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71U - 향발산이 가능한 필기구 - Google Patents

향발산이 가능한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71U
KR19980032171U KR2019980008864U KR19980008864U KR19980032171U KR 19980032171 U KR19980032171 U KR 19980032171U KR 2019980008864 U KR2019980008864 U KR 2019980008864U KR 19980008864 U KR19980008864 U KR 19980008864U KR 19980032171 U KR19980032171 U KR 19980032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fragrance
outer cylinder
perfum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2562Y1 (ko
Inventor
황순옥
Original Assignee
황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순옥 filed Critical 황순옥
Priority to KR2019980008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562Y1/ko
Publication of KR19980032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562Y1/ko

Link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를 겸하면서 향기를 발산하거나, 사용자의 신체일부 및 의복등에 향기를 묻힐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향 필기구에 대하여 개시한다.
글씨 쓰기에 적합한 필심과 이를 고정지지하는 외통으로 된 통상의 필기부재와, 향을 함침시킨 충진심과 상기 충진심에서 향수를 흡수하는 유도심과, 상기 유도촉되어 구름운동시 향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접촉구를 외통에 지지하는 향발산부재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자의 취향과 분위기에 따라서 필기부재에서 향수를 신체 또는 원하는 곳에 묻힐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향발산이 가능한 필기구
본 고안은 글씨는 쓸때에 사용하는 필기구에서 저장된 향수를 신체의 일부 또는 의복에 묻힐 수 있도록 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필기구는 손가락으로 파지하게 되는 외통과, 필심을 고정하는 필촉캡이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고, 그 내부에 수장실을 두어 잉크가 충진된 필심을 수징실에 설치하면 필심의 선단에 위치한 필촉이 필촉캡의 외부로 노출되며, 필촉캡체의 선단에는 필심의 선단을 보호하며 잉크의 마름을 방지하기위한 뚜껑이 결합, 분리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통상의 필기구는 글씨를 쓰는 기능으로 사용되었으므로 그 사용기능이 단순하여 사용자의 취향을 맞추기 위하여 디자인장식과 필심의 추출구조와 표면의 색상을 부여하게 되었고, 잉크에 향을 썩어 글씨를 쓴곳에서 향이 나도록 한 제품도 소개되었으며, 외통의 사출시 사출재료에 향을 섞어 사출후 필기구의 외통에서 향이 발산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제안된 필기구들은 향기를 발산하기는 하나 잉크에 섞은 경우에는 글씨를 써야만 향기가 발산되는 단점이 있고, 몸체의 사출시에 재료에 향을 섞는 경우는 향발산을 억제하지 못하므로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기구와 별도의 향발산부재를 결합시켜 필기구로는 글씨를 쓰고 향발산부재로는 머리가 맑지 못할때 그리고, 여러사람이 모인 공간에시 퀴퀴한 냄새가 날때 향을 발산 또는 맡을 수 있으며, 용지 또는 신체 및 그 이외의 특정부위에 향기를 필요한 만큼 묻힐 수 있도록 하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글씨 쓰기에 적합한 필심과 이를 고정지지하는 외통으로 된 통상의 필기부재와, 향을 함침시킨 충진심과 상기 충진심에서 향수를 흡수하는 유도심과, 상기 유도촉되어 구름운동시 향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접촉구를 외통에 지지하는 향발산부재가 상호 연결될 수 있는 결합부재를 나사돌부와 나사홈부를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돌부와 나사홈부를 나사식으로 체결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에는 향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성이 높은 오링(o-Ring)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필기구는 필기부재와 일체로 향발산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뚜껑을 열어 촉구를 원하는 곳에 접촉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향수의 향기가 발산되거나 묻어나는 효과를 가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적용한 필기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필기구를 조립한 상태에 대한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대한 필기부재와 향발산부재의 결합부위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필기부재 11...외통
12...필촉캡 13...수장실
14...필심 15...뚜껑
16...체결부 20...향발산부재
21...외통 22...촉대
23...수장실 24...충진심
25...유도심 26...촉구
27...체결부 29...뚜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를 나타낸 제1도를 참조하면, 이는 원통형상의 본체(10)의 양단에 나사홀(11a)과 나사돌부(16)을 형성하여 수장실(13)의 일측으로 잉크가 충진된 필심(14)을 삽입하고 필심(14)에 필촉캡(12)을 씌워 나사홀(11a)과 체결되게 하여 필촉이 필촉캡(12)의 선단으로 노출되게 하는 것으로 필기부재(10)는 구비된다.
상기 필기부재의 외통(11)의 타단에는 나사돌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향발산부재(20)를 연결할 수 있다.
향발산부재(20)는 원통형상의 외통(21)과 그 외통의 일측에는 향을 보관하기 위한 수장실(2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향을 원하는 곳에 발산하는 촉대(22)를 형성한다.
상기 촉대(22)는 선단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며 뚜껑을 결합할 수 있는 나사부(28)를 연이어 형성하고, 그 중앙은 수장실(23)과 관통되게 뚫어 형성한다.
상기 촉대(22)의 나사부(28)에는 향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0-Ring)이 설치된다.
상기 외통(21)에 뚫린 수장실(23)에는 구름운동하는 촉구(26)를 삽입하여 촉대(22)의 선단에 이르게 하고 향을 유도해낼 수 있는 유도심(25)을 삽입하여 상기의 촉구(26)에 접촉되게 한다.
상기 수장실(23)에는 향수(香水)를 함침할 수 있는 섬유재를 내장하여서 된 충진심(24)을 삽입하여 선단이 유도심(25)부위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향발산부재(20)는 수장실(23)의 나사홀(27)이 필기부재의 외통(11)에 형성된 나사돌부(16)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향이 발산되는 필기구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향발산부재(20)의 수장실(23)과 연결된 나사홀(27)은 필기부재의 나사돌부(16)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기도 하지만 충진심(16)에 함침된 향이 모두 발산되었을 때 향수를 재충전하기 위한 주입개소의 역활도 한다.
그리고, 향 발산부재(20)의 촉대(22)에는 향수가 묻어 나오는 촉구(26)를 외부로 부터 보호하고 향수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씌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필기구는 통상의 사용방법에 따라서 뚜껑(15)을 벗겨서 외통(10)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글씨를 쓴다.
글씨를 쓰는 도중이거나, 휴식중 일때 향발산부재(20)의 뚜껑(29)을 열고 그 선단의 촉대(22)에 노출되어 있는 촉구(26)를 원하는 신체의 부위에 대고 문지르거나, 코근체에 가까이 대면 발산되는 향기를 맡을 수 있어 기분과 분위기를 전환할 수 있다.
만일 향이 촉대(22)에서 더 이상 발산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진심(24)의 향수가 모두 증발되어 버린 경우이므로 필기부재(10)와 향발산부재(20)를 분리하면 향발산부재(20)의 외통(21)에서 충진심(24)이 노출되므로 이에 향수를 주입하고 다시 필기부재의 외통 나사돌부(16)를 향발산부재의 외통나사홀(28)에 결합시키면 필기부재와 향발산부재가 연결되며, 향의 증발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필기구에 향이 발산되는 향발산부재를 일체의 구성으로 글씨를 쓰는것 외에 공부도중과 역겨운 냄새흡입시 향긋한 향기를 맡을 수 있어 기분전환에 도움을 주고, 향발산부재와 필구부재의 연결구성이 간단하여 제작과 취급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향수 필기구는 상기한 실시예 이외에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 제조가 가능함은 두 말할것도 없다.

