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3165A -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3165A
KR19980033165A KR1019970054935A KR19970054935A KR19980033165A KR 19980033165 A KR19980033165 A KR 19980033165A KR 1019970054935 A KR1019970054935 A KR 1019970054935A KR 19970054935 A KR19970054935 A KR 19970054935A KR 19980033165 A KR19980033165 A KR 19980033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remote unit
channel
syste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하마드 라함
챨즈 샌포드
Original Assignee
씨. 알. 나시스
루센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 알. 나시스, 루센트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씨. 알. 나시스
Publication of KR1998003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1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센터(2), 통신 사이트(8), 사용자 스테이션(실례로, 28) 및 원격 유닛(실례로, 30)을 갖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통신 센터를 사용자 채널상으로 사용자 스테이션과 통신할 수 있게 하고, 시스템 채널상으로 원격 유닛과 통신할 수 있게 하여, 통신 센터가 요구에 따라 원격 유닛을 모니터하거나 작동시키거나 또는 제어 할 수 있게하는, 상기 통신 시스템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시스템의 원격 장비의 모니터, 작동 및 제어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문서, 음성 및 비디오와 같은 사용자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의 품질을 처리하고 유지하도록 그 시스템 전반에 다앙한 설비를 사용한다. 서로 간에 원격적으로 위치되는 시스템 전반에 위치된 설비는 품질이 떨어진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혀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영역 또는 송신된 신호가 수신시에 품질이 떨어지는 영역에서 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종종 이용된다. 이들 통신 시스템의 적합한 작용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모니터되고 제어되며 작동되어야 한다.
도 1은 뉴저지, 머레이 힐에 소재하는 루센트 테크놀리지스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이용가능한 오토플렉스(Autoplex) 셀룰러 통신 시스템과 유사한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레벨을 도시한다.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시스템으로서 구성될 경우 오토플렉스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TIA/EIA/IS-95A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게 된다. TIA/EIA/IS-95A 프로토콜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구성 또는 광대역 스프레드 스펙트럼 모드의 동작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어떻게 정보가 전송되고 처리되며 수신되는 지를 설명하는 셀룰러 차량 통신 시스템에 대한 적합한 표준이 된다. 각각의 셀(10)은 통신 사이트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 영역 또는 특정 물리적 지역의 상징적 표현인 6각형으로 표현된다. 즉, 각각의 셀(10)은 무선 사용자 채널과 같은 사용자 채널을 통하여 상기 셀내의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이동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통신 사이트(8)를 갖는다.
또한, 시스템 정보는 통신 사이트(8)와 사용자 스테이션 사이에 또는 통신 사이트(8)와 통신 센터(2) 사이에 전달된다. 통상 오버헤드 정보로 언급되는 시스템 정보는 사용자 채널의 지정을 위한 이동 스테이션에 의한 요청과 이동 스테이션의 상태와 관련한 정보와 통신 사이트(8)에 의한 사용자 채널 지정을 포함하고, 셀간의 핸드오프와 관련하여 통신 센터(2)와 통신한다. 시스템 정보는 사용자 채널과는 분리된 하나 이상의 오버헤드 또는 시스템 채널을 사용하여 송수신 된다. 시스템 채널 및 사용자 채널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명료함을 위해, 하기에 설명될 도면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은 실선으로 도시하였고, 일반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채널은 파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CDMA 에 기초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특정 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특정 셀은 현재 구성되고 설계된 오토플렉스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것이다. 시스템 정보는 통신 센터(2)와 통신 사이트(8) 사이에 통신 채널(12)의 시스템 채널상으로 전달된다. 사용자 정보는 통신 센터(2)와 통신 사이트(8) 사이에 통신 채널(12)의 사용자 채널(22)상으로 전달된다. 통신 센터(2)는, PSTN(4)고 접속되는 디지탈 스위치(14)와, 작동 관리 및 유지보수(OAM) 모듈(18)과 유지보수 음극선관(MCRT)(20)과 차례로 접속되는 호출 처리 모듈(18)을 갖는 오토플렉스셀룰러 통신 시스템 제어 컴플렉스로 공지되 있다. 호출 처리 모듈(16)은 IS-95A 프로토콜 및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어떤 다른 프로토콜에 따라 들어오고 나가는 사용자 및 시스템 정보를 처리, 패키지 및 루팅한다. 호출 처리 묘듈(16)은 들어오는 사용자 정보를 트렁크 라인(6)을 통해 PSTN(20)으로 중계한다. 들어오는 시스템 정보는 그러한 정보를 OAM 모듈(18)로 루팅하는 호출 처리 모듈(16)에 의해 인식된다. OAM 모듈(18)은 수신된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그 정보가 MCRT(20)상에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PSTN(4)로부터 발생되는 나가는 사용자 정보는 호출처리 모듈(16)에 의해 통신 채널(12)의 사용자 채널(22)상에서 통신 사이트(8)로 중계된다. 나가는 시스템 정보는 호출 처리 모듈(16)이나 그러한 정보를 호출 처리 모듈(16)에 전달하는 OAM 모듈(18)로부터 발생된다. 나가는 시스템 정보는 또한 호출 처리 모듈(16)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호출 처리 모듈(16)은 IS-95A 표준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포맷 및 패키지하고, 통신 채널(12)의 시스템 채널(24)상으로 정보를 송신한다. 또한, 통신 센터(2)는 통신 사이트(8)에 위치된 여러 설비를 모니터, 작동 또는 제어하도록 시스템 채널 정보를 사용한다. 사용자 정보는 무선 사용자 채널(26)상에서 통신 사이트(8)와 사용자 스테이션(28) 사이에 전달된다. 사용자 통신 링크(26)는 통신 사이트(8)와 사용자 스테이션(28) 사이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 전이중 무선 채널이 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 셀에 있어서, 통신 신호를 차단하거나 교란하는 빌딩, 산악 지역 및 다른 물리적 장애물과 같은 구조에 의해 적용범위가 제한된다. 이러한 문제는 중계기들이되는 원격 유닛(300)을 제공함으로써 어드레스된다. 중계기로 구성되는 원격 유닛(30)은, 통신 사이트(8)와의 직접 통신(8)에 의해서는 적절히 커버링될 수 없는 영역의 사용자들과 통신 사이트(8) 사이에 통신 신호를 중계한다. 원격 유닛은 통신 사이트(8)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상의 증폭과 잡음 감소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고, 통신 사이트(8)로부터 신호를 직접 수신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는 사용자에게 신호를 송신하거나 중계한다. 유사하게, 통신 사이트(8)로 신호를 직접 송신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어서, 신호는 중계기로서 구성되는 원격 유닛에 송신되고, 이어서 상기 유닛은 신호를 통신 사이트(8)에 중계한다. 중계기는 사용자 정보 및 시스템 정보 양쪽 모두를 통신 사이트(8) 및 사용자 스테이션(28)로 중계한다.
