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912A -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912A
KR19980035912A KR1019960054364A KR19960054364A KR19980035912A KR 19980035912 A KR19980035912 A KR 19980035912A KR 1019960054364 A KR1019960054364 A KR 1019960054364A KR 19960054364 A KR19960054364 A KR 19960054364A KR 19980035912 A KR19980035912 A KR 19980035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llar
cylinder device
shaft
drum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선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주식회사 엘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주식회사 엘지전자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5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912A/ko
Publication of KR19980035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912A/ko

Link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에서 하부드럼의 아랫쪽으로 연장된 샤프트상에 고정되어 상부드럼과 하부드럼을 한데 묶어주는 링칼라의 고정구조에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실린더 장치는 플랜지의 수직하단부 외주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회전트랜스의 원형내주면상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들 나사부간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플랜지와 회전트랜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하부드럼의 내측원통부 외주면과 고정트랜스의 원형 내주면에 각기 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들 두 부재가 나사 결합에 의해서 조립되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회전실린더 장치에서 링칼라의 고정구조는 샤프트의 링칼라 고정부위에 수평의 관통홀을 형성하여 그 관통홀 내부로 링칼라의 세트스크류 체결공 내부로 삽입되는 세트스크류의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일단 샤프트상에 고정된 링칼라가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회전실린더 장치는 외부충격 등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링칼라가 밀려남이 발생하지 않아 드럼회전의 상하유동성이 방지됨으로 인해 화질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제1도는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 조립체별 분해도.
제3도는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 장치의 부분 조립체별 분해도.
제6도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 장치의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종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 장치의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저면도.
제8도의 (가)(나)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가)는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나)는 고정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드럼2. 하부드럼
3. 모터부4. 회전헤드
5. 샤프트5a. 관통홀
6. 플랜지12. 회전트랜스
13. 고정트랜스15. 링칼라
15a. 세트스크류 체결공15b. 고정핀 삽입공
16. 세트스크류16a. 고정핀
본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상,하부드럼이 공통축설된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하부드럼을 한데 묶어주는 링칼라의 유동을 억제하여 드럼회전의 상하유동성을 방지함으로써 화질을 개선시킨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기기록 재생기에 자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자기기록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시키는 회전실린더 장치는 크게 상부드럼과 하부드럼 및 상부드럼의 일측에 고정되어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자기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회전헤드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를 제1도 및 제2도로로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의 전체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부분조립체별 분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는 크게 상부드럼(1)과, 상부드럼(1)의 하부에 상부드럼(1)과 동일중심축선상에 결합된 하부드럼(2)과, 상부드럼(1)의 윗쪽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드럼(1)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부(3) 및 상부드럼(1)의 하부에 고정되어 자기테이프(도면 미도시)로 신호를 전달하거나 자기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회전헤드(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하부드럼(1)(2)의 중심으로는 수직의 샤프트(5)가 장착됨에 있어 샤프트(5)의 상부주위로는 플랜지(6)가 압압상태로 외삽되어 그 플랜지(6)상에 상부드럼(1)이 고정되는 한편, 그 하부의 하부드럼(2)의 내측벽부와 샤프트(5)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는 베어링(7)이 개재된 구성을 취함에 따라 상부드럼(1)은 회전중심축으로서의 샤프트(5)와 함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하부드럼(2)에 대해 상대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모터부(3)는 고정모터(3a)와 회전모터(3b)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때 고정모터(3a)는 하단부가 상기 하부드럼(2)의 저면일측에 고정된 브라켓(8)상에 설치되고 회전모터(3b)는 상기 고정모터(3a) 바로 밑쪽의 상부드럼(1) 내측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드럼(1)과 회전모터(3b) 및 플랜지(6)는 이들 세부재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부실린더 고정나사(9)에 의해서 한 몸체로 결합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드럼(1)의 내측저면 일측에는 터미널(10)이 부착되는 한편, 타측에는 헤드고정나사(11)를 통해 회전헤드(4)가 고정된다.