Claims (3)

  1. 글씨 쓰기에 적합한 필심과 이를 고정지지하는 외통으로 된 통상의 필기부재와, 향을 함침시킨 충진심과 상기 충진심에서 향수를 흡수하는 유도심과,
    상기 유도촉되어 구름운동시 향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접촉구를 외통에 지지하는 향발산부재와, 상기 향발산부재와 필기부재의 일단에 상호결합되어 지지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여 된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필기부재의 외통에서 돌출형성한 나사돌부와, 향발산부재의 외통에서 수장실과 연결되게 형성한 나사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테이퍼진 돌부와 상기 테이퍼진 돌부에 억지 끼우기로 되는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2019980008864U 1998-05-27 1998-05-27 향발산이가능한필기구 KR200262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64U KR200262562Y1 (ko) 1998-05-27 1998-05-27 향발산이가능한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864U KR200262562Y1 (ko) 1998-05-27 1998-05-27 향발산이가능한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71U true KR19980032171U (ko) 1998-08-17
KR200262562Y1 KR200262562Y1 (ko) 2002-11-21

Family

ID=69512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864U KR200262562Y1 (ko) 1998-05-27 1998-05-27 향발산이가능한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5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562Y1 (ko)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265A (en) Ink Eraser
NO871405D0 (no) Fyllepenn.
US20100047005A1 (en) Light-emitting writing instrument and light-emitting indicator using the same
KR19980032171U (ko) 향발산이 가능한 필기구
US5299736A (en) Air freshener device with a ceramic container and an absorbent pad
KR200380265Y1 (ko) 방향제필통
KR200161325Y1 (ko) 향수필기구
KR200305411Y1 (ko) 향기 나는 펜
KR200171292Y1 (ko) 필통
KR200401648Y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필기구
KR200240697Y1 (ko) 향수 휴대용 필기구
KR20210017773A (ko) 아로마 컴퓨터용 싸인펜
KR200440216Y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필기구
US20070274767A1 (en) Permanent ink refill and permanent ink refillable writing instrument articles and methods
KR940000803Y1 (ko) 필기구용 향료통
JPH0840478A (ja) 液体芳香剤容器
KR200267489Y1 (ko) 볼펜이 부설된 향수병
KR880003328Y1 (ko) 향료통을 가진 볼펜
KR940008168Y1 (ko) 메모지 보관함
KR870003688Y1 (ko) 방향제(芳香劑)를 내장하는 필기구
KR200384201Y1 (ko) 향기나는 볼펜
JP2002154298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KR960000975Y1 (ko) 꽃나무와 향료가 내장된 필기구
KR19990033719U (ko) 샤프펜
JP2002293090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1025

Effective date: 2001110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