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975A -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975A
KR19980026975A KR1019960045580A KR19960045580A KR19980026975A KR 19980026975 A KR19980026975 A KR 19980026975A KR 1019960045580 A KR1019960045580 A KR 1019960045580A KR 19960045580 A KR19960045580 A KR 19960045580A KR 19980026975 A KR19980026975 A KR 19980026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wall
container
handl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머리아이.발리
Original Assignee
조셉 제이. 조이스
펩시코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셉 제이. 조이스, 펩시코인크. filed Critical 조셉 제이. 조이스
Priority to KR101996004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975A/ko
Publication of KR19980026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975A/ko

Links

Landscapes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기의 공동형 공간내에 상기 공동형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서 연장되고 두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용기 본체부의 내벽면과 일체로 되어서 상기 내벽면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상기 본체부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적어도 두개의 인접 로브를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본 발명은 특히 압력을 받으면서 탄산 음료 등과 같은 유동액을 보유하기 위한 플라스틱 용기 및 그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용기는 일반적으로 사출 또는 사출 성형된 후에 소정 형상의 취입 주형을 사용하여 적절한 형상의 용기로 취입 성형된 예비 성형물로부터 제공된다. 다른 것들도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열가소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올레핀 등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의 형상은 캡 보유 수단을 갖는 목부, 그곳에서 현수된 어깨부, 상기 어깨부로부터 현수된 측벽부 또는 주 본체 및 상기 측벽부에 결합되어 그곳에서 현수된 바닥부를 포함한다.
이것들이 나타내는 편리성 및 경제성 때문에, 일반인들은 예를 들어 탄산 음료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2리터 페트병 및 1갤론 우유병과 같이 큰 크기의 용기를 요구한다. 사실, 더 큰 용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들 용기들은 이것들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 특히 어린 아이들이 다루기에는 거북하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병의 재료 및 소정 형상으로 이것을 전환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공정에 의존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 핸들 또는 손잡이가 사용된다. 사출 취입 성형으로 제작된 폴리에틸렌(PE) 병에서, 속이 비어 있는(공동형) 핸들은, 공지된 바와 같이, 병 자체에 사출된 예비 성형물을 형성하는 동일한 성형 동작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다. 본 기술에 대한 선행 조건은 사출된 예비 성형물 및 쉽게 압력 용접될 수 있는 PE와 같은 플라스틱이다. 사출 성형된 예비 성형물으로부터 PET로 만들어진 병들은 공동을 갖지 않는, 일체형 핸들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술한 기술에 의해서 PET를 밀폐된 핸들로 용접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PET 병은 손잡이를 제공하는 기술은 제시되고 있지만, 병의 본체와 일체로 되는 것, 즉 병 자체를 취입하는 데 사용되는 예비 성형물을 형성하도록 제작된 것은 없다. 대신에, 예를 들어 와이. 나카무라의 미국 특허 제4,727,997호에서 제시된, 개별적으로 제작된 핸들이 기계적으로 부착되거나, 또는 별도의 성형 단계에서 완성품으로 성형된다. 이것은 비싸고 상업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한 신뢰성 없는 공정을 거친다.
핸들 대신에 손잡이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둘간의 차이는, 핸들을 잡을 때에는, 사용자 손의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이 병에 부착된 루푸에 의해서 형성된 또는 일체형으로 된 구멍에 삽입하여야 하는 반면에, 손잡이는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 사이의 그립을 잡도록 병 벽부를 톱니 모양으로 설계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그립은 병 벽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는 한 부분으로서의 대응 공동을 갖는 주형의 다른 일반 예비 성형물로부터 병의 일체형 부분으로서 쉽게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을 갖는 PET 병은, 패키지 기술 분야에 대한 예로서, 일반적으로 2 리터 이상의 큰 크기의 와인 또는 다른 액체용으로도 상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설계는 탄산 음료들이 병등과 같이 내압을 받는 병에는 사용될 수 없는 데, 그 이유는 벽이 얇고, 탄성을 갖고 있어서, 내압을 견디도록 공동 벽을 보통 구형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게 되므로, 톱니 모양을 하거나, 뒵집힌 모양으로 하여 사실상 원형 단면이 아닌 형상으로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PET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스틸렌과 같이 특수한 성형 특성을 갖는 다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경제적이고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병은 그 측벽의 한 부분이 소정 형상으로 뒤집혀서 내압을 견디는 그립을 갖는다.
