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020A -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 Google Patents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020A
KR19980036020A KR1019960054490A KR19960054490A KR19980036020A KR 19980036020 A KR19980036020 A KR 19980036020A KR 1019960054490 A KR1019960054490 A KR 1019960054490A KR 19960054490 A KR19960054490 A KR 19960054490A KR 19980036020 A KR19980036020 A KR 19980036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pressure
valve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14158B1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1996005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158B1/en
Publication of KR19980036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1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62B9/022Breathing demand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로의 공기유출구 사이의 유로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의하여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연결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강제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zzle through which the nozzle tube is formed transversely to the center and a plurality of nozzle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to receive th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air outlet to the surface and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side. And a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which opens and closes the nozzle hole from the nozzle valve by a relative magnitude betwee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spiration and exhalation, thereby enabling breathing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And a means for forcibly opening or closing the nozzle hole from the nozzle valve by connecting or blocking the nozzle valve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by rotating by an external operation force.

Description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본 발명은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공급되는 공기의 자체압력을 이용하여 공급밸브를 작동시키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for operating the supply valve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in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공기호흡기는 주변에 유독가스가 퍼져있을 때 이러한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공기실린더에 충전된 깨끗한 공기를 공급시키므로써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공기호흡기는 또한 주변에 산소가 희박한 상태나 스스로 호흡이 곤란한 의식불명의 환자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다.An air respirator is a device that allows breathing by supplying clean air filled to the air cylinder while blocking the inflow of toxic gas when toxic gas is spread around. Such air respirators may also be used in unconscious patients who have poor oxygen or difficulty breathing on their own.

한편, 공기호흡기는 면체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양압식과 부압식으로 구별된다.Meanwhile, the air respirator is classified into a positive pressure type and a negative pressure type as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is higher and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양압식 공기호흡기는 부압식 공기호흡기에 비하여 면체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유독가스가 면체와 안면사이의 틈새를 통해 면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이외에 편안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Positive pressure air respirator keeps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compared to the negative pressure air respirator, which prevents toxic gas from entering the surfac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urface and the face.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사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인체의 안면에 접하는 면체(1), 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면체(1)의 전면에 설치되는 안면렌즈(3), 면체(1)의 가장자리에 있는 밀착용 러버를 안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조절끈(5), 고압(이하, 1차압이라고 한다)의 호흡용 공기가 충전된 공기실린더(13), 공기실린더(13)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압력을 적절한 수준(이하, 2차압이라고 한다)으로 감소시키는 고압조정기(11), 공기압을 상기 2차압보다는 낮고 대기압보다는 약간 높은 양압상태(이하, 이를 3차압이라고도 한다)로 만들어서 면체(1)에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15) 및 고압조정기(11)의 공기유출구와 공기공급장치(15)의 공기유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중압호스(9)로 이루어진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ener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s shown in FIG. 1, a gener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includes a facet 1 that contacts the face of a human body, a face lens 3 and a facet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face of the facet 1 so as to secure a front view. Control strap 5 for close contact with rubber on the edge of 1) on the face, outflow from air cylinder 13 and air cylinder 13 filled with high-press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mary pressure) breathing air High pressure regulator 11 for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to an appropriate lev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ary pressure), and making the air pressure lower than the secondary pressure and slightly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tiary pressure). It is composed of a medium pressure hose (9) connecting between the air inlet of the air supply device 15 and the high pressure regulator 11 and the air inlet of the air supply device 15 to supply 1).

이외에도 공기실린더(13)의 공기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공기실린더(13)에서 토출되는 공기압이 실린더의 사양에 의하여 설정된 압력이하로 떨어질 때 이를 경보하는 경보기 및 공기실린더(13)의 공기압을 계측하는 압력계 등이 공기호흡시스템의 구성으로 부가되기도 한다.In addition, an on-off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ylinder 13, an alarm for alarming when the air pressure discharged from the air cylinder 13 falls below the pressure set by the specifications of the cylinder and the air pressure of the air cylinder 13 is measured A pressure gauge may be added as a configuration of an air breathing system.

도 2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4B는 도 2에서 밸브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Figure 2, Figure 4A 4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unit in FIG. 2.

도 2 내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기공급장치는 크게 몸체 유니트(20), 밸브 유니트(30) 및 밸브개폐 유니트(40)로 이루어진다. 몸체 유니트(20)의 상방에는 공기유출구(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방에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몸체 유니트(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1)와 공기유출구(22)를 구획하는 부분 격벽(23)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to 4A and 4B, the conventional air supply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 body unit 20, a valve unit 30 and a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40. An air outlet 22 is formed above the body unit 20, and an air inlet 21 is formed on the side thereof. A partial partition 23 is formed in the body unit 20 to partition the air inlet 21 and the air outlet 22.

공기유출구(22)에는 또한 연결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러한 연결부재를 조작하여 공기공급장치를 면체(1)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하거나 공기유입구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는 적절한 연결부재에 의하여 중압호스(9)가 결합된다.The air outlet 22 is also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to operate the connecting member can connect the air supply to the air inlet provided in the front of the surface 1 or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inlet. The medium pressure hose 9 is coupled to the air inlet 21 by an appropriate connection member.

한편, 몸체 유니트(20)의 하부에는 밸브 유니트(30)가 삽입, 체결되는 밸브유니트 체결구(2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밸브유니트 체결구(24)는 공기유입구(21) 및 공기유출구(22)와 서로 통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20 is formed with a valve unit fastener 24 for inserting and fastening the valve unit 30, the valve unit fastener 24 is an air inlet 21 and air outlet ( 22)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밸브 유니트(30)는 공기공급용 노즐(31), 노즐(31)의 구멍을 개폐하는 밸브(32), 밸브(32)를 개방시키는 힘(이하, 개방력이라고 한다)을 인가하는 개폐레버(33), 개폐레버(33)에 의한 개방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밸브(32)를 폐쇄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4) 및 상기한 부품들을 밸브유니트 체결구(24)에 고정시키는 밸브캡(54)으로 이루어진다.The valve unit 30 has an opening / closing lever for applying an air supply nozzle 31, a valve 3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le of the nozzle 31, and a force for opening the valve 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n force) ( 33, a return spring 34 for returning the valve 32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opening force by the open / close lever 33 is not applied, and a valve cap for fixing the above components to the valve unit fastener 24 ( 54).

상기한 구성에서, 밸브 유니트(30)가 밸브유니트 체결구(24)에 완전하게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는 밸브(32)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공기유입구(21)까지 도달한 공기가 공기유출구(22)로 유출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즉, 밸브(32)가 개방된 경우에는 도 2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것과 같은 방향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되어 호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tate where the valve unit 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valve unit fastener 24, the air reaching the air inlet 21 according to whether the valve 32 is opened or closed is air outlet 22. Leaked or blocked; In other words, when the valve 32 is opened, air flows out in the same direction as indicated by the arrow in FIG.