상기 플랜지(6)의 하단부에 형성된 수평연장부의 저면으로는 회전트랜스(12)가 부착되고, 회전트랜스(12)의 바로 아랫쪽 하부드럼(2)에는 고정트랜스(13)가 부착된다.
상기 하부드럼(2)의 저면 외측으로 연장된 샤프트(5)의 하단부에는 콘형상의 (coinical) 와셔(14)가 개재된 상태에서 링칼라(15)가 결합되어 샤프트(5)를 중심으로 상, 하부 드럼(1)(2)간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때 상기 링칼라(15)는 세트스크류(16)의 체결에 의해서 샤프트(5)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와셔이고, 18은 신호전달을 위한 PWB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회전실린더 장치는 세트스크류(16)를 이용하여 링칼라(15)를 샤프트(5)에 고정시키고 있는 바, 이같은 링칼라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드럼조립체를 운반하거나, 드럼조립체가 적용된 자기기록 재생기 완제품을 운반하는 도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때에 링칼라가 샤프트상의 원래 고정된 위치로부터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칼라가 원래 위치로부터 밀려나게 되면 상부드럼과 하부드럼 사이에 유동적인 갭이 발생하게 되어 상부드럼이 회전하면서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할때 상부드럼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기록 또는 재생을 함에 따라 화면굴곡 및 화면무너짐 현상이 초래되어 화질이 불량해지게 되고, 백색노이즈 불량이 발생되며 오디오 험(Audio Hum) 및 오디오 S/N이 나빠지게 되어 고음질을 얻는데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는 등의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상기 제1도 및 제2도로 도시된 형태의 회전실린더와 다른 형태의 종래 회전실린더로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회전실린더 장치가 알려지고 있는 바, 그 구조를 샤프트 및 이에 결합된 링칼라 조립구조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면중 상기 제1,2도에서와 동일한 기능적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제1,2도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3도는 종래 회전실린더 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 장치의 저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구조는 앞서 살펴본 바의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회전실린더와 유사하나 모터부(3)가 하부드럼(2)의 아랫쪽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회전실린더 장치는 하부드럼(2)의 저면에 고정모터(3a)가 장착되고, 하부드럼(2)의 중심부 아랫쪽으로 연장된 샤프트(5)의 하단부상에 회전모터(3b)가 장착되는 한편 회전모터(3b)의 베이스와 하부드럼(2) 사이의 샤프트(5)상에 링칼라(15)가 고정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링칼라(15)는 회전모터(3b)의 베이스를 지나 링칼라(15)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스크류(20)의 체결에 의해서 회전모터(3b)와 한몸체로 조립됨과 아울러 세트스크류(16)의 체결에 의해 샤프트(5)에 조립되어 진다.
본 실시예 회전실린더 장치의 링칼라(15) 조립구조에서는 제4도의 저면도에서와 같이 링칼라(15)는 이에 고정되는 회전모터(3b)의 PG 마그네트(21)와 상부드럼(1)의 A/B 헤드(4a)(4b) 사이에 일정한 각도(θ)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까지도 하게 되는데, 링칼라(15)의 조립시 링칼라(15)가 샤프트(5)에 대해서 정위치를 벗어나 돌아가서 체결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회전모터(3b) 역시도 돌아가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F/E 헤드이다.
