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763A -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763A
KR19980034763A KR1019960052919A KR19960052919A KR19980034763A KR 19980034763 A KR19980034763 A KR 19980034763A KR 1019960052919 A KR1019960052919 A KR 1019960052919A KR 19960052919 A KR19960052919 A KR 19960052919A KR 19980034763 A KR19980034763 A KR 19980034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voltage
signal
bia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섭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5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763A/ko
Publication of KR19980034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763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에서 조절된 CRT의 제 1 그리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 1 그리드 전압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부와, 상기 위상 반전부를 통해 위상 반전된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 1 그리드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인가 받아 데이터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오차 데이터를 인가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상기 D/A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 받아 색차신호를 보정하는 컷오프(Cut off) 조절부로 구성하여, 제 1 그리드 전압 변화에 따른 R,G,B 특성 변화 및 촛점 변화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색 번짐과 선명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CRT의 제 1 그리드 전압을 읽어 들여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 전압과의 오차를 구하여 그 오차 값으로 적(Red), 녹(Green), 청(Blue)의 색좌표를 보정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정보를 다루는 시스템 장치에서 주장치 즉, 컴퓨터 본체에서 발생된 정보를 처리하는 각종 주변장치 중 정보를 표시 화면에 화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CRT을 사용하여 영상 신호로 제어된 전자빔(Electorn beam)에 의해서 CRT의 전면에 있는 형광체를 발광시켜 영상을 재현한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PC(100)는 사용자가 사용한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 신호(R,G,B)와 상기 영상 신호(R,G,B)를 동기 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PC(100) 내에 있는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 및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모니터(200)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마이콤(210)과, 모니터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화 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표시하는 비디오 회로부(240)와, 상기 마이콤(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40)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모니터(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마이콤(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각종 모니터 화면 제어 데이터를 내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콤(210)으로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인가하면 인가된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마이콤(210)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상 조정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 버튼(Button)부(220)는 수평 및 수직 위치 제어 신호와, 수평 및 수직 사이즈 조정 신호등을 출력하게 된다.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를 인가 받은 마이콤(210)은 인가된 모니터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마이콤(2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는 비디오 카드(11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펄스는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에서 인가 받는다.
수직 발진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는 일반적으로 1단 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수직 드라이브 회로(230-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 받은 수직 출력 회로(230-3)는 V-DY(230-4)을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0-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를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발진 신호를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는 수평 출력 회로(230-6)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6)는 드라이브단이 온 일때 출력단도 온이 되는 동위상(동극성) 방식과, 현재 많이 사용되는 드라이브단이 온 일때 출력단도 오프 되는 역위상(역극성) 방식이 있다.
이와 같이 수평 드라이브 회로(230-5)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0-6)는 H-DY(230-7)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그리고,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CRT(240-4)의 애노드(Anode)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mer; 이하 FBT라 칭함)(230-9)를 통해 귀선 콜렉터를 이용하고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0-8)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콜렉터 펄스가 작아도 큰 고압이 발생하여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0-3)의 애노드(Anode) 단자(240-4-1)에 고압을 인가하게 되다.