사용자 스테이션(28) 및 통신 사이트(8) 사이의 시스템 정보는 사용자 통신 링크(26)와는 분리된, 통상 오버헤드 채널로 참조되는, 시스템 통신 링크상으로 전달된다. 시스템 통신 링크는 페이징 채널(36) 및 액세스 채널(38)로 참조된 두 개의 단순한 채널을 구비한다. 페이징 채널(36)은 시스템 정보를 사용자 스테이션(28) 및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3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 사이트(8)에 의해 이용된다. 사용자 스테이션(28)과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은 시스템 정보를 통신 사이트(8)로 송신하도록 액세스 채널(38)을 이용한다. 시스템 정보는 통신 사이트(8)와 통신 센터(2) 사이에서 트렁크 라인(12)의 시스템 채널(24)상으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스테이션(28)은 시스템 채널상으로 통신 센터(2)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또한,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은 페이징 채널(36)상으로 시스템 정보를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 중계하고, 액세스 채널(38)상으로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중계한다.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30)은 다른 작동, 모니터 또는 제어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하며, 통신 센터(2)에 의해 모니터될 수 없다.
도 3에는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30)을 모니터하는데 이용된 통상의 방법이 설명된다. 원격 유닛 제어기(32)는 통신 센터(2)로 그 통신 링크(34)를 통하여 원격 유닛(30)을 모니터하고 제어한다. 통신 링크(34)는 실례로 모뎀을 갖는 전화 링크 또는 전용 아더넷 링크일 수 있는 양방향 링크가 된다. 원격 유닛 제어기(32)에 의해 링크(34)상으로 전송된 정보는 통신 센터(2)에 의해 수신되어 처리 된다. 다음 상기 정보는 통신 채널(12)을 통해 통신 사이트(8)로 중계되고, 다음으로 상기 통신 사이트는 상기 정보를 사용자 링크(26)를 통해 모니터되는 특정 원격 유닛(30)으로 송신된다. 모니터되는 원격 유닛은 정보의 수신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사용자 링크(26)를 통해 제어기(32)에 응답을 송신한다.
이와 같이, 이러한 방법은 원격 유닛(30)을 모니터하기 위하여 사용자 링크(26)를 활용한다. 이러한 구성의 결과로서, 시스템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사용자 링크량이 원격 유닛 제어기(32)가 원격 유닛(30)의 모니터링 처리에 있을 때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부가적 단점은 요구에 따라 어떠한 원격 유닛(30)에 대한 액세스를 갖도록하는 원격 유닛 제어기(32) 능력의 제한에 있다. 원격 유닛 제어기(32)는 원격 유닛(30)을 작동, 모니터 또는 제어할 수 있기 전에 이용가능한 사용자 채널과 경쟁해야하는 시스템의 또다른 사용자가 된다.
TIA/EIA/IS-95A 프로토콜은 시스템의 파워-업 시에 각 셀(10)의 모든 사용자 스테이션(28)(또는 이동 스테이션)이 도 4에 도시된 상태도로 표시된 초기화 처리를 따라야함을 요구한다. 간략함을 위해, 사용자 스테이션의 모든 가능한 상태 전이가 도시된 것은 아니다. 도시된 상태 전이의 일부는 본 발명의 주요사안과 관련되지 않으므로 여기에 상세히 설명되지 않지만, 모든 상태 전이는 당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TIA/EIA/IS-95A 표준의 부분에 된다. 도 4와 관련하여, 파워-업 시, 각각의 사용자 스테이션은 전이(40)를 통하여 초기화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일단 사용자 스테이션이 통신 시스템과 완전히 통합되거나 등록된다면, 전이(42)를 통하여 아이들 상태로 들어간다. 아이들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 스테이션은 페이징 채널상의 메시지를 모니터하고, 응답을 요구하는 페이징 채널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전이(48)를 통해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들어간다. 일부 이유에 대하여 사용자 스테이션이 페이징 채널상으로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면, 전이 상태(44)를 통하여 초기화 상태로 재진입한다.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 스테이션은 액세스 채널상으로 메시지를 통신 사이트에 보낸다. 전이(50)는 사용자 스테이션이 사용자 링크(26)를 통해 통신 사이트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트래픽 채널 상태로 사용자 스테이션이 들어갈 수 있게 한다.
