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852A -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852A
KR19980030852A KR1019960050333A KR19960050333A KR19980030852A KR 19980030852 A KR19980030852 A KR 19980030852A KR 1019960050333 A KR1019960050333 A KR 1019960050333A KR 19960050333 A KR19960050333 A KR 19960050333A KR 19980030852 A KR19980030852 A KR 1998003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mode
heater
vibrator
hum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7060B1 (ko
Inventor
정웅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0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동작시켜 물을 미세한 물입자로 변환하여 특정공간을 가습함에 있어,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작동시켜 특정공간을 가습하면서 현재시각을 검출하고 특정공간을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되면 진동자와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현재시각을 검출하여 일정값의 습도가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는 제 2단계와, ROM에 저장되어 있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평수를 연산된 테이블로부터 해당평수를 독출하는 제 3단계와, 해당 평수에 맞게 가습기의 가습모드를 조절하여 가습동작을 실행하는 제 4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별도로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를 설정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고, 가습하고자하는 공간의 평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평수에 따라 가습모드를 결정하여 가습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평수를 세팅함에 있어 특정공간을 일정습도까지 가습하는데 걸리는 가습시간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평수를 독출하여 특정공간을 독출된 평수모드로 가습하도록 이루어진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동하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냉난방 시설(예 : 에어컨, 선풍기, 보일러, 난로 등등)을 가동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이 건조해져 사람들의 호흡기를 자극하여 호흡기 질환을 비롯한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예 : 텔레비전 수상기, 냉장고, 에어컨,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음향기기 등등)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그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이 동작하는 중에 발생된 열에 의하여 실내공기의 온도가 상승되어 실내공간의 습도값은 더욱 낮아진다. 이렇게 실내공간이 건조해지면 사람(건강한 사람)들의 건강을 해치게 됨을 물론이고,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혹은 환자 등과 같이 병약한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에 따라 습도값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가정이나 환자들을 수용하는 병원에서는 습도값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실내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가습기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일정공간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기기로서, 이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물을 수증기나 미세한 입자인 무화상태로 변환시켜 실내공간으로 토출하여 실내공간의 습도값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임의의 공간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가습기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2에 의하여 살펴보면,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희망습도를 설정하는 등 가습기의 전반적인 동작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키가 형성되어 있는 키 패드(12)와, 가습기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실내공간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14)와,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습조(130)에 유입되는 물의 온도값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16)와, 가열조(120)나 가습조(130)의 내부에 설치되며 수조(110)에서 유입되는 물의 수위에 의해 스위칭(온/오프) 동작하는 플로트 스위치(18)와, 히터(140) 및 진동자(150)를 동작시켜 희망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히터 구동부(20) 및 진동자 구동부(22)에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히터(140) 및 진동자(150)의 동작모드를 선택하는 히터 구동부(20) 및 진동자 구동부(22)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히터(140)와 진동자(150)에 의해 발생된 무화(수증기)를 토출구(170)를 통해 가습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팬모터(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모터 구동부(24)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갈수(渴水)상태를 알리는 부져를 구동시키는 부져 구동부(26)와, 발광다이오드(LED)를 점등시키는 발광다이오드 구동부(28)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가습기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이다.
키 패드(12)의 전원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인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1)와,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고,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면 습도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를 체크하는 단계(S302)와, 현재습도가 체크되면 가습조(130)에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3)와,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이면 키 입력부(12)에 의해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를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304)와, 희망습도가 설정되면 설정된 희망습도가 습도센서(14)에서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 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S305)와, 판단된 결과 희망습도가 현재습도 보다 작으면 단계(S302)로 복귀시키고, 희망습도가 현재습도 보다 크면 키 패드(12)의 가습모드(예 : 취침모드, 약모드, 중모드, 강모드, 터보모드, 퍼지모드) 선택키가 온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6)와, 판단된 결과 가습모드 선택키가 온으로 확인되면 히터 구동부(20)에 의해 히터(140)의 히터를 가열하는 단계(S307)와, 히터가 가열되면 진동자 구동부(22)에 의해 진동자(150)의 진동자를 구동하는 단계(S308)와, 진동자가 구동되면 팬모터 구동부(24)에 의해 팬모터(160)를 구동한 후 단계(S302)로 복귀되는 단계(S309)와, 상기 단계(S303)에서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이면 부져 구동부(26)에 의해 부져를 구동하는 단계(S310)와, 부져가 구동되면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는가를 확인하는 단계(S311)와, 확인된 결과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지 않았으면 단계(S310)로 복귀시키고,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었으면 발광다이오드 구동부(28)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키는 단계(S312)로 이루어짐을 보이고 있다.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 패드(12)의 전원 스위치 입력에 의해 인 가되는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S301)한다. 상기 판단된 결과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지 않으면 재차 전원이 온인가를 판단하여 전원이 온으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를 체크(S302)한다. 즉, 현재습도가 체크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가습조(130)가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인가를 판단(S303)하여 가습조(130)에 물이 있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오프상태로 확인되면, 키 입력부(12)에 의해 설정된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S304)한다.