과거에는, 리브와 같은 강화제를 제공하므로써 톱니 모양의 벽을 보강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시도되었다. 에이. 오따 등의 미국 특허 제4,890,752호는 한 예로서 다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병에 담겨진 청량 음료 및 탄산수의 압력에 의해, 손에 잡기 어려운 형상으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 경우, 단점은 대부분 벽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므로 재료비가 많이 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근본 목적은 개선된 형상을 갖는 탄산 음료용의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화된 손잡이 부분을 포함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용기가 탄산 음료로 채워질 때 상기 강화된 손잡이 부분이 그 효율성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다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한 목적들 및 장점들이 쉽게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산 음료로 용기를 채울 때 압력을 받을면서 효율성을 보유하는 강화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선된 취입 성형된 탄산 음료용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한다.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는, 개구를 형성하는 목부, 바닥부 및 상기 목부와 바닥부를 상호 교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 본체부 및 바닥부는 바닥부에서 밀폐된 속이 비어 있는 공간(이하 공동형 공간)을 형성하고 목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목부, 본체부 및 바닥부는 내벽면 및 외벽면을 가지며, 공동형 공간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공동형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내벽면을 지지하기 위해서 두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부의 내벽면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로브를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로브는 두개의 이격된 함몰부 및 상기 이격된 함몰부에서 다른 쪽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벽부를 가지며, 상기 공동형 부재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한 함몰부에서 다른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로브 중 적어도 하나의 벽부는 상기 주형으로부터 해제 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청량 음료로 채워지는 경우 내압 하에서 상기 손잡이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부분을 포함하도록 취입 성형된다. 적합하게는, 상기 로브 중 하나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함몰부에서 외향 연장되고 적어도 1˚의 테이퍼를 갖는 두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들은 내압 하에서 호형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서 외향으로 불룩해진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동일하지 않은 크기의 두개의 인접한 로브를 형성한다. 또한, 적합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재 및 손잡이는 본체부의 범위로 제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는 내벽면을 갖는 축상의 내향부를 갖는 데, 상기 지지 부재는 동일하게 지지하는 내향부 내벽면과 일체로 된다. 소정의 경우에, 상기 복수개의 지지 부재는 공동형 공간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에는 지지부를 제공하는 용기의 내면에 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용기는 상기 용기가 청량 음료로 채워지는 경우 그 효율성을 갖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지지된 손잡이를 갖는 본 발명의 용기는 편리하고 상업적 방법으로 준비하기에 용이하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본체부 내에 내벽을 포함하는 예비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함몰부에 의해서 분리된 적어도 두개의 인접 로브를 포함하는 예비물의 형상으로 취입 성형된 예비 성형물을 취입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벽은 한 함몰부에서 다른 함몰부로 연장되고, 상기 로브는 취입 성형의 분리 표면을 분명하게 하며, 상기 예비물을 취입 성형으로부터 제거하고 내압을 가해서 그곳으로부터 만곡된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로브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브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체부 및, 벽상에 사실상 로브와 동일한 두께의 톱니 모양을 갖는 예비 성형물으로부터 플라스틱 용기를 제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톱니 모양이 형성된 취입 주형의 부분들이 병렬된 두터운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예비 성형물을 제작하고, 상기 용기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을 취입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용기의 예비용 예비 성형물의 단면도.
도1A는 도1의 A-A 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2A는 도1으 예비 성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의 부분 사시도.
도2B는 도1의 예비 성형물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 사출 성형 조립체의 단면도.
도3은 도1의 예비 성형물과 유사한 예비 성형물으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취입 주형의 부분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입면도.
