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592U -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 Google Patents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592U
KR19980029592U KR2019960042664U KR19960042664U KR19980029592U KR 19980029592 U KR19980029592 U KR 19980029592U KR 2019960042664 U KR2019960042664 U KR 2019960042664U KR 19960042664 U KR19960042664 U KR 19960042664U KR 19980029592 U KR19980029592 U KR 19980029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function
unit
surveillance camera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1755Y1 (ko
Inventor
황준현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6004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5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전원 조정부와, 상기 전원 조정 수단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오프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의 내용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여러 가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전원 조정부로 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이 쉽고, 조정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없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이 발명은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미리 프로토콜(protocol)을 정의해 두고 전원의 온(on), 오프(off)를 기준으로 감시카메라의 조정내용을 절환하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감시카메라는 단순히 감시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감시 기능에 따른 영상 신호만을 출력하면 되었다.
그러나 점차 디지털화 되어가면서 고기능화가 요구되어 종래에는 외부시스템에서 수행하던 기능을 카메라가 직접 수행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이라 하여 화면상에서 움직임의 유무를 판단하는 기능이 있는데, 사용자는 상기 움직임의 유뮤 판단기능을 이용하여 항상 녹화하거나 감시하지 않고 움직임이 있는 순간만을 녹화하거나 경보에 의해 주의를 받을 수 있다.
상기의 모션 디텍션 기능을 기존 외부시스템에서 점차 카메라 내부에 넣을 수 있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하는 이유는 외부시스템으로 수행하는 것보다 부피가 줄고, 가격이 저렴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감시카메라의 대부분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높은 곳이나 모니터로부터 먼 곳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감시카메라의 모션 디텍션 기능의 경우, 주간에는 필요하지 않고, 야간에만 필요하여 매일 두 번씩 조정해야 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상기의 종래의 문제점을 첨부한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의 (a)는 모션 디젝션 기능이 외부에 있는 경우이고, 첨부한 도 1의 (b)와 (c)는 조정 장치가 내부에 있는 경우이다.
상기 도 1의 (b)는 조정을 위한 스위치가 카메라에 직접 붙어 있어 조정을 다양하고 쉽게 할 수 있으나, 일단 설치하고 난 후에는 조정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도 1의 (c)는 조정을 위해 별도의 케이블(cable)을 설치해야만 하는데 대부분 설치거리가 멀기 때문에 케이블 비용이 오히려 카메라보다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에 프로토콜을 정의해 두고 외부에 부착된 전원 장치를 온·오프시켜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하게 하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의 (a) 내지 (c)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사용예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이 고안의 구성은;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전원 조정부와;
상기 전원 조정부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오프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의 내용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여러 가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한 이 고안의 구성은,
감시카메라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시키는 기능조정부(1)와;
다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버튼이 서로 다른 전원 차단 신호를 출력하는 전원 조정부(2)와;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와;
여러 가지의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에 의한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출력하는 영상 신호를 영상으로 나타내고, 조정된 기능의 내용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문자로 표시하는 모니터(monitor)(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한, 이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전체적인 구성이 기능조정부(1)와, 전원 조정부(2)와 제어부(3)와 저장부(4)와 모니터(5)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나, 상기 전원 조정부(2)가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버튼의 누름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고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3)는 알고리즘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또는 제작자는 감시카메라의 프로토콜의 내용을 사용자 또는 제작자의 정의대로 조정하기 위해 기능조정부(1)를 조작한다.
상기 기능조정부(1)는 사용자 또는 제작자에 의해 조정되어,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이 변경된다.
그러나, 제작시 프로토콜의 내용을 설정시키면, 상기 기능조정부(1)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능조정부(1)가 조작되면, 사용자는 감시카메라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하며, 차후에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때,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부(1)를 조작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감시카메라는 외부에 설치된 전원 조정부(2)에 의해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이 선택된다.
상기 전원 조정부(2)는 정의된 프로토콜의 수만큼의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감시카메라의 A 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전원 조정부(2)에 설치된 버튼중 A 기능 수행버튼을 누르면, 상기 전원 조정부(1)는 해당 버튼에 해당하는 전원을 온·오프시켜 제어부(3)로 출력시킨다.
상기 전원 조정부(2)의 다수개의 버튼은 상기 감시카메라가 다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각 다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에서 다른 신호는 전원의 온·오프의 횟수 및 시간간격이 다름을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의 온·오프를 입력받아 신호가 의미하는 기능을 판단하여 판단된 기능에 대한 프로토콜이 저장된 저장부(4)의 해당번지로 번지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4)는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번지 신호를 입력받아 번지 신호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3)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4)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다.
