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106U -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 Google Patents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106U
KR19980032106U KR2019980008626U KR19980008626U KR19980032106U KR 19980032106 U KR19980032106 U KR 19980032106U KR 2019980008626 U KR2019980008626 U KR 2019980008626U KR 19980008626 U KR19980008626 U KR 19980008626U KR 19980032106 U KR19980032106 U KR 199800321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storage
case
lid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종상
Original Assignee
조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종상 filed Critical 조종상
Priority to KR2019980008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106U/ko
Publication of KR19980032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106U/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통으로 제조되는 필기구 케이스의 양단에 지우개등 용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캡과, 연필을 깎을 수 있는 연필깎기를 접착 고정한 뚜껑체와 깍여진 연필의 찌꺼기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통을 결합하여 필기구의 보관을 물론 연필깎기의 기능과 지우개등을 별도로 수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금속재질로 구성된 필기구 케이스에 있어서는 내부가 빈 원통형 케이스의 양단에 단순히 뚜껑체를 결합하여 구성되므로 필기구와 지우개, 연필깍기등 을 한군데에 보관하게 됨으로 휴대시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뒤섞이게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필기구 및 용품의 사용이 불편한 단점과, 연필등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내부가 빈 원통형 케이스의 양단 내측으로 소정 깊이의 수납부를 갖는 보관캡을 탈착이 가능토록 삽입하고 그 상부로 뚜껑을 결합시킴에 있어 일측의 뚜껑으로는 연필깎기가 형성되어 깍고자 하는 연필이 출입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여 구멍으로 삽입된 연필이 깎였을 경우에도 깍여진 쓰레기가 수납부에 모이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함을 개선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필기구 통.

