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544A -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 Google Patents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544A
KR19980039544A KR1019960058574A KR19960058574A KR19980039544A KR 19980039544 A KR19980039544 A KR 19980039544A KR 1019960058574 A KR1019960058574 A KR 1019960058574A KR 19960058574 A KR19960058574 A KR 19960058574A KR 19980039544 A KR19980039544 A KR 19980039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data
signal
broadcast
channel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5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제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8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544A/en
Publication of KR19980039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544A/en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국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의 방송국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apparatus of 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that enables a viewer to easily recognize a broadcasting station currently watching through a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에 있어서는 공중파전송망으로 송출하는 영상신호에 대해 자신의 고유한 코드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출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roadcast station adds and transmits its own code data to a video signal transmitted to an airwave transmission network.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특정한 채널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식별문자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설정되는 식별문자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고유의 코드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television receiver, the user can set his or her desired identification character for a particular channel, and the identification character set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data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그리고, 시청자가 입력수단의 확인키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수단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코드데이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등록한 방송식별문자를 검색하여 그 방송식별문자를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When the viewer operates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means, the control means detects the code data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searches for the broadcast identifier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code data, and displays the broadcast identifier. Output through means.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채널방송에 대해서는 그 채널번호나 또는 채널 주파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방송식별문자가 표시되게 되므로 시청자는 항상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ertain broadcast identifier is always displayed for one channel broadcast regardless of the channel number or channel frequency, the viewer can always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nel broadcast that he or she is watching.

Description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의 방송국인식장치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방송국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의 방송국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apparatus of 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which enables a viewer to easily recognize a broadcasting station watching through a television receiver.

도 1은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주파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2는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방송선국을 실행하는 튜너, 3은 이 튜너(2)에서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IF)를 증폭하는 IF증폭부, 4는 이 IF증폭부(3)로부터 출력되는 중간주파수신호로부터 음성중간주파수신호(SIF)와 영상중간주파수신호(PIF)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P/S분리부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elevision receiver, in which reference numeral 1 is an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d 2 is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control unit 12 to be described later. A tuner for executing broadcasting st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F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IF output from this tuner 2, and 4 is an audio intermediate frequency from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is IF amplifier 3; It is a P / S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the signal SIF and the imag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PIF.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5는 상기 PIF신호로부터 영상신호를 검파하여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를 출력하는 영상검파부이고, 6은 이 영상검파부(5)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를 근거로 그에 대응하는 R(Red), G(Green), B(Blue)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처리부, 7은 이 영상처리부(6)에서 출력되는 RGB 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OSD(On Screen Display)장치(13)로부터 인가되는 RGB 및 블랭킹신호(Y')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 8은 이 믹서(7)로부터 인가되는 RGB신호를 근거로 CRT(Cathode-ray Tube)를 구동하여 CRT상에 소정의 영상화면을 생성하는 CRT구동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5 is an image detector for detecting a video signal from the PIF signal and outputs a composite video signal, and 6 is based on the composit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detector 5. An image processor for outputting R (Red), G (Green), and B (Blu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log, 7 denotes an RGB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or 6 and an OSD (On Screen Display) device to be described later. A mixer which mixes and outputs the RGB and blanking signal Y 'applied from (13), and 8 drives a CRT (Cathode-ray Tube) based on the RGB signal applied from this mixer (7) to be predetermined on the CRT. It is a CRT driving unit that generates a video screen of the.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9는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장치이고, 10은 이 리모콘장치(9)로부터 인가되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 11은 각 방송채널을 선국하기 위한 채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채널메모리, 12는 상기 리모콘장치(9)로부터 인가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 13은 시청자에 의한 리모콘장치(9)의 조작상태나 또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조작상태를 CRT 상에 시각적으로 표시해 주기 위한 RGB 및 OSD 블랭킹신호(Y')를 출력하는 OSD 발생부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9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viewer to operate the television receiver, 10 is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appli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9 and outputting an electric code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Channel memory for storing channel data for tuning each broadcast channel, 12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ntire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ignal appli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9, 13 is a remote control device 9 operation by the viewer An OSD generator which outputs an RGB and OSD blanking signal (Y ') for visually displaying a state or an operation state of a television receiver on a CRT.

즉,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리모콘장치(9)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2)가 OSD 발생부(13)를 제어하여 시청자의 조작상태를 CRT상에 표시해 줌과 더불어 각 회로부를 제어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상태로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9, the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OSD generator 13 to display the viewer's operation state on the CRT and to control each circuit unit. Control the television receiver as desired.

그런데, 상술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By the way, the following problem arises in the above-mentioned television receiver.

즉,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시청자가 리모콘장치(9)를 조작하여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2)는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에 대응하는 채널데이터를 채널메모리(11)로부터 독출하여 튜너(2)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방송채널을 선국제어함과 더불어, OSD 발생부(13)를 제어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채널번호 등을 표시해 줌으로써 시청자가 자신이 선택한 채널번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That is, in a television receiver, when a viewer operates a remote controller 9 to select a desired broadcast channel, the controller 12 reads out channel data corresponding to the broadcast channel selected by the viewer from the channel memory 11 and tunes the tuner. By controlling (2), the broadcast channel is selected as well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nd the OSD generation unit 13 is controlled to display the broadcast channel number selected by the viewer so that the viewer can recognize the channel number selected by the viewer.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이 많은 나라에 있어서는 동일한 방송채널이 지역에 따라 다른 채널번호, 즉 다른 채널대역에서 양호하게 검파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지역에 따라 방송국에 따른 채널번호가 달리 설정되어 채널번호를 통해 해당 채널방송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However, in a mountainous country such as Korea, the same broadcasting channel is detected in a different channel number, that is, in a different channel band, depending on the region, and in Korea, the channel number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broadcasting station. It is set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cognize the channel broadcast through the channel number.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채널방송이 많이 신설되면서 사용자가 시청가능한 채널의 수효도 대폭 증가되고 있는 바, 이 때문에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을 인식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In addition,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channels that can be viewed by the user has been greatly increased as a variety of new channel broadcasts have been newly established,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viewers to recognize the channel broadcasts they are watch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방송채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의 방송국인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apparatus of 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a user can easily identify and view a broadcasting channel that the user watche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television receiver.

