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429A - Atm셀 순서복구 장치 - Google Patents

Atm셀 순서복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429A
KR19980035429A KR1019960053772A KR19960053772A KR19980035429A KR 19980035429 A KR19980035429 A KR 19980035429A KR 1019960053772 A KR1019960053772 A KR 1019960053772A KR 19960053772 A KR19960053772 A KR 19960053772A KR 19980035429 A KR19980035429 A KR 19980035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ells
flip
flop
sequenc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566B1 (ko
Inventor
한규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5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566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5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78Traffic aspects, e.g. arbitration, load balancing, smoothing,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셀 순서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셀의 순차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셀을 재정렬하므로써 셀의 순서를 복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ATM셀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N개의 서브영역을 가지는 저장수단; 저장수단에 셀을 기록/판독/쉬프트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저장수단 제어회로;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셀 중에서 순차번호가 가장 낮은 셀을 출력하는 N개의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 및 N개의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을 비교하여 가장 순차번호가 낮은 셀을 출력하는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로 구성되며, 수신되는 셀의 순서를 전체 FIFO 영역에서 분할된 영역을 병렬적으로 각각 동시에 비교하여 찾아냄으로써 빠른 시간에 옳은 셀 순서를 회복할 수 있다.

Description

ATM셀 순서복구 장치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 셀 순서복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신된 셀의 순차번호(sequence number)를 상호 비교하여 셀을 재정렬하므로써 셀의 순서(sequence)를 복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ATM의 분야는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1) 경로설정 서비스(connection oriented service), (2) 무경로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로 분류된다.
경로설정 서비스는 송신지와 수신지 간에 경로를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화망 서비스를 말하고, 무경로 서비스는 송신지와 수신지간에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패킷망 서비스를 말한다.
무경로 서비스에서는 생성된 ATM셀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서 수신지로 전달되므로, 수신지에서는 수신된 ATM셀의 생성 순서가 바뀔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송신부에서는 ATM셀을 발생시킬 때, 셀의 발생순서를 나타내는 순차번호(sequence number)를 ATM셀의 헤더(header) 앞에 붙여서 송신하고, 수신부는 수신된 셀의 순차번호를 상호 비교하여 셀을 재정렬하므로써 순서(sequence)를 회복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등록번호 5,173,897(1992년 12월 22일에 등록)의 미국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ATM셀 순서복구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ATM셀을 전체적으로 한 번에 비교하므로써, 셀의 순서를 복구하여 셀을 정렬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병렬적으로 셀 순서를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고속의 셀 순서를 복구하여 셀을 재정렬시키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상세도;
도 3은 종래의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장수단110 : 저장수단 제어회로
120 : 셀 선택기130 : 셀 비교기
140 :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ATM셀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제 1 내지 제 N 서브영역을 가지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순서대로 상기 저장수단에 셀을 저장하기 위하여 기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셀간의 순차번호를 비교하기 위하여 판독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며, ATM셀 순서복구 장치에서 ATM셀이 출력될 때 상기 저장수단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셀들을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쉬프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장수단 제어회로; 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셀 중에서 처음 셀을 일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나중 셀을 다른 입력단을 통해 차례로 입력받아서, 상기 두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크면 제 1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셀을 출력하고,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작으면 상기 처음 셀을 출력하는 제 1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 및 상기 제 1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이하, 제 1 영역셀)과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이하, 나중 영역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차례로 비교하고, 동일한 목적지의 셀이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영역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영역셀의 순차번호보다 크면 제 2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영역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1 영역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영역셀의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영역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저장수단 제어회로가 상기 제 1 내지 제 2 위치변화 신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셀간의 저장수단내 저장장소를 바꾸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판독/기록/쉬프트 기능을 갖는 FIFO 메모리로 구현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순서 복구되는 셀 외에 새롭게 입력되는 셀을 홀딩하기 위한 영역이 부가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홀딩 영역의 크기는 제 1 내지 제 N 서브영역을 합한 크기와 같거나 더 크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는 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셀 중에서 처음 셀을 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고 나중 셀을 다른 출력단을 통해 차례로 출력하는 셀 선택기; 및 상기 셀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처음 셀과 나중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고, 동일한 목적지의 셀이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크면 제 1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셀을 출력하고,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작으면 상기 처음 셀을 출력하는 셀 비교기로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기는 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서 나중 셀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소의 어드레스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는 제 1 어드레스 카운터; 상기 제 1 어드레스 카운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나중 셀을 차례로 출력하는 제 1 먹스; 상기 제 1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1 플립플롭; 