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586U -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586U
KR19980029586U KR2019960042657U KR19960042657U KR19980029586U KR 19980029586 U KR19980029586 U KR 19980029586U KR 2019960042657 U KR2019960042657 U KR 2019960042657U KR 19960042657 U KR19960042657 U KR 19960042657U KR 19980029586 U KR19980029586 U KR 199800295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ck gear
closing device
vehicle
pin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화
Original Assignee
이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화 filed Critical 이철화
Priority to KR2019960042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586U/ko
Publication of KR19980029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86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소형승합차(小型乘合車)에 장착된 도어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고안된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형승합차에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동력을 얻기 어려워 자동개폐장치를 적용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어(2)가 차체의 측벽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개폐되는 소형승합차(1)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된 정·역회전모터(11)를 설치하고, 이 피니언기어(12)에는 래크기어(22)를 치합시키되 래크기어(22)의 선단이 도어(2)의 내측에 고정된 브라켓(31)에 축설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치를 간편하게 조작하면 정·역회전모터(11)의 구동에 의하여 피니언기어(12)가 회전되는 동시에 래크기어(22)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도어(2)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는 것인 바 탑승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이며, 특히 어린이들이 주로 탑승하는 학원전용의 차량에 본 고안이 장착되면 별도로 탑승되는 안내자의 채용에 따르는 상당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본 고안은 주로 소형승합차(小型乘合車)에 장착된 도어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고안된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된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는 주로 25인승 이상으로 형성되는 중대형승합차에 설치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중대형승합차에 장착되는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의 동력을 이용한 공압실린더 내지는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도어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중대형승합차에 장착된 도어는 주로 2쪽으로 이루어진 도어의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양측으로 접혀지는 형태로 개폐되거나, 도어 전체가 차체의 측벽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압 내지는 유압실린더에서 출몰되는 피스톤로드의 작동을 전달 받아 도어가 개폐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9~15인승용으로 개발된 소형승합차에는 공기압축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는 바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동력을 얻기 어려워 자동개폐
내용 없음
도 1은 본 고안이 장착된 소형승합차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장착된 소형승합차의 사시도.
도 3은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예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4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의한 래크기어가 피니언기어의 구동에 의하여 작동되면서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예시한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형승합차1a : 가이드레일
2 : 도어2a : 걸림구
3 : 출입구10 : 구동부
11 : 정·역회전모터12 : 피니언기어
13 : 지지대20 : 이동부
21 : 안내레일22 : 래크기어
30 : 링크부31 : 브라켓
32 : 장공33 : 고정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와 도 3에서 도시된 소형승합차(1)의 측벽에는 출입구(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입구(3)의 상, 중, 하부에는 요홈을 갖는 가이드레일(1a)이 장착되어 도어(2)의 상, 중, 하부에 고정된 걸림구(2a)가 삽지되어 슬라이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2)를 열게되면 도어(2)에 고정된 걸림구(2a)가 차체의 외측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a)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도어(2)가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열려지고, 도어(2)를 닫게되면 그 선단이 출입구(3)의 내측에 위치되는 가이드레일(1a)에 의하여 도어(2)가 출입구(3)에 삽지되면서 닫혀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소형승합차(1)의 내부 일측 즉 도어(2)의 후방에는 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3)가 장착되어 있고, 이 지지대(13)에 고정 장착된 정·역회전모터(11)의 중심축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정·역회전모터(11)는 차량에 구비된 축전지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어 짐은 당연한 기술사상이며, 주로 저속회전되면서 고트크를 갖는 모터로 구성되어 별도의 감속기의 사용이 필요없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구성은 전체적인 구동부(10)를 이룬다.
상기 지지대(13)의 상부에는 관체로 형성된 안내레일(21)이 고정되어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안내레일(21)의 내부에는 래크기어(22)가 삽지되어 구동부(10)의 피니언기구(12)에 치합되어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전체적인 이동부(2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도어(2)의 내측에는형으로 이루어진 브라켓(31)이 장착되어 있고, 이 브라켓(31)에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32)이 뚫려져 있다. 상기 장공(32)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고정구(33)에는 래크기어(22)의 선단에 축설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전술한 기술구성은 전체적인 링크부(30)를 이룬다.
