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168U - 창짝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짝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168U
KR19980035168U KR2019960048140U KR19960048140U KR19980035168U KR 19980035168 U KR19980035168 U KR 19980035168U KR 2019960048140 U KR2019960048140 U KR 2019960048140U KR 19960048140 U KR19960048140 U KR 19960048140U KR 19980035168 U KR19980035168 U KR 199800351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member
connector
vertical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1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3179Y1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600481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1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1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06B3/99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for continuous frame members crossing each other with out interru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짝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창짝부재에 의해 사각의 틀을 이룬 창짝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짝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51)와, 상기 창짝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3)로 이루어져, 창짝부재 및 중간창짝부재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중간창짝부재를 창짝의 내부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간창짝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가공공정과 용접공정이 삭제되어 제조비가 절감되고, 중간창짝부재의 연결위치 선정이 자유롭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짝의 연결구
본 고안은 창짝의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짝부재에 의해 사각의 틀을 이룬 창짝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창짝부재(1, 3)가 사각의 틀을 이루고, 이 내부에는 중간창짝부재(5)가 삽입되어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창유리(7)(9)가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창짝에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창짝부재(1, 3)를 일정한 길이로 그 양단부를 45°로 절단하여 경사면(1a, 3a)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창짝부재(1)(1)의 중간부에 V형의 요홈(1b)을 가공하는 한편, 중간창짝부재(5)의 양단에 V형의 돌출부(5a)를 가공/형성하여, 용접에 의해 틀을 형성하게 된다.
즉, 두개의 수직창작부재(1)의 요홈(1b)(1b)에 중간창짝부재(5)의 양돌출부(5a)(5a)를 끼워 용접하여 H형을 형성하고, 두개의 수직창작부재(1)의 경사면(1a)과 수평창짝부재(3)의 경사면(3a)를 밀착시켜 용접을 하여, 창유리가 삽입되는 2개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공간에는 창유리를 삽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로 창유리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에 있어서는, 수직창짝부재(1)의 중간부에 V형의 요홈(1b)을 형성함과 동시에 중간창짝부재(5)의 양단에 V형의 돌출부(5a)를 형성하고 서로 밀착하여 용접하여야 하므로, 제조시간 및 제조공정이 증가하여 제조비가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창짝의 조립공정에서 치수가 맞지 않을 때에는 수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의 제조가 용이하고 중간창짝부재의 연결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는 창짝의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창짝의 입면도,
도 2는 종래 창짝의 창짝부재 및 중간창짝부재의 분해 입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구가 적용된 창짝을 나타내는 일부절개 입면도,
도 4 는 도 3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창짝의 연결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3 : 수직, 수평창작부재15 : 중간창짝부재
51 : 연결부53 : 고정부
본 고안에 의한 창틀의 연결구는 창짝부재에 의해 사각의 틀을 이룬 창짝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짝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창짝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창짝부재 및 중간창짝부재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중간창짝부재를 창작의 내부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창작부재(11, 13)에 의해 사각의 틀을 이룬 내측에는 중간창짝부재(15)가 연결구(50)를 매개로 삽입되어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는 창유리(17)(19)가 끼워져 있다. 상기 연결구(50)의 일단은 체결부재(40)에 의해 상기 수직창짝부재(11)의 후술하는 유리공간부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은 중간창짝부재(15)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창짝부재(13)의 일측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창문틀의 레일에 외삽되어 미끄러지도록 로울러부재가 배설되는 레일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공간부(21)의 반대측에는 창유리를 수용하도록 유리공간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공간부(23)의 일측면은 트이고 이 트인 공간에는 상기 창유리를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고정부재(25)가 끼워져 있다. 상기 유리공간부(23)의 저부에는 상기 창유리를 받치도록 받침부재(27)가 내삽되어 있다.
상기 중간창작부재(15)의 양측면에는 상기 창유리를 수용하도록 유리공간부(29)(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리공간부(29)(31)의 일측은 트이고 이 트인 공간에는 상기 창유리를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고정부재(33)(35)가 각각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리공간부(29, 31)의 저부에는 상기 창유리를 받치도록 받침부재(37)(39)가 각각 내삽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40)는 접시머리형의 나사부재로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는 상기 중간창짝부재(15)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51)와, 상기 수직창짝부재(11)의 유리공간부(23)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3)가 T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51)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1)는 상기 중간창짝부재(15)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는 단부(51a)와 상기 수직창짝부재(11)의 유리공간(23)에 수용되는 저부(51b)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단이 져 있다. 상기 단부(51a)와 저부(51b)의 경계에는 상기 중간창짝부재(15)의 단부면이 걸리게 된다.
상기 연결부(51)의 단부(51a)의 외면에는 상기 중간창짝부재(15)의 내부공간(S)에 삽입되어 그 마찰력을 높이도록 다수의 돌기띠(51c)가 삽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53)에는 상기 체결부재(40)이 삽입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관통구멍(53a)에는 상기 체결부재(40)의 머리부가 묻히도록 접시형(카운터 싱킹)형상으로 파여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연결구가 적용된 창틀의 조립은, 수직 및 수평창짝부재(11, 13)를 일정한 길이로 그 양단부를 45°로 절단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중간창짝부재(15)의 내부공간(S)에 연결구의 연결부(51)를 끼운 다음, 두개의 수직창짝부재(11)사이에 상기 연결구의 고정부(53)를 수직창짝부재(11)사이에 상기 연결구의 고정부(53)를 수직창짝부재(11)의 유리공간부(23)에 끼워 체결부재(40)로 체결하여 H형을 형성하고, 두개의 수직창짝부재(11)의 경사면과 수평창짝부재(13)의 경사면을 밀착시켜 용접함에 의해 틀로 형성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창틀이 간단히 완료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짝의 연결구에 의하면, 수직창짝부재(11)의 중간부나 중간창짝부재(15)의 양단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고 수직창짝부재(11)와 중간창짝부재(15)를 용접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 및 용접공수가 절감되어 제조비가 절감된다.
또한, 창짝의 조립공정에서 치수가 맞지 않을 때에도 상기 중간창짝부재(15)를 상하로 이동시켜 연결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으므로, 수정이 용이하다.

