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514U -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 Google Patents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514U
KR19980027514U KR2019960040455U KR19960040455U KR19980027514U KR 19980027514 U KR19980027514 U KR 19980027514U KR 2019960040455 U KR2019960040455 U KR 2019960040455U KR 19960040455 U KR19960040455 U KR 19960040455U KR 19980027514 U KR19980027514 U KR 19980027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jig
end portion
horizontal cent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8252Y1 (ko
Inventor
김용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0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252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2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2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4Chucks, fixtures, jaws, holders or anv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의 특성 시험시 스프링을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S)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11), 상기 수평중앙부(11)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11)와 동일평면상의 선단부(12a) 및 상기 선단부(12a)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종단부(12b)가 형성된 안착부(12), 및 중앙에 고정구(14)가 형성된 지지면(13)을 포함하는 제 1지그(10); 및 스프링(S)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21), 상기 수평중앙부(21)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21) 보다 낮게 형성된 선단부(22a) 및 상기 선단부(22a)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타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종단부(22b)가 형성된 안착부(22), 및 중앙에 고정구(24)가 형성된 지지면(23)을 포함하는 제 2지그(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스프링이 견고하게 고정지지 되어 스프링의 요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본 고안은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jig)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한적이진 않지만 자동차의 전방 현가장치의 양측에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환화시키기 위한 스프링의 성능 및 특성을 시험하기 위해 스프링을 고정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 중 노면에서 받은 충격 또는 진동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가 제공되며, 이같은 현가장치는 대개 스프링, 스프링의 고유 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쇽업소버(shock absorber), 및 자동차의 롤링(rolling)을 방지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stabilizer)를 포함한다. 이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현가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현가장치(1)는 전술된 바와같이 코일스프링(2), 쇽업소버(3) 및 스태빌라이저(4)를 포함한다. 이중에서 코일스프링(2)은 적정 강도 및 탄성을 유지하여야 하므로 설치전 또는 사용중에 상기 스프링의 성능 및 특성을 검사하여야 한다 미설명부호 T는 타이어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같은 스프링의 강도 또는 특성을 시험할때는 현가장치 전체 또는 스프링이 쇽업소버에 설치된 상태에서 직접 성능이 시험되므로 그 설치공간을 과동하게 점유함은 물론, 스프링 만의 견고하고 정확한 장착이 곤란하여 스프링자체만의 성능 및 특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의 강도 및 특성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에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일측 전방 현가장치를 부분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프링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의 제 1지그의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의 제 1지그의 사시도.
도 4A는 도 3A의 측면도.
도 4B는 도 3B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 1지그2: 수평중앙부
12: 안착부12a: 선단부
12b: 종단부13: 지지면
14: 고정구20: 제 2리그
21: 수평중앙부 22: 안착부
22a: 선단부 22b: 종단부
23: 지지면 24: 고정구
S: 스프링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스프링의 특성 시험시 스프링을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에 있어서, 스프링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 상기 수평중앙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와 동일평면상의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측에는 측단부가 고정되는 종단부가 형성된 안착부, 및 중앙에 고정구가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제 1지그; 및 스프링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 상기 수평중앙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 보다 낮게 형성된 선단부 및 상기 선단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타측단부가 고정되는 단부가 형성된 안착부 및 중앙에 고정구가 형성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제 2지그;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중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의 제 1지그 및 제 1지그를 각각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 및 도 4B에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의 제 1지그 및 제 2지그의 각각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도 3B, 도 4A, 도 4B 및 도 5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는 제 1지그(10) 및 제 2지그(2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 1지그(10)에는 스프링(S)의 일측부가 지지되며, 제 2지그(20)에는 스프링(S)의 타측부가 지지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지그(10)는 중앙 상부면(11)둘레에 나선식으로 재치 또는 장착되는 스프링(S)의 일측부에 적합하게 절취 형성된 스프링 안착부(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앙상부면(11)의 반대측에는 예컨대 다양한 시험 장치의 다이(die)(D)에 지지되는 지지면(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13)의 중앙부에는 상기 다이(D)에 천공된 고정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안착부(12)의 폭은 상기 스프링(S)의 직경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안착부(12)의 선단부(12a)는 상기 중앙상부면(11)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부재(20)는 상기 제 1부재(10)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바, 상기 제 2부재(20)는 제 1부재(10)와 마찬가지로 중앙상부면(21)를 지니며, 그 둘레에는 스프링(S)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스프링 안착부(2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중앙상부면(21)의 반대측에는 스프링 시험장치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았음)에 장착되는 고정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22)의 폭 또한 스프링의 지름과 유사하다.