상기 제 1 내지 제 2 위치변화신호에 응하여 서브영역의 처음 셀과 제 1 플립플롭에 저장되어 있는 나중 셀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먹스; 및 상기 제 2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2 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 비교기는 상기 제 1 플립플롭과 제 2 플립플롭에서 출력되는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가상채널식별자가 동일하면 제 1 동일채널식별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 및 상기 제 1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로부터 제 1 동일채널식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1 순차번호)와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2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제 1 순차번호가 제 2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제 1 위치변화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먹스를 제어하므로써 제 1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제 2 플립플롭에 래치하고 상기 제 1 플립플롭과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상기 저장수단에서의 저장위치를 바꾸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해당 서브영역의 모든 나중 셀에 대해 비교한 결과 최종적으로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출력하는 제 1 순차번호 비교기로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는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를 가리키는 어드레스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카운터; 상기 제 2 어드레스 카운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을 차례로 출력하는 제 3 먹스; 상기 제 3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3 플립플롭; 상기 제 1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을 일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제 3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다른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제 2 위치변화신호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4 먹스; 상기 제 4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4 플립플롭; 상기 제 3 플립플롭과 제 4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 2 동일채널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 및 상기 제 2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를 통해 제 2 동일채널식별신호가 입력되면 제 3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3 순차번호)와 제 4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4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제 3 순차번호가 제 4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제 2 위치변화신호를 출력하여 제 4 먹스를 제어하므로써 제 3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을 제 4 플립플롭에 래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플립플롭과 제 3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상기 저장수단에서의 저장위치를 바꾸어서, 모든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 대해 비교한 결과 최종적으로 제 4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 2 순차번호 비교기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TM셀 순서복구 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1 에서, 100은 기록/판독/쉬프트 기능을 갖는 퍼스트인 퍼스트아웃(first in first out : 이하, FIFO) 메모리, 110은 FIFO 핸들러(handler), 120은 셀 선택기, 130은 셀 비교기, 140은 순서 복구기를 각각 나타낸다.
FIFO 메모리(100)은 P개의 로케이션(location)을 갖으며, 입력되는 ATM셀(cell in)을 순차적으로 저장하며, 3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즉, 순서 복구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P/2 크기의 홀딩 영역과 병렬 순서복구를 수행하기 위한 L(= P/4) 크기를 갖는 2개의 서브버퍼영역 S1, S2 영역으로 분할된다.
ATM셀은 2개의 서브버퍼영역 S1, S2 중에서 S1의 제일 하위의 로케이션에서부터 저장된다.
S1, S2 영역의 ATM셀을 선택하는 2개의 셀 선택기(120, 120')는 서로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S1, S2 영역의 ATM셀을 비교하는 2개의 셀 비교기(130, 130')의 구조도 서로 동일하다.
도 2에서, 121은 먹스, 122는 먹스, 123은 플립플롭, 124는 플립플롭, 125는 어드레스 카운터, 131은 가상채널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 : 이하, VCI) 비교기, 132는 순차번호(sequence comparator) 비교기, 141은 먹스, 142는 플립플롭, 143은 플립플롭, 144는 VCI 비교기, 145는 순차번호 비교기를 각각 나타낸다.
S1 영역의 제일 하위 로케이션 1의 ATM셀을 플립플롭(123)에 래치한 후, 어드레스 카운터(125)의 값이 2부터 L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고, 발생된 어드레스 값으로 먹스(121)의 입력 ATM셀을 선택한 후, 플립플롭(124)에 래치하여 ATM셀을 출력한다.
플립플롭(123)과 다른 픕립플롭(124)에서 출력된 ATM셀의 VCI를 셀 비교기(130)의 VCI 비교기(131)로 비교하여, 동일한 목적지를 갖는 셀이었는지를 비교한다.
두 셀의 VCI가 동일하면 VCI 비교기는 1의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 경우 순차번호 비교기(132)가 동작하게 된다.
순차번호 비교기(132)는 래치된 두 셀의 헤더 앞 순차번호(sequence number) 값을 비교하여, 먼저 저장된 셀(즉, 로케이션 1에 저장된 셀)이 나중 저장된 셀(즉, 로케이션 2에 저장된 셀) 보다 순차번호가 낮으면 송신시 먼저 만들어진 셀로 판단한다.
그러나 나중 저장된 셀의 순차번호가 낮을 경우는 먼저 만들어졌으나, 경로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먼저 저장된 셀 보다 지연이 많이 생긴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경우는 위치변화신호(change1)를 만들어 플립플롭(124)에 래치된 셀을 먹스(122)로 선택한 후, 플립플롭(123)로 래치해서, 다시 상기의 동작처럼 어드레스 카운터가 지시하는 셀과 계속 비교를 하고 가장 낮은 순차번호를 갖는 셀을 출력한다.
이때 선택된 셀의 위치에는 새로 들어온 셀로 대체된다.
S2 영역도 상기의 S1 영역에서 낮은 순차번호를 갖는 ATM셀을 출력하는 방법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차이점은 S2 영역내의 셀 비교기는 L+1을 래치한 후 어드레스 카운팅을 L+2부터 P/2까지 루핑(looping)한다는 점만 다르다.
S1, S2 영역의 낮은 순차를 갖는 셀을 찾는 것은 병렬적으로 동시에 이루어진다.
출력된 2 셀은 다시 순서복구회로(140)에 의해 S1 영역에서 검출된 ATM셀을 먹스(141)를 통해 플립플롭(143)으로 래치한다.
S2 영역에서 검출된 셀을 플립플롭(142)에 의해 래치한 후, 상기의 두 셀의 순차번호를 순차번호 비교기(145)로 비교하여, 플립플롭(143)의 셀 순차번호가 작으면 그대로 출력하고, 플립플롭(142)의 셀 순차번호가 작으면 위치변화신호(change2)를 발생시켜, 먹스(141)로부터 래치(142)의 셀을 선택한 후 플립플롭(143)을 통해 최종 낮은 셀 순차번호를 갖는 셀을 출력한다.
FIFO 핸들러(110)는 입력되는 셀을 첫 번째 로케이션(location 1)부터 로케이션 P까지 순서대로 저장될 수 있도록 기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순차번호가 낮은 셀이 최종 확인되어 출력단을 통해 출력될 때, 모든 FIFO(100)의 저장 셀들이 한 로케이션씩 쉬프트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순차번호 비교를 위해 저장된 셀의 판독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의 어드레스 조작은 FIFO 핸들러(110)에 의해 이루어지며, 해당 로케이션의 어드레스는 1부터 R까지 순차적으로 카운팅되어, 매 클록마다 셀이 기록되도록 제어되며, 위치변화신호(change1, change2) 발생시 오래된 셀의 로케이션 위치에 새로운 셀이 기록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수신되는 셀의 순서를 전체 FIFO 영역에서 분할된 영역을 병렬적으로 각각 동시에 비교하여 찾아냄으로써, 빠른 시간에 옳은 셀 순서를 회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였으나, 분할영역의 개수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에 기술된 모듈들이 동일하게 증가되어 적용될 수 있다.
단, 분할영역의 총합은 전체 메모리양의 1/2이 넘지 않도록 하며, 셀의 입력시점부터 최종 낮은 셀 순서를 갖는 셀의 출력시점까지의 전체 지연은 ATM 네트워크에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범위내의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좋다.