[표 1]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저장부(4)에서 출력하는 프로토콜의 내용 신호를 입력받아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는 모니터(5)에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해당하는 기능을 표시하도록 제어 신호를 영상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상기 모니터(5)는 화면의 일부분에 동작되어질 기능에 대해 문자로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긴급히 기능을 조정할 필요성을 느낄 때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가 입력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온·오프되면 정전에 의한 오동작으로 간주하고, 일정시간 단위로 몇회 이상 전원이 계속 온·오프되면, 상기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라는 것을 무시하고 긴급조정을 위한 정상적인 전원 온·오프동작으로 간주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기능조정부(1)의 조작에 의해 기능의 프로토콜이 고정된 감시카메라를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해 전원 조정부(2)를 조작한다.
상기 전원 조정부(2)는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원 조정부(2)의 버튼은 누름에 따라 전원을 온·오프시켜 제어부(3)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선택한다.
즉, 상기 제어부(3)는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을 선택한다.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읽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장부(4)의 전원이 켜진 횟수를 1증가시키는 제 3단계와;
1증가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구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저장부(4)에 저장시키는 제 6단계와;
수행되는 프로토콜 기능변화의 내용을 모니터(5)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 7단계와;
기능변화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제 6단계로 알고리즘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정전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예 2를 보완하여 단순한 전원의 온·오프 대신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몇차례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을 전원 조정부(2)의 기준 신호로 활용할 수 있다.
이 고안에 사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전원 조정부로 전원을 조정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위치에 있는 감시카메라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어 감시카메라의 기능조정이 쉽고, 조정시 별도의 케이블이 필요없이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감시카메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의 온·오프를 조정하는 전원 조정부(2)와;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오프를 입력받으며, 입력되는 전원 온·오프의 내용에 따라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와;
    여러 가지 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3)에서 출력하는 신호에 따라 해당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저장부(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 또는 제작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내용을 변경시키는 기능조정부(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전원 조정부(2)는
    하나 또는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프로토콜의 수만큼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3)는
    다음의 알고리즘에 따라 동작하는 것이 특징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알고리즘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0으로 초기화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전원 조정부(2)에서 출력하는 전원 온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읽는 제 2단계와;
    상기 저장부(4)의 전원이 켜진 횟수를 1증가시키는 제 3단계와;
    1증가된 전원이 켜진 횟수를 프로토콜의 수로 나누고, 그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구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4단계에서 얻어진 나머지에 해당하는 수를 저장부(4)에 저장시키는 제 6단계와;
    수행되는 프로토콜 기능변화의 내용을 모니터(5)의 화면에 표시하는 제 7단계와;
    기능변화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는 제 6단계로 알고리즘이 구성된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부(3)는
    상기 전원 조정부(2)가 프로토콜의 내용의 순만큼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전원 조정부(2)의 해당버튼의 온 동작에 따른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저장부(4)에 저장된 해당하는 프로토콜의 내용이 수행되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인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KR2019960042664U 1996-11-28 1996-11-28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KR200181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ko) 1996-11-28 1996-11-28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ko) 1996-11-28 1996-11-28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92U true KR19980029592U (ko) 1998-08-17
KR200181755Y1 KR200181755Y1 (ko) 2000-05-15

Family

ID=1947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664U KR200181755Y1 (ko) 1996-11-28 1996-11-28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5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26B1 (ko) * 2002-10-17 2004-09-01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KR100654439B1 (ko) * 2004-09-08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통신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087B1 (ko) * 2005-12-23 2007-03-23 티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동적 ptz 프로토콜 관리가 가능한 ptz 제어 방법 및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426B1 (ko) * 2002-10-17 2004-09-01 주식회사 씨티앤컴 감시카메라의 멀티 프로토콜 선택 장치
KR100654439B1 (ko) * 2004-09-08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통신 정보 표시 방법 및 시스템
KR100699087B1 (ko) * 2005-12-23 2007-03-23 티오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동적 ptz 프로토콜 관리가 가능한 ptz 제어 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755Y1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6911B2 (en) Display system with single/dual image modes
JPH1133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5005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052155A (en) One key system for freezing a television PIP display
US541890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s
KR980007692A (ko)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시스템
JP3309389B2 (ja) マルチ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装置、映像装置及び同装置のフォーマットプリセット支援方法
KR920003763A (ko) 텔레비젼 수신기
KR19980029592U (ko) 전원으로 기능을 조정하는 감시카메라
JP2008205882A (ja) 電子機器の起動モード設定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00411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4946598B2 (ja) 監視用記録再生装置
JP2002218343A (ja) 省電力制御機能を備えたtv放送受信装置、tv放送受信装置の省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H01106685A (ja) Avシステムのリモート制御方式
KR200387517Y1 (ko) 감시용 카메라
JPH04234287A (ja) 映像信号切換装置
KR0144330B1 (ko) 시간음성출력 원격제어장치
KR960003319A (ko) 원격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기기
KR980007697A (ko) 외부 감시기능을 가지는 텔레비젼 수신기 및 그에 따른 감시방법
KR20100131873A (ko) 알람 설정 정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10240B1 (ko)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00115651A (ja) 映像表示装置
KR970058201A (ko) 리모콘 10-키의 재배열제어장치
JP2000125286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9990057593A (ko) 사용자 모드 정보 제공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