다음, 밸브개폐 유니트(40)는 이를 몸체 유니트(20)와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41), 밸브개폐 유니트(4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2), 수축 시에 개폐레버(33)에 개방력을 인가하는 다이아프램(43), 다이아프램(43)에 미는 힘을 전달하는 푸시부재(44), 푸시부재(4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압축스프링(45) 및 사용자로부터 밸브개폐 지령을 입력받는 개폐핸들(46)로 이루어진다.Next,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40 has a connecting member 41 for coupling it with the body unit 20, a support member 42 for supporti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40, and an opening and closing lever ( 33, a diaphragm 43 for applying an opening force, a push member 44 for transmitting a pushing force to the diaphragm 43, a compression spring 45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ush member 44, and a valve from a user. It consists of an opening and closing handle 46 for rece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command.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46)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즉 도 3에서 위치(P)에서 위치(N)를 향하여 돌리게 되면, 푸시부재(44)에 형성된 안내턱(44a)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에 개폐핸들(46)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50)가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안내홈(42b)의 해당 단부에 걸리는 위치에 이르러서는 푸시부재(44)의 구속단(44b)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에 의해 구속되므로써 압축스프링(45)의 탄성력이 다이아프램(43)에 인가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43)은 원래의 상태인 볼록한 상태로 복원이 되고, 연이어서 개폐레버(33)가 복귀되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32)를 폐쇄하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6 clockwise, that is, when the user turns the position from the position P to the position N in FIG. 3, the guide jaw 44a formed on the push member 44 is formed. It moves along the stopper 42a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2. During this movement, the stopper 50 protruding into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6 reaches a position at which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guide groove 42b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2 is caught. ) Is restrained by the stopper 42a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42,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is not applied to the diaphragm 43. As a result, the diaphragm 43 is restored to the original convex state, and subsequently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33 is returned to close the valve 32 as shown in FIG. 4A.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46)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즉 위치(N)에서 위치(P)를 향하여 돌리게 되면, 푸시부재(44)에 형성된 안내턱(44a)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하는 동안에 개폐핸들(46)의 내부로 돌출된 스토퍼(50)가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안내홈(42b)의 해당 단부에 걸리는 위치에 이르러서는 푸시부재(44)의 구속단(44b)이 지지부재(42)에 형성된 스토퍼(42a)로부터 해방되므로써 압축스프링(45)의 탄성력이 다이아프램(43)에 인가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43)은 수축되게 되고, 연이어서 개폐레버(33)가 이동되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32)를 개방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6 counterclockwise, that is, when the user turns from the position N toward the position P, the guide jaw 44a formed on the push member 44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 It moves along the stopper 42a formed in 42. During this movement, the stopper 50 protruding into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6 reaches a position at which the corresponding end of the guide groove 42b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42 is caught. ) Is released from the stopper 42a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42, so that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45 is applied to the diaphragm 43. As a result, the diaphragm 43 is contracted, and the opening / closing lever 33 is subsequently moved to open the valve 32 as shown in FIG. 4B.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47 및 48은 전술한 메카니즘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개폐핸들(46)이 위치(N)로 돌려진 상태에서 다이아프램(43)에 직접적인 힘을 인가하여 강제로 밸브(32)를 개방시키기 위한 푸시버튼 및 이에 연결된 푸시로드를 각각 나타내고, 49는 사용자가 푸시버튼(47)에서 손을 떼었을 때 푸시로드(48)를 후퇴시키는 복귀스프링(49)을 나타낸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47 and 48 denote valves 32 by forcibly applying a direct force to the diaphragm 43 in a state where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or when the opening / closing handle 46 is turned to the position N. And a push rod connected thereto, respectively, and 49 represents a return spring 49 for retracting the push rod 48 when the user releases the push button 47.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공급장치에서는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개폐 메커니즘이 직접적인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부품, 즉 개폐핸들, 압축스프링, 푸시부재, 지지부재, 개폐레버 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부피 및 중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직접적인 접촉력이 누적되게 되면 부품이 파손되거나 무디어지기 때문에 사용연한에 한계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ir supply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alve opening /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is composed of parts generating direct contact force, that i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the compression spring, the push member, the supporting member, the opening / closing lever,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irborne increases and the volume and weight increase. In addition, when the direct contact force is accumulat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rvice life is limited because parts are broken or blunt.

더욱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이 큰 경우에는 면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 힘이 폐로 전달되어 호흡 시에 압박감에 의한 불쾌지수가 상승되고, 작업현장의 환경에 따라서는 공포감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작업자가 면체를 쓴 상태에서 고개를 위로 향하는 때에는 고개를 아래로 향할 때보다도 푸시부재의 자중에 의해 다이아프램을 미는 힘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자의 고개가 향하는 방향에 따라 면체 내부의 압력이 변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is large, since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is increased,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ungs, thereby increasing the discomfort index due to the pressure during breathing,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ar is intensified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of the work site. Further, when the worker is facing up in the state wearing the 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rce pushing the diaphragm by the weight of the push member is increased than when facing the head down.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the worker.

또한 복귀스프링이 꼬이거나 하면 공기압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return spring is twisted o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adjust the air pressure.

도 5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 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다이아프램을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로서, 양압형성 과정이 전술한 바와 같이 관련부품들의 직접적인 접촉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공급되는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공기공급장치를 도시하고 있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air supply device with the diaphragm removed in FIG. As shown above,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process shows an air supply apparatus operated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itself supplied instead of the direct contact force of the related parts.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에서는 공급노즐(61)에 형성된 공기유입구를 중압호스(9)에 연결하고, 몸체 유니트(60)에 형성된 공기유출구를 면체(1)의 전면에 마련된 공기유입구에 연결시킨 상태에서 공기실린더(13)의 토출구를 막고 있는 밸브를 개방시키면 고압조정기(11) 및 중압호스(9)를 통하여 감압된 2차 압력의 공기가 공급노즐(61)을 통하여 공급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급노즐(61)의 후단에 위치한 노즐밸브(63)가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기가 공급노즐(61)의 단부에 자리잡은 플랜지에 형성된 노즐공(61a)을 거치고 이어서 몸체 유니트(60)에 형성된 중앙 통공(67)을 거쳐서 면체(1)로 유출되므로써 사용자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65)에 의해 다이아프램(62)이 뒤로 젖혀지게 되므로 다이아프램(62)이 내압노즐(64)을 막지 않게 된다.In the air supply device shown in FIGS. 5 and 6, the air inlet formed in the supply nozzle 61 is connected to the medium pressure hose 9, and the air outlet formed in the body unit 6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face 1. When the valve block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air cylinder 13 is open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let port, the secondary pressure air reduced through the high pressure regulator 11 and the medium pressure hose 9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nozzle 61. do. Accordingly, the nozzle valve 63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ly nozzle 61 is pushed down, and as a result, air passes through the nozzle hole 61a formed in the flange located at the end of the supply nozzle 61, and then the body unit 60 It flows into the surface 1 through the central through-hole 67 formed in the), and the user can inhale air. In this state, the diaphragm 62 is rolled back by the spring 65 so that the diaphragm 62 does not block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64.

한편, 사용자가 호흡을 멈추거나 또는 숨을 내뿜을 때에는 면체(1)의 내부 압력이 압력전달공(69)을 통하여 다이아프램(62)에 전달되기 때문에 다이아프램(62)이 스프링(65)을 축으로 하여 뒤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62)이 내압노즐(64)을 통한 공기의 유출을 막게 된다. 이렇게 하여 내압노즐(64)이 막히게 되면 노즐밸브(63)의 노즐공(63a)을 통과한 공기가 정압상태로 되면서 공급노즐(61)의 바이패스공(61a)을 막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다음의 흡입동작을 개시할 때까지 양압상태에서 대기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tops breathing or exhales, the diaphragm 62 shafts the spring 65 becau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urface 1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62 through the pressure transfer hole 69. As a result, the diaphragm 62 prevents the outflow of air through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64. In this way, when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64 is block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ozzle hole 63a of the nozzle valve 63 becomes a positive pressure and blocks the bypass hole 61a of the supply nozzle 61. As a result, the user It waits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until the next suction operation is started.

미설명 부호 66은 장치를 면체(1)에 장착하거나 면체(1)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잠금부재를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70은 다이아프램(62)의 수직 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테(62a)가 걸리는 결합턱을 나타내는 바, 이에 의해 다이아프램(62)의 내측 공간(A)의 기밀이 유지되게 된다.Reference numeral 66 denotes a locking member for mounting or detaching the device from the facet 1. Reference numeral 70 denotes a coupling jaw that engages the coupling frame 62a formed inside the vertical bent portion of the diaphragm 62, whereby airtightness of the inner space A of the diaphragm 62 is maintained.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양압 형성이 공급되는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 및 중량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positive pressure is formed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itself, the volume and the weight of the apparatus are reduced.