이와 같이 회전모터(3b)가 돌아가게 되면 PG 마그네트(21)와 상부드럼(1)의 A/B 헤드(4a)(4b) 사이의 각도(θ)가 틀어지게 되는 바, 문제는 PG 마그네트(21)를 기준으로 하여 헤드 스위칭(head switching)이 제시간에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헤드 스위칭까지도 틀어져서 화면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가 지니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과 단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회전실린더 장치의 샤프트에 고정되어 하부드럼과 상부드럼을 한데 묶어주는 링칼라의 고정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서도 유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하여 드럼회전의 상하유동성을 방지함으로써 화면무너짐 및 화면굴곡이 없는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하부드럼의 아랫쪽으로 연장된 샤프트의 링칼라 고정부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링칼라의 세트스크류 삽입공에 체결되는 세트스크류가 상기 샤프트의 관통공내로 삽입되도록 한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링칼라의 세트스크류 삽입공내로 체결되는 세트스크류의 일부가 샤프트의 관통공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드럼조립체 또는 드럼조립체를 포함하는 완제품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링칼라가 원래의 고정위치로부터 밀려남이 없이 제위치를 유지하도록 한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를 보인 것으로, 제5도는 회전실린더 장치의 부분 조립체별 분해도이고, 제6도는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부분종단면도이며, 제7도는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면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1도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실린더 장치는 상부드럼(1)의 회전헤드(4) 및 회전트랜스(12)가 장착되고 내측 중심부에 플랜지(6) 및 샤프트(5)가 고정되어 이루어진 상부드럼 조립체와, 하부드럼(2)의 안쪽에 고정트랜스(13)가 형성되는 한편 중앙의 샤프트공내로 베어링(7)이 삽입되어 이루어진 하부드럼 조립체가 와셔(17)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상부드럼 조립체의 샤프트(5)가 하부드럼 조립체의 샤프트공내로 삽입되어짐과 아울러 하부드럼 조립체의 하부로 연장된 샤프트(5)의 외주에 링칼라(15)를 체결하여 상부드럼 조립체와 하부드럼 조립체간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실린더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5)의 링칼라(15) 체결부위에 수평의 관통홀(5a)을 형성하여 이에 체결되는 링칼라(15)의 세트스크류(16)가 관통홀(5a)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 데에 기술적 구성의 요지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링칼라(15) 조립구조는, 샤프트(5)의 링칼라(15) 고정부위에 세트스크류(16)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의 관통홀(15a)을 수평으로 형성하여 이에 고정되는 링칼라(15)에 체결되는 세트스크류(16)의 선단부 일부구간이 관통홀(5a)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여 링칼라(15)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5)상에 형성되는 관통홀(5a)은 샤프트(5)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수평의 관통구멍이 바람직하나, 굳이 관통구멍이 아닌 일정한 깊이를 갖는 막힌 구멍인 경우에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링칼라(15) 조립시에는 먼저 샤프트(5)의 관통홀(5a) 형성부에 링칼라(15)를 끼운 다음, 상기 관통홀(5a)과 링칼라(15)의 세트스크류 체결공(15a)이 일직선이 유지되도록 일치시킨 상태에서 세트스크류 체결공(15a) 내부로 세트스크류(16)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세트스크류(16)의 선단부 일부구간이 샤프트(5)의 관통홀(5a) 내부로까지 삽입되도록 깊숙히 밀어넣음으로써 링칼라(15)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본 발명의 링칼라 고정구조에 의해서 링칼라(15)가 일단 샤프트(5)상에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외부로부터 어떠한 외력이나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링칼라(15)가 샤프트(5)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틀어지거나 상하로 밀려나가나 하는 유동이 발생하지 않은 채 원래의 고정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제8도는 본 발명 회전실린더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가)는 링칼라 조립부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나)는 고정핀에 대한 정면도이다.
제8도의 실시예로 도시된 회전실린더 장치의 링칼라 조립구조는, 앞서 살펴본 바의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되고 있는 세트스크류 대신에 머리핀 모양의 분할핀으로 이루어진 고정핀(16a)을 사용하여 링칼라(15)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때, 링칼라(15)는 그 중심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고정핀 삽입공(15b)이 형성되어 고정핀(16a)은 링칼라(15)의 고정핀 삽입공(15b) 및 샤프트(5)의 관통홀(5a)을 공통으로 관통하여 체결된다.
