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08U -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08U
KR19980032108U KR2019980008632U KR19980008632U KR19980032108U KR 19980032108 U KR19980032108 U KR 19980032108U KR 2019980008632 U KR2019980008632 U KR 2019980008632U KR 19980008632 U KR19980008632 U KR 19980008632U KR 19980032108 U KR19980032108 U KR 199800321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cony
handrail
hole
brack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렬
Original Assignee
박대식
주식회사 준우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식, 주식회사 준우상공 filed Critical 박대식
Priority to KR2019980008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108U/ko
Publication of KR199800321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08U/ko

Links

Landscapes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코니의 양 측벽에 고정부착되는 측부브라켓트(30)와 발코니의 하부 방수턱(70)에 고정부착되는 하부브라켓트(40)에 각각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와 세로파이프(65)를 끼워 발코니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측부브라켓트(3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31)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브라켓트(40)는 일정길이의 평판을 “ㄷ”형으로 절곡시키고 그 상부에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 하단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41)이 형성되도록 하여 난간(100)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작업공정을 줄여 난간(100) 설치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설치비의 절감과 견고한 안전성을 제공하며, 섀시(71) 설치공간확보로 발코니의 유효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본 고안은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난간을 고정하는 측부브라켓트와 하부브라켓트를 발코니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되, 측부브라켓트와 하부브라켓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난간의 가로파이프와 세로파이프가 관통되어 끼워짐으로써, 난간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작업공정을 줄여 난간 설치시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설치비의 경감과 견고한 안전성을 제공하며, 섀시 설치공간확보로 발코니의 유효공간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난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벽(7)에 난간(10)의 고정파이프(12) 단부를 끼울 수 있는 삽입관부(2)를 형성하고 일측에 환상지지턱(5)이 형성된 관형고정구(1)를 콘크리트벽(7)에 매립시켜 상기 고정파이프(12)를 상기 삽입관부(2)에 끼워서 난간(10)을 설치하였으며, 콘크리트바닥(7′)에 상기한 관형고정구(1)를 매립하여 난간(10)을 끼워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와같이 고정파이프(12)나 난간(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벽(7)이나 콘크리트바닥(7′)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한 관형고정구(1)를 벽이나 바닥의 적정위치에 매립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의 설치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설치후에 난간(10)의 크기를 상기 관형고정구(1)의 위치와 동일하게 제작하여야 하는 작업과 작업공수의 과다로 대단위로 시공되는 아파트에 있어서 이와같은 난간 설치작업은 작업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었다.
한편, 입주자가 발코니 공간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 발코니 섀시를 설치하여 다목적으로 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바, 발코니 섀시의 설치시 발코니 난간과의 간섭 및 방해로 인하여 공간의 협소화 및 섀시 설치작업에 많은 애로가 있었는데, 근래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난간 고정용 브라켓트를 사용하여 난간을 발코니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에 있어서는 난간을 측면에서 고정하는 브라켓트(25)의 외측이 막혀 있었으므로 난간의 핸드레일(22)을 각 발코니의 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끼워넣게 되므로서 그 결합깊이가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정확한 길이로 절단되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여 난간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브라켓트(25)에 끼워진 핸드레일(22)이 빠질 우려가 있었고, 브라켓트(25)의 평판부와 단통부(29)가 점용접되어 있었으므로 용접부(28)가 탈락되어 구조상으로도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접부가 부식 또는 손상되어 난간의 안전도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난간을 발코니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트의 구조를 견고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벽면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설치후에는 뛰어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난간 설치작업도 간단하여 시공자에게는 공사일정의 단축과 설치자에게는 저렴한 가격에 확실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난간대 고정용 브라켓트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발코니의 양 측벽에 고정부착되는 측부브라켓트와 발코니의 방수턱 상면에 고정부착되는 하부브라켓트로 각각 난간의 가로파이프와 세로파이프를 끼워 발코니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부브라켓트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일측에 난간의 가로파이프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브라켓트는 일정길이의 평판을 ㄷ”형으로 절곡시키고 그 상부에 난간의 세로파이프 하단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이 형성된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난간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측부브라켓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브라켓트의 사시도,