그러나,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는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단속하는 수단, 유출 량을 조절하는 수단 및 비상시에 공기를 직접 바이패스시켜서 공급받는 수단 등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의 편리성 측면 및 안전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기의 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공기의 유출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공기실린더에 구비된 밸브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 만큼 불편함이 따르고, 이로 인하여 공기의 소모량도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된다.However, in the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air supply apparatus does not include a means for controlling the outflow of the air to the surface, a means for adjusting the outflow amount, and a means for directly supplying the air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etc. are used. There were many problems in terms of convenience and safety, and the consumption of air was relatively high. That is, the user has to operate the valve provided in the air cylinder in order to control the outflow of air, so that inconvenience comes, and thus the consumption of air is also relatively large.

이외에도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몸체 유니트가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상기한 결합홈에 불가피하게 고르지 못한 파팅라인이 생기게 되고,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의 내측 공간(A)의 기밀이 손상을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프링 압력에 따라 면체 내부의 압력에 변동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body unit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n uneven parting line is inevitably generat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thus, the airtightness of the inner space A of the diaphragm is damag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variation occurs in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spring pressur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양압을 형성시키는 공기공급장치 상에서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작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불필요한 공기의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convention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of which is to form a positive pressure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itself to the face of the air on the air supply device to form a positive pressure It is to provide a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reducing the outflow, and further reduce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ai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자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양압을 형성시키는 공기공급장치에서 면체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편리성을 증진시킨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itive pressure type air breathing system that improves convenience by allowing the air supply to form a positive pressure by using the pressure of the air itself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surface.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lurality of nozzles are formed through the center transversely through the center and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A nozzle for forming a nozzle and receiving air at a secondary pressure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air breathing system, a connection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is opened from the nozzle valve by rotating by an external operation force and connecting or blocking the nozzle valve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through the connection flow path. Or means for clos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에 형성된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 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zzle tube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center horizontally and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is formed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is formed a medium pressure hose A supply nozzle for receiving air at a secondary pressure through the air;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air breathing system, in addition to the inlet flow passage through the nozzle hole and the nozzle valve formed in the supply nozzle, the bypass flow path for bypassing th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directly to the air outlet port and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And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조작력을 인가받는 개폐핸들; 상기 개폐핸들에 축결합되고 그 몸체의 적소에는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스핀들 및 상기 개폐핸들과 개폐스핀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의 상기 연결유로의 단부의 회전궤적과 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내압노즐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핸들의 조작에 연동한 상기 개폐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를 연결유로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통공과 차단시키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um pressure hose is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in communication with the surface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nozzle tube A supply nozzle provided with air at a secondary pressure through;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An air breathing system, comprising: an opening / closing handle to which external manipulation force is applied; The opening and closing spin shaft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in and rotatably support the opening and closing spin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in that is formed in plac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the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at a position faci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end of the connecting flow passage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By connecting the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or by blocking the through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r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도 1은 일반적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사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ener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도 2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도 3은 도 2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Figure 2,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서 밸브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4A and 4B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unit in FIG. 2;

도 5는 종래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supply device used in a conventional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도 6은 도 5에서 다이아프램을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공급장치를 보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an air supply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diaphragm is removed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positive-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배면도,9 is a rear view of the air supply device shown in FIG.

도 10은 도 7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FIG.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7;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측면도,11 is a side view of the air supply device shown in FIG.

도 12는 도 7에서 노즐밸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valve in FIG.

도 13A 및 도 13B는 도 8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3A and 1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FIG. 8;

도 14는 도 8에서 양압형성 유니트를 이루는 각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in FIG. 8;

도 15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블록구성도이다.Figure 15 is a block diagram equivalently representing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몸체 유니트, 101: 공기유입구,100: body unit, 101: air inlet,

103: 공기유출구, 105: 노즐실린더,103: air outlet, 105: nozzle cylinder,

107: 중앙통공, 109: 밸브시트,107: central aperture, 109: valve seat,

111: 밸브유니트 삽입구, 113: 개폐유니트 삽입구,111: valve unit insertion port, 113: opening and closing unit insertion port,

117: 조절유니트 삽입구, 121: 양압형성실,117: control unit insert, 121: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3: 지지용 돌기, 125: 압력전달공,123: support projection, 125: pressure transfer hole,

127: 바이패스 입구공, 129: 바이패스 출구공,127: bypass entrance hole, 129: bypass exit hole,

130: 면체연결부재, 140: 필터,130: faceted connection member, 140: filter,

141: 필터고정부재, 151: 결합공,141: filter fixing member, 151: coupling hole,

153: 안내홈,153: home,

200: 밸브 유니트,200: valve unit,

210: 공급노즐, 211: 노즐관,210: supply nozzle, 211: nozzle pipe,

213: 수나사, 215: 바이패스공,213: male thread, 215: bypass ball,

216: 플랜지부, 217: 노즐공,216: flange portion, 217: nozzle hole,

219, 221, 223: O링, 230: 노즐밸브,219, 221, 223: O-ring, 230: nozzle valve,

231: 고무판, 233: 금속편,231: rubber plate, 233: metal piece,

235: 노즐공,235: nozzle ball,

300: 밸브개폐 유니트, 310: 개폐핸들,300: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310: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1: 걸림턱, 313: 걸림홈,311: locking jaw, 313: locking groove,

315: 핸들캡, 320: 지지부재,315: handle cap, 320: support member,

321: 수나사, 323: 통공,321: external thread, 323: through hole,

325: 스토퍼, 327: 볼삽입홈,325: stopper, 327: ball insertion groove,

328: 압축스프링, 329: 볼,328: compression spring, 329: ball,

330: 개폐스핀들, 332: 수평통로,330: opening and closing spindle, 332: horizontal passage,

333: 수직통로, 335: 연결로드,333: vertical passage, 335: connecting rod,

337: O링시트, 339: O링,337: O-ring seat, 339: O-ring,

340: 내압노즐,340: pressure-resistant nozzle,

400: 양압형성 유니트, 410: 캡부재,400: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410: cap member,

411: 축돌기, 413: 대기출입공,411: spinneret, 413: air entrance,

415: 안내 돌기, 417: 암나사,415: guide projection, 417: internal thread,

419: 누름턱, 420: 다이아프램,419: push jaw, 420: diaphragm,

421: 원판부, 423: 금속판,421: disc portion, 423: metal plate,

425: 탄력부, 427: 걸림테,425: elastic portion, 427: hanger,

500: 유량조절 유니트, 510: 조절노브,500: flow control unit, 510: adjustment knob,

520: 교축밸브, 521: O링,520: throttle valve, 521: O-ring,

600: 공기공급원, 610: 면체,600: air source, 610: icosahedron,

620: 메인 유로, 630: 개폐밸브,620: main flow path, 630: on-off valve,

640: 개폐밸브, 642, 682: 조작노브,640: on-off valve, 642, 682: operation knob,

650: 압력검출부, 660: 제어부,650: pressure detection unit, 660: control unit,

670: 바이패스 유로, 680: 유량제어밸브670: bypass flow path, 680: flow control valve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도 1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Ⅰ-Ⅰ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0은 도 7에서 Ⅱ-Ⅱ선을 취하여 본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공기공급장치의 측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the air supply apparatus of the positive-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ure 7, Figure 9 is the air shown in Figure 7 It is a rear view of a supply apparatus, FIG.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looked at the II-II line in FIG. 7, and FIG. 11 is a side view of the air supply apparatus shown in FIG.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공기공급장치는 크게 몸체 유니트(100), 밸브 유니트(200), 밸브개폐 유니트(300), 양압형성 유니트(400) 및 유량조절 유니트(5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7 to 11, the air supply device of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body unit 100, the valve unit 200,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400 And a flow rate control unit 500.