도 2는 현재 방송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복합영상신호를 나타낸 신호파형 도.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composite video signal currently used in a broadcasting system.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방송시스템의 식별데이터 부가장치를 나타 낸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vice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of a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수직블랭킹신호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FIG. 4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or in FIG. 3. FIG.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FIG. 5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도 6은 도 3에서 기준클록 발생부와 코딩구간펄스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erence clock generator and a coded section pulse generator in FIG. 3; FIG.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7 and 8 are signal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도 9는 도 3에서 데이터 발생기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구성도.FIG. 9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generator in FIG. 3. FIG.

도 10은 도 3 및 도 9에 나타낸 구성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Fig. 10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 and 9;

도 11은 복합영상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장 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ection device for detecting identification data added to a composite video signal.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FIG. 1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11; FIG.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방송국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구 성도.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에서 리모콘장치의 키배열구성을 나타낸 도면.14 is a view showing a key arrangement configu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 FIG.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화면예를 나타낸 도면.1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 안테나, 36 : 식별데이터 설정부,1: antenna, 36: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41 : 적분회로, 42 : 비교회로,41: integrating circuit, 42: comparison circuit,

43 : 멀티바이브레이터, 90 : 데이터 출력부,43: multivibrator, 90: data output unit,

107 : D 플립플롭, 131 : 식별데이터 검출부,107: D flip-flop, 131: identification data detection unit,

132 : 리모콘장치, 133 : 데이터 저장부,132: remote control device, 133: data storage unit,

134 : 제어부.134: control unit.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방송시스템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방송의 고유코드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코드데이터 발생수단과, 방송신호의 수직블랭킹구간에 대해 상기 코드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고유코드데이터를 부가하는 데이터부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code 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unique code data of channel broadcasting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the code data generating means for a vertical blanking section of a broadcast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appending means for adding the unique code data generated by the.

또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방송인식장치는 복합영상신호의 소정 구간에 대해 채널방송 고유의 코드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신하도록 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상기 채널방송 고유의 코드데이터를 검출하는 코드데이터 검출수단과, 시청자가 방송식별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와 시청중의 채널방송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키를 구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방송식별문자와 상기 코드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상호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 시청중인 채널방송의 방송식별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방송식별문자 입력기능을 제어함과 더불어, 입력수단의 확인키가 선택되면 상기 코드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 해당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식별문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방송식별문자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hannel broadcasting recognition apparatus of a televi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code data specific to channel broadcasting is added and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section of a composite video signal. Code means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the code data unique to the channel broadcast from an image signal, input means including an input key for a viewer to input a broadcast identification character and a confirmation key for confirming the channel broadcast being viewed, the input Data storage means for correlating and storing the broadcast identifier input by the means and the code data detected by the code data detection means,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broadcast identifier of the channel broadcast being watched, and the input means. The code data when the identification key of the input means is selected, A control means for detecting a broadcast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code data from the data storage means based on the code data detected by the output means, and outpu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broadcast identifier through the display means. It features.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국에 있어서는 공중파전송망으로 송출하는 영상신호에 대해 자신의 고유한 코드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출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roadcasting station adds and transmits its own code data to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o the airwave transmission network.

또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특정한 채널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식별문자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와 같이 설정되는 식별문자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고유의 코드데이터와 함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television receiver, the user can set his or her desired identification character for a particular channel, and the identification character set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means together with the unique code data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그리고, 시청자가 입력수단의 확인키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수단은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코드데이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사용자가 등록한 방송식별문자를 검색하여 그 방송식별문자를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When the viewer operates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means, the control means detects the code data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searches for the broadcast identifier registered by the user based on the detected code data, and displays the broadcast identifier. Output through means.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하나의 채널방송에 대해서는 그 채널번호나 또는 채널 주파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방송식별문자가 표시되게 되므로 시청자는 항상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a certain broadcast identifier is always displayed for one channel broadcast regardless of the channel number or channel frequency, the viewer can always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nel broadcast that he or she is watch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 2는 방송국에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복합영상신호(Composite Video Signal)를 나타낸 신호파형도로, 이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영상신호구간과 수직블랭킹구간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또한, 여기서 수직블랭킹구간에는 3H(H는 수평주사기간)의 수직등화펄스와 3H의 수직동기펄스, 3H의 수직등화펄스, 그리고 대략 12H의 수평동기펄스가 할당되게 된다.FIG. 2 is a signal waveform diagram illustrating a general composite video signal used to transmit a video signal in a broadcasting station, which is divided into a video signal section and a vertical blanking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Further,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is assigned a vertical equalization pulse of 3H (H is a horizontal scanning period), a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of 3H, a vertical equalization pulse of 3H, and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of approximately 12H.

한편, 상기 수직블랭킹구간은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주사선의 귀선시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수상기의 CRT상에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is used as the return time of the scanning line in the television receiver, it is generally not displayed on the CRT of the television receiver.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방송기술에 있어서는 상기한 수직블랭킹구간을 이용하여 문자다중방송 등의 방송신호와는 무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정보의 송신은 수평동기펄스구간이 적합하기 때문에 대략 15H∼18H의 구간은 문자다중방송, 21H는 캡션방송을 위해 할당되어 있다.Therefore, in most broadcasting technologies,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is used to transmit data irrelevant to broadcast signals such as text multiplexing. Especially, the transmission of such information is approximately 15H because the horizontal synchronous pulse section is suitable. The interval of ˜18H is allocated for text multicasting and 21H for caption broadcast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자다중방송이나 캡션방송에서 사용되지 않는 수평동기펄스구간을 이용하여, 방송국에서는 10H∼14H, 예컨대 11H에 소정의 코드데이터를 부가함으로써 방송국의 고유 식별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고,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는 상기 11H에 부가되어 있는 식별데이터를 검출하여 그에 따라 채널방송표시를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section not used in the text multicasting or caption broadcasting, the broadcasting station adds predetermined code data to 10H to 14H, for example, 11H, to transmit unique identification data of the broadcasting station. In the television receiver, the identification data added to the 11H is detected and the channel broadcast indication is executed accordingly so that the viewer can accurately recognize the channel broadcast currently being watched.

