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095A -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39095A KR19980039095A KR1019960058052A KR19960058052A KR19980039095A KR 19980039095 A KR19980039095 A KR 19980039095A KR 1019960058052 A KR1019960058052 A KR 1019960058052A KR 19960058052 A KR19960058052 A KR 19960058052A KR 19980039095 A KR19980039095 A KR 199800390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corner
- cracks
- steel
- cas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22D11/18—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 B22D11/181—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 B22D11/182—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for pouring responsive to molten metal level or slag level by measuring tempera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열편장입되는 주편의 모서리에서 주조방향과 수직으로 발생하는 표면크랙의 일종인 코너크랙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턴디쉬로 부터 주형내에 용강을 주입하여 강을 연속주조시 주형의 적정 위치에 설치된 다수개의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편차가 3℃ 이내가 되도록 조업인자를 제어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속주조시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편의 모서리에서 주조방향과 수직으로 발생하는 표면크랙의 일종인 코너크랙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강의 연속주조공정에 있어서 연주기에서 나은 고온의 주편을 압연 가열로에 직접 장입(이하 '열편장입법'으로 약함)하여 압연함으로써 에너지 및 인력을 동시에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보편화되고 있다. 상기 열편장입을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주편의 표면결함의 일종인 코너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주편이 연주기에서 계속적으로 생산되어야 한다. 그러나, 코너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조업인자를 제어하기가 어려워 주편의 모서리에 코너크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연주기에서 나온 주편을 검사하고 크랙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추가됨으로써 열편장입을 할 수 없음은 물론이고, 이로 인해서 실수율이 저하되고 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들어 코너크랙의 발생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코너크랙저감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안된 코너크랙의 발생원인과 그에 따른 저감방법을 대별하면 두가지 제안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제안은 코너크랙이 주형 진동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근거하에 마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시 주편이 주형에 의한 마찰을 적게 받고, 주형을 통과하기 위하여 주형을 분당 50회 이상의 주기로 진동을 시킨다. 이때 주편에는 어느 정도 깊이를 가진 주형 진동자국(oscillation mark)이 형성된다. 상기 주형진동자국의 깊이는 강의 성분, 주조조건 및 주형 진동패턴에 따라 그 크기가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안은 이렇게 형성된 주형진동자국을 따라 코너크랙이 발생한다고 원인을 분석하고, 주형 진동자국의 깊이를 감소시켜 노치효과에 의한 크랙의 형성 및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주형 진동의 진폭을 줄이고 진동수를 증가시켜 주형 진동시 주편에 가해주는 응력을 완화시킴으로써 진동자국의 깊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제안은 주형 진동 장치에 많은 부하를 주게 되고, 특히 주형의 무게가 수십톤에 이르는 대단면 슬라브 주형의 경우 고진동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진동축이 변형되는 문제등이 발생하여 실제 공정에 적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우기 진동수를 증가함에 따라 주형, 주편간에 유입되는 주형용제의 양이 감소하여 원활한 윤활을 발휘하지 못하고 주형, 주편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주형내 응고층이 파단되는 브레이크 아웃(break out) 사고가 다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또 다른 방법으로 주형 진동을 기존의 정현운동에서 벗어나 비정현운동을 시킴으로써 진동자국의 깊이 감소 및 주형용재의 유입량 증가를 동시에 도모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비정현운동을 가하기 위한 장치가 고가이고, 정밀제어에 난점이 있으며 비정현운동으로 인한 순간적인 하중이 크기 때문에 역시 대형 주형에는 채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두 번째 제안은 코너크랙 발생원인이 주조온도에 따른 강의 고온강도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근거하에 마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은 온도에 따라 세군데에서 취성영역을 가지고 있는데, 이중 주편의 표면온도가 700-900℃(이하 '제3 영역 취성구간'으로 칭함) 사이 영역에서는 스트레인 속도가 작아도 쉽게 크랙이 발생한다.