이러한 애노드(Anode) 단자(240-4-1)를 통해 고압을 인가 받은 영상 신호 처리부(240) 내에 있는 CRT(240-4)에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210)을 통해서 화면 제어에 따라 발생된 OSD 이득 신호를 인가 받은 OSD부(240-1)는 OSD 이득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게 된다. OSD부(240-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은 비디오 프리 앰프(240-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VPP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메인 앰프(240-3)는 40 ∼ 60VPP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디오 메인 앰프(240-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0-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모니터 화면을 통해 영상 신호(R,G,B)가 표시된다. 모니터 화면을 통해 영상 신호(R,G,B)가 표시되기 위한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 입력단(250-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 입력단(250-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코일(250-2)은 모니터 화면의 색 순도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러한 동작을 하기 위해 디가우징 코일(250-2)에 순간적으로 2-8초 동안 교류를 가하면, 모니터 내에 있는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에 형성된 자계를 흩트려 색상의 번짐 상태를 회복시키게 된다. 또한, AC 정류기(250-3)를 통해 출력되는 교류는 정류기(250-3)를 통해 정류되어 스위칭 트랜스(250-4)로 인가된다. 정류기(250-3)를 통해 인가되는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250-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출력단(250-5)을 통해 모니터(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인가되지 않으면 마이콤(210)은 서스팬드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0-6)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이하 PWM)부(250-7)는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를 시키게 된다. 또한, 마이콤(210)에서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감지하지 못하면, 마이콤(210)은 파워 오프 모드 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파워 오프 모드 신호를 인가 받은 PWM부(250-7)는 내부가 로우 레벨 상태로 되어 모니터(200) 내로 공급되는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200) 내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약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CRT(240-4)의 내부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곽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CRT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RT(240-4; 도 1에 도시됨)에서 전자 빔(Electron Beam)(3)은 히터(2)에 의해 약 700。C 정도로 가열된 캐소드(Cathode)(1)로부터 생성된다. 이와 같이 캐소드(Cathode)(1)로부터 생성된 전자 빔(Electron Beam)(3)은 제 2 그리드(G2)에 전압 Ec2를 가해 줌으로서 캐소드(Cathode)(1) 표면의 전계에 의해 발생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캐소드(Cathode)(1)에 관련된 제 1 그리드(G1)에는 부전압이 인가된다. 이처럼 제 1 그리드(G1)에 부전압이 인가되면 제 1 그리드(G1)의 전위가 변화하게 되고, 제 1 그리드(G1)의 전위가 변화하게 되면 캐소드(Cathode)(1)표면의 전계가 같이 변화하게 된다. 이 결과 캐소드(Cathode)(1)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의 량이 변화함으로써 전자빔(Electron Beam)(3)의 전류가 변화하게 되고, 전자빔(Electron Beam)(3)의 전류가 변화됨으로 인해서 휘도(Brightness)가 변하게 된다.
또한, 제 1 그리드(G1)를 통과한 전자빔(Electron beam)(3)은 제 2 그리드(G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촛점에 접속된 후 촛점을 통과하고 통과된 전자빔(Electron beam)은 다시 벌어져 주집속 전자렌즈(4)에 의해 형광면에 집속되어 촛점이 맞추어진다. 이후, 전자빔(Electron beam)(3)은 편향요크(도 1에 도시됨)에 의해 편향되어 CRT(240-4)의 전면을 스캔(SCAN)하면서 형광체에 부딪혀 빛을 발하게 된다.
그리고, 캐소드(Cathode)(1)에 설치된 제 1 그리드(G1)의 전위가 점차로 음(-)으로 됨으로써 캐소드(Cathode)(1) 표면의 전계가 음(-)으로 되고 전자빔(Electron Beam)(3)의 방출량은 점점 줄어들어 방출이 없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컷오프(Cut off)이라 하며, 이때에 캐소드(Cathode)(1)와 제 1 그리드(G1) 사이에 걸리는 전압을 컷오프(Cut off) 전압이라 한다.
또한, 제 2 그리드(G2)의 전압이 변하면 전자빔(Electron Beam)(3)이 컷오프(Cut off)되며 따라서 컷오프(Cut off) 전압이 변화된다. 동시에 캐소드(Cathode)(1)및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에 의해서 결정되는 전자렌즈(4)의 특성이 변하고, 형광체 면에 전자빔(Electron beam)이 닿는 면의 지름의 크기가 변화한다. 즉 CRT(240-4)의 형광체 면에서 발광되는 빛의 촛점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컬러 CRT(240-4)에서는 컬러와 관련된 R(RED), G(GREEN), B(BLUE)의 전자총이 있는데 이 전자총의 캐소드(Cathode)(1)만이 각 컬러에 따라 외부에서 전압을 걸어 줄 수 있도록 각 컬러 별로 나뉘어져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CRT(240-4)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1)와 제 1 및 제 2 그리드(G1, G2)에 일정한 전압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은 제 1 그리드(G1)의 전압을 변화시킬 수 있고 변환시킴에 따라 전자렌즈(4)의 특성이 변화되어 색좌표 및 촛점도 따라서 변화하게 되어 제 1 그리드(G1)의 전압이 변화함에 따라 색좌표 및 촛점을 보정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CRT의 제 1 그리드 전압을 검출하여 그 변화에 따라 색좌표 및 촛점을 자동으로 보정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에서 조절된 CRT의 제 1 그리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 1 그리드 전압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부와, 상기 위상 반전부를 통해 위상 반전된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 1 그리드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인가 받아 데이터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오차 데이터를 인가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상기 D/A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 받아 색차신호를 보정하는 컷오프(Cut off) 조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내부 회로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CRT 내부 구조를 나타낸 절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블럭도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반전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색의 분포를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색분포도이다.