시스템 액세스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 스테이션은 사전 설정된 메시지 포맷셋을 갖는 통신 사이트를 통하여 시스템 상태와 작동과 관련하는 통신 센터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할 수 있다. 메시지는 특히 통신 센터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 스테이션 기능과 관련한다. 또한, 사용자 스테이션은 TIA/EIA/IS-95A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모드로 포맷된 메시지 패킷의 일반적 데이터 메시지를 통신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모드로 포맷된 메시지는 액세스 채널상에서 통신 사이트로 송신되고 통신 센터로 중계된다. 이러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는 시스템 작동을 위해 통신 센터(2)에 의해 사용되지 않으며, 이들은 처리 되어 PSTN(4) 또는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 중계된다. 이러한 메시지 포맷은 사용자 스테이션 사이에서 광대역 스프레드 스팩트럼 시스템에 대한 단축 메시지 서비스로 참조되는 텍스트 정보를 전달하도록 이용된다.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은 이들 메시지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지 못한다. 이들 메시지들은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에 의해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통신 사이트상으로 중계된다. 이와 같이, 시스템에 따른 시스템 통신의 특정 모드와 관련없이, 중계기로서 구성된 원격 유닛은 통신 센터가 원격 유닛을 작동, 모니터 및/또는 제어하도록 통신 센터와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지 못한다.
본 발명은 시스템 정보를 갖는 통신 센터에 의해 모니터,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는 원격 유닛, 통신 사이트 및 통신 센터를 구비한다. 시스템 정보는 통신 센터와 통신 사이트 사이에서 통신 채널의 부분이 되는 시스템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시스템 정보는 또한 통신 사이트 및 원격 유닛 사이에서 통신 링크의 부분이되는 시스템 링크를 통해 전달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시스템에 앞서는 프로토콜에 따라 시스템 정보를 처음 포맷함으로써 통신 센터에 의해 원격 유닛을 모니터, 작동 및 /또는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 정보는 시스템 채널을 통하여 통신 센터로부터 시스템 링크를 통해 원격 유닛으로 방송되는 통신 사이트로 송신된다.
도 1은 전형적인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종래 시스템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신 시스템의 특정 셀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셀내에 위치된 원격 유닛을 모니터하기 위해 원격 셀룰러 유닛을 사용하는 셀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차량 또는 사용자 스테이션에 의해 이용된 특정 프로토콜에 대한 상태 전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통신 센터, 통신 사이트, 원격 유닛 및 사용자 스테이션 사이의 사용자 및 시스템 채널 접속을 묘사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 레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통신 사이트, 원격 유닛 및 사용자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특정 셀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액섹스 상태의 상세한 상태 전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액세스 상태의 시스템 정보 메시지 패킷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원격 유닛을 제어하고 모니터하고 작동시키기 위하여 통신 센터로 그리고 그로부터 정보가 전송될 때 취해지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액세스 상태에서 취해진 특정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통신 센터4 ; 공중 교환 전화망
8 ; 통신 사이트28, 29 ; 사용자 스테이션
30 ; 중계기 36 ; 페이징 채널
54 ; 원격 안테나 구동기/원격 안테나 신호 처리기
56 ; 유틸리티 메타58 ; 스마트 안테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레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센터(2)는 원격 유닛을 모니터, 작동 및 제어하며, 시스템 정보의 사용은 시스템 채널상으로 전달되고, 시스템 링크는 원격 유닛 제어기(32)와 같은 외부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서 그리고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 사용자 통신 링크를 사용하지 않고서 페이징 채널(36) 및 액세스 채널(38)을 구비한다. 시스템 링크는 통신 사이트(8)와 원격 유닛 사이의 통신 링크의 부분이며, 상기 통신 링크는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통신 링크(26)를 더 구비한다. 통신 센터(2)는 그 특정 원격 유닛을 제어, 작동 및 모니터하기 위하여 단지 특정 원격 유닛에 대해서만 지정되는 시스템 채널(24)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통신 사이트(8)에 송신한다. 시스템 정보는 페이징 채널(36)상으로 통신 사이트(8)에 의해 방송된다. 원격 유닛은 통신 센터(2)에 의해 송신된 시스템 정보에 응답할 능력을 가지며, 원격 유닛은 액세스 채널(38)상으로 시스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통신 센터(2)와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응답은 시스템 채널(24)을 통하여 통신 사이트(8)에 의해 통신 센터(2)로 중계된다.
