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944U -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 Google Patents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944U
KR19980033944U KR2019960046883U KR19960046883U KR19980033944U KR 19980033944 U KR19980033944 U KR 19980033944U KR 2019960046883 U KR2019960046883 U KR 2019960046883U KR 19960046883 U KR19960046883 U KR 19960046883U KR 19980033944 U KR19980033944 U KR 199800339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ulley
grinding machine
headstock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9799Y1 (ko
Inventor
변삼수
고해주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6004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799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4Headstocks; Working-spindles; Features relating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터와 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풀리와 벨트가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여 연삭 작업을 하였음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벨트에 의한 미세진동이 발생되어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서보 모터와 이 서보 모터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도록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벨트를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하여 연삭작업을 함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서보 모터에 의해 무단으로 회전속도를 변속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하며, 미세진동을 없애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본 고안은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연삭기에서 주축대에 서보 모터(Servo Motor)를 이용하여 스핀들 회전이 무단 변속이 가능하게 되고, 고정형 스핀들의 적용으로 구조를 간단하게 한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와, 상기 모터(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1 풀리(2a), 상기 제1 풀리(2a)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풀리(2a)와 제1벨트(3a)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풀리(2b)와, 상기 제2 풀리(2b)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제3 풀리(2c)와, 상기 제2 풀리(2b)와 제3 풀리(2c)가 각각 양단에 결합되어 제2 풀리(2b)의 회전을 제3 풀리(2c)로 전달하는 샤프트(3c)와, 상기 제3 풀리(2c)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3 풀리(2c)와 제2 벨트(3b)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4 풀리(2d)와, 상기 제4 풀리(2d)의 내측에 설치된 슬리이브(4)와, 상기 제4 풀리(2d)의 내경과 슬리이브(4)의 외경에 결합된 베어링(5)과, 상기의 부품들이 내장되는 주축대 몸체(6)와, 상기 주축대 몸체(6)의 선단에 결합되는 프런트 플레이트(7) 및 드라이빙 아암(8)과,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7)의 내외측에 결합되어 절삭유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V-링(9)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종래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는 모터(1)의 회전력을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1 풀리(2a)와 제2 풀리(2b)의 풀리비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변환시키는 것으로, 그 작동은 모터(1)가 회전을 하여 제1 풀리(2a)를 회전시키면, 이 회전력은 제1벨트(3a)에 의해 제2 풀리(2b)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2 풀리(2b)의 회전력은 샤프트(3c)를 통하여 제3 풀리(2c)를 회전시켜, 제2 벨트(3b)에 의해 제4 풀리(2d)로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이와같이 전달된 동력은 프런트 플레이트(7)와 드라이빙 아암(8)으로 전달되어 연삭작업을 하는 것으로, 연삭작업중 절삭유 및 이물질은 상기 V-링(9)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동작되는 종래 연삭기의 주축대는 주축의 회전속도의 변환을 제1 풀리(2a)와 제2 풀리(2b)의 회전비를 이용하여 변환시킴으로서 많은 구간의 회전력을 얻지 못하고, 여러개의 풀리로 동력을 전달함으로서 풀리 및 벨트의 진동에 의한 미세진동의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모터(1)가 주축대 몸체(6)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풀리의 회전력 전달을 위한 샤프트(3c)의 설치로 인하여 전체적인 공간을 많이 차지함으로서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절삭유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된 V-링(9)은 금속과의 접착면적이 커서 발열을 많이 일으켜 장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통연삭기의 주축대에 서모 모터(Servo Motor)를 사용하여 스핀들 회전을 무단으로 변속함과 동시에, 미세진동을 없애고, 구조를 간단하게 한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보 모터21,22 - 제1,2 타이밍풀리
30 -타이밍벨트40 - 슬리이브
50 - 베어링51 - 베어링 칼라
60 - 주축대 몸체70 -프런트 플레이트
80 - 드라이빙 아암90 - 오일시일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모 모터(10)와, 상기 서보 모터(10)에 결합된 제1 타이밍풀리(21)와, 상기 제1 타이밍풀리(21)에 타이밍벨트(30)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타이밍풀리(22)와, 상기 제2 타이밍풀리(22)의 내측에 설치된 슬리이브(40)와, 상기 슬리이브(40)와 상기 제2 타이밍풀리(22)의 사이에 결합된 베어링(50)과, 상기 베어링(50)의 빠짐을 방지하는 베어링 칼라(51)와, 상기 부품들을 감싸는 주축대 몸체(60)와, 상기 주축대 몸체(60)의 전면에 결합된 프런트 플레이트(70) 및 드라이빙 아암(80)과, 드라이빙 아암(80)의 내측에 결합된 오일시일(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모 모터(10)에 제1 타이밍풀리(21)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가 결합되고, 이 벨트 텐션 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고정블럭(102)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럭(102)을 관통하여 텐션 조절볼트(103)가 벤트 텐션 플레이트(101)에 결합되고, 상기 서보 모터(10)는 텐션 플레이트 고정볼트(104)로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주축대 몸체(60)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런트 플레이어(70)는 라바린스의 구조(요철)를 갖는 것으로, 이는 외부로 부터 절삭유 및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은 서모 모터(10)가 회전하여 제1 타이밍풀리(21)를 회전시키면, 타이밍벨트(30)로 연결된 제2 타이밍풀리(22)가 정확한 회전을 하연 베어링 칼라(51) 및 프런트 플레이어(70)의 순서로 전달되어 연삭작업을 하는 것으로, 연삭 작업중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상기 오일시일(90)에 의해서 방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주축대 몸체(60)의 전면부에 결합된 프런트 플레이트(70)의 라바린스 구조에 의해서도 방지되는 것이다. 