몸체 유니트(100)의 일 측면에는 공기유입구(101)가 형성되고, 그 배면에는 공기유출구(103)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01)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밸브개폐 유니트(30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113)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101)와 직각을 이루는 측면에는 유량조절 유니트(50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117)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양압형성 유니트(400)는 몸체 유니트(100)의 전방에 결합된다.An air inlet 10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unit 100, and an air outlet 103 is formed at a rea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On the side facing the air inlet 101,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insertion port 113 is formed, the side perpendicular to the air inlet 101, the flow control unit 500 is inserted, fixed Insertion hole 117 is formed. Finally,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40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ody unit 100.

공기유입구(101)와 개폐유니트 삽입구(113)는 관통이 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관로의 도중에는 밸브시트(109)로 기능하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트(109)를 중심으로 하여 우측통로(이하, 노즐실린더(105)라고 한다)에는 후술하는 공급노즐(210)이 삽입, 고정되고, 개폐유니트 삽입구(113)에는 밸브 유니트(200)의 일부를 이루는 노즐밸브(230) 및 밸브개폐 유니트(300)가 순차적으로 삽입된다.The air inlet 101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insertion port 113 are penetrated, and a step that functions as a valve seat 109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pipeline thus formed. The supply nozzle 21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right pass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ozzle cylinder 105) around the valve seat 109, and the opening / closing unit insertion port 113 of the valve unit 200. Part of the nozzle valve 230 and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300 is sequentially inserted.

몸체 유니트(100)의 노즐실린더(105)의 중앙에는 공기유출구(103)와 연통되는 중앙통공(10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맞은 편에는 양압형성실(121)로 기능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압력전달공(125),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등이 적소에 형성되어 있다.In the center of the nozzle cylinder 105 of the body unit 100 is formed a central through-hole 107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outlet 103, the opposite side is formed a space that functions as a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In addition, the pressure transfer hole 125, the bypass inlet hole 127, the bypass outlet hole 129, and the lik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are formed in place.

미설명 부호 130은 본 발명의 장치를 면체(1)에 결합시키기 위한 면체연결부재를 나타내고, 140 및 141은 면체(1)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 및 그 고정부재를 각각 나타낸다. 미설명 부호 123은 양압형성실(121)의 적소에 수직으로 돌출된 지지용 돌기를 나타내는 바, 이러한 지지용 돌기(123)는 후술하는 다이아프램(420)에 면체(1)로부터의 압력이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다이아프램(420)이 수평이 되도록 지지하므로써 내압노즐(340)이 막히지 않도록 한다.Reference numeral 130 denotes a facet connecting member for coupling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acet 1, and 140 and 141 denote a filter and a fixing memb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facet 1, respectively. Reference numeral 123 denotes a support protrusion projected perpendicularly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and the support protrusion 123 transmits pressure from the surface 1 to the diaphragm 420 described later. If not, the diaphragm 420 is supported to be horizontal so that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s not blocked.

다음, 밸브 유니트(200)는 중압호스(9)를 통한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노즐(210), 노즐밸브(230) 및 관계되는 결합부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O링들(219), (221), (223)로 이루어진다. 공급노즐(210)에는 그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211)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관(211)의 노즐밸브(230)와 면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16)에는 이를 횡으로 관통하는 노즐공(2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Next, the valve unit 200 has O-rings 219 and 221 which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supply nozzle 210 to which th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9 is supplied, the nozzle valve 230 and the associated coupling parts. , 223. In the supply nozzle 210, a nozzle tube 21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upply nozzle 210, and a flange portion 216 is formed at an end portion facing the nozzle valve 230 of the nozzle tube 211. The flange portion 216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217 penetrating them laterally.

공급노즐(210)의 도중에는 또한 그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바이패스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공급노즐(210)의 노즐실린더(105)에 삽입되는 부분의 외경은 노즐실린더(105)의 내경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되어 있는 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직경의 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공간을 경유하여 바이패스공(215)을 빠져나온 공기가 공기유출구(103)로 유출될 수 있다. 바이패스공(215)과 노즐공(217)의 사이에는 상기한 O링(219)이 장착되어 있어서 상호간의 공기의 출입이 차단되게 된다.In the middle of the supply nozzle 210, a bypass hole 215 penetrating the body vertically is formed. The outer diameter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nozzle cylinder 105 of the supply nozzle 210 is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nozzle cylinder 105. In some cases, the bypass hole passes through the space created by the difference in diameter. The air exiting the 215 may flow out to the air outlet 103. The O-ring 219 is mounted between the bypass hole 215 and the nozzle hole 217 to block the air from entering each other.

한편, 공급노즐(210)이 완전하게 삽입되는 위치에서는 몸체 유니트(100)에 형성된 중앙통공(107)이 상기 O링(219)의 좌측에 놓이도록 되어 있어서 노즐밸브(230)의 밀착여부에 따라 노즐공(217)과 중앙통공(107)이 서로 통하기도 하고 차단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sition where the supply nozzle 210 is fully inserted, the central through hole 107 formed in the body unit 100 is to be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O-ring 219, depending on whether the nozzle valve 230 is in close contact The nozzle hole 217 and the central through hole 107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 may be blocked.

도 12는 도 7에서 노즐밸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밸브(230)는 고무판(231)과 고무판(231)의 중심부에 심어진 금속편(233)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편(233)의 중앙에는 노즐관(211)의 직경에 비하여 매우 적은 직경을 가지는 미세 노즐공(235)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 유니트(200)에서, 미설명 부호 213은 중압호스(9)와의 연결을 위한 수나사를 나타낸다.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valve in FIG. 7. As shown in FIG. 12, the nozzle valve 230 is formed of a rubber plate 231 and a metal piece 233 planted at the center of the rubber plate 231, and the diameter of the nozzle tube 211 is set at the center of the metal piece 233. In comparison, a fine nozzle hole 235 having a very small diameter is formed. In the valve unit 200, reference numeral 213 denotes a male screw for connection with the medium pressure hose 9.

도 13A 및 도 13B는 도 8에서 밸브개폐 유니트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개폐 유니트(300)는 사용자로부터 밸브개폐지령을 입력받는 개폐핸들(310), 본 유니트(3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지지하는 지지부재(320), 공기유출구(103)로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개폐스핀들(330) 및 내압노즐(340)로 이루어진다.13A and 1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unit in FIG. 8.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valve opening / closing unit 300 includes an opening / closing handle 310 for receiving a valve opening / closing instruction from a user, a supporting member 320 for supporting components of the unit 300, Opening spindle 330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to allow or block the communication of the air to the air outlet 103.

개폐핸들(310)은 마개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개폐핸들(310)의 내측에는 그 내각이 예를 들어 120。를 이루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311)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걸림홈(313)이 형성되어 있다.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is made of a stopper shape,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is formed with a fan-shaped locking jaw 311, the inside of which forms a 120 °, for example, the locking jaw 311 A locking groove 313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locking groove.

지지부재(320)는 개폐핸들(310)이 장착되는 머리부와 개폐스핀들(330)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로 이루어진다. 지지부재(320)의 머리부 위에는 상기 걸림턱(311)의 회전을 정해진 위치, 즉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폐위치 또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스토퍼(325)가 형성되고, 그 측면에는 볼삽입홈(3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볼삽입홈(327)에는 개폐핸들(310)에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 개폐위치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축스프링(328)과 볼(329)이 삽입된다. 지지부재(320)의 몸통부의 적소에는 후술하는 내압노즐(340)과 연통되는 통공(323)이 형성되어 있다.The support member 320 is composed of a head por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is mounted and a cylindrical portion in which the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 330 is accommodated. A stopper 325 is formed on the head of the support member 320 to stop the rotation of the locking jaw 311 at a fixed position, that is, a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13A or an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 13B. The ball insertion groove 327 is formed on the side. The ball insertion groove 327 is inserted into the compression spring 328 and the ball 329 to maintain the open and close position when the operating force is not appli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In pl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20 is formed through-hole 323 in communication with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to be described later.