도 3은 상술한 개념을 실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시스템용 식별데이터 부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장치의 동작파형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for a broadcas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concept, and FIG. 5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도 3에서 참조번호 31은 도 5(A)의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로서, 이는 도 5(A)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합영상신호에 대해 소정의 슬라이스 레벨을 가지고 동기신호검출을 실행함으로써 도 5(B)와 같은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게 된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synchroniz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of FIG. 5A, which has a predetermined slice level for the composite video signal as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By perform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shown in Fig. 5B is separated and output.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2는 상기 동기분리부(31)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도 5(B)]로부터 수직블랭킹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직블랭킹신호 생성부로서, 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동기분리부(31)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적분하는 적분회로(41)와, 이 적분회로(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저항(R2, R3)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수직동기펄스구간에 대응하는 수직동기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비교회로(42) 및, 이 비교회로(42)로부터 출력되는 수직동기검출신호를 근거로 수직블랭킹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vertical blanking signal from the sync signal [Fig. 5 (B)] output from the sync separator 31, as shown in FIG. An integration circuit 41 for integra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separator 31 and the signal level output from the integration circuit 41 are compared with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s set by the resistors R2 and R3. And a monostable multivib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vertical blanking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synchronous det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ison circuit 42, and outputting a vertical synchronous det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ynchronous pulse section. It is comprised including 43.

즉,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수직동기펄스는 다른 신호구간의 펄스에 비해 그 듀티비가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동기분리부(31)의 출력신호를 도 4의 적분회로(41)로 적분하게 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동기펄스구간에서의 적분치가 다른 구간에 비해 낮아지게 되고, 이를 저항(R2, R3)에 의한 기준전압이 도 5(C)에 점선으로 나타낸 레벨을 갖는 비교기(431)에 입력하게 되면 도 5(D)와 같이 수직동기펄스구간에 대응하는 펄스폭을 갖는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In other words, as can be seen from Fig. 5B,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pulse is generally set to have a lower duty ratio than the pulses of other signal sections. Therefore,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synchronous separator 31 is integrated into the integrating circuit 41 of FIG. 4, the integrated value in the vertical synchronous pulse section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sections as shown in FIG. When the reference voltages of the resistors R2 and R3 are input to the comparator 431 having the level indicated by a dotted line in FIG. 5C, the pulse width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synchronous pulse section is shown in FIG. 5D. The signal will be output.

한편,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3)는 입력단(A1)으로 인가되는 펄스신호가 하이레벨로 상승하게 되면 그 출력(Q)이 하이레벨로 상승하게 되고, 이어 콘덴서(C2)와 저항(R4)에 의해 설정되는 시정수에 의한 일정시간동안 입력단(A1)을 통해 하이레벨의 상승신호(rising edge)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그 출력이 로우레벨로 저하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ulse signal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A1 rises to the high level,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3 raises its output Q to the high level, and then to the capacitor C2 and the resistor R4. If the rising edge of the high level is not inputt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A1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time constant set by the output, the output is reduced to the low level.

따라서, 상기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43)의 시정수값을 도 5(E)의 T로 설정하게 되면, 그 출력()은 도 5(E)와 같이 수직블랭킹구간에 대응되는 신호로 된다.Therefore, when the time constant value of the monostable multivibrator 43 is set to T in Fig. 5E, the output ( ) I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as shown in FIG.

또한, 도 3에서 참조번호 33은 상기 동기분리부(31)에서 출력되는 도 5(B)의 신호로부터 도 5(F)와 같은 수평동기를 분리해 내는 수평동기분리부로서, 이는 예컨대 단안정 말티바이브레이터로 구성된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3 denotes a horizontal synchronous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horizontal synchronous as shown in FIG. 5 (F) from the signal of FIG. 5 (B) output from the synchronous separator 31, which is, for example, monostable. It consists of a Malt Vibrator.

또한, 참조번호 34는 상기 수평동기분리부(33)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로부터 수평동기주파수(fH)의 예컨대 910분주신호인 910fH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준클록 발생부이고, 35는 이 기준클록 발생부(3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클록과 상기 수직블랭킹신호 생성부(32)로부터 출력되는 수직블랭킹신호 및 상기 수평동기 분리부(33)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를 근거로 방송국 식별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코딩신호를 생성하는 코딩구간펄스 생성부이다.Further,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reference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910f H , which is, for example, a 910 divided signal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frequency f H , from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eparator 33. Broadcasting station identification data is based on a reference clock output from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34, a vertical blanking signal output from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or 32, and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output from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eparator 33. A coding section pulse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coding signal for addition.

도 6은 상기 기준클록 발생부(34)와 코딩구간펄스 생성부(35)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이를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동작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34 and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35,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timing diagrams shown in FIGS.