도5는 도4의 5-5 선을 따라서 취해진 것으로 탄산 음료가 충전된 조건 뿐만아니라 미충전된 조건에서의 용기의 예비물을 도시한 도4의 용기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예비 성형물
11 : 목부
12 : 개구부
13 : 외부 나사
14 : 관상형 본체부
15 : 바닥부
16 : 공동형 공간
17 : 내벽
20 : 사출 주형 코어
21 : 외부 벽
22 : 슬롯
23 : 사출 주형
30 : 취입 주형
31 : 형상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의 외부 형상은 병이 내압을 받고 있는 동안에 병을 잡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함몰부들 및 상기 함몰부들 사이에 로브들을 형성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것은 특히 큰 주연부를 갖는 병 또는 용기에 적합하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되었을 때 압력을 받는 용기를 조작하기 쉽도록 한다. 내부 지지 부재 또는 부재들은 내압에 대해서 동일한 지지를 하기 위한 함몰부에 인접해서 제공되어서 상기 압력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로브를 형성하여 확고한 손잡이부를 형성하면서도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용기들을 형성하기 위한 예비 성형물은 사출 성형에 의해서 준비될 수 있으며 최종 취입 성형되어서 가압된 용기의 내부 지지 부재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예비 성형물의 내부를 완전히 가로질러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벽을 포함한다.
도1에서, 플라스틱 예비 성형물(10)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예에서와 같이 양축 방향으로 될 수 있는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예비 성형물(10)은 개구(12)를 형성하는 목부(11)를 가지며 여기에는 캡을 부착하기 위한 부위 또는 최종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의 덮개 수단으로서 역할을 하는 외부 나사(1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예비 성형물(10)은 상기 목부(11)에서 현수된 본체부(14) 및 상기 본체부(14)에서 일체형으로 현수된 일체형 바닥부(15)를 갖는다. 도1에서의 상기 본체부는 일반적으로 관상형이며, 물론 관상형이 아닐 수도 있다. 목부(11)는 내벽면(11A) 및 외벽면(11B)을 가지며, 관상형 본체부(14)는 내벽면(14A) 및 외벽면(14B)을 가지며, 상기 바닥부(15)는 내벽면(15A) 및 외벽면(15B)을 갖는다. 본체부(14)는 상기 예비 성형물(10) 내에 공동형 공간(16)을 형성하며, 상기 공동형 공간(16)은 바닥부(15)에서 밀페되고, 목부(12)에서 개방된다. 바닥부(15)는 소정 과정에 따르는 어떤 소정 형상 또는 편리한 형상 및, 예를 들어 도1에서 도시된 곡면의 반원형 형상, 또는 편평하거나 조금은 내향한 바닥부 형상을 갖는 최종 용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비 성형물(10)은 도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및 가능하게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내벽(17)을 포함한다. 내벽(17)은 공동형 공간(16)을 완전히 가로질러서 바닥부(15)에서부터, 상기 본체부(14) 내에서 끝나는 관상형 본체(14)까지 연장된다. 도1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벽(17)위에서 서로 연통되지만, 네개의 개별 챔버(17A, 17B, 17C, 17D)는 내벽(17)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내벽(17)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이 그 후에 손잡이를 형성하게 될 예비 성형물의 영역에 제한될 수 있다. 도1 및 도1A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17)은 내벽면(14A)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예비 성형물은 투명한 PET로 형성되어서 상기 내벽은 쉽게 볼 수 있다.
사출 성형에 의해서 예비 성형물(10)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2A 및 도2B에서 도시되어 있는 데, 사출 성형 코어(2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고 예비 성형물에서 소정의 내부 격벽에 대응하는 슬롯(22)이 있는 외벽(21)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어(20)는 종래의 방식으로 사출 코어(20)의 바닥부(25)에 인접해서 사출 주형(23)에 있는 사출 노즐(24)과 정렬된 종래의 방식으로 사출 성형(23)에 배치된다. 코어(20)가 사출 주형(20)에 놓여지면 코어(20)와 사출 주형(23) 사이에는 공간(26)이 생기며 용융 플라스틱(27)이 사출 노즐(24)을 통해서 상기 공간(26)을 채우도록 사출된다. 용융 플라스틱(27)은 또한 코어(20)의 슬롯(22)으로 이동해서 내벽(17)을 형성하게 된다. 그후 상기 사출 주형 및 코어 조립체가 열려져서, 상기 예비 성형물(10)이 종래의 방식대로 제거된다.