통신 센터(2)는 트렁크 라인(6)을 통하여 공중 교환 전화망(4)에 접속된다. 통신 센터(2)는 또한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사용자 채널(22)과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채널(24)을 구비하는 통신 채널(12)을 통하여 통신 사이트(8)에 연결된다. 통신 채널(12)은 통상 높은 데이터율 능력을 갖는 트렁크 라인이 된다. 페이징 채널(36), 액세스 채널(38) 및 사용자 채널(26)을 구비하는 통신 사이트(8)와 원격 유닛 사이의 통신 링크는 통상 무선 통신 채널이 된다. 액세스 채널(38)과 페이징 채널(36)은 통신 사이트(8)를 스마트 안테나(58), 유틸리티 메타(56), CDMA 신호로 포맷된 케이블 TV 신호를 처리하는 원격 안테나 구동기/원격 안테나 신호 처리기(RAD/RASP)(54)시스템, 중계기(30) 및 사용자 스테이션(28)과 같은 다양한 원격 유닛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원격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시스템 정보는 액세스 채널(38)을 통하여 통신 사이트(8)에 송신된다. 통신 사이트(8)에 의해 원격 유닛으로 방송되는 시스템 방송은 페이징 채널(36)을 통하여 전달된다. 중계기로서 구성된 것들을 제외한, 각각의 원격 유닛은 단지 특정 원격 유닛에 대해 지정된 시스템 정보 만을 송신 및 수신한다. 모든 원격 유닛은, 이들이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는 사용자 스테이션처럼 그리고 액세스 채널(38)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고 페이징 채널(36)을 통해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스테이션(28)에 의해 통상 사용된 동일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 처럼 시스템에 의해 처리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이들은 통신 센터(2)에 의해 모니터되고 제어 및 작동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또는 비디오와 같은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스테이션(28), 중계기(30) 및 통신 사이트(8) 사이에서 사용자 통신 링크(26)를 통해 전달된다. 사용자 스테이션으로부터 통신 사이트(8)로 또는 그 반대로 사용자 및 시스템 정보를 중계하는데 부가하여, 중계기(30)는 페이징 채널(36), 액세스 채널(38) 및 시스템 채널(24)상으로 통신 사이트(8)를 통하여 통신 센터(2)와 통신할 수 있다. 중계기(30)는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통신 사이트(8)로 중계하기 위해 수신된 시스템 정보와 그 자신의 사용을 위한 시스템 정보를 구별할 수 있다. 중계기(30)용의 시스템 정보는 중계기에 의해 처리되어, 통신 센터(2)에 의해 모니터, 작동 및 제어될 수 있다. 상술된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통신 사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통신 사이트는 통신 센터(2)로부터 원격 유닛의 특정 셋으로 중계하며, 또한 원격 유닛으로부터 통신 센터(2)로 부터로 정보를 중계한다. 통신 사이트(8)는 액세스 채널(38), 페이징 채널(36) 및 사용자 채널(26)을 구비하는 통신 링크를 통하여 시스템 및 사용자 정보를 직접 사용자 스테이션(29)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은 CDMA 구성을 사용자며 TIA/EIA/IS-95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도 5의 시스템을 도시한다. 통신 센터(2)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 OAM 모듈(18) 및 호출 처리 모듈(16)을 포함한다. 통신 센터(2)로 들어오는 시스템 정보는 실례로, 중계기(30)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중계기(30)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이 시스템(7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IS-95A 프로토콜에 따라 메시지를 엔코딩, 포맷 및 패키지화 한다. 시스템 정보는, 정보가 OAM 모듈(66)에 의해 처리된후, 시스템 채널(24)을 통하여 통신 센터(2)로 정보를 중계하는 통신 사이트(8)의 호출 처리 모듈(64)에 의해 수신된다. OAM 모듈(66)은 원격 유닛에 따른 정보를 제외하고 모든 시스템 정보를 처리한다. 원격 유닛에 관련된 정보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8)로 전달되어, 통신 사이트(8)의 조작자에 의해 요정되는 경우 MCRT(67)상에서 관측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OAM 모듈(66)은 모든 시스템 정보를 합병하여 이어지는 메시지 모드에 따라 합병된 시스템 정보를 재포맷하고, 결합된 시스템 정보를 통신 센터(2)로의 전송을 위해 호출 처리 모듈(64)로 전달한다. 시스템 정보는 통신 센터(2)의 호출 처리 모듈(16)에 의해 수신되어, 시스템 정보로서 인식된다. 호출 처리 모듈(16)은 OAM 시스템 정보 및 중계기(30)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OAM 모듈(18)에 전달한다. OAM 모듈(18)은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MCRT(20)에서 관측되어 분석될 수 있다. OAM 모듈(18)은 중계기(30)와 관련한 시스템 정보를 그러한 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로 루팅하여, MCRT(20)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60)는 원격 유닛고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그러한 정보가 MCRT(20)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거나, 프린터 또는 기억 장치와 같은 다른 주변 장치에 보내질 수 있다.
중계기(30)를 작동, 모니터 및 제어하기 위한 메시지 또는 명령과 같은 통신센터(2)로부터의 시스템 정보는 MCRT(20) 또는 다른 주변 장치로부터 발생된다. 그러한 정보는 OAM 모듈(18)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세스용 데이터 인터페이스(60)로 전달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은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통신 사이트(8)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8) 및 중계기(3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 또는 시스템내의 다른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해석될 수 있다. OAM 모듈(18)은 패키지된 명령을 수신하고 이를 IS-95A 프로토콜에 따라 패키지화하여, 통신 사이트(8)에서 호출 처리 모듈(64)에 의해 시스템 정보로서 인식된다. 다음, 이러한 정보는 프로토콜에 따르도록 정보를 처리하는 호출 처리기(16)에 전달된다. 호출 처리기(16)는 시스템 채널(24)을 통해 정보를 통신 사이트(8)로 송신하며, 앞서는 메시지 모듈에 따라 정보를 재포맷한다. 정보는 통신 사이트(8)의 호출 처리 모듈(64)에 의해 수신된다. 호출 처리기(64)는 시스템 정보로서 정보를 인식하고, IS-95A 프로토콜에 따라 페이징 채널(36)을 통해 정보를 중계한다. 통신 사이트(8)의 호출 처리 모듈(64)에 의해 중계된 시스템 정보는 통신 사이트(8)의 조작자에 의해 요청될 경우 MCRT(67)상에서 관측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68)는 원격 유닛에 관련된 모든 정보를 처리하여, 그러한 정보가 MCRT(67)상에 관측되거나 프린터나 기억장치와 같은 어떤 다른 주변 장치에 전송된다. OAM(66) 모듈은 또한 원격 유닛용의 시스템 정보를 사용자 스테이션용의 시스템 정보와 같은 다른 시스템 정보와 결합하여, 앞선 메시지 모드에 따라 결합된 정보를 재포맷하고, 결합된 시스템 정보를 페이징 채널(36)로 방송하기 위해 호출 처리 모듈(64)로 전송한다.