도 6에서 기준클록 발생부(34)는 수평동기신호(F)와 이후에 설명할 (1/910) 분주기(344)에서 인가되는 주파수신호의 위상차를 비교하여 그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PLL(Phase Locked Loop)회로(341)와, 이 PLL회로(341)에서 출력되는 전압신호에 따라 소정의 주파수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발진기(342), 이 전압제어발진기(342)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버퍼링하는 클록버퍼(343) 및, 이 클록버퍼(343)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를 (1/910)분주하는 분주기(3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FIG. 6,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34 compares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 and the frequency signal applied by the frequency divider 34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lects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hase difference. A PLL (Phase Locked Loop) circuit 341,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signal output from the PLL circuit 341, and an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And a clock buffer 343 for buffering the frequency signal, and a divider 344 for dividing the frequency signal output from the clock buffer 343 (1/910).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1/910)분주기(344)의 출력신호와 수평동기신호의 위상차에 대응하는 전압신호가 전압제어발진기(342)로 인가되어 전압제어발진기(342)의 출력주파수가 조정되고, 이 전압제어발진기(342)의 출력주파수신호는 (1/910)분주기(344)를 통해 분주되어 다시 PLL회로(341)로 입력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a voltag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344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so that the output frequency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is increased. The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is divided through the divider 344 to be input to the PLL circuit 341.

이에 따라, 수평동기신호와 분주기(344)의 출력신호는 그 주파수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되어,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가 15.734K㎐라 할 때, 전압제어발진기(3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주파수는 14.418M㎐(910×15.734K㎐)로 되고, 이 주파수신호가 기준클록으로서 출력되게 된다.Accordingly,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divider 344 are adjusted so that their frequencies are the same. When the frequency of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is 15.734 KHz, the signal frequency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342 is 14.418 MkHz (910 x 15.734 KHz), and this frequency signal is output as a reference clock.

한편, 코딩구간 펄스발생부(35)는 상기 수직블링킹신호 생성부(32)에서 인가되는 수직블랭킹신호(E)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V1)와, 이 인버터(IV1)의 출력(H)을 리셋트신호로 하여 수평동기신호(F)를 계수하고, 그 계수치가 소정값, 예컨대 5가 되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카운터(351), 이 제1 카운터(351)로부터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기준클록 발생부(3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클록(G)을 근거로 소정의 계수값을 다운카운팅하는 제2 및 제3 카운터(352, 353), 상기 제2 카운터(352)의 출력과 제3 카운터(353)의 반전출력을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35 is configured to invert the inverter IV1 for inverting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E applied from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or 32 and the output H of the inverter IV1. A first counter 351 that counts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 as a reset signal and outputs a high level signal when the count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5, from the high counter signal. Is applied, the second and third counters 352 and 353 and the second counter 352 of down counting a predetermined coun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clock G output from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34. And an AND gate AND2 for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output and the inverted output of the third counter 353.

여기서, 상기 제1 카운터(35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IV1)의 출력(H)이 하이레벨이 되면 수평동기신호(F)의 상승엣지에서 계수동작을 실행하고, 해당 계수치가 5가되면, 즉 11H의 수평주사기간이 되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그 하이레벨 출력은 인버터(IV1)의 출력(H)이 로우레벨로 되어 리셋트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Here, as shown in FIG. 7, the first counter 351 performs the counting operation at the rising edg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 when the output H of the inverter IV1 becomes high level, and the corresponding count value is 5. In other words, when the horizontal scanning period of 11H is reached, a high level signal is output. The high level output continues until the output H of the inverter IV1 becomes low level and the reset signal is input.

또한, 상기 제2 카운터(352)는 상기 제1 카운터(351)의 출력(I)이 하이레벨로 상승하게 되면, 도 8의 T1구간에 해당하는 기준클록(G)의 수효를 그 초기값으로 하여 기준클록의 상승엣지에서 다운카운팅을 실행하고, 그 계수치가 0이 되면 하이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도 8의 (J)]. 또한, 상기 제3 카운터(353)는 상기 제1 카운터(351)의 출력(I)이 하이레벨로 상승하게 되면, 도 8의 T2구간에 해당하는 기준클록(G)의 수효를 그 초기값으로 하여 기준클록의 상승엣지에서 다운카운팅을 실행하고, 그 계수치가 0이 되면 하이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도 8의 (K)].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3 카운터(352, 353)는 상기 제1 카운터(351)의 출력(I)이 로우레벨로 되면 클리어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utput I of the first counter 351 rises to a high level, the second counter 352 sets the number of reference clocks G corresponding to the T1 section of FIG. 8 as its initial value. Then, down counting is executed at the rising edge of the reference clock, and when the count value reaches 0,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Fig. 8 (J)). In addition, when the output I of the first counter 351 rises to a high level, the third counter 353 sets the number of reference clocks G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T2 of FIG. 8 as its initial value. Then, down counting is performed at the rising edge of the reference clock, and when the count value reaches 0,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Fig. 8 (K)). The second and third counters 352 and 353 are cleared when the output I of the first counter 351 becomes low.

이어, 상기 제2 카운터(352)의 출력과 제3 카운터(353)의 반전출력은 앤드게이트(AND2)에서 논리곱됨으로써 앤드게이트(AND2)에서는 도 8의 (L)과 같은 11H의 수평주사기간에 해당하는 펄스신호가 출력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output of the second counter 352 and the inverted output of the third counter 353 are logically multiplied by the AND gate AND2, so that the AND gate AND2 has a horizontal scanning period of 11H as shown in FIG. Corresponding pulse signal is outputted.

한편, 도 3에서 참조번호 36은 사용자가 방송시스템에 고유식별번호를 부여하기 위한 다수의 딥스위치(S1∼S5)를 구비한 식별데이터 설정부로서, 이는 전원전압(Vcc)에 대해 저항(R31∼R35)과 딥스위치(S1∼S5)가 각각 직렬로 접속되어 딥스위치(S1∼S5)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 이후에 설명할 데이터발생기(37)로 1 또는 0의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36 denotes an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p switches S1 to S5 for a user to give a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to a broadcasting system, which is a resistor R31 with respect to a power supply voltage Vcc. R35 and dip switches S1 to S5 are connected in series, respectively, so that 1 or 0 data is input to the data generator 37 to be described later by turning on or off the dip switches S1 to S5. .

또한, 도 3에서 참조번호 37은 상기 식별데이터 설정부(36)에 의해 설정되는 식별데이터에 따라 복합영상신호에 부가될 소정의 코드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발생기이다.3, reference numeral 37 denotes a data generator for generating predetermined code data to be added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set by the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36. In FIG.

