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045A -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 Google Patents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045A
KR19980035045A KR1019960053270A KR19960053270A KR19980035045A KR 19980035045 A KR19980035045 A KR 19980035045A KR 1019960053270 A KR1019960053270 A KR 1019960053270A KR 19960053270 A KR19960053270 A KR 19960053270A KR 19980035045 A KR19980035045 A KR 19980035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fastening tool
coupled
caliper
rear ax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5931B1 (ko
Inventor
편정배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3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9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프론트 및 리어측의 체결 볼트가 상이하여 조립 공정마다 체결 공구를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로보트 암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바디(1)와, 그 바디에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 1 렌치(2)와, 그 제 1 렌치의 둘레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스프링(15)으로 탄지되어 항상 제 1 렌치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 2 렌치(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렌치는 소켓과 같이 요철부를 갖는 제 1 렌치의 둘레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 렌치와 함께 로보트 암의 토오크를 받아 동시에 회전된다.

Description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
본 발명은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 다른 크기를 갖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체결볼트를 하나의 공구를 사용하여 동시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로보트의 체결공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프론트 및 리어 액슬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다. 이 브레이크장치는 주행중인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거나,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브레이크장치의 기본적인 구조는 운전자의 조작력을 링크나 유압을 이용하여 증대시켜 전달하는 조작 기구와,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로 구성된다.
브레이크 본체는 드럼식과 디스크식으로 구분되고 있지만, 근래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고급 차종에서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에 모두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를 장착하고 있다.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는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쪽에서 브레이크 패드를 유압으로 가압하여 차량을 제동하게 된다.
도 1 은 프론트 액슬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를, 도 2 는 리어 액슬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프론트 액슬에 있어서, 조향너클(1)에는 드라이브 샤프트에 연결되어 휠 허브에 결합되며,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플레이트(2)가 지지된다. 디스크 플레이트(2)의 양쪽에는 마찰 패드가 설치되며, 이 마찰 패드는 캘리퍼(3)라고 불리우는 하우징에 지지된다.
캘리퍼(3)에는 피스톤과 오일 통로가 있어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된 유압을 받아 마찰 패드를 가압하므로서, 디스크 플레이트(2)와 마찰되어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캘리퍼(3)는 체결 볼트(4)를 이용하여 조향너클(1)의 브라켓(5)에 조립 및 체결된다.
한편, 리어 액슬에 있어서는 리어 스핀들(6)에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 플레이트(2)가 설치되고, 마찰 패드가 설치된 캘리퍼(3)가 체결 볼트(7)에 의해 리어 스핀들(6)의 브라켓(8)에 조립 및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에 있어서, 캘리퍼는 조립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차량에 로보트에 의해 자동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 공정은 로보트 암의 헤드부에 체결 공구를 장착하여, 프론트 액슬의 캘리퍼를 조립하고, 이어서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조립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고정하는 체결 볼트의 사이즈가 상이하기 때문에, 프론트 액슬의 캘리퍼 조립 후, 로보트의 체결 공구를 다시 교체한 다음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조립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체결 공구의 교체에 따른 시간의 로스(loss)와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체결 공구의 교체가 필요 없이,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하나의 체결 공구로서 모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생산성의 향상과 조립 불량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프론트 액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리어 액슬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 공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A-A선을 절취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바디12-제 1 렌치
14-제 2 렌치15-스프링
17-요철부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되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로보트 암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바디와, ,그 바디에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선단에 소켓이 형성된 제 1 렌치(wrench)와, 그 제 1 렌치의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항상 제 1 렌치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 2 렌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2 렌치는 소켓과 같이 요철부를 갖는 제 1 렌치의 둘레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 1렌치와 함께 로보트 암의 토오크를 받아 동시에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체결 공구는 큰 사이즈의 볼트 체결시, 제 1 렌치와 함께 회전되는 제 2 렌치에 의해 조립 작업이 이루어지고, 작은 사이즈의 볼트 체결시, 제 2 렌치가 뒤로 밀려진 상태에서 제 1 렌치에 의해 조립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체결 공구로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모두 조립하게 되므로서, 체결 공구의 교체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체결 공구의 교체시 결합 불량에 따른 제품의 불량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3 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A-A선을 절취 도시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11)은 도시되지 않은 로보트 암의 헤드부에 체결되는 체결 공구의 바디를 지칭한다.
바디(11)에는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제 1 렌치(12)가 설치된다. 제 1 렌치(12)의 선단에는 소켓(13)이 형성되어, 앞에서 설명된 캘리퍼의 체결 볼트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렌치(2)는 로보트 암의 토오크를 받아 회전되므로서, 조향 너클 혹은 스핀들에 형성된 브라켓에 캘리퍼를 장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렌치(13)의 둘레에는 마찬가지로 소켓(16)이 형성된 제 2 렌치(14)가 결합된다. 제 2 렌치(14)의 후단부와 바디(11)의 사이에는 스프링(15)이 탄지된다. 따라서, 제 2 렌치(14)는 제 1 렌치(12) 보다 앞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 2 렌치(14)는 소켓과 같이 요철부(17)를 갖는 제 1 렌치(12)의 둘레에 직선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므로서, 제 1 렌치(12)와 함께 로보트 암의 토오크를 받아 동시에 회전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복수 렌치를 갖는 본 실시예의 체결 공구는 큰 사이즈의 볼트 예를 들어, 프론트 액슬의 캘리퍼 체결시, 제 1 렌치(12)와 함께 로보트 암의 토오크를 받아 회전되는 제 2 렌치(14)에 의해 체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작은 사이즈의 볼트 예를 들어, 리어 액슬의 캘리퍼 체결시, 제 2 렌치(14)가 뒤로 밀려진 상태에서 제 1 렌치(12)에 의해 체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체결 공구로서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를 모두 조립하게 되므로서, 체결공구의 교체 작업이 필요 없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효과는 궁극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 발생율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로보트 암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바디와, 그 바디에서 앞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 제 1 렌치와, 그 제 1 렌치의 둘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디에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항상 제 1 렌치 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 2 렌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렌치는 소켓과 같이 요철부를 갖는 제 1 렌치의 둘레에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보트의 체결공구.
KR1019960053270A 1996-11-11 1996-11-11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KR10021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70A KR100215931B1 (ko) 1996-11-11 1996-11-11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70A KR100215931B1 (ko) 1996-11-11 1996-11-11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45A true KR19980035045A (ko) 1998-08-05
KR100215931B1 KR100215931B1 (ko) 1999-08-16