개폐스핀들(330)은 몸체(331) 및 몸체(331)로부터 연장된 연결로드(335)로 이루어지는데, 연결로드(335)의 자유단부는 지지부재(320)에 형성된 결합공을 경유하여 개폐핸들(310)과 축결합된다. 따라서, 개폐핸들(310)을 그 개폐위치로 회전시키면 지지부재(320)는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력이 개폐스핀들(330)의 몸체(331)에 전달되어 개폐핸들(310)과 개폐스핀들(330)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Opening and closing spindle 330 is composed of a body 331 and the connecting rod 335 extending from the body 331,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rod 335 opening and closing handle through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320 Axially coupled with 310. Accordingly,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is rotat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osition, the supporting member 320 is transmitted to the body 331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 330 in a fixed stat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spindle 330 are rotated. ) Will rotate together.

개폐스핀들(330)의 몸체(331)에는 그 자유단부에서 연결로드(335) 쪽을 향하여 소정 깊이의 통로(332: 이하, 수평통로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고, 나아가 수평통로(332)와 직각으로, 즉 스핀들 몸체(331)를 종단하여 상기 수평통로(332)와 연통되는 통로(333: 이하, 수직통로라고 한다)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직통로(333)로부터 소정 각도, 예를 들어 120。 만큼 떨어진 스핀들 몸체(331)의 외주면에는 O링(339)이 삽입되는 홈(337: 이하, O링시트라고 한다)이 형성되어 있다.The body 331 of the opening / closing spindle 330 has a passage 33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rizontal passag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free end thereof toward the connecting rod 335, and is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assage 332. In other words, a passage 333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rtical passage) is formed in which the spindle body 331 is terminated to communicate with the horizontal passage 332. On the other hand, a groove 337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ring seat) into which the O-ring 339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indle body 331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20 ° away from the vertical passage 333. .

내압노즐(340)은 개폐유니트 삽입구(113)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몸체 유니트(100)의 상부를 관통하여 양압형성실(121)과 연통되도록 장착된다.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s mounted to communicate with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unit 10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opening / closing unit insertion port 113.

전술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개폐핸들(310)을 도 13A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폐핸들(310)이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120。 회전한 상태에서 걸림턱(311)이 스토퍼(325)에 걸리게 되므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중지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이 중지되면 각 부품의 상태가 도 13B에 도시한 상태로 되는데, 이 위치에서는 볼(329)이 걸림홈(313)에 걸리게 되어 외부에서의 조작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나아가, 볼(329)이 걸림홈(313)에 걸리게 되면 딸깍하는 소리가 들리는데, 사용자는 이 소리를 듣고 개폐핸들(310)이 개방위치까지 회전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13A, the locking jaw 311 is stopped by the stopper 325 while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20 °. ), Further rotation stops.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in this way, the state of each par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3B. In this position, the ball 329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313, and the position is maintained as it is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Will be. Furthermore, when the ball 329 is caught by the locking groove 313, a click sound is heard, and the user hears this sound and finds that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is rotated to an open position.

한편,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위치에서는 수직통로(333)가 지지부재(320)의 몸통에 형성된 통공(323)과 일직선 상태가 되는데, 이에 따라 노즐관(211),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수평통로(332), 수직통로(333), 통공(323), 내압노즐(340)을 통과하는 일련의 유로가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B, in the open position, the vertical passage 333 is in line with the through hole 323 formed in the body of the support member 320, and thus, the nozzle tube 211 and the nozzle valve 230 are disposed. A series of flow passages passing through the nozzle hole 235, the horizontal passage 332, the vertical passage 333, the through-hole 323,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s formed.

반면에, 사용자가 개폐핸들(310)을 도 13B의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개폐핸들(310)이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120。 회전한 상태에서 걸림턱(311)이 스토퍼(325)에 걸리게 되므로써 더 이상의 회전이 중지되게 된다. 이렇게 회전이 중지되면 각 부품의 상태가 도 13A에 도시한 상태로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O링(339)이 지지부재(320)의 원통부에 형성된 통공(323)을 밀폐시키므로써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로는 형성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counter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13B, the locking jaw 311 is stopped by the stopper 325 while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20 degrees. The motor stops further rotation as it is caught. When the rotation is stopped in this way, the state of each part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13A. In this state, the O-ring 339 seals the through hole 323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320, and is shown in FIG. 13B. The flow path as shown is not formed.

양압형성 유니트(400)는 다이아프램(420)과 이를 보호하는 캡부재(410)로 이루어진다.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400 includes a diaphragm 420 and a cap member 410 for protecting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400.

도 14는 도 8에서 양압형성 유니트를 이루는 각 부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도면들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아프램(420)은 가운데에 위치하는 원판부(421)와 원판부(421)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탄력부(425)와 탄력부(425)에서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걸림테(427)로 이루어진 고무판과 고무판의 상기 원판부(421)의 안쪽에 압착된 금속판(423)으로 이루어진다.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each part of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unit in FIG. 8.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FIG. 14, the diaphragm 420 includes a disc part 421 located in the center and an elastic part 425 and an elastic part 425 extending upward from the disc part 421. In the back is made of a rubber plate made of a hook frame 427 horizontally bent and made of a metal plate 423 crimped to the inner side of the disc portion 421 of the rubber plate.

캡부재(410)의 내측에는 상기 걸림테(427)를 양압 형성실(121)의 벽(122) 위에 대고 누르는 누름턱(419) 및 다이아프램(420)을 축지하는 축돌기(411)가 형성되어 있다. 캡부재(410)에는 또한 대기가 출입하는 대기출입공(4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다이아프램(420)의 외측이 항상 대기압을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캡부재(410)의 상기 몸체 유니트(100)와 접하는 면에는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의 암나사(417)와 안내 돌기(4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side of the cap member 410 is formed a push projection (419) for pressing the engaging frame (427) on the wall 122 of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and the shaft projection (411) for holding the diaphragm (420). It is. The cap member 4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access hole 413 through which air flows in and out so that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420 is always subjected to atmospheric pressure. A plurality of, for example, four female threads 417 and guide protrusions 415 are formed on a surface of the cap member 410 in contact with the body unit 100.

한편, 전술한 몸체 유니트(100)에 대한 설명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 캡부재(410)에 형성된 암나사(417) 및 안내 돌기(415)와 정대향하는 위치의 몸체 유니트(100)에는 각각 결합공(151)과 안내홈(153)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body unit 100, coupling holes 151 in the body unit 100 of the opposite position to the female screw 417 and the guide protrusion 415 formed on the cap member 410, respectively ) And guide grooves 153 are formed.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아프램(420) 및 캡부재(410)를 몸체 유니트(100)에 조립하는 작업은 다이아프램(420)의 걸림테(427)를 양압 형성실(121)을 한정하는 벽(122) 위에 자연스럽게 얹혀 놓은 상태에서 캡부재(410)에 형성된 안내 돌기(415)를 안내홈(153)에 정확하게 맞추고, 이어서 결합용 수나사(미도시)를 몸체 유니트(100)의 결합공(151)을 경유하여 암나사(417)에 결합시켜서 완료된다.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은 그 걸림테(427)가 양압 형성실 벽(122)에 놓여진 상태에서 캡부재(410)의 누름턱(419)에 의해 눌려지기 때문에 몸체 유니트(100)의 사출성형 시에 불가피하게 수반되는 파팅라인에 관계없이 양압 형성실(121) 내의 기밀을 완벽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안내 돌기(415)가 안내홈(153)에 정확하게 삽입되지 아니 하는 경우에는 캡부재(410)가 몸체 유니트(100)에 정위치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오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Assembling the diaphragm 420 and the cap member 410 to the body unit 1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the wall 122 that defines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to the hook frame 427 of the diaphragm 420 The guide protrusion 415 formed in the cap member 410 is precisely aligned with the guide groove 153 in a state where it is naturally placed on the top), and then the coupling male screw (not show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151 of the body unit 100. Coupling to the female screw 417 is completed via. As a result, the diaphragm 420 is ejected from the body unit 100 because the diaphragm 427 is pressed by the pressing jaw 419 of the cap member 410 in a state where the catching frame 427 is placed on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wall 122. Regardless of the parting line inevitably involved in molding, the airtightness in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can be maintained perfectly. Furthermore, when the guide protrusion 415 is not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3 correctly, the cap member 410 is not coupled to the body unit 100 in the correct position, thereby preventing misalignment.