특히, 상기 제 2지그(20)의 안착부(22)의 선단부(22a)는 상기 중앙 상부면(11)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S)의 타측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어떠한 고정수단 없이도 스프링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용 지그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지그에 고정 또는 장착하는 방식에 있어서, 먼저 제 1지그(10)로 스프링의 일측부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다이(D)의 고정구멍에 지지면(13)에 형성된 고정구(14)를 고정시킨다. 이후 스프링(S)의 일측부를 상기 중앙 상부면(11)둘레에 형성된 안착부(12)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바, 이때 상기 스프링(S)의 일측부의 단부는 상기 안착부(12)의 종단부(12b)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부가 안착부(22)를 따라 접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제 2지그(20)를 스프링(S)의 상부 중앙상부면(21)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지그(20)의 지지면(23)에 형성된 고정구(24)는 도시되지 않은 시험 장치 또는 그것의 고정부재에 미리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S)의 타측부의 단부는 제 2지그(20)의 종단부(22b)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안착부(22)를 따라 접하며 선단부(22a)를 지나 재치되는 방식으로 스프링이 장착지그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스프링의 강도 및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 스프링(S)을 제한된 행정(stroke)범위내에서 연속 반복적으로 압축 및 해제 행정을 행하더라도 스프링(S)이 지그로터 이탈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를 이용하여 스프링을 고정시키면 스프링의 일측부 및 타측부의 각각의 단부가 제 1지그 및 제 2지그 각각의 안착부 및 그 안착부의 종단에 형성된 종단부에 고정지지되므로써 스프링의 요동 및 이탈이 방지되어 정확히 고정유지되는 효고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스프링의 특성 시험시 스프링을 양측에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에 있어서, 스프링(S)의 일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11), 상기 수평중앙부(11)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11)와 동일평면상의 선단부(12a) 및 상기 선단부(12a)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종단부(12b)가 형성된 안착부(12), 및 중앙에 고정구(14)가 형성된 지지면(13)을 포함하는 제 1지그(10); 및 스프링(S)의 타측부에 삽입되는 수평중앙부(21), 상기 수평중앙부(21)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평중앙부(21) 보다 낮게 형성된 선단부(22a) 및 상기 선단부(22a)의 하부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타측부의 단부가 고정되는 종단부(22b)가 형성된 안착부(22), 및 중앙에 고정구(24)가 형성된 지지면(23)을 포함하는 제 2지그(2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KR2019960040455U 1996-11-16 1996-11-16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KR2001482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55U KR200148252Y1 (ko) 1996-11-16 1996-11-16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55U KR200148252Y1 (ko) 1996-11-16 1996-11-16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14U true KR19980027514U (ko) 1998-08-05
KR200148252Y1 KR200148252Y1 (ko) 1999-06-15

Family

ID=1947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455U KR200148252Y1 (ko) 1996-11-16 1996-11-16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2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5707A (zh) * 2020-08-17 2021-06-11 昆山麦斯特五金弹簧有限公司 一种用于弹簧生产的拉力检测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45707A (zh) * 2020-08-17 2021-06-11 昆山麦斯特五金弹簧有限公司 一种用于弹簧生产的拉力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8252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0591A (en) Plunger stand-off assembly
KR200148252Y1 (ko) 스프링 시험용 장착지그
US6782981B2 (en) Antivib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ass damper
JPH08138944A (ja) 有鉄心環状コイルの固定具
KR100187498B1 (ko) 타이로드엔드 볼스터드의 인장강도 테스트용 지그
GB2208696A (en) Resilient mounting structure
KR102646261B1 (ko) 쇽 업쇼버 감쇠력 측정장비용 지그
JPH06257635A (ja) アクチュエータ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への固定構造
KR100199756B1 (ko) 스트러트 어셈블리 시험용 마운팅 지그
KR100217587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 장착구조
US20040251098A1 (en) Shock absorber
RU21387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вибропреобразователя
CN219232400U (zh) 一种自适应卡接限位托架结构以及盘片结构
JPH028115Y2 (ko)
JPH0511748Y2 (ko)
KR0181854B1 (ko) 프론트 스태빌라이저용 부시의 피로 시험장치
KR100199744B1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감쇠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그
KR100313026B1 (ko) 대형차량의 서스펜션 특성 시험용 클램핑 지그
JP3237494B2 (ja) アース端子受け治具
KR910007538Y1 (ko) 음극선관의 진동시험용 고정구
JPS6020488Y2 (ja) リ−フスプリングの取付け装置
KR100418775B1 (ko) 서스펜션 특성 측정기 고정장치
KR19980016265A (ko) 스티어링 너클의 내구성 시험장치
KR200152232Y1 (ko) 스프링 탄성계수 측정지그
JPS62214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