다음, 정보는 중계기(30)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에 의해 수신된다. 원격 유닛이 수신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먼저 수신된 시스템 정보가 중계기(30)의 모니터, 제어 및 작동을 위한 것인지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의 중계를 위한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그에 따라서 중계기(30)용의 시스템 정보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에 의해 처리된다. 다른 시스템 정보는 사용자 스테이션(28)상으로 중계된다. 만일 시스템 정보가 중계기(30)를 위한 것이라면, 수신된 정보는 작동이 원격 유닛에 의해 실행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수신된 정보를 처리하여, 모듈을 요청된 작동이 실행되게 하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듈(72)에 의해 적절히 번역된다. 수신된 정보는 데이터 인터페이스(70)에 의한 응답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한 환경에 있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IS-95A 프로토콜에 따라 응답을 포맷화하여 패키지화하고, 그 응답을 통신 사이트(8)를 통하여 통신 센터(2)로 전송한다. 즉,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원격 유닛(30)과 관련한 시스템 정보를 액세스 채널(38)을 통해 통신 사이트(8)로 전송한다. 호출 처리(64)는 통신 센터(2)에 속하는 시스템 정보로서 응답을 인식하고, 시스템 그 정보를 채널(24)을 통해 통신 센터(2)로 중계한다. 상기 응답은 시스템 정보로서 호출 처리(16)에 의해 인식된다. 호출 처리(16)는 들어오는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원격 유닛과 관련하는 정보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로 전송하는 OAM 모듈(18)로 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은 상기 정보를 처리하여, MCRT(20)이나 다른 주변 장치상에 관측될 수 있게 한다. 사용자 링크(26)를 통하여 중계기(3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 중계되며, 중계기(30)를 모니터, 작동 및 제어하도록 통신 센터(2)에 의해 이용되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서는 방해되지 않는다. 사용자 스테이션(28)으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는 그러한 정보를 사용자 링크(26)를 통하여 통신 사이트(8)로 중계하는 중계기(30)에 의해 수신된다. 다음, 사용자 정보는 통신 채널(12)의 사용자 채널(22)을 통하여 통신 센터(2)로 전송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내에 집적되기 위하여, IS-95A 프로토콜하에서, 사용자 스테이션이 실행되는 다양한 상태가 도시되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원격 유닛은 상태(50 및 52)를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동일한 전이 상태를 격게된다. 원격 유닛이 시스템 액세스 상태로 들어갈 때, 통신 사이트를 통하여 통신 센터로 정보를 언제라도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시스템 액세스 상태의 상세한 설명을 도시한다. 시스템 또는 오버헤드 채널 정보는 갱신되며, 원격 유닛은 상태 전이를 통하여 메시지 전송 서브상태로 들어간다. 도 8은 IS-95A 프로토콜에 따라 발생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설명한다. IS-95A 프로토콜에 규정된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가 있다.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포맷은 하기에 기술될 메시지 형태가 된다. 특히, 메시지는 적어도 CHAR 필드(75), 이동 스테이션 식별자(MSID) 필드(76), NUM_FIELDS 필드(77) 및 본 발명의 경우에 직접 관련되지 않으므로 하기에 기술되지 않는 다른 필드들을 포함하는 여러 길이의 메시지 피킷(74) 형태가 된다.
다양한 형태의 MSID 필드가 있으며, 그중 하나가 하기에 설명된다. 도 8에 도시된 MSID 필드는 두 개의 이동 식별 번호 서브필드 MIN1(78) 및 MIN2(79)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MIN1은 24 비트이고, MIN2는 10 비트이다. MSID(76) 필드는 또한 그 길이가 32 비트인 전자 일련 번호(ESN) 서브필드(8) 및 6 비트의 예약 서브필드(81)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MSID 필드는 시스템으로 합쳐진 각각의 사용자 스테이션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유일한 MSID를 갖는 각각의 사용자 스테이션에 부가하여, 각각의 원격 유닛은 MIN1, MIN2 및 ESN 식별 번호의 특정 셋을 포함하는 유일한 MSID 필드로 지정된다.
NUM_FIELD 필드(77)는 8 비트이고, CHAR 필드(75)에 위치된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 번호를 나타낸다. CHAR 필드(75)는 N 바이트이며, 여기서 N은 NUM_FIELD(77)에 기억된 번호와 동일하다. 각각의 바이트는 8 비트이다. 원격 유닛에 관련된 시스템 메시지는 CHAR 필드(75)에 위치될 수 있으며, 통신 사이트(8)를 통하여 통신 센터(2)로 전송된다. 메시지 패킷은 원격 유닛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로 포맷된다. 보내진 특정 메시지는 CHAR 필드(75)에 위치되며, 통신 센터(2)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 및 통신 사이트(8)의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8)에 의해 인식되어 이해되도록 인코드된다. 메시지 패킷은 도 8에 도시된 메시지 패킷(74)에 따르거나 IS-95A 표준의 관련 부분에 기술된 다른 메시지 포맷에 따라 패키지화 될 수 있다.
시스템 디자이너에 의해 고안된 특정 엔코딩 구성은 특정 통신 시스템의 상황 및 필요성에 의존하게 된다. 실례로, 원격 유닛은 원격 유닛으로부터 통신 사이트로 전송될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는데 이용된 전송 신호의 파워 레벨을 주기적으로 보고할 수 있다. 원격 유닛은, 전이 상태(50 및 52)를 제외하고, MSID를 가질 때 통신 시스템으로 통합되며, 일부가 도 4에 설명되는 IS-95A 프로토콜에 의해 요구된 전이 상태를 실행한다. 이제, 원격 유닛은 아이들 상태가 되며, 통신 사이트를 통하여 통신 센터에 의해 보내지는 특정 원격 유닛을 위한 임의의 들어오는 메시지를 검출하도록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원격 유닛이 그에 지정된 임의의 들어오는 메시지를 검출하지 않고 액세스 상태로 들어가길 원할 때, 도 7에 도시된 전이(48)를 통하여 액세스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 원격 유닛은 도 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메시지 패킷을 포맷한다. 메시지 패킷에 있어서, MIN1 서브필드(78), MIN2 서브필드(79) 및 ESN 서브필드(80)은 특정 원격 유닛에 대해 지정된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NUM_FIELD(77)는 메시지에 포함된 문자 번호를 나타낸다.