축돌기(411)는 다이아프램(420)에 면체(1)로부터의 압력이 전달된 경우에 다이아프램(420)을 축지하여 내압노즐(340)이 막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스프링(도 5의 부호 65 참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면체(1) 내부의 압력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Axon 411 is the diaphragm 420 when the pressure from the facet 1 is transmitted to the diaphragm 420 to accumulate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spring Since reference numeral 65 in FIG. 5 is not used, pressure fluctuations inside the facet 1 can be eliminated.

마지막으로, 유량조절 유니트(500)는 몸체 유니트(100)에 형성된 조절유니트 삽입구(117)에 삽입, 고정되는데, 노즐실린더(105)의 벽을 종단하여 형성된 바이패스 입구공(127)에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한 교축밸브(520) 및 교축밸브(520)를 조작하기 위한 조절노브(51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사용자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완전하게 닫으면, 교축밸브(520)의 단부가 바이패스 입구공(127)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바이패스 출구공(129)을 통한 공기의 유출이 불가능하게 된다.Finally,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trol unit insertion hole 117 formed in the body unit 100, which flows out of the bypass inlet hole 127 formed by terminating the wall of the nozzle cylinder 105. It consists of a throttling valve 520 for precisel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and a control knob 510 for manipulating the throttling valve 520. 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knob 510 to completely close the throttling valve 520, the end of the throttling valve 520 blocks the bypass inlet hole 127, and thus the bypass outlet hole. The outflow of air through 129 becomes impossible.

반면에,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풀게 되면, 공급노즐(210)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5), 노즐실린더(105)의 내면과 공급노즐(210)의 외면사이에 형성된 공간,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공기유출구(103)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로가 형성되어 공기유입구(101)를 통한 공기가 공기유출구(103)로 바이패스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when the user operates the control knob 510 to release the throttle valve 520, the bypass hole 215 formed in the supply nozzle 210, the inner surface of the nozzle cylinder 105 and the supply nozzle (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210, a bypass inlet hole 127, a bypass outlet hole 129, a series of flow paths leading to the air outlet 103 is formed so that the air through the air inlet 101 is an air outlet ( 103) is bypassed.

유량조절 유니트(500)에서 미설명 부호 521은 대기가 바이패스 출구공(129)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O링을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521 in the flow rate control unit 500 denotes an O-ring for preventing the atmosphere from directly entering the bypass outlet hole 129.

이하에는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공기호흡 시스템을 사용하여 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면체연결부재(130)를 조작하여 공기공급장치를 면체(1)에 연결한 상태에서 중압호스(9)에 구비된 암나사부재(미도시)를 공기공급장치의 공급노즐(210)에 형성된 수나사(213)와 연결한다. 다음, 공기실린더(13)에 마련된 개폐 밸브를 개방하고, 공기실린더(13)를 편안하게 착용한 후에 중압호스(9)의 원터치 플러그를 고압조정기(11)에 연결한다. 이 때, 개폐핸들(310)이 폐쇄위치로 돌려져 있는 지도 확인한다. 다음, 면체(1)에 구비된 조절끈(5)을 최대한 푼 후에 면체(1)를 위로부터 안면에 착용한다. 다음, 면체(1)를 고르게 편 후에 양손으로 조절끈을 뒤로 당겨서 너무 압박되지 않도록 편안하게 조인 후에 흡입을 실시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지를 확인한다.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다시 착용하여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To breathe using an air breathing system, the female screw member (not shown) provided in the medium pressure hose 9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pparatus while the air supply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urface 1 by manipulating the surface connecting member 130. Connect to the external thread 213 formed on the supply nozzle 210 of the. Next, the open / close valve provided in the air cylinder 13 is opened, and the one-touch plug of the medium pressure hose 9 is connected to the high pressure regulator 11 after the air cylinder 13 is comfortably worn. At this time, it is also confirmed whether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is turned to the closed position. Next, after loosening the control strap 5 provided on the surface 1 as much as possible, wear the surface 1 from the top to the face. Next, after evenly opening the surface (1), pull the control strap back with both hands, tighten it comfortably so as not to be too compressed, and then perform suction to check whether external air is introduced. If the outside air flows in, wear it again and pay attention to safety.

위와 같은 동작을 완료한 상태에서, 개폐핸들(310)을 그 폐쇄위치에서 120。 돌리면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공기공급장치가 개방상태가 되어 양압상태에서의 편안한 호흡이 가능해진다.After complet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by turning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310 120 ° in its closed position, the air supply device is opened with a click sound and comfortable breathing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is possible.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면체(1)를 쓴 상태에서 개폐핸들(310)을 개방위치로 돌리면,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통로(333)가 지지부재(320)의 몸통에 형성된 통공(323)과 일직선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노즐관(211),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수평통로(331), 수직통로(333), 통공(323), 내압노즐(340)을 경유하여 공기가 유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밸브(230) 측에서 공급노즐(210) 측에 인가되는 공기압보다 공급노즐(210) 측에서 노즐밸브(230) 측에 인가되는 공기압이 높기 때문에 노즐밸브(230)가 밀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공급된 공기가 공급노즐(210)의 플랜지부(216)에 형성된 노즐공(217) 및 중앙통공(107)을 경유하여 공기유출구(103)로 유출되게 된다. 즉, 공기가 면체(1) 내로 유입되게 되므로써 인체가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양압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In more detail, when the user turns the opening / closing handle 310 to the open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ace 1 is worn, the vertical passage 333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supporting member 320 as shown in FIG. 13B. It is in a straight line with the formed through hole 323. Accordingly, air flows out through the nozzle tube 211, the nozzle hole 235 of the nozzle valve 230, the horizontal passage 331, the vertical passage 333, the through-hole 323,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n this state, since the air pressure applied from the supply nozzle 210 to the nozzle valve 230 is higher than the air pressure applied from the nozzle valve 230 to the supply nozzle 210, the nozzle valve 230 is pushed. As a result, the supplied air is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103 via the nozzle hole 217 and the central through hole 107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216 of the supply nozzle 210. In other words,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rface 1 so that the human body can inhale the air at a positive pressure slightly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숨을 멈추거나 또는 숨을 내뿜을 때는 양압상태인 면체(1)의 내부압력이 압력전달공(125)을 통해 양압형성실(121)에 전달된다. 이 때, 다이아프램(420)의 외측에는 대기출입공(413)을 통하여 대기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이 축돌기(411)에 의해 축회전되어 내압노즐(340)을 폐쇄시키게 된다. 내압노즐(340)이 막히게 되면,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을 통과한 공기가 다시 정압(static pressure) 상태로 되면서 공급노즐(210)의 노즐공(217)을 막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stops breathing or exhal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1 in positive pressure state is transmitted to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through the pressure transfer hole 125. At this time, since the atmospher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diaphragm 420 through the air access hole 413, the diaphragm 420 is axially rotated by the shaft projection 411 to close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do. When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340 is block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nozzle hole 235 of the nozzle valve 230 becomes a static pressure again to block the nozzle hole 217 of the supply nozzle 210.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숨을 들여 마시면 면체(1) 내부의 압력이 순식간에 감소하여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다이아프램(420)은 압축전의 정상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내압노즐(340)이 다시 열리게 되고, 내압노즐(340)을 통한 공기가 압력전달공(125)을 통하여 면체(1) 내로 급속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즐밸브(230)의 좌측의 압력이 우측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노즐공(217)이 열리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If the user inhales in this state, the pressure inside the face 1 decreases rapidly and becomes lower than atmospheric pressure. As a result, the diaphragm 420 is restored to its normal state before compression. Accordingly,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s opened again, and the pressure drops because air through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is rapidly introduced into the surface 1 through the pressure transfer hole 125. As a result, the nozzle hole 217 is opened because the pressure on the left side of the nozzle valve 230 is lower than the pressure on the right side, and thus the supply of air is resumed.