즉, 외부로 부터 절삭유가 침투할 경우 상기 프런트 플레이트(70)의 라바린스 구조(요철)의 복잡한 경로에 의해 내부의 베어링(50) 까지는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고, 밑으로 빠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센터(61)는 스핀들이 고정되어 있어 같이 고정되고, 연삭가공시에 공작물의 센터구멍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서보 모터(10)의 회전력을 타이밍벨트(30)에 의해 스핀들측에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타이밍벨트(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은 서보 모터(10)를 결합하고 있는 텐션 플레이트 고정볼트(104)를 풀고, 텐션 조절볼트(103)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타이밍벨트(30)에 장력이 가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이 풀리게 되어 적절한 장력을 조절한 다음, 텐션 플레이트 고정볼트(104)를 조여 서보 모터(10)를 고정함으로서 타이밍벨트(30)의 장력을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동작되는 본 고안은 서보 모터(10)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의 제3,4 풀리(2c)(2d)의 샤프트(3c)가 필요 없음으로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공간도 축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보 모터(10)로 인한 주축회전 속도를 무단으로 변속 가능함으로서 조작이 간편하고, 정밀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에 의하면, 원통연삭기의 주축대에 서보 모터(Servo Motor)를 사용함으로서 회전속도를 무단으로 변속할 수 있음으로 조작이 간편하고, 미세진동을 없애 장비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모 모터(10)와, 상기 서보 모터(10)에 결합된 제1 타이밍풀리(21)와, 상기 제1 타이밍풀리(21)에 타이밍벨트(30)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2 타이밍풀리(22)와, 상기 제2 타이밍풀리(22)의 내측에 설치된 슬리이브(40)와, 상기 슬리이브(40)와 상기 제2 타이밍풀리(22)의 사이에 결합된 베어링(50)과, 상기 베어링(50)의 빠짐을 방지하는 베어링 칼라(51)와, 상기 부품들을 감싸는 주축대 몸체(60)와, 상기 주축대 몸체(60)의 전면에 결합된 프런트 플레이트(70) 및 드라이빙 아암(80)과, 드라이빙 아암(80)의 내측에 결합된 오일시일(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모 모터(10)에 제1 타이밍풀리(21)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가 결합되고, 이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의 하부에는 고정블럭(102)이 설치되어 상기 고정블럭(102)을 관통하여 텐션 조절볼트(103)가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에 결합되고, 상기 서보 모터(10)는 텐션 플레이트 고정볼트(104)로 벨트 텐션 플레이트(10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축대 몸체(60)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런트 플레이트(7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라바린스의 구조(요철)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KR2019960046883U 1996-12-10 1996-12-10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KR200149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883U KR200149799Y1 (ko) 1996-12-10 1996-12-10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883U KR200149799Y1 (ko) 1996-12-10 1996-12-10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944U true KR19980033944U (ko) 1998-09-05
KR200149799Y1 KR200149799Y1 (ko) 1999-06-15

Family

ID=19478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883U KR200149799Y1 (ko) 1996-12-10 1996-12-10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76B1 (ko) * 2017-06-19 2019-03-21 자동차부품연구원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76B1 (ko) * 2017-06-19 2019-03-21 자동차부품연구원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799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288B1 (ko) 드럼식 세탁기
US6484596B2 (en) Crankshaft starter-generator
CN103260830B (zh) 手持式工具机
CN105626801A (zh) 电力牵引传动装置
DE69917486D1 (de) Drehende welle und werkzeugmaschine mit einer solchen welle
CN213862396U (zh) 线控转向装置的具有主轴驱动器的致动器及线控转向装置
KR200149799Y1 (ko) 연삭기의 주축대 구조
EP0299047A1 (en) SAWING DEVICE.
CN101858353B (zh) 一种用于离心泵的可控涡动装置
EP0197457B1 (en) High-speed spindle
GB2037939A (en) A Coaxial Shaft Arrangement with Means for Damping Shaft Vibration
JPH03130422A (ja) 自己駆動式スピンドル
KR20010036987A (ko) 공작기계의 고속탭핑장치에 있어서 위치코더 지지장치
KR200206715Y1 (ko) 밀링머신용 커터 고정장치
JP2506132B2 (ja) ウォ―ムギア式のエレベ―タ駆動機構及びその組立て方法
JPS60232847A (ja) 回転伝達装置
KR20010015569A (ko) 웨이퍼 폴리싱기
US2857216A (en) Self-balancing spindle
EP0196908A2 (en) Drive apparatus for auxiliary equipment
RU219327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от привода к корпусу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и способ его монтажа
KR100425095B1 (ko) 전자동세탁기용 클러치의 볼베어링 급유구조
US61795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illing a bore
JPS62266229A (ja) 廻転制御装置
KR200257427Y1 (ko) 고속회전용 스핀들 헤드
JP4557476B2 (ja) エンジンのプーリー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