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CRT(80c)의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20)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20)에 의해 변환된 제 1 그리드(G1) 전압을 검출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검출 전압에 따른 전압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부(30)와, 상기 위상 반전부(30)에서 위상 반전된 전압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화부(40)와, 상기 A/D 변환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인가 받아 데이터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콤(50)과,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오차 데이터를 인가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60)와, 상기 D/A 변환부(60)로부터 신호를 인가 받아 색차 신호를 보정하는 컷오프(Cut off) 조절부(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블럭 구성에 따른 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블럭도를 상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20)는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의 저항(R3)에 연결된 가변저항(VR)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20)에서 조절된 제 1 그리드(G1) 전압 신호를 검출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는, 베이스단에 저항(R1)을 통해서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연결된 저항(R2) 및 캐패시터(C1)와, 상기 캐패시터(C1)에 연결된 저항(R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에서 검출된 전압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부(30)는,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의 저항(R3)에 연결된 분압용 저항(R4 ∼ R6)들과 다이오드(D1)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위상 반전부(30)를 통해 위상 반전된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40)에서 변환된 디지탈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오차 데이터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마이콤(50)과, 상기 마이콤(5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차 데이터를 인가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60)가 연결된다.
이러한 D/A 변환부(6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 받아 색차 신호를 보정하는 컷오프(Cut off) 조절부(70) 비교 연산 증폭기(71 ∼ 7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컴퓨터 본체(도시 않음)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를 R.G.B 비디오 입력부(80a)에서 인가 받고 인가된 영상 신호(R,G,B)를 R.G.B 비디오 앰프(80b)에서 인가 받아 증폭하여 CRT(80c)로 인가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의 트랜지스터(Q1)는 포지티브(Positive)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저항(R1)을 통해서 베이스에 인가되면 트랜지스터(Q1)는 도통 상태가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은 그라운드(Ground) 상태가 되어 제 1 그리드(G1)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신호는 캐패시터(C1)를 방전시키게 된다.
또한, 포지티브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입력되지 않을 때는, 제 1 그리드(G1) 전압 신호는 저항(R3)을 통해서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20)의 가변 저항(VR)에 전달된다. 이때, CRT(80c)의 제 1 그리드(G1)의 전압은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에서 그 전압과 수직 동기 신호(V-SYNC)가 합성되어 귀선이 제거된다.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10)에서 귀선이 제거된 제 1 그리드(G1) 전압 신호는 위상 반전부(30)에 전달되어 0∼ 5V 사이의 포지티브(Positive)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저항(R4 ∼ R6)은 (-)값을 갖는 제 1 그리드(G1) 전압을 분배하여 0∼ 5V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위상 반전부(30)를 다수개의 저항(R4 ∼ R6) 및 다이오드(D1)로 구성했지만 (-)전압을 (+)으로 변환 가능한 소자(예; 연산 증폭기)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반전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A)에는 연산 증폭기(OP1)와, 상기 연산 증폭기(OP1)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0)과, 상기 저항(R0)과 그라운드(Ground)를 입력단에 연결한 연산 증폭기(OP2)와, 상기 연산 증폭기(OP2)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력된 트랜지스터(Q0)와, 상기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과 연결된 연산 증폭기(OP3)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 증폭기(OP4)와, 상기 연산 증폭기(OP4)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a, Rb)과, 저항(Ra, Rb)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c)과, 상기 상기 저항(Rc)에 병렬로 연결된 제어 다이오드(ZD1)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위상 반전부(30)에서 위상 반전된 제 1 그리드(G1) 전압 신호는 저항(R7)과 캐패시터(C2)로 구성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통해 저주파 잡음이 제거된 후, A/D 변환부(40)로 입력되어 디지탈 값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마이콤(50)은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보다 큰 경우에는 그 두 값을 더하여 절대값을 취한 후, 그 절대값으로 적(Red), 녹(Green), 청(Blue)의 색좌표는 펄스폭 변조 신호로되어 D/A 변환부(60)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컷오프(Cut off) 조절부(70)로 입력된다.
