태이면 갈수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가습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ED)와 부져(미도시)가 구동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 감지센서(14)에 의해 감지되어 검출된 실내공간의 현재습도값과 가습기가 과도하게 동작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습도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위험 습도값과 온도 감지센서(16)에 의해 감지되어 검출된 현재 온도값과 진동수단(150)이 이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위험 온도값의 높고 낮음을 비교하여 현재습도값 혹은 현재 온도값이 위험습도값이나 위험온도값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가습기가 정상 동작할 수 있도록 가습기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현재습도값 혹은 현재온도값이 위험습도값이나 위험온도값 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가열수단(140)과 진동수단(150)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므로, 이를 알리는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미도시)를 구동시킨다.
상기 가습기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동작을 도 4와 도 5a 내지 도 5b에 의해 살펴보면,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값을 체크(S502)한 뒤 온도 감지센서(16)에서 감지되어 입력되는 가습조(130)의 내부온도를 체크(S502)한다. 이 때 사용자가 키 입력부(12)의 전원 스위치를 온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가습기에 인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S503)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습도 감지센서(14)에서 현재습도값을 체크하도록 하고, 전원이 온으로 판단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하여 가습조(130)가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S504)하여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상태이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의 부져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켜 갈수상태를 표시(S505-1)한 뒤 습도 감지센서(14)를 통해 현재습도값을 체크하도록 한다.
한편,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입력한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값을 세팅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S505)한다.
또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세팅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값 보다 큰가를 판단(506)하여 세팅된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작으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디스플레이 구동부(28)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켜 희망습도값 초과를 표시(S507-1)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 습도 감지센서(14)를 통해 현재 습도값을 계속 체크하도록 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세팅한 희망습도값이 습도 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값 보다 큰가를 판단(S506)하여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의 초기온도값 보다 큰가를 판단(S507)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보조히터 제어부(2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보조 히터(미도시)를 오프(S508-1)시킨다.
그러나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기준온도(예 : 45℃)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크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보조히터 제어부(2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보조히터 제어부(21)에 의해 보조 히터(미도시)를 구동(S508)시킨다. 상기 보조 터가 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메인히터 제어부(20)에 의해 메인 히터(미도시)를 구동(S509)하여 가습조(130) 내부를 신속하게 가열하여 초기온도가 45℃가 되도록 한다. 상기 보조 히터와 메인 히터가 구동되어 가습조(130) 내부가 신속하게 가열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팬 구동부(26)에 의해 송풍팬을 회전(S510)시킨다.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조작하여 선택한 가습모드(퍼지모드, 약모드, 중모드, 강모드, 터보모드, 취침모드 중에서 약모드)를 수행(S511)한 후 처음 과정으로 복귀시켜 습도 감지센서(14)를 통해 현재 습도값을 체크하도록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해서 수행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하여 가습기 초기온도의 발열량을 증가시켜 가습조 내부 초기온도를 45℃까지 신속하게 끌어올려 초음파 가습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 예에 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가습기의 전반적인 동작환경을 설정하는 키 입력부(12)와, 가습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습도값을 감지하는 습도 감지센서(14)와,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값을 감지하는 온도 감지센서(16)와, 가열조(120)나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조(110)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플로트 스위치(18)와,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을 동작시켜 희망습도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 및 진동수단(15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메인히터 제어부(20) 및 진동자 제어부(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가열수단(140)과 진동수단(150)에 의해 발생된 무화를 토출구(170)를 통해 가습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팬(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 구동부(26)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갈수상태를 알리는 부져와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디스플레이 구동부(28)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부(30)를 구비한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기 동작시 가습조(130)의 초기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서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보조 히터를 가열시키는 보조히터 제어부(21)를 포함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2.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희망습도값이 현재습도값 보다 크면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작으면 보조 히터를 오프시키고,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크면 보조 히터를 구동시키고, 메인 히터를 구동시키도록 한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기준온도가 가습조(130) 초기온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기준온도를 45℃로 설정한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
KR1019960059139A 1996-11-28 1996-11-28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77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139A KR0177061B1 (ko) 1996-11-28 1996-11-28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9139A KR0177061B1 (ko) 1996-11-28 1996-11-28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015A true KR19980040015A (ko) 1998-08-17
KR0177061B1 KR0177061B1 (ko) 1999-04-15

Family

ID=194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139A KR0177061B1 (ko) 1996-11-28 1996-11-28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5141A (zh) * 2022-07-14 2022-10-25 黄永年 高效化霜的热泵式小型空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5135B (zh) * 2016-09-05 2018-06-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控制装置、方法及加湿器
CN108019864A (zh) * 2017-12-06 2018-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器的控制方法、装置及加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35141A (zh) * 2022-07-14 2022-10-25 黄永年 高效化霜的热泵式小型空调
CN115235141B (zh) * 2022-07-14 2023-10-31 黄永年 高效化霜的热泵式小型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7061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5135C (en) Air distribution fan and outside air damper recycling control
KR0181022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0177061B1 (ko)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57747B1 (ko) 주변온도에 따른 가습기 동작제어방법
JP2002081718A (ja) 加湿器
KR0177064B1 (ko) 가습기의 진동자 과열방지방법
KR19980040028A (ko) 가습기 취침모드 동작시 발광다이오드 동작 제어방법
KR100193089B1 (ko) 클럭 ic를 이용한 가습기의 작동모드 예약장치 및 방법
KR19980030865A (ko) 주변 온도값에 의한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0167738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9980040027A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가습기의 동작모드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0177060B1 (ko)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JP2000039193A (ja) 加湿器
KR19980075692A (ko) 멀티 가습기의 초기 전력제어방법
KR100275410B1 (ko) 온수난방장치에서의온도제어방법
KR200227586Y1 (ko) 팬코일 유니트의 가습 제어장치
JPH071239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205121B1 (ko) 가습기 가열수단의 오동작 경고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0179609B1 (ko) 가습기의 진동자 온도 유지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
KR19980075695A (ko) 히터 초음파가습기의 전류 제어방법
KR0175511B1 (ko) 냉가습 기능을 갖는 가습기 동작제어방법
KR940010699B1 (ko) 에어콘의 모기향 발생장치와 모기향 발생 제어방법
KR0175502B1 (ko) 가습기 진동수단의 주변온도 제어장치 및 방법
KR0167741B1 (ko) 냉온수기에 결합된 가습기와 그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
KR0167740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