도면 9는 상기 데이터발생기(37)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 이는 상기 식별데이터 설정부(36)에서 딥스위치(S1∼S5)에 의해 설정되는 1 또는 0의 데이터비트를 각기 다른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다수의 데이터출럭부(901∼905)와, 이 데이터 출력부(901∼90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오아게이트(OR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ata generator 37, in which the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36 sets one or zero data bits set by the dip switches S1 to S5 at different predetermined timings. A plurality of data output units 90 1 to 90 5 to output and an orifice OR1 to logically output the data output from the data output units 90 1 to 90 5 ar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데이터 출력부(901∼905)는 상기 기준클록 발생부(34)로부터 출력되는 기준클록(G)을 근거로 소정의 계수값을 다운카운팅하여 그 계수치가 0이 되면 예컨대 하이레벨의 계수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37)와, 이 카운터(37)의 출력과 식별번호 설정부(36)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AND5) 및, 상기 카운터(37) 출력(Q)의 반전신호와 수평동기신호(F)를 논리곱하여 해당 카운터(37)에 리셋트신호로서 인가하는 앤드게이트(AND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 output units 90 1 to 90 5 down-count a predetermined count value based on the reference clock G output from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34, and when the count value becomes 0, for example, a high level is generated. A counter 37 for outputting a counting signal of "", an AND gate < RTI ID = 0.0 > AND5 < / RTI > And AND gate AND3 for performing an AND operation on the inverted signal of Q)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F and applying it to the counter 37 as a reset signal.

또한, 도 9에서 IV31∼IV35과 IV41∼IV45는 상기 앤드게이트(AND3)로 인가되는 카운터(37)의 각 출력을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인버터이다.In Fig. 9, IV3 1 to IV3 5 and IV4 1 to IV4 5 are inverters for delaying each output of the counter 37 applied to the AND gate AND3 for a predetermined time.

여기서, 상기 카운터(371)는 도 10의 T3구간에 해당하는 기준클록(G)의 수효를 그 초기값으로 하여 기준클록의 상승엣지에서 다운카운팅을 실행하고, 그 계수치가 0이 되면 하이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운터(372)는 도 10의 T4구간, 카운터(373)는 T5, 카운터(374)는 T6, 카운터(375)는 T7에 해당하는 기준클록(G)의 수효를 그 초기값으로 하여 기준클록의 상승엣지에서 다운카운팅을 실행하고, 그 계수치가 0이 되면 하이레벨의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카운터(372∼375)는 그 출력신호의 반전신호와 수평동기신호(F)의 논리곱신호에 의해 클리어되어 다시 계수동작을 실행하게 되므로, 카운터(372∼375)로부터는 도 10의 (M)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소정의 펄스폭을 갖는 펄스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예컨대 식별데이터 설정부(36)에서 딥스위치(S1, S2, S4)가 온된 경우에는 앤드게이트(AND51, AND52, AND54)의 출력이 1로 됨으로써 오아게이트(OR1)의 출력은 도면 9의 (N)와 같은 펄스신호로서 출력되게 된다.Here, the counter (37 1) is the reference clock (G) suhyo the running-down counting at the rising edge of the reference clock to the its initial value, and when the high level the coefficient is zero in which a T3 interval of 10 Outputs a detection signal. Further, the counter (37 2) is the number of the T4 interval, the counter (37 3) of Figure 10 is T5, the counter (37 4) is T6, the counter (37 5) is a reference clock (G) that corresponds to the T7 that Down counting is performed at the rising edge of the reference clock as an initial value, and when the count reaches 0, a high level detection signal is output. And, from these counters (37 2-37 5), so that the execution logic is multiplied by the signal coefficient clear operation again the inverted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 of the output signal, the counter (37 2-37 5) The pulse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pulse width is output at the timing as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dip switches S1, S2, and S4 are turned on in the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36, the output of the AND gates AND5 1 , AND5 2 , and AND5 4 becomes 1, so that the output of the oragate OR1 is decreased. It is output as a pulse signal as shown in FIG.

또한, 여기서 상기 펄스신호의 폭은 각각 인버터(IV3, IV4)와 앤드게이트(AND3)에서의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폭으로 설정되게 된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pulse signal is set to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delay time at the inverters IV3 and IV4 and the AND gate AND3, respectively.

그리고, 도 3에서 참조부호 AND1은 상기 코딩구간펄스 생성부(35)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와 상기 데이터발생기(37)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비트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이고, 38은 이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을 복합영상신호에 가산하는 가산기로서, 여기서 상기 앤드게이트(AND1)는 상술한 코딩구간펄스 생성부(35)에서 출력되는 도 10의 (L)과 상기 데이터 발생기(37)에서 출력되는 도 10의 (N)을 논리곱함으로써 도 10의 (O)를 출력하게 되고, 이 앤드게이트(AND1)의 출력이 가산기(38)를 통해 복합영상신호에 가산되게 됨으로써 가산기(38)로부터는 도 10의 (P)와 같은 채널방송의 고유 식별데이터가 부가된 신호로 되게 된다.In FIG. 3, reference numeral AND1 denotes an AND gate that logically multiplies the pulse signal output from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35 and the data bit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37, and 38 denotes the AND gate ( An adder for adding the output of AND1)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wherein the AND gate AND1 is output from the data generator 37 of FIG. 10L and the output of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35 described above. The result of the logical multiplication of (N) of FIG. 10 is to output (O) of FIG. 10, and the output of the AND gate AND1 is added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through the adder 38, thereby adding from the adder 38. The unique identification data of the channel broadcast as shown in FIG.