본 실시예의 링칼라(15) 조립은, 먼저 샤프트(5)의 링칼라(15) 고정부위에 링칼라(15)를 끼워서 링칼라(15)의 고정핀 삽입공(15b)과 샤프트(5)의 관통공(5a)이 일직선이 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이들 고정핀 삽입공(15b)과 관통공(5a) 내부로 고정핀(16a)을 삽입한 후, 고정핀(16a)의 머리부분이 링칼라(15)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반대편의 링칼라(15) 외측으로 튀어나온 고정핀(16a) 단부상의 두갈래를 양편으로 구부려 링칼라(15)의 외주면에 밀착시킴에 의해서 수행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구조에서는 샤프트의 링칼라 고정부위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여 링칼라의 세트스크류 체결공 또는 고정핀 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세트스크류나 고정핀이 상기 샤프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짐에 따라 드럼조립체의 운반시나 드럼조립체를 포함하는 완제품의 운반시에 낙하 또는 외부충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링칼라가 샤프트의 원래 고정위치로부터 밀려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상부드럼과 하부드럼 사이에 유동성 갭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자기테이프에서 신호를 읽어들일 때 드럼회전의 상하유동성이 방지되어 화면무너짐 및 화면굴곡 등이 유발이 억제되어 화질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링칼라 조립구조가 앞서 살펴본 바의 제3도에 도시된 형태의 회전실린더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링칼라가 샤프트상에 일단 조립된 후에는 링칼라가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종래의 회전실린더 장치에서 링칼라가 샤프트에 대해 삐뚤게 돌아간 상태로 조립되어 PG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하는 헤드 스위칭이 제시간에 발생하지 않음에 기인하는 화면무너짐이 발생하는 현상이 제거되어 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에 있어서, 샤프트의 링칼라 고정부위에 수평의 구멍을 형성하여 링칼라의 고정수단의 일단이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 링칼라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세트스크류이며 상기 구멍은 세트스크류의 외경에 해당하는 크기의 관통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샤프트의 관통홀 내부로 관통삽입되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분할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KR1019960054364A 1996-11-15 1996-11-15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KR199800359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364A KR19980035912A (ko) 1996-11-15 1996-11-15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364A KR19980035912A (ko) 1996-11-15 1996-11-15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912A true KR19980035912A (ko) 1998-08-05

Family

ID=6632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364A KR19980035912A (ko) 1996-11-15 1996-11-15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9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1629U (ko) * 1988-04-09 1989-11-02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회전드럼 조립체
KR900001391U (ko) * 1988-06-07 1990-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볼 베어링에 정압 예압을 인가한 vtr의 회전 헤드 실린더 어셈블리
JPH064841A (ja) * 1992-06-24 1994-01-14 Sharp Corp 回転ドラム装置
JPH07320244A (ja) * 1994-05-24 1995-12-08 Sony Corp 回転磁気ヘ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21629U (ko) * 1988-04-09 1989-11-02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회전드럼 조립체
KR900001391U (ko) * 1988-06-07 1990-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볼 베어링에 정압 예압을 인가한 vtr의 회전 헤드 실린더 어셈블리
JPH064841A (ja) * 1992-06-24 1994-01-14 Sharp Corp 回転ドラム装置
JPH07320244A (ja) * 1994-05-24 1995-12-08 Sony Corp 回転磁気ヘッド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912A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US4890177A (en) Guide drum assembly with built-in motor having floating rotor
KR200219056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헤드드럼장치
KR200153798Y1 (ko) 코일 연결 구조가 개선된 헤드드럼
KR012949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접지장치
KR920008555Y1 (ko) 기록재생용 헤드드럼
JP2604751Y2 (ja) 回転ドラム装置
KR980011077A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회전헤드실린더 제진장치
KR20029946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회전실린더접지구조
KR930007966Y1 (ko) 브이씨알의 회전드럼 조립체
KR200158241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모터로터결합구조
JPS5822254Y2 (ja) レコ−ドプレ−ヤのレコ−ド盤保持装置
KR10021186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접지장치
KR200255056Y1 (ko) Vcr의 헤드 드럼 조립체
KR200149198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로터리트랜스포머 고정구조
KR940001058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댐퍼장치
KR19990023604U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KR100229390B1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그라운드 장치
KR20050041670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회전헤드드럼장치
KR200187924Y1 (ko) 헤드드럼 장치
JP259854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ドラム構造
KR19990036817U (ko) 광 픽업 베이스의 회전축 진동방지 장치
KR19980017840A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헤드베이스 고정구조
KR19990017005U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용 드럼 방진장치
KR19980035910A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회전실린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