통상적인 수직 만곡형 연주기에서는 주편의 굽힘(bending) 혹은 교정(straightening) 작업시 주편에 응력이 부가된다. 만약 이와같이 주편에 응력이 부가되는 구간에서 주편의 표면온도가 제3 영역 취성구간에 포함되면 코너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코너크랙은 주편의 표면온도를 좌우하는 2차 냉각수의 비수량을 조절하여 제 3영역 취성구간을 피하면 코너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제안이다. 그러나, 이 제안은 넓은 부위에 걸쳐서 교정구간을 가지고 있는 만곡형 연주기에서 모서리부의 표면온도를 전부 제 3영역 구간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2차 냉각수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강의 성분중 질소가 Al가 Nb 등과 반응하여 제3 영역 취성구간에 해당하는 온도영역을 넓힐수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용강중에 Ti 등을 첨가함으로써 질소를 미리 TiN 형태로 석출시켜 취성을 완화시키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Ti 합금철이 고가이므로 제조비 상승과 노즐에 막힘현상(clogging)이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용도에 따라서는 후공정에서 제품에 개재물성 결함이 발생하거나 기계적 성질이 변화되어 범용적으로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종래에 제안된 기술들은 코너크랙의 발생원인이 정확한 분석을 바당으로 한 그 해결방안이 실제조업상에 적용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형의 단변부에 열전대를 삽입하여 상기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 편차를 적절히 제어하여 코너크랙이 크게 저감된 강의 연속주조 주편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주형단변부내에 열전대 삽입도
도 2는 주형 진동자국과 주편의 코너크랙 형성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3은 침지노즐의 토출각이 15°이하로 하향된 것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a는 코너크랙이 발생한 주편의 사진
도 4b는 코너크랙이 발생한 주편의 진동자국의 간격과 깊이를 나타내는 그림
도 5a는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주편의 사진
도 5b는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주편의 진동자국의 간격과 깊이를 나타내는 그림
도 6a는 코너크랙이 주위의 조직사진
도 6b는 코너크랙 주위의 인 편석도
도 7a는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진동자국 주위의 조직사진
도 7b는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진동자국 주위의 인 편석도
도 8a는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의 주형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b는 코너크랙이 발생한 경우의 주형온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주형용제 염기도의 변화와 주형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주형단변부의 냉각수 변화와 주형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형단변부 2 : 주형장변부
3 : 용강면 4 : 열전대
5 : 주형의 진동속도 6 : 주조속도
7 : 용강면 8 : 초기 응고층
9 : 주형 진동자국 10 : 네거티브 스트립 주기(negative strip period)
11 : 포지티브 스트립 주기(positive strip peri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턴디쉬로 부터 주형내에 용강을 주입하여 주편을 제조하고 가열로로 직송하는 연속주조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단변부의 양 끝단에서 부터 중심측으로 20㎜ 이내, 용강면에서 주형의 길이 방향으로 50-100㎜ 사이, 주형단변부 내측 부터 주형두께의 1/3 이내로 되는 지점에 다수개의 열전대를 삽입하고, 상기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 편차가 3℃ 이내가 되도록 조업인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속주조시 주편의 모서리에서 생기는 코너크랙이 주형의 진동으로 인한 주편에 생기는 진동자국의 형상과 밀접하다는 것에 착안하고, 상기 진동자국의 형상이 주편의 응고시에 응고양상에 따라 진동자국의 모양과 깊이가 달라지므로 주편의 응고양상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응고양상이 표현되는 주형단변부의 온도를 측정하면 코너크랙의 발생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근거하에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주형단변부가 균일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조업인자를 제어하고, 그러한 조업조건에서 주조를 진행한다면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을 방지할수 있다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는 주형의 단변부의 일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단변부에 삽입되는 열전대의 삽입위치를 적절히 선정할 필요가 있다.
연속주조 직송 압연시 주편에 형성되는 코너크랙을 열전대가 예민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열전대는 가능한 코너크랙이 발생하는 주편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주형단변부(8)의 양 끝단에서 부터 중심측까지의 거리 E는 20㎜ 이내 또한, 열전대(11)가 삽입되는 깊이 H는 용강면(10)에서 주형의 길이 방향으로 50-100㎜ 사이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50㎜ 보다 가까우면 열전대(11)가 읽는 온도가 용강높이 변화와 혼재되어 이를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고, 100㎜ 보다 멀어지면 주편에서 공기틈이 형성되기 때문에 역시 해석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주형단변부(8) 내측 부터 열전대까지의 거리 T는 보다 주편의 거동을 명확히 알기 위하여 가능한 주편의 접촉하는 내측과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나 단변부(8)를 여러번 가공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감안하여 전체 두께의 1/3 이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삽입하여 설치된 열전대(11)에서 측정한 주형단변부(8)의 온도 편차가 3℃이내가 되는 주조조건에서 작업을 할 때 코너크랙이 방지될 수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 주형 진동자국의 형성기구를 도 2를 근거로 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주형 진동속도(1)가 주조속도(2)보다 빨라지는 시기 [이하 'negative strip 주기' 라고 함](6)에서는 주형용제가 주형과 초기 응고층(4) 사이로 유입되면서 응고층에 정의 압력을 가하여 초기 응고층을 내려 누르지만 이외의 주기 [이하 'positive strip 주기' 라고 함](7)에서는 주형용제가 부의 압력으로 작용하여 초기 응고층을 위로 끌어 당기고, 이때 응고층의 강도가 약한 윗부분의 응고층은 철정압으로 인해 구부러지면서 진동자국(5)이 형성된다고 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진동자국의 증앙부위에 공기틈이 발생하여 주형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열전달계수가 감소하여 응고가 지연되고, 반면에 진동자국 중앙부와 인접한 상하의 응고층은 주형과 잘 접촉되어 응고속도가 빨라진다.