상기 키 입력부(12)에 의해 설정된 가습하고자 하는 희망습도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가 습도센서(14)에 의해 감지되어 입력된 현재습도 보다 큰가를 비교 판단(S305)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가 습도센서(14)에서 검출된 현재습도 보다 작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를 체크(S302)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단계(S305)에서 판단된 결과 메모리에 저장된 희망습도가 현재습도 보다 크면 키 입력부(12)의 가습모드(예 : 취침모드, 약모드, 중모드, 강모드, 터보모드, 퍼지모드) 선택키가 온인가를 판단(S306)하여 가습모드 선택키중 하나(예 : 약모드)가 온으로 확인되면 히터 구동부(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히터 구동부(20)가 히터(140)를 가열(S307)시킨다. 또한 히터가 가열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진동자 구동부(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진동자 구동부(22)에 의해 진동자(150)를 구동(S308)한다.
또한 진동자가 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팬모터 구동부(24)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팬모터 구동부(24)에 의해 팬모터(160)를 구동(S309)한다. 즉, 히터(140)와, 진동자(150), 팬모터(160)를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히터(140)와 진동자(150)와 팬모터(160)가 순차적으로 구동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습도센서(14)에서 검출되어 디지탈 신호로 입력되는 현재습도를 체크(S302)하여 상기한 과정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S303)에서 판단된 결과 가습조(130)에 물이 없어 플로트 스위치(18)가 온상태이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부져 구동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미도시)를 구동(S310)한 후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는가를 확인(S311)한다. 상기 확인된 결과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지 않았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계속해서 부져 구동부(26)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를 구동(S310)하여 경보음이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으로 출력되는가를 확인(S311)하여 일정횟수(예 : 10회) 이상 출력되었으면 발광다이오드 구동부(28)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부(28)에 의해 발광다이오드를 점등(S312)시켜 사용자에게 수조(110)와 가습조(130)내에 물이 없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러한 가습기는 특정공간을 임의의 가습모드로 가습할 수 있도록 퍼지모드를 두고 있는데 이중 평형 퍼지모드는 가습하고자 하는 평수를 세팅하면 해당하는 평수에 대응하는 가습모드를 수행하면서 특정공간을 가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평형 퍼지모드에서는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에 있으며, 또한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를 시각적으로 계산하여 세팅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특정공간을 일정 습도까지 가습하는데 걸리는 가습시간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는 평수를 독출한 후 검출된 평수에 해당하는 평수모드로 가습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동작시켜 물을 미세한 물입자로 변환하여 특정공간을 가습함에 있어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작동시켜 특정공간을 가습하면서 현재시각을 검출하고 특정공간을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되면 진동자와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현재시각을 검출하여 일정값의 습도가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는 제 2단계와, ROM에 저장되어 있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평수를 연산된 테이블로부터 해당평수를 독출하는 제 3단계와, 해당 평수에 맞게 가습기의 가습모드를 조절하여 가습동작을 실행하는 제 4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습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가습기 내부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가습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습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
도 5는 가습평수와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표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 프로세서 12 : 키 패드
14 : 습도센서 16 : 온도센서
18 : 플로트 스위치 20 : 히터 구동부
22 : 진동자 구동부 24 : 팬모터 구동부
26 : 부져 구동부 28 : 발광 다이오드 구동부
110 : 수조 120 : 가열조
130 : 가습조 140 : 히터
150 : 진동자 160 : 팬모터
모 드평 수 가습기 작동시간
1 10 분
2 20 분
3 30 분
4 40 분
5 50 분
6 60 분
무한정 60분 이상
본 발명의 구성은 종래의 가습기에서와 같이 키패드, 습도센서, 온도센서, 플로트 스위치, 히터구동부, 진동자 구동부, 팬모터 구동부, 부져 구동부, 발광다이오드 구동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의 동작상태를 보인 흐름도로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동작시켜 물을 미세한 물입자로 변환하여 특정공간을 가습함에 있어,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작동시켜 특정공간을 가습하면서 현재시각을 검출하고 특정공간을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되면 진동자와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현재시각을 검출하여 일정값의 습도가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는 제 2단계와, ROM에 저장되어 있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평수를 연산된 테이블로부터 해당평수를 독출하는 제 3단계와, 해당 평수에 맞게 가습기의 가습모드를 조절하여 가습동작을 실행하는 제 4단계를 수행함을 보이고 있다.
