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991U -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 Google Patents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991U
KR19980031991U KR2019980006626U KR19980006626U KR19980031991U KR 19980031991 U KR19980031991 U KR 19980031991U KR 2019980006626 U KR2019980006626 U KR 2019980006626U KR 19980006626 U KR19980006626 U KR 19980006626U KR 19980031991 U KR19980031991 U KR 19980031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mat
present
insert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6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학,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학
Priority to KR20199800066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991U/ko
Publication of KR19980031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991U/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난단(자투리)을 활용하여 만든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는 1인 또는 2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소정 넓이로 재단된 장식용 바닥재 난단의 테두리부가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 마감처리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는 바닥재 생산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된 바닥재의 난단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이제까지 난단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임과 아울러, 난단을 야적하여 보관함에 따라 발생되는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수맥 차단용 바닥재와 같은 기능성 바닥재를 활용하여 돗자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많은 비용을 들여 실내의 전체 바닥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부분에 깔아 사용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수맥차단과 같은 기능성 바닥재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운반 손잡이가 설치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경우에 따라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곳에 삽입물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교체가능한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본 고안은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재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난단(자투리)을 활용하여 만든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에 시공되는 바닥재는 다양한 색채와 무늬가 표면에 형성되어 실내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바닥재는 이음새가 없도록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생산 공장에서는 폭이 넓으면서도 길이가 길게 제조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공정을 통하여 대량생산하게 된다. 생산 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도록 연속적으로 제조된 바닥재를 수미터 단위로 롤 형태로 감아서 출고하게 된다. 그러나, 제조 공정의 특성상 하나의 롤과 그 이후에 제조되는 롤 사이에 필연적으로 난단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난단은 상품성을 갖는 바닥재로의 재생이 불가능하고 재료가 난분해성이어서 매립도 불가능하며 소각시 대량의 오염물질이 발생되어 생산 현장에서는 대부분의 난단을 야적하여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관리비용이 증가함과 아울러 자원의 낭비가 심화되고 있으며, 현재는 특수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바닥재 예를 들어, 수맥차단용 바닥재 등이 생산되는데 이러한 기능성 바닥재는 금속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재활용이 더욱 곤란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바닥재의 난단을 활용하여 돗자리를 제조함으로써, 바닥재 폐기시에 발생될 수 있는 환경오염의 가능성을 제거하고, 난단의 관리에 따른 비용과 인력낭비를 최대한 억제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능성 바닥재의 난단으로 돗자리를 제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저렴한 비용으로 기능성 바닥재가 갖는 고유의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1인 또는 2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소정 넓이로 재단된 바닥재 난단의 테두리부가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 마감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돗자리 2: 바닥부
3: 테두리부 4: 운반손잡이
5: 공간부 6: 삽입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삽입물 및 손잡이가 부가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1)는 바닥재의 제조공정에서 발생된 난단을 활용하여 1인 또는 2인 정도가 사용할 수 있도록 소정 넓이로 재단되어 형성된 바닥부(2)와, 돗자리의 사용중에 외부충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찢김을 방지하고 외관미를 높일 수 있도록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 마감처리된 테두리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2)는 바닥재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된 어떠한 난단도 사용가능하며, 특히 수맥차단용 바닥재와 같은 기능성 바닥재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바닥부(2)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타원형등으로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필요와 기호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테두리부(3)는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 마감처리됨이 바람직하나, 그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형상 또한 레이스 모양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3)는 소정 형상이 반복된 레이스 모양으로 될 수도 있다. 이는 외관을 고려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1)가 실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내의 환경과 어울릴 수 있는 무늬 또는 색상의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된 레이스 모양으로 마감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1)는 돗자리의 기능에 다른 구성이 추가됨으로써 기능성과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탈착 가능한 운반 손잡이(4)가 돗자리(1)의 테두리부(3)에 부가될 수도 있고, 또한 바닥부(2)의 중앙에 소정 형상을 가진 공간부(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반 손잡이(4)는 사용자가 돗자리(1)를 다른 장소로 운반하고자 할 때 돗자리 전체를 말아 감은 후 묶을 수 있도록 똑딱단추가 양단부에 설치된 소정길이의 끈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돗자리(1)가 설치된 후에는 사용자가 운반 손잡이(4)에 걸려 넘어지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운반 손잡이(4)는 돗자리(1) 밑으로 밀어넣은 채로 돗자리(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일단은 돗자리(1)의 테두리부(3)에 고정되고 타단은 똑딱단추로 구성된 끈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5)에는 공간부의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고 그 표면에 다양한 도안이 그려진 삽입물(6)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공간부(5)와 삽입물(6)은 그 형상과 도안에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타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형성 위치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간부(5)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이 공간부(5)에 끼워지는 삽입물(6)의 표면에 사용자가 돗자리(1) 위에서 장기 또는 바둑을 즐길 수 있도록 장기 또는 바둑판 도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돗자리(1)에 사진 또는 그림등 서로 다른 다양한 도안이 그려진 수개의 삽입물(6)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도안이 포함된 삽입물로 수시로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물(6)은 돗자리(1)의 바닥부(2)와 동일한 재질인 장식용 바닥재의 난단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간부(5)와 삽입물(6)간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공간부(5)와 삽입물(6)의 주변에 서로 대칭인 오목부와 돌출부가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는 바닥재 생산 공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된 바닥재의 난단을 재활용는 것으로, 이제까지 난단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의 재활용율을 높임과 아울러, 난단을 야적하여 보관함에 따라 발생되는 인력 및 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게다가, 수맥 차단용 바닥재와 같은 기능성 바닥재를 활용하여 돗자리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많은 비용을 들여 실내의 전체 바닥을 시공하지 않고서도 필요한 부분에 깔아 사용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수맥차단과 같은 기능성 바닥재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운반 손잡이가 설치되어 운반이 용이하며, 경우에 따라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곳에 삽입물을 끼울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교체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4)