Claims (8)

  1. ATM셀 순서복구 장치에 있어서,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ATM셀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제 1 내지 제 N 서브영역을 가지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단을 통해 입력되는 순서대로 상기 저장수단에 셀을 저장하기 위하여 기록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고, 셀간의 순차번호를 비교하기 위하여 판독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며, ATM셀 순서복구 장치에서 ATM셀이 출력될 때 상기 저장수단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셀들을 쉬프트시키기 위하여 쉬프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저장수단 제어회로;
    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셀 중에서 처음 셀을 일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나중 셀을 다른 입력단을 통해 차례로 입력받아서, 상기 두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크면 제 1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셀을 출력하고,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작으면 상기 처음 셀을 출력하는 제 1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 및
    상기 제 1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이하, 제 1 영역셀)과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이하, 나중 영역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차례로 비교하고, 동일한 목적지의 셀이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영역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영역셀의 순차번호보다 크면 제 2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영역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1 영역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영역셀의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상기 제 1 영역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저장수단 제어회로가 상기 제 1 내지 제 2 위치변화 신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셀간의 저장수단내 저장장소를 바꾸기 위한 어드레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판독/기록/쉬프트 기능을 갖는 FIFO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에 순서 복구되는 셀 외에 새롭게 입력되는 셀을 홀딩하기 위한 영역이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홀딩 영역의 크기가 제 1 내지 제 N 서브영역을 합한 크기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는 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셀 중에서 처음 셀을 일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고 나중 셀을 다른 출력단을 통해 차례로 출력하는 셀 선택기; 및
    상기 셀 선택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처음 셀과 나중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고, 동일한 목적지의 셀이면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크면 제 1 위치변화 신호를 발생시키며 상기 나중 셀을 출력하고, 상기 처음 셀의 순차번호가 상기 나중 셀의 순차번호 보다 작으면 상기 처음 셀을 출력하는 셀 비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선택기는상기 저장수단의 각 서브영역에서 나중 셀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장소의 어드레스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는 제 1 어드레스 카운터;
    상기 제 1 어드레스 카운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나중 셀을 차례로 출력하는 제 1 먹스;
    상기 제 1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1 플립플롭;
    상기 제 1 내지 제 2 위치변화신호에 응하여 서브영역의 처음 셀과 제 1 플립플롭에 저장되어 있는 나중 셀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2 먹스; 및
    상기 제 2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2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비교기는 상기 제 1 플립플롭과 제 2 플립플롭에서 출력되는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가상채널식별자가 동일하면 제 1 동일채널식별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1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 및
    상기 제 1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로부터 제 1 동일채널식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1 순차번호)와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2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제 1 순차번호가 제 2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제 1 위치변화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먹스를 제어하므로써 제 1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제 2 플립플롭에 래치하고 상기 제 1 플립플롭과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상기 저장수단에서의 저장위치를 바꾸어서, 상기 저장수단의 해당 서브영역의 모든 나중 셀에 대해 비교한 결과 최종적으로 제 2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출력하는 제 1 순차번호 비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간 순서복구 회로는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를 가리키는 어드레스 신호를 차례로 발생시키는 제 2 어드레스 카운터;
    상기 제 2 어드레스 카운터의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 2 내지 제 N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을 차례로 출력하는 제 3 먹스;
    상기 제 3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3 플립플롭;