이어, 상기 가산기(38)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는 변조부(39)에서 변조된 후 안테나(40)를 통해 공중파전송망으로 송출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composit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adder 38 is modulated by the modulator 39 and then transmitted to the airwave transmiss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40.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방송시스템의 식별데이터 부가장치에 있어서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해낸 다음, 이를 근거로 수평동기신호의 N배(상기 예에서는 910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기준클록신호를 생성하게 된다.That is, in the apparatus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of the broadcast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and based on this, it has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N times (910 times in the above exampl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reference clock signal is generated.

그리고, 수직블랭킹신호를 근거로 수평동기신호를 계수하여 식별데이터를 부가하기 위한 수평동기펄스의 코딩구간펄스를 생성하고, 또한 상기 수평동기펄스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클록을 소정치 계수하는 방법으로 수평동기펄스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근거로 식별데이터 설정부(36)의 딥스위치(S1∼S5)에 의해 설정되는 식별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복합영상신호에 부가함으로써 식별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And a coding section pulse of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by coun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and counting the reference clock by a predetermined value based o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After generating the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the identification data set by the dip switches S1 to S5 of the identification data setting unit 36 are selectively added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based on the generated pulse signal. The data will be sent.

따라서, 상술한 방송시스템의 식별데이터 부가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방송신호에 채널방송 고유의 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출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apparatus for adding identification data of the above-mentioned broadcasting system can add and transmit channel-specific identification data to a broadcast signal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한편, 도 11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식별데이터가 부가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해당 식별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식별데이터 검출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dentification data detecting apparatus for detect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data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to which the identification data is added 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도 11에서 참조번호 101은 검파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상술한 도 5의 (B)와 같은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이고, 102는 이 동기분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B)로부터 수직블랭킹구간의 수평동기펄스기간에 대응하는 수직블랭킹신호(E)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직블랭킹신호 생성부, 103은 상기 동기분리부(101)로부터 출력되는 동기신호(B)로부터 수평동기신호(F)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수평동기분리부, 104는 이 수평동기분리부(103)로부터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F)를 근거로 그 수평동기신호(F)의 정수배(본 예에서는 910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신호를 기준클록으로서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준클록발생부, 105는 상기 수직블랭킹신호(E)와 수평동기신호(F) 및 기준클록(G)을 근거로 복합영상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식별데이터 신호구간에 대응하는 펄스신호(L)를 생성하는 코딩구간펄스 생성부로서, 이들 회로부는 상술한 도면 3의 구성과 그 회로구성 및 동작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In FIG. 11, reference numeral 101 denotes a synchronization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synchronization signal as shown in FIG. 5B from the detected composite video signal, and 102 denotes a synchronization signal B output from the synchronization separator 101. A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vertical blanking signal E corresponding to a horizontal synchronous pulse period from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and 103 is a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from the synchronous signal B output from the synchronous separator 101; A horizontal synchronous separator for separating and outputting (F), 104 is an integer multiple of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F based o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F output from the horizontal synchronous separator 103 (in this example, 910 times). A reference clock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clock) 105 is added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E,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F, and the reference clock G. Pul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signal section A coding period pulse generator generating a number (L), these circuit portions is the structure and circuit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FIG. 3 is substantially the same.

한편, 도 11에서 참조번호 106은 상기 코딩구간펄스 생성부(105)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L)가 하이레벨로 되면 온되는 제1 스위칭부이고, 107은 상기 기준클록발생부(104)로부터 출력되는 클록신호를 입력클록으로 하고, 그 D입력이 상기 제1 스위칭부(106)를 통해서 복합영상신호(A)에 결합되는 D 플립플롭이다.In FIG. 11, reference numeral 106 denotes a first switching unit that is turned on when the pulse signal L output from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105 becomes high level, and 107 denotes a reference clock generator 104. The output clock signal is the input clock, and the D input thereof is a D flip-flop coupled to the composite video signal A through the first switching unit 106.

도면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코딩구간펄스 생성부(105)로부터는 입력되는 복합영상신호(A)의 식별데이터 부가구간에 대응하는 하이레벨의 신호(L)가 출력되게 되고, 이와 같이 코딩구간펄스신호(L)가 하이레벨로 되게 되면 제1 스위칭부(106)가 온되게 됨으로써 D 플립플롭(107)의 입력단(D)에 해당하는 부분의 복합영상신호가 인가되게 된다.As shown in FIG. 12, the coding section pulse generator 105 outputs a high level signal 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data addition section of the input composite video signal A, and thus the coding section pulse. When the signal L becomes high, the first switching unit 106 is turned on so that the composite video signal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D of the D flip-flop 107 is applied.

한편, 상기 D 플립플롭(107)은 그 입력클록으로서 상기 기준클록 발생부(104)의 출력(G)이 인가되는 바, 이에 따라 D 플립플롭(107)으로부터는 도면 12(R)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합영상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식별데이터가 검출되어 출력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 flip-flop 107 is applied to the output (G) of the reference clock generator 104 as the input clock, so that the D flip-flop 107 as shown in Figure 12 (R) Identification data added to the same composite video signal is detected and output.

즉,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한 후, 이를 근거로 수평동기신호의 N배(상기 예에서는 910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갖는 기준클록신호를 생성하게 된다.That is, in the above configuration, after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separated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a reference clock signal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N times (910 times in the above example) of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is generated.

그리고, 수직블랭킹신호를 근거로 수평동기신호를 계수하고, 또 상기 수평동기펄스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클록을 소정치 계수하는 방법으로 복합영상신호의 화면비데이터 부가구간에 대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하고, 이 펄스신호에 대응하는 구간동안 복합영상신호에 대해 데이터비트 검출을 실행함으로써 송신측에서 부가하여 송출한 식별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And generating a pul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spect ratio data addition interval of the composite video signal by counting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based on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and counting the reference clock based on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Then, by performing data bit detection on the composite video signal during the section corresponding to this pulse signal, the identification data additionally sent by the transmitting side is detected.

한편, 도 13는 상술한 식별데이터 검출장치를 채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방송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도 13에서 상술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hannel broadcast recognition apparatus of a television receiver employing the above-described identification data detection apparatus. In FIG. 13, the same parts as in FIG. .