1인 또는 2인이 사용할 수 있는 소정 넓이로 재단된 바닥재 난단의 테두리부(3)가 천 또는 범용 비닐수지로 마감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가 수맥 차단용 바닥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중앙에 공간부(5)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 또는 모양을 갖는 삽입물(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테두리부(3)에 탈착가능한 운반손잡이(4)가 더욱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2019980006626U 1998-04-24 1998-04-24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KR19980031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626U KR19980031991U (ko) 1998-04-24 1998-04-24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626U KR19980031991U (ko) 1998-04-24 1998-04-24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991U true KR19980031991U (ko) 1998-08-17

Family

ID=6950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626U KR19980031991U (ko) 1998-04-24 1998-04-24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99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1279A (en) Assembly block formed from a poly-olefin foam
KR19980031991U (ko) 바닥재를 이용한 돗자리
JP4796912B2 (ja) 両面カット模様付木板材
US2362596A (en) Ornamental element for use in forming decorative materials
JP2006094826A (ja) 人工地盤上での緑化方法と、緑化構造物、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保水排水基盤材と見切り材との結合構造
JP4174410B2 (ja) 組立式プランター
Day The planning of ornament
JPH08230398A (ja) プラスチック擬木
US3592716A (en) Artificial flower of fuzzy ball shaped construction
JPH0545579Y2 (ko)
JP3096862U (ja) 敷物
JPH11220955A (ja) 植栽用パレット、植栽用立壁、及びこれらの接続構造、並びに植栽用構造
JP3130145U (ja) スリットパネル
JPS6215324B2 (ko)
Snyder Interior landscapes
JPS643423Y2 (ko)
Meschini et al. Visual Narratives through Time and Space: Weaves and Metaphors of Connections for Public Space-Narrazioni Visuali attraverso il Tempo e lo Spazio: Trame e Metafore di Connessioni per lo Spazio Pubblico
JPS5849274Y2 (ja) スノコ
JPS6214949Y2 (ko)
JPH11313545A (ja) 増設可能な段垣
US20050208265A1 (en) Perforated Mat for Supporting Decorative Lights
JPH0460029U (ko)
KR790001725Y1 (ko) 통판을 이용한 이중뜨게
JP2002125821A (ja) 園芸用プランターカバー
JP2002021375A (ja) 発泡合成樹脂を用いたフェンス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