Family

ID=194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270A KR100215931B1 (ko) 1996-11-11 1996-11-11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9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5931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664B1 (en) Drum brake assembly
US8011482B2 (en) Electric actuator unit for a vehicle brake assembly
US8556045B2 (en)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US20080087507A1 (en) Disc brak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US6729444B1 (en) Drum-in-hat disc brake assembly
US8708111B2 (en) Disk brake equipped reduced-size yoke
EP1304496B1 (en) Disk brake for vehicle with bar handle
KR100215931B1 (ko) 프론트 및 리어 액슬의 캘리퍼 조립용 로봇의 체결공구
US6533078B2 (en) Braking device for a bicycle
US6186286B1 (en) Braking device
JP4620608B2 (ja) 車両の減速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取付構造
WO2006055988A1 (en) Mechanical disc braking assembly
JP3790698B2 (ja) 車輌用ブレーキ装置
US20050145451A1 (en) Adapter for vehicle brake assembly
JPS6388336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335375B2 (ja) モータ駆動ドラム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
US6325181B1 (en) Piston assembly for use in a wheel cylinder of a drum brake assembly
KR100372420B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00264267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0124644Y1 (ko) 기어를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KR19980040009U (ko) 디스크식 브레이크장치의 캘리퍼
JPH0212130Y2 (ko)
KR100534971B1 (ko) 브레이크의 소음 저감장치
KR20050056494A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