도면에서 참조번호 131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영상검파부(5)로부터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채널방송의 고유 식별데이터를 검출하는 식별데이터 검출부이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131 denotes an identification data detector which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1 and detects unique identification data of channel broadcast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video detector 5.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132는 시청자가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함과 더불어,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송국인식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리모콘장치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32 in the drawing is a remote control device for the viewer to control the television receiver, in particular to perform the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상기 리모콘장치(132)의 키배열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시청자가 소정의 채널방송에 대해 자신이 원하는 식별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송식별문자 저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설정키(1321)와, 다수의 번호키(1322), CRT상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향키((1323), 상기 커서의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엔터키(1324) 및, 시청자가 현재의 방송채널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키(13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key arrangement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32, which is a mode setting key 1321 for a viewer to select a broadcasting identification character storing mode for inputting an identification character desired by the viewer for a predetermined channel broadcasting. ), A plurality of number keys 1322, direction keys 1323 for moving the cursor displayed on the CRT, enter key 1324 for selecting characters displayed at the cursor position, and the viewer And a confirmation key 1325 for confirming the broadcast channel.

또한, 도 13에서 참조번호 133은 시청자가 상기 리모콘장치(132)를 통해 입력한 방송식별문자와 상기 식별데이터 검출부(131)에서 검출되는 방송고유의 식별데이터를 상호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이고, 134는 장치 전체를 제어함과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식별문자 저장 및 표시기능을 실행제어하는 제어부이다.In FIG. 13, reference numeral 133 denotes a dat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broadcast identifier input by the viewer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device 132 and the broadcast unique identification data detected by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ion unit 131. 134 is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entire apparatus and executes and controls the broadcast ID character storage and displa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시청자가 예컨대 채널 16번을 선택하여 방송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리모콘장치(132)의 모드설정키(1321)를 조작하여 방송식별문자 저장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34)는 OSD발생장치(13)를 제어하여 CRT상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안내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안내화면에는 모드표시와 현재 시청중에 있는 방송채널표시 및, 다수의 문자표시가 포함되게 되고, 또한 제어부(131)는 식별데이터 검출부(131)에서 검출되는 식별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저장부(133)를 독출하여 그 이전에 시청자에 의해 저장된 방송식별문자가 있는 경우에는 이를 방송식별문자 표시부(151)에 표시하게 된다.When the viewer selects the channel 16, for example, while watching a broadcast program, and operates the mode setting key 1321 of the remote controller 132 to select the broadcast ID character storage mode, the controller 134 controls the OSD generator. (13) is controlled to output a guide screen as shown in Fig. 15 on the CRT. At this time, the guide screen includes a mode display, a broadcast channel display currently being viewed, and a plurality of character displays. Also, the controller 131 i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ed by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or 131 and the data storage unit 133. ), And if there is a broadcast identification character stored by the viewer before it is displayed on the broadcast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 unit 151.

한편, 상기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리모콘장치(132)의 방향키(1323)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134)는 그에 따라 도 15에서 CRT상의 커서(152)를 이동제어하고, 시청자가 원하는 문자위치로 커서(152)를 이동시킨 후 리모콘장치(132)의 엔터키(1324)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34)는 시청자가 선택한 문자를 방송식별문자 표시부(151)에 표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direction key 1323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32 in the above state, the control unit 134 accordingly moves and controls the cursor 152 on the CRT in Figure 15, the cursor to the desired character position When the user enters the enter key 1324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32 after moving 152, the controller 134 displays the character selected by the viewer on the broadcast identifier character display unit 151.

또한, 이 경우 시청자가 리모콘장치(132)의 번호키(1322)를 조작하게 되면 해당되는 숫자가 방송식별문자 표시부(151)에 표시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viewer manipulates the number key 1322 of the remote controller 132, the corresponding number is displayed on the broadcast identifier display unit 151.

그리고, 시청자가 원하는 방송식별문자를 모두 입력한 후 리모콘장치(132)의 모드설정키(1321)를 다시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34)는 시청자가 입력한 방송식별문자, 즉 상기 방송식별문자 표시부(151)에 표시된 식별문자를 식별데이터 검출부(131)에서 검출된 식별데이터와 함께 데이터 저장부(133)에 저장한 후 본래의 방송화면상태로 복귀제어하게 된다.When the viewer inputs all desired broadcast identifiers and then selects the mode setting key 1321 of the remote controller 132, the controller 134 may display the broadcast identifiers input by the viewer, that is, the broadcast identifier character display unit ( The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ed on the 151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33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ed by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ion unit 131 and then returned to the original broadcast screen state.

또한, 상기 동작에서 시청자가 리모콘장치(132)의 방향키(1323)와 엔터키(1324)를 조작하여 CRT상에 표시된 문자표시 중에서 삭제를 선택하게 되면 식별문자 표시부(151)에 표시되는 식별문자가 모두 삭제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현재 또는 그 이전에 등록한 방송식별문자를 등록해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iewer operates the direction key 1323 and the enter key 1324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132 and selects deletion from the character display displayed on the CRT, the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ed on the identification character display unit 151 is displayed. All will be deleted. In other words, the user is deregistered the broadcast identifier that the user has registered before or now.

이어, 상기와 같이 소정의 방송채널에 대해 방송식별문자를 등록한 상태에서, 시청자가 소정의 방송채널을 시청하다가 리모콘장치(132)의 확인키(1325)를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134)는 우선 식별데이터 검출부(131)에서 검출되는 고유식별데이터를 근거로 데이터 저장부(133)를 독출하여 검출된 고유식별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문자가 등록되어 있는 지를 검출하게 된다.Subsequently, when the viewer selects the confirmation key 1325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132 while watching the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in the state where the broadcast identifier is registered for the predetermined broadcast channel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34 The data storage unit 133 is rea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data detected by the identification data detection unit 131 to detect whether an identification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unique identification data is registered.