    상기 제 1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서 출력되는 셀을 일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고, 제 3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다른 입력단을 통해 입력받으며, 상기 제 2 위치변화신호에 응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 4 먹스;
    상기 제 4 먹스를 통해 출력되는 셀을 래치하는 제 4 플립플롭;
    상기 제 3 플립플롭과 제 4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가상채널식별자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제 2 동일채널식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 및
    상기 제 2 가상채널식별자 비교기를 통해 제 2 동일채널식별신호가 입력되면 제 3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3 순차번호)와 제 4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의 순차번호(이하, 제 4 순차번호)를 비교하여, 제 3 순차번호가 제 4 순차번호보다 작으면 제 2 위치변화신호를 출력하여 제 4 먹스를 제어하므로써 제 3 플립플롭을 통해 출력되는 셀을 제 4 플립플롭에 래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 3 플립플롭과 제 3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의 상기 저장수단에서의 저장위치를 바꾸어서, 모든 영역내 순서복구 회로에 대해 비교한 결과 최종적으로 제 4 플립플롭에 래치되어 있는 셀을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제 2 순차번호 비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M셀 순서복구 장치.
KR1019960053772A 1996-11-13 1996-11-13 Atm셀 순서복구 장치 KR10022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72A KR100224566B1 (ko) 1996-11-13 1996-11-13 Atm셀 순서복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772A KR100224566B1 (ko) 1996-11-13 1996-11-13 Atm셀 순서복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429A true KR19980035429A (ko) 1998-08-05
KR100224566B1 KR100224566B1 (ko) 1999-10-15

Family

ID=19481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772A KR100224566B1 (ko) 1996-11-13 1996-11-13 Atm셀 순서복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353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디지털계위 망에서의 가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609B1 (ko) * 2001-10-29 2004-02-25 주식회사 케이티 스위칭시스템의 셀/패킷 스케쥴링 장치
KR100442258B1 (ko) * 2002-03-21 2004-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3353A (ko) * 2001-12-22 200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기식디지털계위 망에서의 가상 연결을 위한 데이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4566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1141A (en) Time division switching for multi-channel calls using two time switch memories acting as a frame aligner
US5258752A (en) Broad band digital exchange
US5485453A (en) Method for handling redundant switching planes in packet switches and a packet switch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61886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scalable communication system
US3979733A (en) Digital data communications system packet switch
CA1240022A (en) Self-routing packets with stage address identifying fields
US5214639A (en) Communication switching ele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ariable length cells
US5862128A (en) Merged buffer signal switch
EP0118446A1 (en) MEMORY CONFIGURATION WITH FIRST INPUT SYSTEM, FIRST OUTPUT (FIFO) FOR STORAGE IN HOLD.
WO1993026108A2 (en) Output-buffered packet switch with a flexible buffer management scheme
EP0683949B1 (en) A method for handling redundant switching planes in packet switches and a switch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6728256B1 (en) Shared buffer control device
KR100216371B1 (ko) 고장 감내형 대용량 ATM 스위치 및 2nXn 다중화스위치에서의 셀프라우팅 방법
KR100224566B1 (ko) Atm셀 순서복구 장치
US5740172A (en) Method for searching a packet transmission path in a broadb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75802A1 (en) Traffic shaping device for atm communication network
KR100226539B1 (ko) Atm 스위치의 어드레스 생성 회로
US20020145995A1 (en) Address release method, and common buffering device for atm switching system which employs the same method
JP2002544738A (ja) 多重経路非同期伝送モードスイッチのセルシーケンスを復元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4251684A (en) Data storage systems
EP071004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cast of ATM cells
US6320858B1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switch with logical multicasting
AU661897B2 (en) Broad band digital exchange
Kumar et al. The sliding-window approach to high performance ATM switching for broadband networks
KR0147137B1 (ko) 제한적 공유메모리 비동기 전달모드(atm) 스위치 장치에서 멀티캐스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라우팅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