이로 인해 진동자국 중앙부위와 인접하는 응고층은 응고수축량이 응고가 지연된 중앙부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이로 인해 중앙부위에는 인장응력이 걸리게 된다. 만약 인장응력의 크기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응고층이 파단되며 응고 선단부에는 용질의 높은 용강이 원래 위치하게 되므로 이 용강이 수지상정 사이로 분출되면서 응고되어 편석이 생기게 된다. 그리고, 용질농도가 높은 편석 부위는 다른 조직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취약하기 때문에 주편의 인발력과 주형, 주편간 마찰력에 의해 크랙이 전파할 수 있으며 이것이 코너크랙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만약에 주형 진동의 positive strip 주기(7)에서 주형, 주편간에 작용하는 용제(mold flux)의 부압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진 초기 응고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용강이 응고층 외부로 도포하여 호(nail 혹은 hook 라고 불림)모양의 초기 응고층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진동자국은 깊이가 얕아 응고지연정도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크랙으로 발전할 수 없다.
따라서, 용제의 부압에 견딜 수 있는 초기 응고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응고층을 약냉화 시키면 응고층이 균일하게 형성되므로, 초기응고층의 응고수축량이 감소하여 주형으로 열전달량이 촉진되어 호 모양이 초기응고층이 형성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때 생기는 진동자국은 깊이가 얕아지고, 주형과의 밀착성이 향상되어 진동자국이 생긴 공기틈의 중앙부위와 그 주변의 응고층의 응고 속도의 차이가 크게 줄어 코너크랙으로 발전할 수 없다.
따라서, 응고가 균일하게 일어나면 주형단변부에서 측정된 온도가 균일하게 될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조업조건에서 주조를 실시하면 코너크랙이 생기지 않는다는 직접적인 증거이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열전대를 삽입하여 주형단변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 편차가 3℃ 이내가 되도록 조업인자를 제어해야하는 중요한 이유인 것이다.
이와같이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 편차가 3℃ 이내가 되도록 하는 조업인자는 여러개 있지만, 상기 조업인자중 주형에 투입되는 주형용제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들면 주형용제인 경우 그 염기도(CaO/SiO2)는 1.2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주형과 주편사이 슬래그 막에 결정화가 촉진되어 초기 응고층이 약냉학되어 응고 균일화될 수 있기에 상기 염기도를 1.2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예로서 상기 조업인자중 1차 냉각수를 550-650ℓ/min로 증가시키면 주형온도의 변화폭이 크게 증가하면서 초기 응고층이 급냉화되고, 응고가 불균일하여져 진동자국의 주기가 불규칙해지고 이로 인해 깊이가 증가하여 코너크랙이 발생하므로 1차 냉각수량은 600ℓ/min이하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턴디쉬하부에 설치된 침지노즐의 토출각을 제어하면 상기 주형온도 편차를 3℃ 이내로 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단변부의 용강면의 높이 변동폭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주형온도가 불균일해지며 크랙이 많이 생기므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각은 1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강의 일반적인 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포정변태가 잘 일어나는 0.12-0.16%의 탄소가 함유된 용강의 경우 변태로 인한 응고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조업 방법을 적용하면 주편내 코너크랙이 크게 저감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중량%로, C:0.15%, Si:0.4%, Mn:1.4%, P:0.012%, S:0.008%, 잔부 Fe와 기타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강을 턴디쉬로 부터 주조폭이 220×1900㎜로 조절되고 주형의 두께가 55㎜인 주형에 주입하였다. 이때 주조속도는 1.0m/분, 진동수는 분당 108회의 주기로 하여 연속주조를 하였다. 상기 주형단변부에는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E:15㎜, H:용강면에서 75㎜, T:15㎜인 지점에 열전대를 삽입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조건에 염기도와 주형단변부에 공급하는 냉각수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한 후 연속주조한 시편을 각각 비교예(1)과 발명예(1)로 하였다.