취입 성형을 위한 적절한 온도에서, 상기 가열된 예비 성형물(10)은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취입 주형(30)에 배치되고 본 발명의 용기의 예비 성형물으로서 역할을 하는 공동형 물품은 종래의 취입 성형 또는 스트레치 취입 성형에 의해서 형성된다.
가열된 예비 성형물은 취입 주형에 배치되어, 도3의 취입 주형(30)과 같이 소정 용기의 예비 성형물 형상을 갖는 데, 축상 또는 주연상 신장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압축된 공기를 그곳에 불어서, 도3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 성형물이 상기 예비 성형물에 대응하는 형상(31)으로 팽창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은 축상 연신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스트레치 로드 또는 굴대(mandrel)를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드가 사용되면, 예비 성형물 챔버 만큼의 많은 갈퀴(prong)들을 가져야 하며, 각각은 각 챔버내에서 예비 성형물 바닥부를 압축한다. 벽부(17)는 또한 취입 주형(30)에 의해서 허용되는 범위까지 팽창한다.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특별한 취입 주형은 도4에서 도시된 용기(40)의 예비 성형물인 공동형 플라스틱 물품을 형성하도록 하는 내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예비 성형물의 로브의 단면은 도5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주형(30)은 함몰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인접 로브를 포함하며, 도3을 따르는 부분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5에서는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만약 축상의, 내향한 바닥부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취입 주형은 이러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예비 성형물은 취입 주형에 의해서 허용된 형상으로 팽창될 것이며, 내벽 또한 따라서 팽창할 것이다.
종래의 방식에 따라서, 주형(30)은 도3의 화살표(32)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구분되어서 취입 예비 성형 용기를 배출한다.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성형물의 주연부는 동일한 것을 둘러싸는 원보다 크다. 따라서, 도1의 예비 성형물(10)에서의 벽(14)은 손잡이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영역에서 크게 스트레치된다. 적절한 실시예에서, 상기 예비 성형물 벽에는 취입 성형 동안에 병렬 배치된 상기 함몰부인 도1A에서 도시된 농축부(19)가 제공되고 따라서 함몰부 벽의 과도한 박막화를 예방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톱니 모양이 과도한 박막화를 방지하고 상기 톱니 모양의 벽 두께가 사실상 벽의 두께와 동일한 용기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두터운 영역이 병렬로 배열된 부분을 포함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개구(42)를 형성하는 목부(41), 바닥부(43), 상기 목부(41) 및 바닥부(43)를 상호 교차하는 본체부(44)를 갖는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40)가 형성되었다. 목부(41)에는 덮개의 부착을 위해 예비 성형물(10) 상의 나사(13)에 대응하는 오부 나사(45)가 제공되어 있다. 바닥부(43)는 축상에서 내향하는 일반적으로 원뿔형의 기지부(46)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용기(40)는 목부(41)와 관상형 본체부(44)를 연결시키는 견부(47)를 포함한다.
용기(40)에는 예비 성형물(10)의 내벽(17)에 대응하고 용기(10) 내에서 및 저부(43)에서 본체부(44)로, 본체부에서 끝나도록, 공동형 공간(51)을 완전히 가로질러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내벽(50)이 구비되어 있다.
도3 및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벽은 용기와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내벽 또는 벽들은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의 모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도4에서 도시된 본체부에서 시작되어서 끝날 수도 있다.
