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179U -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179U
KR19980034179U KR2019960047119U KR19960047119U KR19980034179U KR 19980034179 U KR19980034179 U KR 19980034179U KR 2019960047119 U KR2019960047119 U KR 2019960047119U KR 19960047119 U KR19960047119 U KR 19960047119U KR 19980034179 U KR19980034179 U KR 199800341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bus
platform
brak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강원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7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179U/ko
Publication of KR19980034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7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2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for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omnib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8Pneumatic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버스에 있어서는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중 갑작스럽게 승객이 승하차하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에 승객이 끼이거나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D)의 승강대(10)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대(10)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D)의 제동을 위한 공압을 단속하는 공압 단속부와, 상기 승강대(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공압단속부의 동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딩 도어(D)가 닫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제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버스의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본 고안은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버스에 승하차함에 있어서 승객이 슬라이딩 도어에 끼이거나 부딪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버스의 후문으로 사용되는 슬라이딩 도어의 외면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D)는 버스(B)의 후문으로 사용되며 그 작동은 운전석의 운전자가 스위치(미도시)나 레버(미도시)를 사용하게 된다.
요즘에 운행되는 버스(B)는 운전자가 혼자서 운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조작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을 실어나르기 위해 사용되는 버스(B)에 있어서 승하차를 위한 도어를 모두 운전자가 운전석에게 조작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버스(B)의 후문은 슬라이딩도어(D)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버스(B)의 슬라이딩 도어(D)를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작동시킴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는 버스(B)의 후문인 슬라이딩 도어(D)를 작동함에 있어서 후문 근처에 설치된 미러(미도시)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참고로 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D)를 닫는 도중에 미러가 비춰지는 영역 바깥에 있던 승객이 급작스럽게 승하차를 하고자 슬라이딩 도어(D) 쪽으로 접근하게 되면 운전자는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되면 슬라이딩 도어(D)에 승객이 끼이거나 슬라이딩 도어(D)에 부딪혀 부상을 입게 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승객이 갑작스럽게 슬라이딩 도어로 접근하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의 동작이 멈춰지도록 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슬라이딩 도어가 버스에 장착된 것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대20 : 유체저장고
21 : 트레인 배관30 : 단속 실린더
31 : 피스톤32 : 피스톤 로드
33 : 탄지부재40 : 단속밸브
41 : 밸브 로드50 : 공압소스
60 : 제동 실린더61 : 피스톤
62 : 피스톤 로드63 : 탄지부재
70 : 제동 패드부D : 슬라이딩 도어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도어의 승강대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제동을 위한 공압을 단속하는 공압 단속부와, 상기 승강대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공압단속부의 동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딩 도어가 닫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제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내부에 하중감지용 유체가 충진되고 압축팽창 가능한 유체 저장고이고, 상기 제동 작동부는 상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 실린더와, 상기 제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와의 마찰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제동하는 제동 패드부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의 것과 동일한 것을 동일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승강대(10)의 하부에는 승강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인 유체저장고(20)가 설치된다. 상기 유체저장고(20)는 압축 및 팽창 가능한 것으로 그 내부에 감지용 유체(미도시)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감지용 유체로는 오일이나 공기 등의 압축성 유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체저장고(20)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대(10)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유체저장고(20)에 충진되어 있는 감지용 유체가 빠져나가는 드레인 배관(21)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저장고(20)에 충진되어 있던 감지용 유체의 이동에 의해 작동되어 슬라이딩 도어(D)의 제동을 위한 공압의 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상기 드레인 배관(21)과 연통된 단속 실린더(3)가 구비되고, 상기 단속 실린더(30)와 연동되는 단속밸브(40)가 구비된다.
상기 단속 실린더(30)는 상기 드레인 배관(21)과 연통되어 있으면서 상기 감지 용 유체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단속 실린더(30) 내부의 피스톤(31)은 탄지부재(33)로 탄지되어 상기 감지용 유체의 압력과 상기 탄지부재(33)의 탄지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좌우 이동된다.