파워 레벨을 보고할 때, 메시지는 OUTPUT POWER OF USER CHANNEL IS 0 DB가 될 수 있다. NUM_FIELD 필드(77)는 메시지가 총 36 문자(포함된 종류)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2진 코드 00100100를 포함한다. 메시지의 각각의 문자를 인코딩하도록 시스템 디자이너에 의해 이용된 인코딩 구성은 ASCII 또는 EBCDIC(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도 있음)이 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문자는 8 비트 코드로 표시된다. 메시지의 각각의 36문자는 결과적으로 CHAR 필드(75)에 위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CHAR 필드(75)는 길이가 8 바이트가 된다. CHAR 필드(75)에 위치된 특정 메시지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에 의해 인코드된다. 또하 원격 유닛은 패킷이 확실히 IS-95A 프로토콜에 따르게 하는 모든 다른 필요한 필드의 메시지 패킷(여기에 기술되지는 않지만, IS-95A 프로토콜에는 기술됨)을 형식화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액세스 채널(38)을 통하여 메시지 패킷을 통신 사이트(8)로 전송한다. 통신 사이트(8)의 호출 처리 모듈(64)은 메시지를 수신하며, 이를 시스템 정보로 인식하여, 시스템 채널(24)을 통해 통신 센터(2)로 중계한다. 상기 메시지는 통신 사이트(8)의 조작자에 의해 요청될 경우 MCRT(67)상에서 관측될 수 있다. 즉, 호출 처리(64)는 임의의 원격 유닛과 관련된 모든 정보 처리를 위해 데이터 인터페이스(68)로 전송하는 OAM 모듈(66)로 시스템 정보의 복사본을 전송할 수 있게되어, 그러한 정보는 MCRT(67) 또는 다른 주변 장치상에서 관측될 수 있게 된다. OAM 모듈(66)은 또한 원격 유닛과 관련되지 않은 시스템 정보를 처리한다. 통신 센터(2)의 호출 처리 모듈(16)은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시스템 정보로서 인식한다. 호출 처리 모듈(16)은 정보를 OAM 모듈(18)로 전송하고, 상기 모듈(18)은 원격 유닛과 관련한 모든 시스템 정보를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로 전송하며, 상기 모듈(60)은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여, MCRT(20)상에 관측될 수 있게 한다.
유사하게, 시스템 센터(2)로부터 발생하여 통신 사이트(8)로부터 페이징 채널(36)을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메시지는 IS-95A 표준에 따라 패키지화되어 포맷화된다. 특히, IS-95A 프로토콜은 페이징 채널(36)상으로 전달된 메시지에 대해 상술된 동일한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 포맷을 앞서게 한다. 이와 같이, 메시지 패킷의 포맷은 액세스 채널(38)에 대해 이용된 패킷과 동일하다. 실례로, 통신 센터(2)가 상술된 원격 유닛에 의해 전송된 상태 정보에 응답할 때, 메시지 INCREASE OUTPUT POWER BY 5 DB을 보낼 수 있다. 비트 스트림 00011101은 들어오는 메시지가 29문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도 8에 기술된 NUM_FIELD(77)에 위치된다. 메시지는 또한 시스템에 앞서게 되는 코딩 구성에 따라 인코딩된다. 다시, 메시지에 대한 인코딩 구성은 ASCII 또는 EBCDIC가 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문자는 8 비트로 표시된다. 다른 코딩 구성은 이들이 이해되는한 이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에 의해 적절히 해석될 수 있다. 식별 필드(도 8에 도시된 MIN1, MIN2 및 ESN)은 메시지가 지정되는 특정 원격 유닛(8)의 식별 번호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페이징 채널(36)상으로 통신 사이트(8)에 의해 방송될 수 있으며, 지정된 원격 유닛에 의해 검출되어 그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이 메시지를 처리하여 원격 유닛이 메시지에 의해 요청된 동작을 실행하게 한다.
도 9는 어떻게 원격 유닛이 모니터되고, 작동되며, 제어되는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시스템의 초기화시 원격 유닛은 아이들 상태(102)에 있다. 일단 원격 유닛이 아이들 상태(102)로 들어갔다면, 본 예에 있어서 IS-95A 프로토콜인 시스템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센터와 시스템 정보를 이미 교환했다. 아이들 상태(102)에 있어서, 원격 유닛은 그 특정 원격 유닛에 대해 임의의 들어오는 메시지가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연속하여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한다. 원격 유닛은 들어오는 메시지를 검출할 때 까지 또는 액세스 채널상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 까지 상기 모드에서 유지된다. 즉, 단계(104)동안에, 각각의 원격 유닛은 임의의 들어 오는 메시지가 있는지와 검출된 들어오는 메시지가 그 특정 원격 유닛에 대해 지정되는지를 결정한다. 원격 유닛은 각 메시지 패킷의 식별 번호를 그 지정된 식별 번호와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결정을 달성한다. 들어오는 식별 번호가 그 자신의 식별 번호와 일치한다면, 메시지 패킷이 수신되어 분석을 위해 데이터 인터페이스로 전송된다. 일단 전체 메시지가 원격 유닛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메시지를 원격 유닛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듈에 전송하여 메시지에 의해 요청된 특정 동작을 실행하거나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통신 센터에 대한 응답을 형식화한다. 원격 유닛이 페이징 채널을 통하여 어드레스된 메시지를 검출하지 않는다면, 단계(103)이 실행된다. 단계(103)에 있어서, 원격 유닛은 계속하여 패이징 채널을 모니터하거나 또는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한다.