염기도(CaO/SiO2) | 주형단변부의 1차냉각수량(ℓ/min) | |
비교예 1 | 1.0 | 620 |
발명예 1 | 1.2 | 550 |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연속주조한 후 대표주편에 대하여 단변부측을 절단 가공하고, 표면을 산세처리하여 외관을 관찰하여 코너크랙 발생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때의 주편의 사진과 미세한 부위의 형상까지 도시할 수 있는 윤곽형상측정기로 진동자국의 간격과 깊이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예(1)은 도 4에, 발명예(1)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크랙 발생 유무에 따라 강 표면 부식액으로 나이탈(NITAL)을 사용하여 시편 표면을 부식시켜 미세 조직을 관찰하였으며 강의 주요성분인 P, Mn, S에 관해서는 시편 단면에 걸쳐 전자현미경으로 성분을 편석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비교예(1)은 도 6에, 발명예(1)은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1)과 발명예(1)의 주편이 나올 때 주형단변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8a와 도 8b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실험의 결과는 비교예(1)를 나타낸 도 4를 보면 시편에 코너크랙이 다량 발생하였고, 발명예(1)를 나타탠 도 5를 보면 시편에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은 것을 알수 있었다.
우선, 코너크랙과 진동자국과의 관계를 도 4와 도 5을 통해 살펴보면, 비교예(1)를 나타낸 도 4b에서 진동자국의 간격이 매우 불규칙하면서 가장 깊은 곳에 대하여 도 4a에 조직사진을 살펴보면은 코너크랙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크랙은 진동자국의 깊이가 0.4㎜ 이상일때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발명예(1)를 나타낸 도 5b에서 진동자국의 간격이 매우 규칙적이고 그 깊이도 도 5b에 비하여 매우 얕다는 것을 알 수 있였다. 이러한 관찰결과로부터 코너크랙은 진동자국의 형성과 그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코너크랙 발생이 주형 진동자국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도 6와 도 7를 통하여 보다 명확히 설명하면, 비교예(1)를 나타낸 도 6a에서 편석대로 생각되는 검게 부식된 부분을 기점으로 수지상정(dendrite) 성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한 것을 볼 수가 있다. 발명예(1)를 나타낸 도 7a의 조직사진과 비교하면 부식된 편석대 영역의 조직이 상대적으로 조대하고 수지상정의 성장방향이 상당히 무질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b의 그림은 동일한 부위에서의 인(p) 용질분포 분석 결과로 조직사진의 검게 부식된 부위가 편석지역이 서로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인 뿐 아니라 망간, 유황등의 용질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도 7a는 진동자국의 깊이가 얕고 코너크랙이 발생되지 않은 시편의 현미경 조직사진으르 크랙이 발생한 도 6a와는 달리 초기에 응고층이 형성된 직후 용강이 응고층을 다시 도포한 흔적이 확실히 보이며 용질편석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상기한 바와같이 코너크랙이 진동자국이 깊은 곳에서 발생하고 크랙 주위에서 용질편석이 뚜렷한 것은 하기와 같이 주형진동과 결부지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코너크랙의 발생과 주형단변부의 온도와의 관계를 도 8a와 도 8b를 통하여 설명하면, 비교예(1)은 도 4의 조직사진에 나와 있듯이 코너크랙이 다량 발생하였고, 연속주조 당시의 열전대가 측정한 주형단변부의 온도를 나타낸 도 8a를 보면은 175℃에서 편차가 20℃ 이상을 나타내어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발명예(1) 도 5의 조직사진에 나와 있듯이 코너크랙이 발생하지 않았고, 연속주조 당시의 열전대가 측정한 주형단변부의 온도를 나타낸 도 8b를 보면은 160℃에서 편차가 3℃ 이내를 나타내었다. 즉, 균일한 응고층이 형성되었슴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코너크랙의 발생기구에 의거하면 크랙발생시에는 진동자국 형성이 매우 불규칙적이면서 깊기 때문에 주형에 열전대를 삽입하여 주조시 주형온도를 기록하면 크랙을 저감할 수 있는 조업조건을 찾을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주조조건에서 주형내를 투입되는 용제의 염기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켰을 때 주형단변부에 온도가 어떻게 변하고, 이러한 관계가 코너크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알아보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나 있듯이 염기도 1.2 이상의 주형용제를 사용하면 주형단변부의 온도가 3℃의 편차로 균일하게 유지되면서 코너크랙이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에 염기도가 1.2이하로 갈수록 온도의 편차가 3℃ 이상 되었으면 코너크랙도 다량 발생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주조조건에서 주형내를 흐르는 냉각수를 다양하게 변화시켰을 때 주형단변부에 온도가 어떻게 변하고, 이러한 관계가 코너크랙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알아보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냉각수를 550-650ℓ/min로 증가시키면 주편단변부의 온도편차가 커지면서 코너크랙이 대량 발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형단변부의 적절한 위치에 열전대를 삽입하고, 상기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 편차가 3℃ 이내가 되도륵 조업인자를 제어함으로써 주편의 코너크랙이 방지되는 연주편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연주편은 열편장입하여 압연하는데 