도 6은 하부브라켓트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고정구조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로파이프 고정용 하부브라켓트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종래고안에 따른 난간 고정용 브라켓트의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형고정구 2 : 삽입관부
5 : 환상지지턱 7 : 콘크리트벽
7′: 콘크리트바닥 10 : 난간
11 : 발코니 12 : 고정파이프
22 : 핸드레일 23 : 앵카볼트
24 : 벽체 25 : 브라켓트
28 : 용접부 29 : 단통부
30 : 측부브라켓트 31, 41 : 관통홀
32, 42 : 고정홀 35 : 결착수단
40 : 하부브라켓트 43 : 절곡부
44 : 끼움부 45 : 고정부
46 : 절곡단면 60 : 가로파이프
65 : 세로파이프 70 : 방수턱
71 : 섀시 80 : 측벽
이하에서는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난간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이 난간(100)에 설치된 측부브라켓트(30)와 하부브라켓트(40)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4 및 도 5는 상기 측부브라켓트(30)와 하부브라켓트(40)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측부브라켓트(30)는 스테인레스강(SUS304) 재질의 평판형상으로 일측에는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를 끼울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결착수단(35)에 의해 측벽(80)에 고정되며, 난간(100) 설치시 전,후 이동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측부브라켓트(3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홀(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하부브라켓트(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측부브라켓트(30)와 동일 재질로 제작되며, 일정한 크기의 평판 일측에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 하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관통홀(41)이 형성되며, 관통홀(41)의 타측에는 아파트 발코니의 방수턱(70)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부브라켓트(40)의 길이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고정홀(42)이 형성되며, 이와같이 형성된 측부브라켓트(40)는 상기 관통홀(41)이 형성된 끼움부(44)가 고정홀(42)이 형성된 고정부(45) 상단으로 절곡부(43)를 따라 절곡되어지며, 이때 끼움부(44)와 고정부(45)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는 절곡단면(4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평판으로 형성된 하부브라켓트(40)는 간단한 절곡작업을 통해서 절곡되어
ㄷ” 형의 모양을 이루며, 상기 고정부(45)는 상단의 끼움부(44)보다 다소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측부브라켓트(30)와 하부브라켓트(40)가 아파트 발코니에 설치되어 난간(1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상태가 도 1에 도시된 것이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측부브라켓트(30)와 하부브라켓트(40)를 이용한 난간(100) 설치시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는 측부브라켓트(30)의 관통홀(31)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 하단은 하부브라켓트(40)의 관통홀(41)을 관통하여 고정부(45) 상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이루며, 이렇게 설치된 난간(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즉, 양쪽의 측벽(80)에 설치되는 측부브라켓트(30)는 고정홀(32)에 결착수단(35)이 끼워져 측벽(80)의 일단에 고정되고, 관통홀(31)이 형성된 부위는 측벽(8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기의 하부브라켓트(40)도 끼움부(44)보다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고정부(45)가 방수턱(70)의 상면에서 고정홀(42)에 결착수단(35)이 체결되어 고정되므로 끼움부(44)가 방수턱(7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룬다.
따라서, 발코니의 방수턱(70) 상면에는 섀시(71)를 설치할 수 있는 여유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방수턱(70)의 상면에 별도의 작업 없이도 섀시(71)를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의 측부브라켓트(30)는 스테인레스강(SUS304)으로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판으로 제작되며, 그 일측에는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 가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관통홀(31)이 형성되어서 상기 가로파이프(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관통홀(31)이 형성된 일측 선단부는 관통홀(31)의 원호와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딩 처리된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사용자나 작업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며, 이 라운딩 처리된 테두리부가 다른 모양의 형상, 즉 크로바 형상이든지 아니면 다른 모양으로 제작되어 설치된 경우에는 난간(100) 및 발코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색다르게 꾸밀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31)의 타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고정홀(32)이 길게 형성되어서 측벽(80)에 고정할 때 난간(100)의 외부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의 측부브라켓트(30)는 아파트 발코니의 크기에 따라 공장에서 제작되어진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에 끼운 후에 발코니의 측벽(80)에 설치작업만 하면 난간(100) 설치가 완료되는 바, 종래와 같이 벽면에 설치된 브라켓이나 고정파이프에 난간을 고정하거나 끼우기 위하여 용접작업 및 절단작업을 하는 불편이 없어 공사기간의 단축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이렇게 설치된 측부브라켓트(30)는 난간(100)의 상·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하부브라켓트(40)는 상기의 측부브라켓트(30)의 관통홀(31) 및 고정홀(32)의 형상과 동일한 방식으로 관통홀(41)과 고정홀(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41)과 고정홀(42) 사이에 형성된 절곡단면(46)은 두곳의 절곡부(43)에 의해 관통홀(41)이 형성된 끼움부(44)가 고정홀(42)이 형성된 고정부(45) 상단으로 절곡되어 세로파이프(65)가 관통되어 끼워질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관통홀(41)에 세로파이프(65)가 끼워져 고정부(45)의 상면에 세로파이프(65)의 하단이 위치되도록 하여 난간(1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발코니의 측벽(80)에 고정되는 측부브라켓트(30)를 설치하기 전에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가 설치되는 적정위치를 선정하여 먼저 