도면중 미설명된 도 5는 가습평수와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표 이다.
이러한 가습기는 습도센서에 의해 현재습도를 감지(S1)하면서 키 입력으로 전원이 온상태로 절환되는가를 확인(S2)한다. 판단 결과 전원이 온 상태로 절환되지 않으면 재차 전원이 온상태로 절환되는가를 확인하여 전원이 온 상태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가습조에 물이 없는 갈수상태인가를 확인하는 플로트 스위치의 온상태를 판단(S3)하여 플로트 스위치가 온 상태로 확인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부져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를 구동(S4)한 후 경보음이 일정횟수(예:10회)이상으로 출력되는가를 확인한다.
이러한 결과 일정횟수(예:10회)이상 출력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부져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부져를 반속해서 구동시키지만, 경보음이 일정횟수(예:10회) 이상 출력되었으면 부져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발광다이오드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등(S5)시켜 수조에 물이 없거나 혹은 수조의 배출구(수조로부터 가습조에 물을 공급하는 통로를 말한다)에 이상이 있어 가습조 내에 물이 공급되지 않음을 알린다. 하지만 플로트 스위치가 오프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는 키 입력으로 설정된 희망습도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특정공간의 평수를 판단하기 위해서 진동자를 터보모드로 동작(S6)시키는 한편, 팬모터와 히터를 온 상태로 동작(S7)(S8)시킨 후 미도시된 타이머 IC에서 공급되는 타임 데이터에 의해 현재 시각을 검출(S9)한다. 그 다음으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의 작동으로 가습되는 특정공간의 습도가 일정값(50% 혹은 60%을 예로 설명한다)이상으로 검출되는지를 판단(S10)한다. 그리고 특정공간의 습도가 일정값 이하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계속적으로 작동시켜 특정공간을 가습하지만, 특정공간의 습도값이 일정값 이상으로 검출되는 경우에는 타이머 IC에서 공급되는 타임 데이터에 의해 현재시각을 검출(S11)한 후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의 동작을 정지(S12)(S13)시킨다.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킨후에는 특정공간의 습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검출된 시각에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최초 동작시킨 시각을 뺀 시간, 즉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의 동작으로 특정공간의 습도가 일정값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연산(S14)한다. 시간이 연산되고 나면 이에 해당하는 평수를 미도시된 RAM으로부터 독출하고 가습기의 동작모드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S16)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특정공간을 일정값의 습도까지 가습하는데 걸리는 시간(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60분 이상)에 해당하는 펑수(1평, 2평, 3평, 4평, 5평, 6평, 무한정)를 판단하는 것이다.
가습기의 동작모드가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검출된 평수를 인식한 후 가습기를 일정시간(5분)동안 대기상태로 제어한다. 즉, 자동모드에서 평수가 검출되면 타이머를 온시켜(S18)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가 오프 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일정시간이 경과(S19)하면 이어서 타이머를 오프 상태로 절환(S20)한 후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검출된 평수에 맞게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를 동작시켜 평형 퍼지모드를 수행(S21)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습기의 동작모드가 수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이 검출된 평수를 인식한 후 가습기를 일정시간(30분)동안 대기상태로 제어한다.