이를 요약하면, 사용자가 숨을 멈추거나 내뿜을 때에는 공급노즐(210)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중단되고, 숨을 들여 마실 때에는 공급노즐(210)을 통한 공기의 공급이 재개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대기압, 숨을 들여 마실 때와 내뿜을 때의 면체(1)의 내부 압력 사이의 대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In summary, the supply of air through the supply nozzle 210 is stopped when the user stops or exhales, and the supply of air through the supply nozzle 210 is resumed when inhaling. And this series of processes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magnitude between atmospheric pres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1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기유출입로가 이물질 등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막히는 경우에는 면체(1) 내부의 압력이 저하되어 호흡이 불편해지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사용자는 호흡이 편안해질 때까지 조절노브(510)를 조작하여 교축밸브(520)를 열면 된다. 이렇게 하여 교축밸브(520)가 열리게 되면, 중압호스(9)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공급노즐(210)의 중간에 형성된 바이패스공(215), 노즐실린더(105)에 형성된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직접 면체(1)로 유입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노즐공(217), 중앙통공(107) 및 공기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메인 유로와 노즐관(211), 바이패스공(215),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및 공기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거쳐서 공기가 면체(1)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교축밸브(520)를 통하여 유입 공기 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면 면체(1) 내의 압력을 호흡하기에 편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inflow and outflow path as described above is partially blocked by foreign matter, etc., the pressure inside the surface 1 is lowered, which makes the breathing uncomfortable. In this case, the control knob 510 until the breathing is comfortable. And open the throttling valve 520. When the throttling valve 520 is opened in this wa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9 passes through the bypass hole 215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upply nozzle 210, and the bypass inlet hole formed in the nozzle cylinder 105 ( 127), the bypass outlet hole 129 is sequentially introduced directly into the facet 1. As a result, the main flow path, the nozzle tube 211, the bypass hole 215, the bypass inlet hole 127, and the via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nozzle hole 217, the central through hole 107, and the air outlet 103. Air flows into the facet 1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which passes through the pass exit hole 129 and the air outlet 103 sequentially. Therefore, if the user properly controls the amount of inlet air through the throttling valve 520, it is possible to keep the pressure in the surface 1 in a comfortable state to brea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메인 유로가 이물질에 의해 완전하게 막힌 경우에는 바이패스 유로만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in flow path as described above is completely blocked by foreign matter, air may be supplied only by the bypass flow path.

도 15는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을 등가적으로 표현한 블록구성도 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공기공급원(600), 면체(610),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를 연결하는 메인 유로(62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며 호흡동작에 따라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 사이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는 개폐밸브(63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어 호흡에 따른 면체(610) 내부의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압력 검출부(650), 상기 압력 검출부(650)에서 검출된 면체(610) 내부의 압력을 기준 압력, 즉 대기압과 비교한 후에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개폐밸브(630)를 개폐하는 제어부(660), 메인 유로(620)의 도중에 설치되어 외부 조작력에 의해 상기 메인 유로(62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640),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유로(670) 및 외부 조작력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670)를 통한 공기공급원(600)과 면체(610) 사이의 공기의 소통을 허용 또는 차단하고, 상기 허용하는 경우에는 그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680)를 구비한다. 도 15에서 미설명 부호 642 및 682는 상기 개폐밸브(640)와 유량제어밸브(680)에 외부조작력을 각각 인가하는 조작노브를 나타낸다.Figure 15 is a block diagram equivalently representing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5,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supply source 600, a facet 610, a main flow path 620 connecting the air supply source 600, and a facet 610. 620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30, the main passage 620 to allow or block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ir supply source 600 and the surface 610 according to the breathing operation, the surface of the face ( 610, a pressure detector 650 for detecting a pressure change in the inside, and a pressure inside the facet 610 detected by the pressure detector 650 with a reference pressure, that is, an atmospheric pressure, and then an on / off valve 630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control unit 66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6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flow passage 620 by the external operating force, is connected between the air supply source 600 and the surface 610.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670 and the bypass flow path 670 by the external operating force Group source to allow or block the communication of air between 600 and tetrahedron 610, and if the permit is provided with a flow control valve 680 to control its flow rate. In FIG. 15, reference numerals 642 and 682 denote operation knobs for applying external operating force to the on-off valve 640 and the flow control valve 680, respectively.

도 15에서, 면체(610)는 면체(1)에 대응된다. 공기공급원(600)은 공기실린더(13)에 대응되고, 메인 유로(6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압호스(9), 공급노즐(210)의 플랜지부(216)에 형성된 노즐공(217), 중앙통공(107) 및 공기유출구(103)로 이어지는 일련의 유로에 대응될 수 있다. 개폐밸브(630)는 노즐밸브(230)에 대응될 수가 있다. 압력검출부(650)는 노즐밸브(230)의 노즐공(235), 양압 형성실(121), 압력전달공(125), 면체(1)로 이어지는 일련의 압력 검출용 유로(도 15에서 참조 번호 622 참조)에 설치된 내압노즐(340)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660)는 캡부재(410)의 대기출입공(413)을 통하여 유입된 대기압을 기준해서 상기 검출된 면체(1)의 내압을 비교하고, 그 대소에 따라 내압노즐(340)을 개폐하므로써, 결과적으로 노즐밸브(230)가 공급노즐(210)의 노즐공(217)을 개폐하도록 만드는 다이아프램(420)에 대응될 수 있다.In FIG. 15, the facet 610 corresponds to the facet 1. The air supply source 600 corresponds to the air cylinder 13, the main flow path 620, as described above, the nozzle hole 217 formed in the medium pressure hose 9, the flange portion 216 of the supply nozzle 210, It may correspond to a series of flow paths leading to the central through hole 107 and the air outlet 103. The open / close valve 630 may correspond to the nozzle valve 230. The pressure detecting unit 650 is a series of pressure detecting flow paths (refer to reference numerals in FIG. 15) leading to the nozzle hole 235 of the nozzle valve 230, the positive pressure forming chamber 121, the pressure transfer hole 125, and the facet 1. It may correspond to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340 installed in the reference. The controller 660 compar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etected faceted body 1 based on the atmospheric pressure introduced through the atmospheric access hole 413 of the cap member 410, and opens and closes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340 according to the size. As a result, the nozzle valve 230 may correspond to the diaphragm 420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217 of the supply nozzle 210.