단계(106)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어드레스된 시스템 정보를 검출할 때 실행된다. 정보가 수신되고 시스템이 단계(108)로 진행되며, 여기서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지정된 요청 동작을 실행하도록 수신된 정보를 처리한다. 단계(110)는 원격 유닛이 수신된 시스템 정보에 응답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지를 결정한다.
특히, 데이터 인터페이스는 수신된 정보를 해석하며, 필요하다면 이용된 인코딩 구성에 따라 응답을 형식화한다. 원격 유닛이 응답해서는 안된다면, 단계(104)로 돌아가 페이징 채널의 모니터를 계속한다. 응답이 요구된다면, 원격 유닛은 액세스 상태(112)로 들어가며, 그에 따라 상술된 시스템의 프로토콜에 따라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통신 사이트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10은 원격 유닛이 액세스 상태(112)에 있을 때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10의 단계(114)에 있어서, 원격 유닛은 도 8과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시스템 정보를 포맷화하여 패키지화한다. 단계(116)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는 액세스 채널상으로 전송된다. 다음, 시스템 정보는 통신 사이트에 의해 수신되고, 여기에서 호출 처리 모듈은 이를 시스템 정보로서 인식하고 그러한 정보를 시스템 작동, 관리 및 유지보수 모듈(OAM)로 지정한다. 단계(120)에서, 통신 사이트는 시스템 정보를 통신 센터에 결합된 다른 시스템 정보와 결합시킨다. 이러한 것은 모든 시스템 정보를 메시지 블록 시퀀스로 간단히 결부시키므로써 실행된다. 단계(122)에 있어서, 통신 사이트는 결합된 시스템 정보를 시스템 채널(24)을 통해 통신 센터(2)로 전송한다. 단계(124)에 있어서, 통신 센터는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은 호출 처리 모듈, OAM 모듈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하여 원격 유닛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처리한다.
내용 없음.

Claims (10)

  1. 통신 센터(2), 통신 사이트(8), 및 상기 통신 센터와 통신 사이트 사이에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채널(24)을 갖는 통신 채널(12)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지 시스템 정보 만을 송수신하는 원격 유닛(30); 및
    상기 통신 사이트와 상기 원격 유닛 사이에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링크(36, 38)를 갖는 통신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링크는 무선 통신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링크는 시스템 정보가 통신 사이트로부터 원격 유닛으로 전송되는 페이징 채널(38)과 시스템 정보가 원격 유닛으로부터 통신 사이트로 전송되는 액세스 채널(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은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는 사용자 채널(22)을 구비하고, 통신 링크는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는 사용자 링크(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통신 사이트 및 중계기 사이에서 상기 링크를 통해 전달된 사용자 정보를 중계하며, 중계기 및 통신 사이트 사이에서 시스템 링크를 통하여 전달되는 시스템 정보를 중계하는 중계기(30)를 구비하며, 상기 중계기는 통신 센터에 의해 모니터, 작동 및 제어되고, 상기 중계기로 지정된 시스템 정보가 통신 사이트를 통하여 통신 센터 및 중계기 사이에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을 갖는 통신 센터,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8)을 갖는 통신 사이트, 및 통신 센터 및 통신 사이트 사이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채널(24)을 갖는 통신 채널(12)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단지 시스템 정보 만을 송수신하며, 제 3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을 갖는 원격 유닛(30); 및
    통신 사이트 및 원격 유닛 사이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시스템 링크(76, 38)를 갖는 통신 링크로서, 상기 제 3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은 통신 시스템에 의해 활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원격 유닛에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포맷화하고, 시스템 정보를 인코딩하여 정보가 제 1 및 제 2 데이터 모듈에 의해 해석될 수 있게 되는, 상기 통신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0)은 원격 유닛(30)과 관련된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고, 시스템 정보를 주변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1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68)은 원격 유닛(30)과 관련하는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고, 시스템 정보를 주변 장치(20)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64, 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제 3 데이터 인터페이스 모듈(70)은 원격 유닛(30)이 시스템 정보에 의해 요청된 동작을 실행하도록 통신 센터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통신 채널은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는 사용자 채널을 구비하고, 통신 링크는 사용자 정보가 전달되는 사용자 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19970054935A 1996-10-31 1997-10-24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99800331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41,009 1996-10-31
US08/741,009 US6160992A (en) 1996-10-31 1996-10-31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remote un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165A true KR19980033165A (ko) 1998-07-25

Family

ID=2497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935A KR19980033165A (ko) 1996-10-31 1997-10-24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160992A (ko)
EP (1) EP0840533B1 (ko)
JP (1) JP3283807B2 (ko)
KR (1) KR19980033165A (ko)
CA (1) CA2216223C (ko)
DE (1) DE6972213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81668A (fi) * 1998-07-28 2000-01-29 Nokia Networks Oy Oheislaitteen ohjaus kommunikaatiojärjestelmässä
JP3996718B2 (ja) * 1999-01-07 2007-10-2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端末間通信方法
EP1175800A1 (en) * 1999-05-04 2002-0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rminal assisted management f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FR2796787A1 (fr) * 1999-07-21 2001-01-26 Alstom Systeme d'echange d'informations entre une station maitre et differentes stations esclaves raccordees par un reseau de transmission d'informations par voie radioelectrique
US6813256B1 (en) * 1999-09-30 2004-11-02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data link for a GSM-CDMA air interface
CA2284947C (en) * 1999-10-04 2005-12-20 Storageques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storage
US6757738B1 (en) * 2000-05-18 2004-06-29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hannel utilization
WO2002041511A1 (en) * 2000-11-15 2002-05-23 At & T Wireless Services, Inc.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components in a mobility network
KR20030008243A (ko) * 2001-07-16 200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원격제어 방법
US7062224B2 (en) * 2002-01-09 2006-06-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monitoring repeater traffic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7590383B2 (en) 2001-10-25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mobile station position using base station identification and a repeater discriminant
TWI309928B (en) 2001-11-20 2009-05-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for a repeater and for controlling noise in a donor base station, repeater, method of providing signal coverag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5104573A1 (en) 2004-04-05 2005-11-03 Qualcomm Incorporated Repeater that reports detected neighbors
US7831263B2 (en) 2002-11-08 2010-11-0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 repeater
US7471658B2 (en) * 2002-12-04 2008-12-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ntrol of transmission procedures
MXPA06011461A (es) 2004-04-05 2006-12-20 Qualcomm Inc Repetidora con capacidades de posicionamiento.