즉, 수동모드에서 평수가 검출되면 타이머를 온시켜(S22)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가 오프 된 시간을 카운팅하여 일정시간(30분)이 경과는지를 판단(S23)한다. 그리고 일정시간(30분)이 경과하기전에 전원이 온 상태로 절환(S24)되면 4평형의 퍼지모드를 수행하고, 일정시간(30분)이 경과하도록 아무런 키 입력이 없으면 타이머를 오프 상태로 절환(S26)하고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에따라 각 평형에 따른 퍼지모드를 수행할 때 별도로 평수를 설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공간을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를 작동시켜 가습하면서 특정공간의 습도가 일정값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검출하고 이를 기초로 가습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의 평수를 연산한 후 연산된 평수에 맞게 진동자와 히터 및 팬모터를 작동시켜 평형 퍼지모를 수행함으로써, 별도로 가습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의 평수를 설정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고, 가습하고자 하는 공간의 평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Claims (7)

  1.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동작시켜 물을 미세한 물입자로 변환하여 특정공간을 가습함에 있어서,
    진동자와 팬모터 및 히터를 작동시켜 특정공간을 가습하면서 현재시각을 검출하고 특정공간을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습도가 일정값에 도달되면 진동자와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킨 후 현재시각을 검출하여 일정값의 습도가 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연산하는 제 2단계와;
    ROM에 저장되어 있는 가습시간에 따른 가습평수를 연산된 테이블로부터 해당평수를 독출하는 제 3단계와;
    해당 평수에 맞게 가습기의 가습모드를 조절하여 가습동작을 실행하는 제 4단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진동자는 터보모드를 동작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에서 비교되는 습도값을 60% 혹은 50%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자동모드시에만 동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일정시간(5분)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수동모드로 설정되면 4평 퍼지모드를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수동모드에 따른 4평 퍼지모드를 수행하기전에 일정시간(30분)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KR1019960050333A 1996-10-30 1996-10-30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KR017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33A KR0177060B1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333A KR0177060B1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852A true KR19980030852A (ko) 1998-07-25
KR0177060B1 KR0177060B1 (ko) 1999-04-15

Family

ID=19479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333A KR0177060B1 (ko) 1996-10-30 1996-10-30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7060B1 (ko) 199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806A (en) Air distribution fan and outside air damper recycling control
KR0177061B1 (ko) 2개의 ptc 히터를 이용한 가습기 동작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0852A (ko) 가습기의 가습평수 자동 세팅방법
KR19980030865A (ko) 주변 온도값에 의한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JP2002081718A (ja) 加湿器
KR0177064B1 (ko) 가습기의 진동자 과열방지방법
JP3070083B2 (ja) 空気調和機
KR0167738B1 (ko)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0193089B1 (ko) 클럭 ic를 이용한 가습기의 작동모드 예약장치 및 방법
KR0167741B1 (ko) 냉온수기에 결합된 가습기와 그 가습기 동작 제어방법
KR19980075692A (ko) 멀티 가습기의 초기 전력제어방법
KR0157746B1 (ko) 가습기의 히터 동작 제어방법
KR0157745B1 (ko) 가습조 청소시기 알림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JP2001108282A (ja) 加湿器
CN110966732A (zh) 空调机
KR19980075695A (ko) 히터 초음파가습기의 전류 제어방법
KR0179609B1 (ko) 가습기의 진동자 온도 유지장치와 그 동작 제어방법
KR19980030843A (ko) 냉온수기에 결합된 가습기와 그 가습기의 동작 제어방법
KR200227586Y1 (ko) 팬코일 유니트의 가습 제어장치
CN215892516U (zh) 浴霸
KR100275410B1 (ko) 온수난방장치에서의온도제어방법
KR19980040028A (ko) 가습기 취침모드 동작시 발광다이오드 동작 제어방법
KR0157744B1 (ko) 누수감지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40027A (ko) 조도센서를 이용한 가습기의 동작모드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940010697B1 (ko) 에어콘의 향기발생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