이때, 컷오프(Cut off) 조절부(70) 내에 구성되어 있는 비교 연산 증폭기(71 ∼ 73)의 출력 신호는 적(Red), 녹(Green), 청(Blue) 전자총(도시 않음)의 바이어스 전압을 변화시켜 컬러 트래킹(Tracking)을 보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가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 보다 작은 경우,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에서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G1)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빼서 절대값을 취한다.
그 후, 그 절대값으로 적(Red), 녹(Green), 청(Blue)의 색좌표에 마이너스(Minus)하여 색좌표값을 보정한다. 이렇게 보정된 적(Red), 녹(Green), 청(Blue)의 색좌표는 펄스폭 변조 신호로 되어 D/A 변환부(60)를 통해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컷오프(Cut off) 조절부(70)로 입력된다.
이때, 컷오프(Cut off) 조절부(70)의 비교 연산 증폭기(71 ∼ 73)의 출력 신호는 적(Red), 녹(Green), 청(Blue) 전차총의 바이어스 전압을 변화시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을 보정한다.
이러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을 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하는 시작 스텝(S91)과, 상기 시작 스텝(S91)에서 색 좌표 보정을 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G1) 전압값과 기준 R.G.B. 바이어스(Bias) 값을 저장하는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S92)과, 상기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S92)에서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이 저장 완료되면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여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른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 값을 저장하는 R.G.B. 바이어스(Bias) 보상 값 저장 스텝(S93)과, 상기 R.G.B. 바이어스(Bias) 보상값 저장 스텝(S93)에서 R.G.B. 바이어스(Bias) 보상 값이 저장 완료되면 현재 동작 중인 제 1 그리드(G1)의 전압 값을 읽어 들이는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S94)과, 상기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S94)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이면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라 지정된 각각의 해당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값을 읽어 들여 현재 동작 중인 R.G.B. 바이어스(Bias) 값에 더하여 바이어스(Bias)의 전압을 변환시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을 보정하는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 보정 스텝(S95)과, 상기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 보정 스텝(S95)에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이 보정 완료되면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을 종료하는 종료 스텝(S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작 스텝(S91)을 통해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을 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를 조정하게 된다. 이때,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S92)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과 R.G.B. 바이어스(Bias) 값을 저장하게 된다.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S92)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과 R.G.B. 바이어스(Bias) 값이 저장되면 R.G.B. 바이어스(Bias) 보상 값 저장 스텝(S93)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여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른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 값을 산출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S92)에서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 값을 산출되면,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S94)을 통해서 현재 CRT(80c)에서 전자빔(Electron beam)을 제어 작업을 하고 있는 제 1 그리드(G1)의 전압 값을 리드(Read)하게 된다.
이러한 스텝(Step)들이 완료되면,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 보정 스텝(S95)은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S94)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이면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라 지정된 각각의 해당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값을 읽어 들이고, 현재 동작 중인 R.G.B. 바이어스(Bias) 값에 더하여 바이어스(Bias)의 전압을 변환시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을 보정하게 된다.
이러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의 보정이 완료되면 완료 스텝(S96)을 통해서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색의 분포를 2차원 평면상에 나타낸 색분포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 A는 백색(White) 좌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의 일반적인 켈빈(Kelvin) 온도는 9300。 K가 된다. 그리고, 색온도는 백색(White)으로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므로, 백색의 색좌표를 X = 0.283 ± 0.02, Y = 0.298 ± 0.02로 조정하게 되면 순수한 흰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켈빈(Kelvin) 온도를 기준으로 높은 켈빈(Kelvin) 온도에서는 청색(Blue)으로 접근하고, 낮은 켈빈(Kelvin) 온도에서는 적색(Red)으로 접근하게 된다. 또한, 켈빈(Kelvin) 온도에 따라 시안(Cyan)과 녹색(Green) 영역으로 접근하게 된다. 따라서, 적(Red), 녹(Green), 청(Blue)의 혼합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온도에 따른 색신호를 제어하게 된다. 