US7234651B2 (en) * 2004-04-07 2007-06-26 Rain Bird Corporation Close-in irrigation spray head
WO2005104494A2 (en) * 2004-04-16 2005-11-03 Cesura, Inc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s for managing and controlling the same
US7778596B2 (en) 2004-07-29 2010-08-17 Qualcomm Incorporated Airlink sensing watermarking repeater
FI20055105A0 (fi) * 2005-03-04 2005-03-04 Nokia Corp Menetelmä liikenteen ohjaamiseksi, radiojärjestelmä, etäyksikkö ja tukiasema
US8018884B2 (en) * 2006-06-21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network controller
US8700105B2 (en) 2006-06-22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Low duty cycle device protocol
US8055461B2 (en) 2006-09-15 2011-11-08 Itron, Inc. Distributing metering responses for load balancing an AMR network
US20120182832A1 (en) * 2006-09-29 2012-07-19 INOVA, Ltd. Seismic data acquisition systems and method utilizing a wireline repeater unit
US9185654B2 (en) 2008-07-16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server having an information and scheduling controller to support one or more low duty cycle wireless devices
CN109615840A (zh) * 2018-12-24 2019-04-12 北方通用电子集团有限公司 一种无线远程通信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285A (ja) * 1992-05-29 1994-05-06 Nec Corp 中継器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224831A (ja) * 1993-01-22 1994-08-12 Fujitsu Ltd 移動無線通信方式
JPH07264124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信号中継方式
JPH08275236A (ja) *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7490A (en) 1937-06-24 1938-12-21 Operadio Mfg Co Selective tuning mechanism for radio receivers
GB8419003D0 (en) * 1984-07-25 1984-08-30 Racal Res Ltd Portable telephones
US5086506A (en) * 1987-08-14 1992-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Radio trunking fault detection system with power output monitoring and on-air monitoring
US5260987A (en) * 1990-06-18 1993-11-09 Northern Telecom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AT399139B (de) * 1990-11-20 1995-03-27 Art Bickford & Co Verschlussstück für gefässe für probengu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5265150A (en) * 1991-01-30 1993-11-23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ally configuring wireless PBX system
DE4205239A1 (de) * 1992-02-21 1993-08-26 Sel Alcatel Ag Mobiles testgeraet fuer ein mobilfunk-system
US5446924A (en) * 1993-05-03 1995-08-29 Motorola, Inc. Method for assuring data integrity during a repeater transition
US5541979A (en) * 1994-03-08 1996-07-30 Allen Telecom Group, Inc. Cell extender with timing alignment for use in time division multiple-access and similar cellular telephone systems
JP2591467B2 (ja) * 1994-04-18 1997-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セス方式
US5675371A (en) * 1995-10-27 1997-10-07 Location Science Corpora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cable television system remote equipment performance and status using a cell mod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285A (ja) * 1992-05-29 1994-05-06 Nec Corp 中継器監視制御システム
JPH06224831A (ja) * 1993-01-22 1994-08-12 Fujitsu Ltd 移動無線通信方式
JPH07264124A (ja)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信号中継方式
JPH08275236A (ja) * 1995-03-30 1996-10-18 Toshiba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0533B1 (en) 2003-05-21
JPH10191424A (ja) 1998-07-21
CA2216223C (en) 2001-10-30
US6160992A (en) 2000-12-12
EP0840533A3 (en) 1999-11-24
DE69722135D1 (de) 2003-06-26
US6442372B1 (en) 2002-08-27
DE69722135T2 (de) 2004-03-18
CA2216223A1 (en) 1998-04-30
EP0840533A2 (en) 1998-05-06
JP3283807B2 (ja) 200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3165A (ko) 통신 시스템의 원격 유닛과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7215948B2 (en) Multicast communication method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605957B1 (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with mobile station handover
CA2128386C (en) Communication technique employing variable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0318940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호장애시재접속방법
CN100479606C (zh) 在移动通信终端中转移数据的方法
US6947405B2 (en) Cellular system with cybercells
CA2332465C (en)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the data capacity of a cellular network control channel
US20080214221A1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WO1995025407A1 (en) Modem for packet and circuit switched communication
US54487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lacing a non-functioning transmitter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82050A1 (en) 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f components in a mobility network
JPH07203530A (ja) 固定セ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管理、保守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その実行手段
US65101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EP0899899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a signaling channel
US7050411B2 (en) Dynamic DCCH/FCH switching
US6393273B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ARQ capability of a base station
US7187929B2 (en) Radio link controlling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link controlling method
KR100240057B1 (ko)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JPH07226707A (ja) 移動無線データ通信方法
KR100221840B1 (ko)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WO2002040511A2 (de) Dna-sequenz und microcin aus escherichia coli stamm dsm 6601
KR100290430B1 (ko) 무선호출 데이터 위성 전송 지구국 시스템의 감시/제어망 위성 링크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73734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 제어 방법
KR2003005204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f 파워 통계 정보 수집 방법 및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1025

Effective date: 2006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