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89A - Brake light system - Google Patents

Brake ligh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89A
KR19980029289A KR1019960048536A KR19960048536A KR19980029289A KR 19980029289 A KR19980029289 A KR 19980029289A KR 1019960048536 A KR1019960048536 A KR 1019960048536A KR 19960048536 A KR19960048536 A KR 19960048536A KR 19980029289 A KR19980029289 A KR 19980029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rake light
switch
turn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5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무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289A/en
Publication of KR1998002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89A/en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뒤차에 제동을 알리는 제동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lamp system for informing a braking signal to a rear vehicle.

상기 제동등 시스템은 전원전압인 배터리(12)와, 브레이크 페달(11)이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12)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동등 스위치(13)와, 상기 제동등 스위치(13)가 온되면 점등되는 제동등(L)과, 상기 제동등(L)에 접속되는 전자석(21)과, 상기 전자석(21)에 의해 온/오프되는 플레셔 스위치(23)와, 상기 플레셔 스위치(23)에 접속되는 플레셔 유니트(22)로 구성된다.The brake light system includes a battery 12 which is a power supply voltage, a brake light switch 13 for applying current of the battery 12 when the brake pedal 11 is operated, and a brake light that is turned on when the brake light switch 13 is turned on. (L), an electromagnet (21) connected to the brake lamp (L), a flasher switch (23) turned on / off by the electromagnet (21), and a flasher unit (22) connected to the flasher switch (23). It is composed of

이것에 의해, 앞차의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어 제동등이 점등되었을 때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를 뒷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when the brake pedal of the front vehicle is activated and the brake light is turned 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river of the rear vehicle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it is for deceleration or rapid stop.

Description

제동등 시스템(BRAKE LAMP SYSTEM)BRAKE LAMP SYSTEM

본 발명은 뒤차에 제동을 알리는 브레이크 램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앞차의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어 제동등이 점등되었을 때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를 뒤차의 운전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제동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e lamp system for informing a brake to a rear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brake lamp system in which a driver of a rear vehicle can easily distinguish whether or not it is for deceleration or sudden stop when a brake light of a front vehicle is activated. It is about.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종래의 제동등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로서, 종래의 제동등 시스템은 전원전압인 배터리(1)와, 브레이크 페달(2)이 작동되어야 상기 배터리(1)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동등 스위치(3)와, 과전류의 흐름을 방지하는 퓨즈(4)와, 상기 제동등 스위치(3)가 온되면 점등되는 제동등(5)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FIG. 1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brake lamp system. In the conventional brake lamp system, the battery 1 and the brake pedal 2 which are power supply voltages must be operated so that the battery ( A brake light switch 3 for applying the current of 1), a fuse 4 for preventing the flow of overcurrent, and a brake light 5 which is turned on when the brake light switch 3 is turned on.

상기 제동등(5)은 차량의 후면에 좌 우측 2개가 장착되는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에 장착된다.The brake lamp 5 is mounted to a rear combination lamp mounted on the rear left and right two of the vehicle.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제동등 시스템은 주행시 앞차에 제동등이 온되면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 알 수 없어 판단이 느리면 대형 사고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raking light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of causing a large accident if the judgment is slow when the braking light is turned on while driving in front of the vehicle so that it is for deceleration or sudden stop.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차의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어 제동등이 점등되었을 때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를 뒤차의 운전자가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제동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river of the next car can easily distinguish whether it is for deceleration or sudden stop when the brake pedal of the front car is activated and the brake light is turned on. To provide a braking system.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브레이크 램프 시스템의 일예로서, 전원전압인 배터리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동등 스위치와, 상기 제동등 스위치가 온되면 점등되는 제동등과, 상기 제동등에 접속되는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의해 온/오프되는 플레셔 스위치와, 상기 플레셔 스위치에 접속되는 플레셔 유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 example of a brake lamp system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which is a power voltage, a brake light switch for applying a current of the battery when the brake pedal is operated, a brake light that is turned on when the brake light switch is turned on, and An electromagnet connected to a braking lamp, a flasher switch on / off by the electromagnet, and a flasher unit connected to the flasher switch.

이러한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어 제동등이 점등되었을 때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를 뒤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With this arrangement, when the brake pedal is operated and the brake light is turned on, the driver of the next ca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it is for deceleration or sudden stop.