Description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본 고안은 필기구를 수납, 보관하는 필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제로 제조되는 원통형의 필통에 있어서, 필통의 양단으로 체결되는 뚜껑에 연필을 깍는 기능과 또한 이러한 원통형의 필통에 지우개를 수납할 수 있는 보관캡과 깍여진 연필의 찌꺼기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통을 형성하여 사용이 편리한 필기구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금속재질로 구성된 필기구 케이스에 있어서는 내부가 빈 원통형 케이스의 양단에 단순히 뚜껑체를 복착하여 구성되므로 필기구와 지우개, 연필깍기등 용품을 구획이 불가능하게 한군데에 보관하므로 휴대시 내부에 수납된 물품이 뒤섞이게 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필기구 및 용품의 사용이 다소불편한 단점과, 연필등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필통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원통형의 필통 특히 금속재질을 프레스로 가고하여 제조된 필통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추가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통상의 연필깎기를 사용함에 있어서도 한손으로는 연필을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연필깎기를 잡고 회전하여 연필을 깎음으로 인하여 비위생적이고, 쓰레기가 외부로 그대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금속재질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케이스를 구성하고 양단으로는 소정깊이의 보관캡과, 연필깎기가 고정된 뚜껑체을 삽입하여 필기구의 보관은 물론 연필심을 깍을때에도 보다 편리하게 깍을 수 있도록 한 필기구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양단에 캡 형상의 보관함을 내측으로 몰입되게 내입하여 이에 지우개등 용품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필기구와 용품이 뒤섞이지 않도록 함은 물론 분리하여 필기구 케이스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한 필기구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가 빈 원통형 케이스의 양단에 내단측으로는 소정 깊이를 갖는 보관캡을 삽입하고, 양단 외측면으로는 연필깎기가 고정된 뚜껑체를 결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제 2도의 A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2: 몸통 4: 보관캡
6: 수납부 8:뚜껑
10: 연필깎기 12: 구멍
14: 요입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제 1도 내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공지의 연필통에 있어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된 몸통(2)의 양단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수납부(6)를 갖는 보관캡(4)을 탈착이 가능토록 삽입하고, 그 외측면으로는 뚜껑(8)을 각각 복착하여 뚜껑(8)의 일측에는 연필깎기(10)를 몸통(2)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고정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때 몸통(2)의 연필깎기(10)가 형성된 뚜껑(8)의 중심부에는 깎여질 연필이 출입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구멍(12)을 형성하고 연필깎기(10)가 정확한 고정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면을 다소 몰입하여 요입부(14)를 형성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완전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몸통(2)의 양단 내측에 삽입되는 보관캡(4)은 일정한 깊이로 수납부(6)가 형성되어 지는 것이고 이러한 보관캡은 양측 모두에 형성하거나 일측에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의 사용시에는 우선 몸통(2)의 양단에 결합된 뚜껑(8)을 분리한 후, 몸통(2)의 내단측으로 삽입된 보관캡(4)을 분리하여 필기구를 보관하거나 수납시키면 되고, 지우개등은 보관캡(4)을 결합한 후 보관캡(4)의 내공간 즉, 수납부(6)에 보관한 후, 뚜껑(8)을 결합하면 필기구와 지우개등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통(2)의 내부에 필기구를 보관한 후 필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뚜껑(8)과 보관캡(4)을 열어 필기구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연필을 깎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필심을 뚜껑(8)에 천공된 구멍(12)에 삽입하면 연필깎기(10)의 내부로 연필이 삽입 되므로 연필을 회전하여 연필을 깎으면 되는 것이다.
이때 깎여진 연필 쓰레기는 보관캡(4)의 수납부(6)로 모이게 되므로 필기구 케이스(2)가 지저분해지는 경향이 전혀 없으며, 연필을 다 깎은 후 뚜껑(8)을 분리하고 보관캡(4)에 모여진 쓰레기를 버리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의 양단 내단측으로 지우개등 용품을 보관하는 보관캡이 결합되고, 뚜껑중 일측의 뚜껑에 연필깎기를 접착 고정하였으므로 필기구를 보관하는 용도 이외에 연필깎기, 지우개 보관함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구성된 몸통(2)으로 되는 필통에 있어서,이 양단 내측으로 일정 깊이의 수납부(6)를 갖는 보관캡(4)을 탈착이 가능토록 삽입하고, 그 외측면으로는 뚜껑(8)을 각각 복착하여 뚜껑(8)의 일측에는 연필깎기(10)를 몸통(2)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고정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통.
KR2019980008626U 1998-05-23 1998-05-23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KR199800321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26U KR19980032106U (ko) 1998-05-23 1998-05-23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626U KR19980032106U (ko) 1998-05-23 1998-05-23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106U true KR19980032106U (ko) 1998-08-17

Family

ID=6951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626U KR19980032106U (ko) 1998-05-23 1998-05-23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10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1891A (en) Pencil box with different size sharpeners
US20070084068A1 (en) Pencil sharpener cap
US5599123A (en) Combined pencil sharpener and pencil stowage apparatus
US20060080846A1 (en) Sharpener with integrated pencil cap
KR19980032106U (ko) 연필깍기가 형성된 필기구 통.
KR101211996B1 (ko) 필기구의 개별 삽입이 가능한 투명필통
EP0004786A2 (en) Pencils and pencil caps
US4406315A (en) Pencil sharpener
US3407021A (en) Pocket utility device including writing instrument
US6123476A (en) Crayon holder with integral sharpener
US6530153B1 (en) Cosmetic pencil sharpener
KR200191635Y1 (ko) 연필깎이를 구비한 필통
SU1743343A3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рибор
JP2001322389A (ja) 鉛筆立て
KR20110006201U (ko) 연필깍이를 구비한 필통
CN219288935U (zh) 用于保护带尖的笔具的多功能文具盒
KR200162915Y1 (ko) 연필캡 기능이 구비된 화장용 연필깎기
JP3227843U (ja) 鉛筆削り器
GB2111437A (en) Combined pencil box and sharpener
CN212979697U (zh) 多功能笔筒
JPS597026Y2 (ja) 墨差
KR20240033422A (ko) 연필깎이 기능을 겸비한 필통
KR20210068743A (ko) 필기구의 개별 삽입이 가능한 투명필통
JP7055290B2 (ja) 鉛筆削器
JP3037429U (ja) 筆記用具立て付き鉛筆削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