개폐밸브(640)는 지지부재(320)와 개폐스핀들(330)의 관련 구성들에 대응될 수 있고, 조작노브(642)는 개폐핸들(310)에 대응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바이패스 유로(6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압호스(9), 노즐관(211), 바이패스공(215), 바이패스 입구공(127), 바이패스 출구공(129) 및 공기유출구(103)를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일련의 유로에 대응될 수 있고, 유량제어밸브(680)는 교축밸브(520)에 대응될 수 있고, 조작노브(682)는 조절노브(510)에 대응될 수 있다.The open / close valve 640 may correspond to the related components of the support member 320 and the open / close spindle 330, and the operation knob 642 may correspond to the open / close handle 310. Finally, the bypass flow path 670, as described above, the medium pressure hose 9, the nozzle pipe 211, bypass hole 215, bypass inlet hole 127, bypass outlet hole 129 and air It may correspond to a series of flow paths passing through the outlet 103 in sequence, the flow control valve 680 may correspond to the throttling valve 520, the operation knob 682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knob 510 Can be.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도 15에 도시한 기술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the positive-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out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allowed by the technical spirit shown in FIG. 15 and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따르면, 공기의 면체로의 유출을 공기공급장치 상에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작의 편리성이 증진되고, 나아가 불필요한 공기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압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호흡시의 흡기 및 배기 저항이 극소화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outflow of the air to the faceted surface on the air supply devic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further reducing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air There is. In addition, by allowing the internal pressure to be adjusted freely, the intake and exhaust resistance during respiration are minimized.

이외에도, 면체로 유출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이외에 비상시에는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여 직접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 및 안전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flowing out of the surface, in case of emergency, since the air can be directly supplied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convenience and safety are enhanced.

Claims (11)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A nozzle configured to penetrate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and have a nozz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vertically to form a plurality of nozzl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urface to receiv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air breathing system, 내부에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조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차단하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A connecting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opening or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connecting or blocking the nozzle valve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through the connecting flow path by rotating by an external operation forc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을 그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accurately stopp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제 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소정 크기 이상의 조작력이 인가되기 전에는 상기 개폐수단을 그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3.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in a stopped state at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before an operation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ypass passage for bypassing th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directly to the air outlet in addition to the intake passage through the nozzle hole and the nozzle valve of the supply nozzle. system.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의 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5.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further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hrough the bypass flow path.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교축밸브로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6.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said control means comprises a throttling val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밸브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밸브체 및 그 중앙에 노즐공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체 내부에 삽입되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The positive pressure typ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zzle valve is formed of a valve bod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 metal piece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by forming a nozzle hole in the center thereof.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밸브는 상기 금속편을 상기 밸브체와 함께 삽입압출성형하여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nozzle valve is formed by insert-extrusion molding the metal piece together with the valve body.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A nozzle configured to penetrate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and have a nozz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vertically to form a plurality of nozzl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urface to receiv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air breathing system, 상기 공급노즐에 형성된 노즐공 및 노즐밸브를 경유하는 흡기유로 이외에 상기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직접 공기유출구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하는 공기 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through the bypass passage and the bypass passage to bypass the air of the secondary pressure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directly to the air outlet in addition to the intake passage through the nozzle hole and the nozzle valve formed in the supply nozzle Positive-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교축밸브로 이루어진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10. The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said control means comprises a throttling valve. 중심을 횡으로 관통하여 노즐관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관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에는 면체와 연통되는 다수의 노즐공이 형성되어 중압호스를 통한 2차 압력의 공기를 제공받는 공급노즐;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개폐하는 밸브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상기 노즐관과 연통되는 노즐공이 형성된 노즐밸브; 상기 노즐밸브의 노즐공과 면체 사이에 형성된 압력검출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는 내압노즐 및 외측에는 대기압이 인가되고 내측에는 면체의 내압이 인가되어 그 인가되는 압력 차에 의해 상기 내압노즐을 개폐하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흡기시 및 호기시의 면체의 내부 압력과 대기압과의 상대적인 대소에 따른 상기 내압노즐의 개폐동작에 의해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폐시켜서 양압상태에서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에 있어서,A nozzle configured to penetrate horizontally through the center and have a nozz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nozzle tube vertically to form a plurality of nozzle holes communicating with the surface to receive secondary pressure air through the medium pressure hose; A nozzle valve formed of a valve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and a nozzle hole formed at a center thereof in communication with the nozzle tube; The internal pressure nozzl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pressure det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hole of the nozzle valve and the outer surface is applied with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inner pressure of the inner surface is applied to the inner diaphragm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ressure resistant nozzle by the applied pressure difference. And a positive pressure type to open and close 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from the nozzle valve by opening / closing the nozzle of the supply nozzle according to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ace and the atmospheric pressure at the time of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e air breathing system, 외부조작력을 인가받는 개폐핸들;Opening and closing handle for receiving external operation force; 상기 개폐핸들에 축결합되고 그 몸체의 적소에는 상기 노즐밸브와 내압노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스핀들 및An opening / closing spindle axially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handle and having a connection flow path formed between the nozzle valve and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in place; 상기 개폐핸들과 개폐스핀들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가 수납되는 원통부의 상기 연결유로의 단부의 회전궤적과 면하는 위치에는 상기 내압노즐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며,A support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opening / closing handle and the opening / closing spin, and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pressure-resistant nozzle at a position faci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end of the connection passage of the cylindrical portion in which the body of the opening / closing spindle is received. Equipped, 상기 개폐핸들의 조작에 연동한 상기 개폐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개폐스핀들의 몸체를 연결유로를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통공에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통공과 차단시키므로써 상기 공급노즐의 노즐공을 노즐밸브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식 공기호흡 시스템.The nozzle hole of the supply nozzle is disconnected from the nozzle valve by connecting the body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s 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or blocking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pins linked to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handle. Positive-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or closing.
KR1019960054490A 1996-11-15 1996-11-15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apparatus KR1002141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en) 1996-11-15 1996-11-15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en) 1996-11-15 1996-11-15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020A true KR19980036020A (en) 1998-08-05
KR100214158B1 KR100214158B1 (en) 1999-08-02

Family

ID=1948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490A KR100214158B1 (en) 1996-11-15 1996-11-15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1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65B1 (en) * 2009-01-30 2011-07-26 주식회사 산청 Supply Valve for Respiratory
KR101490815B1 (en) * 2014-08-13 2015-02-06 주식회사 산청 Air supply valve and pressure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65B1 (en) * 2009-01-30 2011-07-26 주식회사 산청 Supply Valve for Respiratory
KR101490815B1 (en) * 2014-08-13 2015-02-06 주식회사 산청 Air supply valve and pressure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having the same
WO2016024708A1 (en) * 2014-08-13 2016-02-18 주식회사 산청 Valve assembly having provided bypass channel, and pressure regulator, for air respirator,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4158B1 (en)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6931B1 (en) Modular pulmonary treatment system
US5896857A (en) Valve for use in a gas delivery system
US5632298A (en) Resuscitation and inhalation device
EP0451090B1 (en) Resuscitation and ventilation device
US4077404A (en) Breathing equipment such as resuscitators
US5005568A (en) Isolation valve
US5839436A (en) Demand valve with a reduced manual flow control
US6394091B1 (en) Breathing apparatus
US20050028811A1 (en) Multitask medical treatment respiratory apparatus
JPH03504091A (en) automatic ventilator
US5520170A (en) Automatic resuscitator
US6718980B2 (en)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US6318366B1 (en) Supply valve and diaphragm for a pneumatically-operated gas demand apparatus
US5645047A (en) Inhalation mask
KR19980036020A (en) Positive Pressure Air Breathing System
EP0631795B1 (en) Regulator for self 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GB2079162A (en) Resuscitator valve assembly
KR940002940Y1 (en) Valve of gas mask
JPH0247964Y2 (en)
US20030127099A1 (en) Demand valve which can be used in oxygen therapy
JPS6345234B2 (en)
KR102132582B1 (en) Pressure demand valve for air respirator
KR200177562Y1 (en) Apparatus for supplying air of the positive pressure type
CA2371161C (en) Treatment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JP2502449Y2 (en) Circulatory ventilator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