도 1은 종래의 제동등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brake light syste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brake la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스위치를 도시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brake light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의 동작에 의해 턴온되는 제동등을 도시한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brake light turned on by the operation of the brake ped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배터리 2 : 브레이크 페달1: battery 2: brake pedal

3 : 제동등 스위치 4 : 퓨즈3: brake light switch 4: fuse

5 : 제동등 11 : 브레이크 페달5: brake light 11: brake pedal

12 : 배터리 13 : 제동등 스위치12 battery 13 brake light switch

17 : 제 1 고정 단자 18 : 제 2 고정 단자17: first fixed terminal 18: second fixed terminal

19 : 제 3 고정단자 20 : 제 4 고정 단자19: third fixed terminal 20: fourth fixed terminal

21 : 전자석 22 : 플레셔 유니트21: Electromagnet 22: Fletcher Unit

23 : 제 1 고정 단자 24 : 가동 단자23: first fixed terminal 24: movable terminal

25 : 고정 단자 L : 제동등25: fixed terminal L: brake ligh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시스템은 전원전압인 배터리(12)와, 브레이크 페달(11)이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12)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동등 스위치(13)와, 상기 제동등 스위치(13)가 온되면 점등되는 제동등(L)과, 상기 제동등(L)에 접속되는 전자석(21)과, 상기 전자석(21)에 의해 온/오프되는 플레셔 스위치(23)와, 상기 플레셔 스위치(23)에 접속되는 플레셔 유니트(22)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brake ligh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2 that is a power voltage, a brake light switch 13 for applying current of the battery 12 when the brake pedal 11 is operated, and the brake light switch. The braking light L that is turned on when 13 is turned on, the electromagnet 21 connected to the braking light L, the flasher switch 23 turned on / off by the electromagnet 21, and the flasher switch ( 23 is constituted by a flasher unit 22 connected to the sam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동등 스위치(13)는 배터리(12)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14)와, 브레이크 페달(11)에 장착되어 왕복 운동을 하며 입력 단자(14)에 접속된 가동 단자(15)와, 상기 가동 단자(15)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가동 단자(15)를 정위치시키는 스프링(16)과, 상기 가동 단자(15)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17), 제 2 출력 단자(18), 제 3 출력 단자(19) 그리고 제 4 출력 단자 (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brake light switch 13 includes an input terminal 14 connected to the battery 12 and a movable terminal mounted to the brake pedal 11 to reciprocate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4. 15), a spring 16 for aligning the movable terminal 15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terminal 15 is removed, a first output terminal 17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5, And a second output terminal 18, a third output terminal 19 and a fourth output terminal 20.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제동등(L)은 4 개의 램프로 구성되며, 브레이크 페달(11)을 밟는 깊이에 비례하여 양 측면부터 순서대로 턴온되고, 급제동 시에는 램프 4개가 모두 점등되며 플레셔 유니트(22)가 작동되어 섬광을 점멸시킨다.Referring to FIG. 4, the brake light L includes four lamps, which are sequentially turned on from both sides in proportion to the depth of stepping on the brake pedal 11, and all four lamps are turned on during sudden braking. 22) is activated to flash the flash.

제 1 램프(L1, L1')는 제 1 출력 단자(17)에 접속되고, 제 2 램프(L2, L2')는 제 2 출력 단자(18)에 접속되며, 제 3 램프(L3, L3')는 제 3 출력 단자(19)에 접속되고, 제 4 램프(L4, L4')는 제 4 출력 단자(20)에 접속된다.The first lamps L1, L1 'ar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17, the second lamps L2, L2' ar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18, and the third lamps L3, L3 '. ) Is connected to the third output terminal 19, and the fourth lamps L4 and L4 'are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terminal 20.

상기 플레셔 스위치(23)는 전자석(21)에 의해 작동되는 가동 단자(26)와, 상기 가동 단자(26)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단자(24) 및 제 2 고정 단자(25)로 구성된다.The flasher switch 23 is composed of a movable terminal 26 operated by an electromagnet 21, a first fixed terminal 24 and a second fixed terminal 25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26.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동등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rake lamp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브레이크 페달(11)을 밟는 정도에 따라 가동 단자(15)가 제 1 출력 단자(17), 제 2 출력 단자(18) 그리고 제 3 출력 단자(19) 순으로 턴온되고, 급 브레이크가 작동되면 제 4 출력 단자(20)에 가동 단자(15)가 접속된다.According to the degree of stepping on the brake pedal 11, the movable terminal 15 is turned on in order of the first output terminal 17, the second output terminal 18, and the third output terminal 19. The movable terminal 15 is connected to the 4 output terminal 20.

상기 제 1 출력 단자(17), 제 2 출력 단자(18) 그리고 제 3 출력 단자(19)가 가동 단자(15)에 접속되는 순서대로 제 1 램프(L1, L1'), 제 2 램프(L2, L2') 그리고 제 3 램프(L3, L3')가 온되고, 제 4 출력 단자(20)가 출력 단자(15)에 접속되면 제 4 램프(L4, L4')가 온되며 전자석(21)은 자력을 형성한다.First lamps L1 and L1 'and second lamps L2 in the order in which the first output terminal 17, the second output terminal 18 and the third output terminal 19 are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5. FIG. , L2 ') and the third lamps L3 and L3' are turned on, and when the fourth output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5, the fourth lamps L4 and L4 'are turned on and the electromagnet 21 is turned on. Form a magnetic force.