전술한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 내지는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소형승합차(1)의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 운전석에 장착된 스위치(열림, 정지, 닫힘등의 3단계로 조작되는 스위치로 되어 있으나 관용화된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았음)를 열림 상태로 조작하면 정·역회전모터(11)가 정회전되면서 이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4의 (나)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피니언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에 치합된 래크기어(22)는 안내레일(21)에서 삽지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수평이동되고 래크기어(22)의 선단에 고정된 브라켓(31) 및 도어(2)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어 도어(2)가 자동으로 열려지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도 4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가 열려진 상태에서 운전석에 장착된 스위치를 닫힘 상태로 조작하게 되면 정·역회전모터(11)는 역회전되는 동시에 피니언기어(12)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에 치합된 래크기어(22)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도어(2)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의 (가)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도어(2)가 출입구(3)의 바깥으로 이탈되므로 도어(2)에 장착된 브라켓(31)의 장공(32)을 관통하여 래크기어(22)에 고정되는 고정구(33)는 장공(32)의 우측에 위치되고, 도 4의 (나)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도어(2)가 출입구(3)에 삽지되므로 고정구(33)는 장공(32)의 좌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도어(2)의 위치가 가변됨에 따라 래크기어(22)는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31)의 장공(32)에 의하여 도어(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출고된 차량에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된 정·역회전모터(11)와 래크기어(22), 안내레일(21), 브라켓(31)만 간편하게 설치하면 도어(2)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탑승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이며, 어린이들이 주로 탑승하는 학원전용의 차량에 본 고안을 장착하게 되면 별도로 탑승되는 안내자의 채용이 방지되므로 상당한 인건비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정·역회전모터(11)와 지지대(13)에는 별도의 보호케이스를 장착시키고 래크기어(22)와 브라켓(31)에는 자바라 형태의 보호체를 설치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당연한 기술사상이다.
한편, 상기한 도어(2)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별도의 잠금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괘정되는 것을 감안하여 스위치를 열림 상태로 하면 별도로 장착되는 솔레노이드 장치에 의하여 잠금장치가 먼저 해정되고 이어서 정·역회전모터(11)가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요부를 이루는 중요 구성과는 별개의 구성이고 상기한 장치가 없이도 도어(2)의 개폐장치는 가능하므로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어(2)가 차체의 측벽에서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개폐되는 소형승합차(1)의 내부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된 정·역회전모터(11)를 설치하고, 이 피니언기어(12)에는 래크기어(22)를 치합시키되 래크기어(22)의 선단이 도어(2)의 내측에 고정된 브라켓(31)에 축설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운전석에 구비된 스위치를 간편하게 조작하면 정·역회전모터(11)의 구동에 의하여 피니언기어(12)가 회전되는 동시에 래크기어(22)가 수평으로 이동되어 도어(2)를 자동으로 여닫을 수 있는 것인 바 탑승자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되는 것이며, 특히 어린이들이 주로 탑승하는 학원전용의 차량에 본 고안이 장착되면 별도로 탑승되는 안내자의 채용에 따르는 상당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도어(2)가 차체의 측벽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a)에 슬라이드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탈되면서 개폐되는 소형승합차(1)에 적용되며,
    상기 소형승합차(1)의 내부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대(13)에는 정·역회전 모터(11)가 고정되고 그 상부에는 피니언기어(12)가 축설된 구동부(10)와,
    상기 지지대(13)의 상부에서 횡으로 장착되는 안내레일(21)의 내부에는 래크기어(22)가 삽지되어 피니언기어(12)에 치합되는 이동부(20)와,
    상기 도어(2)의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31)에는 장공(32)이 형성되고, 장공(32)을 관통한 고정구(33)에는 래크기어(22)의 선단이 축설되는 링크부(30)에 의하여 구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2019960042657U 1996-11-28 1996-11-28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99800295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57U KR19980029586U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57U KR19980029586U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86U true KR19980029586U (ko) 1998-08-17

Family

ID=5398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657U KR19980029586U (ko) 1996-11-28 1996-11-28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58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77B1 (ko) * 2001-07-24 2004-02-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랜딩기어 도어 개폐장치
KR101983559B1 (ko) * 2017-12-06 2019-05-29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977B1 (ko) * 2001-07-24 2004-02-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랜딩기어 도어 개폐장치
KR101983559B1 (ko) * 2017-12-06 2019-05-29 주식회사 한국시스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246B2 (en) Side window shade with contour part
CA2210627A1 (en) Swivel-sliding door system for a vehicle
US6832807B2 (en) Vehicle open roof apparatus
HU903295D0 (en) Swinging push door for vehicles
DE50209537D1 (de) Schiebetürführung mit laufwagen und laufschiene bei kraftfahrzeugen
US6234565B1 (en) Dual action bifold door assembly
US3347592A (en) Retractable roof for automotive vehicle
US7320495B2 (en) Motor vehicle
US3961660A (en) Door operating apparatus
KR19980029586U (ko) 차량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US6854212B2 (en) Belt drive system for sliding vehicle door
WO2002046000A1 (en) Auto-retractable side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JP200325396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H0156002B2 (ko)
JPH076422Y2 (ja) 車両のドアロツク装置
US1271745A (en) Automobile-body.
US6679186B2 (en) Motorized door-locking device of reduced size
KR960005855B1 (ko) 차량개구 폐쇄조립체
KR100203496B1 (ko) 승합차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US20230202271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H01111525A (ja) 車輌用開閉屋根
US3695331A (en) Two part door mounting and operating mechanism
US20230220719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CN115257317A (zh) 一种汽车
EP0844123A2 (en) A side part for a motor vehicle, particularly a coupé, having longitudinally-slidable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