Claims (1)

  1. 창짝부재에 의해 사각의 틀을 이룬 창짝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중간창짝부재가 삽입된 창짝에 있어서, 상기 중간창짝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51)와, 상기 창짝부재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3)로 이루어져, 창짝부재 및 중간창짝부재에 별도의 가공을 하지 않고 중간창짝부재를 창짝의 내부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의 연결구.
KR2019960048140U 1996-12-12 1996-12-12 창짝의 연결구 KR200153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140U KR200153179Y1 (ko) 1996-12-12 1996-12-12 창짝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140U KR200153179Y1 (ko) 1996-12-12 1996-12-12 창짝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168U true KR19980035168U (ko) 1998-09-15
KR200153179Y1 KR200153179Y1 (ko) 1999-08-02

Family

ID=1947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140U KR200153179Y1 (ko) 1996-12-12 1996-12-12 창짝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7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963B1 (ko) * 2010-06-07 2015-07-06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창호의 미들프레임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3179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626A (en) Connection for tubular muntin bars
US4652472A (en) Window unit with decorative bars
US4240765A (en) Corner construction
KR920008294A (ko) 판형상 건재의 시공방법
US6434898B1 (en) Flush glazed door
US4223499A (en) Decorative stained glass insert unit for windows
KR200153179Y1 (ko) 창짝의 연결구
US3411255A (en) Frameless glass enclosure structure
GB2128237A (en) Window frame
KR200160180Y1 (ko) 이중창용 코너 브라켓트
KR200174471Y1 (ko) 알루미늄 새시 결합구조체
KR19980058166U (ko) 창문용 복합골재
KR200438493Y1 (ko) 창문프레임용 조립구
GB2159864A (en) Window constructions
KR200486025Y1 (ko) 창틀 프레임 연결용 브래킷 및 이를 포함하는 창틀
GB2070674A (en) Apparatus for fixing a frame
KR200151668Y1 (ko) 창문용 차폐구조
KR200219011Y1 (ko) 창호조립구조
GB2156411A (en) A frame for a door or partition
GB2277346A (en) An extruded member and an assembly of an extruded member and a bar
KR920016059A (ko) 조립식 선반틀체의 조립방법 및 설치구조
KR950001623Y1 (ko) 조립식 창문
KR200416014Y1 (ko) 도어 프레임
KR200246397Y1 (ko) 가구용 패널
KR102166051B1 (ko) 개선된 접속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