상기 전자석(21)의 자력에 의해 플레셔 스위치(23)의 가동 단자(26)가 제 1 고정 단자(24)에서 제 2 고정 단자(25)로 턴온되고, 이것에 의해 플레셔 유니트(22)가 작동하여 4개 램프의 섬광을 점멸시킨다.The movable terminal 26 of the flasher switch 23 is turned on from the first fixed terminal 24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25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 21, whereby the flasher unit 22 is operated. Flashes the four lamp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어 제동등이 점등되었을 때 이것이 감속을 위한 것인지 급정거를 위한 것인지를 뒤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ake ligh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the driver of the next car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the brake pedal is operated to decelerate or sudden stop when the brake light is turned 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제동등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braking lamp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i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Claims (4)

전원전압인 배터리(12)와, 브레이크 페달(11)이 작동되면 상기 배터리(12)의 전류를 인가하는 제동등 스위치(13)와, 상기 제동등 스위치(13)가 온되면 점등되는 제동등(L)과, 상기 제동등(L)에 접속되는 전자석(21)과, 상기 전자석(21)에 의해 온/오프되는 플레셔 스위치(23)와, 상기 플레셔 스위치(23)에 접속되는 플레셔 유니트(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시스템.The battery 12, which is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brake light switch 13 for applying the current of the battery 12 when the brake pedal 11 is operated, the brake light L which is turned on when the brake light switch 13 is turned on; And a electromagnetic switch 21 connected to the brake lamp L, a flasher switch 23 turned on / off by the electromagnet 21, and a flasher unit 22 connected to the flasher switch 23. Braking ligh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 스위치(13)는 배터리(12)에 접속되는 입력 단자(14)와, 브레이크 페달(11)에 장착되어 왕복 운동을 하며 입력 단자(14)에 접속된 가동 단자(15)와, 상기 가동 단자(15)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가동 단자(15)를 정위치시키는 스프링(16)과, 상기 가동 단자(15)에 접속되는 제 1 출력 단자(17), 제 2 출력 단자(18), 제 3 출력 단자(19) 그리고 제 4 출력 단자 (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시스템.The brake light switch (1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e light switch (13) is provided with an input terminal (14) connected to the battery (12), and a movable terminal mounted to the brake pedal (11) and reciprocating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14). 15), a spring 16 for aligning the movable terminal 15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terminal 15 is removed, a first output terminal 17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15, A braking lamp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output terminal (18), a third output terminal (19) and a fourth output terminal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L)은 4 개의 램프로 구성되며, 브레이크 페달(11)을 밟는 깊이에 비례하여 양 측면부터 순서대로 턴온되고, 급제동 시에는 램프 4개가 모두 점등되며 플레셔 유니트(22)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e light (L) is composed of four lamps, in turn in turn in proportion to the depth to step on the brake pedal (11), turn on all four lamps in case of sudden braking, the flasher unit ( 22) brak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셔 스위치(23)는 전자석(21)에 의해 작동되는 가동 단자(26)와, 상기 가동 단자(26)에 접속되는 제 1 고정 단자(24) 및 제 2 고정 단자(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등 시스템.The flasher switch (2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sher switch (23) includes a movable terminal (26) operated by an electromagnet (21), a first fixed terminal (24) and a second fixed terminal (connected to the movable terminal (26)). 25) brake ligh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19960048536A 1996-10-25 1996-10-25 Brake light system KR1998002928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536A KR19980029289A (en) 1996-10-25 1996-10-25 Brake ligh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536A KR19980029289A (en) 1996-10-25 1996-10-25 Brake ligh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89A true KR19980029289A (en) 1998-07-25

Family

ID=6631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536A KR19980029289A (en) 1996-10-25 1996-10-25 Brake ligh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28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9289A (en) Brake light system
KR19980029321A (en) Brake light system
KR100252231B1 (en) Stop lamp device
KR970002512Y1 (en) Warning device of brake light
EP3747699A1 (en) Wiring of front braking lights for vehicles
KR970004948Y1 (en) Braking lamp for a car
KR19980029325A (en) Brake light system
KR950009016Y1 (en) Lighting device for motors
KR0143656B1 (en) A device for driving turn signal lamp and hazard lamp of a car
KR0128717Y1 (en) Lighting varification device of brake lamp of an automobile
KR0120293Y1 (en) Indication directing device
KR930004003Y1 (en) Vehicle emergency lamp
KR940000012Y1 (en) Vehicle brake lamp
KR0166285B1 (en) Headlamp control device
KR0140585B1 (en) Parking lamp of a car
KR0140307Y1 (en) Emergency lamp
KR100324663B1 (en) Multistage brake lamp apparatus
KR19990005104U (en) Control circuit of brake light
KR0132132Y1 (en) Emergency lamp
KR20040013288A (en) Brake lamp apparatus of a vehicle
KR19980022501A (en) Emergency light with direction indication function of car
KR19980053547U (en) Brake light system
KR19980029944U (en) Car emergency light ignition device
KR19980015657A (en) Direction indicator and emergency light controller separated
KR20060067557A (en) Vehicle with stop lamp controlled changea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