즉, 휘도 변화에 따라 색분포도를 이용하여 색신호를 제어하여 색좌표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RT의 제 1 그리드 전압 변화에 따라 색좌표 및 촛점을 자동으로 보정함으로써 제 1 그리드 전압 변화에 따른 R,G,B 특성 변화 및 촛점 변화를 자동으로 보정하여 색 번짐과 선명도의 저하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제 1 그리드의 전압을 소정 레벨의 전압으로 조정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조절부에서 조절된 CRT의 제 1 그리드의 전압을 검출하는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와,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 1 그리드 전압 신호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위상 반전부와,상기 위상 반전부를 통해 위상 반전된 신호를 인가 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제 1 그리드 전압의 디지탈 데이터를 인가 받아 데이터의 오차를 산출하여 오차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되는 오차 데이터를 인가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와, 상기 D/A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인가 받아 색차신호를 보정하는 컷오프(Cut off) 조절부를 포함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드 전압 검출부는 베이스단에 저항(R1)을 통해서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연결된 저항(R2) 및 캐패시터(C1)와, 상기 캐패시터(C1)에 연결된 저항(R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반전부는 연산 증폭기(OP4)와, 상기 연산 증폭기(OP4)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저항(Ra, Rb)과,저항(Ra, Rb)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c)과,상기 저항(Rc)에 병렬로 연결된 제어 다이오드(ZD1)로도 구성할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4. 색 좌표 보정을 하기 위해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조정시 제 1 그리드(G1) 전압값과 기준 R.G.B. 바이어스(Bias) 값을 저장하는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과, 상기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 저장 스텝에서 제 1 그리드 및 R.G.B. 바이어스(Bias) 값이 저장 완료되면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여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른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 값을 저장하는 R.G.B. 바이어스(Bias) 보상 값 저장 스텝과,상기 R.G.B. 바이어스(Bias) 보상값 저장 스텝에서 R.G.B. 바이어스(Bias) 보상 값이 저장 완료되면 현재 동작 중인 제 1 그리드(G1)의 전압 값을 읽어 들이는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과, 상기 제 1 그리드(G1) 전압 값 리드(Read) 스텝에서 제 1 그리드(G1) 전압 값을 읽어 들이면 제 1 그리드(G1) 전압 변동률에 따라 지정된 각각의 해당 R.G.B. 바이어스(Bias)의 보상값을 읽어 들여 현재 동작 중인 R.G.B. 바이어스(Bias) 값에 더하여 바이어스(Bias)의 전압을 변환시켜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을 보정하는 컬러 트래킹(Color Tracking) 보정 스텝을 포함하는 휘도 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방법.
KR1019960052919A 1996-11-08 1996-11-08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34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19A KR19980034763A (ko) 1996-11-08 1996-11-08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19A KR19980034763A (ko) 1996-11-08 1996-11-08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763A true KR19980034763A (ko) 1998-08-05

Family

ID=6651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919A KR19980034763A (ko) 1996-11-08 1996-11-08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7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764B1 (ko) * 2000-08-29 2003-02-26 (주)코텍 마이콤을 이용한 비디오 콘트롤 시스템
KR100548029B1 (ko) * 1998-12-03 2006-04-21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휘도 균일도 보상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8029B1 (ko) * 1998-12-03 2006-04-21 현대 이미지퀘스트(주) 휘도 균일도 보상 회로
KR100373764B1 (ko) * 2000-08-29 2003-02-26 (주)코텍 마이콤을 이용한 비디오 콘트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5164B1 (ko)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자동 휘도 조정 회로 및 방법
KR20010007588A (ko) 다중 포토 센서를 구비한 투사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KR19990024400A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US59494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a chromaticity diagram by a variable brightness
US6091397A (en) Automatic screen brightness compens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659989B1 (ko) 투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동 교정 방법
JPH03179886A (ja) 投写形液晶表示装置
KR19980076990A (ko) Os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드 표시 방법
KR100242839B1 (ko)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상조정 회로
US6011593A (en) Cathode ray tube with apparatus for reducing variation of deflection size due to brightness changes
KR19980034763A (ko) 휘도변화에 따른 색좌표 보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7391B1 (ko) 영상신호의 패스 스로우(pass through) 기능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42842B1 (ko) 복수의 fet를 이용한 수평편향 드라이브 회로
KR100218007B1 (ko) 다중 동기 방식 모니터의 상 사이즈 자동 조정 방법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KR19980085007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왜곡 보정회로
KR200330773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100242837B1 (ko) 수직 편향 제어 회로
KR100481513B1 (ko) 씨알티의 고압 안정화 회로 및 방법, 그리고 영상표시장치
KR200349506Y1 (ko) 모니터의 레귤레이션 보정회로
KR100228391B1 (ko) 다이나믹 휘도 보상장치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KR200148415Y1 (ko) 음극선관의 휘도 자동 제어장치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JPH0851579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