상기 피스톤(31)에 일체로 구비된 피스톤 로드(32)의 말단에는 공압 소스(50)로부터의 공압 전달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40)의 밸브 로드(41)가 구비된다. 상기 단속 밸브(40)는 상기 공압 소스(5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동 실린더(60) 사이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승강대(10)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단속밸브(40)의 동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딩 도어(D)가 닫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제동작동부를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단속 밸브(40)의 작동에 의해 공압 소스(50)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 실린더(60)가 구비되고, 상기 제동 실린더(60)의 피스톤 로드(62)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D)와의 마찰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D)를 제동하는 제동패드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제동 실린더(60)에는 탄지부재(63)에 의해 탄지된 피스톤(61)이 구비되고,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상기 피스톤(61)과 일체로 형성된 피스톤 로드(62)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동 패드부(70)가 설치된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승강대(10)는 탄지부재(미도시)로 탄지되어 있어 승강대(10)에 가해졌던 하중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그 작동을 설명하면, 승강대(10)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도 2와 같은 상태이다. 즉, 상기 단속 밸브(40)의 밸브 로드(41)가 공압소스(50)로부터 전달되는 공압을 차단하여 제동 실린더(60)의 피스톤(61)의 탄지부재(63)의 탄지력에 의해 당겨져 피스톤 로드(62)가 제동실린더(60)의 내부로 수납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대(10)에 하중이 가해지면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되어 슬라이딩 도어(D)가 제공되게 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D)가 닫혀지는 순간에 상기 승강대(10)에 승객이 올라서게 되면 상기 유체 저장고(20)가 압축되면서 유체 저장고(20)의 감지용 유체가 상기 드레인배관(21)을 통해 단속 실린더(3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되면서 상기 단속 실린더(30)의 피스톤(31)이 상기 감지용 유체의 압력에 의해 밀려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피스톤로드(32)의 말단부에 구비된 밸브로드(41)가 상기 단속 밸브(40)를 열어 공압 소스(50)와 제동 실린더(60)를 연통시켜 공압소스(50)의 공압이 제동 실린더(60)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제동 실린더(60)의 피스톤(61)이 이동되면서 피스톤 로드(62)의 말단부에 구비된 제동 패드부(70)가 슬라이딩 도어(D)의 일측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도어(D)가 닫혀지는 것을 막아준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는 슬라이딩 도어가 닫혀지는 순간에 승강대에 승객이 올라서게 되면 슬라이딩 도어가 자동으로 제동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운전자 혼자서 운행을 하는 버스에서 발생되기 쉬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운행에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 도어의 승강대 하부에 설치되어 승강대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감지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의 제동을 위한 공압을 단속하는 공압 단속부와, 상기 승강대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공압단속부의 동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슬라이딩 도어가 닫혀지는 것을 차단하는 제동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내부에 하중감지용 유체가 충진되고 압축팽창 가능한 유체저장고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작동부는 상기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제동 실린더와, 상기 제동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구비되어 슬라이딩 도어와의 마찰을 통해 슬라이딩 도어를 제동하는 제동 패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안전승하차 장치.
KR2019960047119U 1996-12-10 1996-12-10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KR199800341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19U KR19980034179U (ko) 1996-12-10 1996-12-10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119U KR19980034179U (ko) 1996-12-10 1996-12-10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79U true KR19980034179U (ko) 1998-09-05

Family

ID=53988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119U KR19980034179U (ko) 1996-12-10 1996-12-10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17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8538A1 (en) Method for preventing an inadmissibly high speed of the load receiving means of an elevator
US6565160B1 (en) Pressure releasable vehicle pedal assembly
KR19980034179U (ko) 버스의 안전승하차장치
KR970074291A (ko) 자동차 하차시의 사고 방지장치
KR100227358B1 (ko) 시내버스 출입문의 안전장치
KR970011028B1 (ko) 속도감응형 측면 슬라이딩도어의 급폐방지장치
KR970040416A (ko) 보조 브레이크 장치
KR19980035802A (ko)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20080053619A (ko) 브레이크 페달 밀림방지장치
KR19980042171U (ko) 승합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브레이크장치
KR960009983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0193983Y1 (ko) 자동차의 후방석 헤드레스트
KR0184824B1 (ko) 푸트브레이크 오작동시의 안전장치
KR200155015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KR19980035964U (ko) 에어 백 작동시 브레이크 위치 고정장치
KR100387788B1 (ko) 자동차 후면 추돌에 대응한 브레이크 오일압 조절 장치
KR19990018874A (ko) 브레이크장치
KR100221969B1 (ko) 버스의 개문 발차 방지장치
KR0140583B1 (ko) 차량충돌시 2차충돌 방지장치
KR19980024393U (ko) 버스의 도어 개방시 출발 방지장치
KR19980074750A (ko) 파킹브레이크 및 도어오픈시 출발차량의 제동장치
KR100224222B1 (ko) 차량의 개문발차 방지장치
KR19980021953A (ko) 자동차의 추돌방지장치
KR19980056670A (ko) 승합차량의 슬라이드 도어 브레이크장치
KR19990007656U (ko) 공기저항을 이용한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