상기 하부브라켓트(40)를 방수턱(70)의 상면에 고정한 후에, 고정된 하부브라켓트(40)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41)에 상기 세로파이프(65)를 끼우고 가로파이프(60)에 끼워진 측부브라켓트(30)를 측벽(80)의 적정한 고정위치로 이동하여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관통홀(31)이 형성된 평판상의 측부브라켓트(30)와 하부브라켓트(40)에 의해 발코니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난간(100)이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상기의 방수턱(70) 상면에 섀시(71)를 설치할 수가 있어 발코니의 유효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발코니 양쪽의 측벽(80)에 고정된 측부브라켓트(30)의 관통홀(31)에 가로파이프(60)가 끼워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있어 안전에 대한 확신감이 생기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부브라켓트(40)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관통홀(41)이 형성된 끼움부(44)가 고정홀(42)이 형성된 고정부(45) 상면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절곡부(43)의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절곡단면(46)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코니의 방수턱(70)이 경사져 형성된 경우에 방수턱(70)의 상면에 고정부(45)가 부착되고 절곡부(43)의 한곳이 방수턱(70)의 경사기울기와 동일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절곡되므로서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하단이 끼움부(44)의 관통홀(41)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발코니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는 발코니의 측벽에 부착되는 측부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난간의 가로파이프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난간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방수턱의 상면에 부착되는 하부브라켓트의 관통홀에 난간의 세로파이프 하단이 관통되어 끼워짐으로써 난간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난간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난간 설치작업시 측부브라켓트 및 하부브라켓트에 난간의 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거나 파이프를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없어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난간의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설치비가 저렴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경제적인 부담을 덜 수 있으며, 발코니 외측으로 난간이 설치되므로서 발코니의 유효공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섀시 설치를 위해 별도의 바닥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발코니의 양 측벽에 고정부착되는 측부브라켓트와 발코니의 하부 방수턱에 고정부착되는 하부브라켓트에 각각 난간의 가로파이프와 세로파이프가 끼워져 발코니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에 있어서,
    상기 측부브라켓트(30)는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되 그 일측에 난간(100)의 가로파이프(60)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31)이 천공되고, 상기 하부브라켓트(40)는 일정길이의 평판이 “ㄷ”형으로 절곡되고 그 상부에 난간(100)의 세로파이프(65) 하단이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4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트(40)는 경사형 방수턱(70)에 설치가능하도록 끼움부(44)와 고정부(45)사이에 형성된 절곡부(43)의 일측이 방수턱(70)의 경사각과 일치되는 각도록 절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KR2019980008632U 1998-05-23 1998-05-23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KR199800321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2U KR19980032108U (ko) 1998-05-23 1998-05-23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32U KR19980032108U (ko) 1998-05-23 1998-05-23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08U true KR19980032108U (ko) 1998-08-17

Family

ID=6951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32U KR19980032108U (ko) 1998-05-23 1998-05-23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10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70B1 (ko) * 2013-07-05 2014-01-22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70B1 (ko) * 2013-07-05 2014-01-22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발코니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09465A (ja) 多孔板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339487Y1 (ko) 건축물 석재판넬 시공을 위한 앵글지지부재
GB2228955A (en) Joist hangers
KR19980032108U (ko) 발코니의 돌출형 난간 고정구조
KR100557478B1 (ko) 아치지붕구조와 이를 이용한 아치지붕의 시공방법
KR100940498B1 (ko) 아치지붕 구조체
KR100865991B1 (ko) 비계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JP2005098094A (ja) ソーラパネル支持金具の取付け構造及びソーラパネル支持金具
KR20220080604A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KR101216948B1 (ko) 박공 지붕의 누수 방지용 시트패널
JP3139913U (ja) 建築用バー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天井下地材
JPS6220580Y2 (ko)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JP4628251B2 (ja) フェンス用固定金具
KR200220993Y1 (ko) 터널 격자지보 라이닝 철근 지지대
KR19980010326U (ko) 건축용 앵글의 고정설치구조
JPH02296987A (ja) 避難装置の取付構造
KR102209349B1 (ko) 조적벽 시공용 이동식 앵커장치
KR200219937Y1 (ko) 베란다용 난간 설치구조
KR200496654Y1 (ko) 빔 난간대 브라켓
JP4428294B2 (ja) 安全帯取付具構造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JP2710651B2 (ja) 壁パネル取付構造
JPS59409Y2 (ja) リツプみぞ形鋼における取り付け装置
JP4428295B2 (ja) 安全帯取付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