매우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 턴디쉬로 부터 주형내에 용강을 주입하여 주편을 제조하고, 제조된 주편을 가열로에 적용하는 연속주조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형단변부의 양 끝단에서 부터 중심측으로 20㎜ 이내, 용강면에서 주형의 길이 방향으로 50-100㎜ 사이, 주형단변부 내측 부터 주형두께의 1/3 이내로 되는 지점에 다수개의 열전대를 삽입하고, 상기 열전대로 부터 측정된 온도 편차가 3℃ 이내가 되도록 조업인자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업인자중 주형에 투입되는 주형용제의 염기도(CaO/SiO2)는 1.2 이상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업인자증 상기 주형단변부에 공급하는 냉각수량은 600ℓ/min 이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턴디쉬 하부에 설치된 침지노즐의 토출각은 15°이하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은 탄소함량이 0.12-0.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의 연속주조 주편의 코너크랙 방지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8052A KR100311784B1 (ko) | 1996-11-27 | 1996-11-27 | 강의연속주조주편의코너크랙방지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58052A KR100311784B1 (ko) | 1996-11-27 | 1996-11-27 | 강의연속주조주편의코너크랙방지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39095A true KR19980039095A (ko) | 1998-08-17 |
KR100311784B1 KR100311784B1 (ko) | 2002-07-03 |
Family
ID=37531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58052A KR100311784B1 (ko) | 1996-11-27 | 1996-11-27 | 강의연속주조주편의코너크랙방지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17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43985A2 (ko) * | 2010-09-29 | 2012-04-0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KR101257254B1 (ko) * | 2010-10-28 | 2013-04-2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
1996
- 1996-11-27 KR KR1019960058052A patent/KR1003117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43985A2 (ko) * | 2010-09-29 | 2012-04-05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WO2012043985A3 (ko) * | 2010-09-29 | 2012-05-31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KR101257254B1 (ko) * | 2010-10-28 | 2013-04-2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몰드내 응고쉘의 크랙 진단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311784B1 (ko) | 2002-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94568B1 (ko) | 낮은 표면 거칠기와 낮은 다공성을 가진 캐스팅 강 스트립 | |
Thomas | Fluid flow in the mold | |
CN110709188B (zh) | 奥氏体系不锈钢板坯的制造方法 | |
Girgensohn et al. | Twin roll strip casting of low carbon steels | |
KR100224487B1 (ko) | 오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의 연속주조방법 | |
CN113543907B (zh) | 板坯铸坯的连续铸造方法 | |
KR20190029757A (ko) | 강의 연속 주조 방법 | |
KR100311784B1 (ko) | 강의연속주조주편의코너크랙방지방법 | |
JP5402678B2 (ja) | 鋼の連続鋳造方法 | |
JP2008212972A (ja) | 高Ni含有鋼鋳片の製造方法 | |
CN109794589A (zh) | 一种预防csp连铸坯纵裂缺陷的工艺控制方法 | |
JP3308102B2 (ja) | 金属ストリップ連続鋳造方法 | |
Isaev | Effectiveness of using large cooling elements to alleviate axial segregation in continuous-cast ingots | |
JP3374761B2 (ja) | 連続鋳造鋳片、そ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厚鋼板の製造方法 | |
Wizner et al. | Effect of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continuously cast steels on the degree of hot rolled product downgrading | |
KR100397295B1 (ko) | 304계스테인레스강연주주편의표층슬리버결함저감방법 | |
JP4207562B2 (ja) | 連続鋳造方法及び該方法で製造された連続鋳造鋳片 | |
Dutta et al. | Continuous casting (concast) | |
KR101795469B1 (ko) |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 |
Walmag et al. | A new secondary cooling concept for avoiding surface cracks during casting of peritectic and micro-alloyed steels | |
JP3806364B2 (ja) | 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および連続鋳造方法 | |
JP2024004032A (ja) | 連続鋳造方法 | |
JP3494136B2 (ja) | 連続鋳造鋳片、その鋳造方法および厚鋼板の製造方法 | |
KR19990050906A (ko) | 침지노즐 침적깊이 최적화에 의한 주편 표면 결함 저감방법 | |
CN117300086A (zh) | 产前预判铸坯纵裂风险的方法和基于产前预判的连铸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