그리고, 상기한 검출과정에서 시청자가 등록한 방송식별문자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34)는 OSD발생장치(13)를 제어하여 그 식별문자를 CRT상에 표시하고, 시청자가 등록한 방송식별문자가 없는 경우에는 현재의 채널번호를 CRT상에 표시하게 된다.When there is a broadcast identifier registered by the viewer in the detection process, the controller 134 controls the OSD generator 13 to display the identifier on the CRT, and when the viewer does not have a broadcast identifier. The current channel number is displayed on the CRT.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채널번호에 관계없이 고유한 방송식별데이터를 갖는 하나의 채널방송에 대해서는 CRT상에 항상 시청자가 등록한 동일한 방송식별문자가 표시되게 되므로, 시청자가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채널방송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ame broadcast identifier letter registered by the viewer is always displayed on the CRT for one channel broadcast having unique broadcast identifier data regardless of the channel number, so that the viewer is watching the channel broadcast. Can be correctly recogniz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방송채널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된 텔레비전 방송시스템의 방송국인식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a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a user can easily identify and view a broadcasting channel that he or she is watching.

Claims (5)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채널방송의 고유코드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코드데이터 발생수단과,Code data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unique code data of channel broadcasting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방송신호의 수직블랭킹구간에 대해 상기 코드데이터 발생수단에서 생성된 고유코드데이터를 부가하는 데이터부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And data adding means for adding unique code data generated by said code data generating means to a vertical blanking section of a broadcast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부가수단은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수평동기분리수단과,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수직블랭킹신호를 생성하는 수직블랭킹신호 생성수단,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기준클록을 생성하는 기준클록 발생수단, 상기 수직블랭킹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기준클록을 근거로 수직블랭킹구간의 소정의 수평동기펄스구간에 대응하는 코딩펄스를 생성하는 코딩구간펼스 생성수단 및, 상기 코딩구간펄스에 근거해서 상기 코드데이터 발생수단에 의해 생성된 코드데이터를 복합영상신호에 부가하는 데이터가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ata adding means comprises: horizontal synchronous separating means for separating a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from a composite video signal, vertical blank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vertical blanking signal from the composite video signal, and based on the horizontal synchronous signal; A reference clock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reference clock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 coding section spreads for generating a coding puls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horizontal synchronization pulse section of the vertical blanking section based on the vertical blanking signal,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reference clock. And a data adding means for adding code data generated by said code data generating means to a composite video signal based on said generating section pul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데이터 발생수단은 다수의 딥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시스템.The broadcas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de data generat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dip switches. 복합영상신호의 소정 구간에 대해 채널방송 고유의 코드데이터를 부가하여 송신하도록 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In a broadcasting system in which code data specific to channel broadcasting is added and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section of a composite video signal, 복합영상신호로부터 상기 채널방송 고유의 코드데이터를 검출하는 코드데이터 검출수단과,Code data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code data specific to the channel broadcast from a composite video signal; 시청자가 방송식별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와 시청중의 채널방송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키를 구비한 입력수단,An input means having an input key for a viewer to input a broadcast identification character and a confirmation key for confirming a channel broadcast being watched;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된 방송식별문자와 상기 코드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상호 대응시켜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Data storage means for correlating and storing the broadcast identifier input by the input means and the code data detected by the code data detection means; 방송식별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 및,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broadcast identifier; 상기 입력수단에 의한 방송식별문자 입력기능을 제어함과 더불어, 입력수단의 확인키가 선택되면 상기 코드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 해당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식별문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방송식별문자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출력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방송 인식장치.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broadcasting identification character input function by the input means, and when the confirmation key of the input means is selected, broadcasting corresponding to the code data from the data storage means is performed based on the code data detected by the code data detecting means. And a control means for detecting an identification character and outputting and controlling the detected broadcasting identification character through the display mea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코드데이터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코드데이터에 대응하는 방송식별문자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채널번호를 표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채널방송 인식장치.5. The channel broadcasting of the television receiver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control means displays and controls the channel number through the display means when there is no broadcasting identifier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code data detected by the code data detecting means. Recognition device.
KR1019960058574A 1996-11-25 1996-11-25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KR199800395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74A KR19980039544A (en) 1996-11-25 1996-11-25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74A KR19980039544A (en) 1996-11-25 1996-11-25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544A true KR19980039544A (en) 1998-08-17

Family

ID=6648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574A KR19980039544A (en) 1996-11-25 1996-11-25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5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77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V channel selecting status
US786126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elevision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202340B1 (en) Data entry apparatus
US4518993A (en) Television signal receiving system
KR100402300B1 (en) Method for changing the channel of a television set, and a corresponding television set
GB2325805A (en) Selecting a channel in a composite analogue/digital TV receiver
EP0800313B1 (en) Automatic channel preset apparatus for television broadcasting signals
KR19980039544A (en) Broadcasting station recognition device of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CA1210855A (en) Synchronization input for television receiver on- screen alphanumeric display
KR1004626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ervation of channel in the television unit
KR100653093B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compensated program guide and method thereof
KR0182433B1 (en) Data bit transmitter-receiver and aspect ratio auto control system of tv receiver using front porch
KR0182434B1 (en) Data bit transmitter receiver and aspect ratio auto control system of tv receiver using back porch of composite signal
KR0133455Y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liminating memory channel of television
KR100211464B1 (en) Aspect ratio auto controll system of tv
KR100211463B1 (en) Aspects ratio auto control system of tv
JPS6040067Y2 (en) Recep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multiplexed signals
KR200000139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channel of an analog/digital tv
JPH06276454A (en) Automatic slave pattern display device
JPH09163348A (en) Automatic retrieval system for interactive service broadcast
KR0172323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 massage
KR2002000765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 setting channel of tv
KR0171992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skip mode after storing last channel of a tv
JP3675050B2 (en) Synchronization determination circuit and television receiver
KR0127530B1 (en) Automatic channel switching method using color-killer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