도5에서, 본체부(44)는 특히 큰 크기의 용기의 손잡이에 적합한 것으로서, 함몰된 영역 또는 함몰부(61)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인접하는 호형 로브(60)를 포함한다. 물론, 다른 형상도 제공될 수 있다. 공동형 공간(51)의 지지 부재(50)는 그 간격을 유지하고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함몰부를 연결한다. 따라서 제공되는 지지된 손잡이들은 바닥부가 압력을 받을 때 두집혀지지 않을 것이다. 지지벽들은 본체부의 내벽면과 일체형이고 상기 함몰부에 인접한며, 이것들은 예를 들어 벽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일한 것에 대해서 강한 지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손잡이는 용기가 완전히 채워지든 부분적으로 채워지든 간에 확고하고 안정적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손잡이의 단부 근처에 있는 본체부 내에서 끝난다. 따라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로브 및 함몰부는 적합하게는 본체부에서 끝나며, 사실상,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닫힌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서 본체부에서 유리하게 시작하고 끝난다. 이것은 도4의 대표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되고 있는 데, 여기에서 용기(40)는 함몰부(61) 및 로브(60)에 의해서 형성된 분리된 손잡이를 갖는다. 지지 부재(50)는 인접해서 제공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함몰부를 지지한다. 물론, 소정의 경우에, 상기 손잡이는 바닥부의 모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벽을 견부로 연장할 수도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40)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5는 추입 성형으로 제작된 예비 성형물 로브(52)를 도시하고 있는 데, 예비 성형물 로브(52)의 경계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5를 보면, 내부 지지 부재(50)는 로브가 지지 부재(50)와 톱니 모양(61) 사이의 결합부의 위치에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지부에서 두개의 인접한 톱니 모양 또는 함몰부(61)가 연결되어 있다. 용기(40)의 예비 성형물에서, 예비 성형물 로브(52)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10 혹은 그 이상의 정도의 약간 외향의 테이퍼를 가지면서, 호형 부분(54)에 의해서 상호 결합된 근본적으로 평행인 부분(53)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53)은 변형되어서 예비 성형물 용기가 압력을 받을 때, 예를 들어 탄산 음료로 채워질 때 작은 로브(60)의 경계를 형성하는 호형 부분(55)이 된다. 따라서, 취입 성형된 로브(52)는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고 상기 로브가 화살표(56)에 의해서 지시된 바와 같이 주형의 개방 스트로크의 방향으로 언더컷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하기가 쉬운 취입 주형에 필요한 사실상 평행한 측면들을 갖는다. 쉽게 알 수 있는 것은 상기 로브(52)(그 경계는 점선부분(53)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다)는 손잡이로서 손이나 손가락으로 잡기가 편리하지 않다. 이에 대비해서, 상기 로브(60)(그 경계는 부분(55)에 의해서 지시되고 있다)는 지지 부재(50)에 의해서 억제된 톱니 모양(61)의 기지부일 뿐만 아니라 성형된 로브(52)의 측면은 손가락이나 손이 손잡이 둘레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호형 부분을 형성하여 엄지 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의 여러 부분들 사이에 고정 그립이 얻어지도록 변형되기 때문에 특히 손잡이로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도4 및 도5의 용기의 다른 좋은 특성은 사실상 두 가지 크기의 손잡이가 도일한 병에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작은 로브(60)는 하나의 그립으로 생각되며 병의 나머지는 큰 손으로도 잡기에 편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큰 손잡이가 된다. 지지 부재를 용기의 중심선에 또는 이에 벗어나도록 적절하게 배치시키는 것은 로브를 할당하는 것을 허용하며, 예를 들어, 하나를 성인용으로 다른 것을 어린 아이용으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로브에 의해서 제공된 두 표면은 두개의 개별적 라벨을 적절하게 배치하도록 하는 데, 한 곳에는 브랜드나 내용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표지 라벨을, 다른 곳에는 음료 용기상에 도시된 법에 의해서 지시된 정보를 수반하는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병이 가게 진열대에 전시되었을 때 판매 광고를 강조하는 발전된 기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손잡이의 적절한 형상은 도5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손의 폭에 가까운 크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는 적합하게는 도4에서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영역에서 병의 길이를 따라서 배치된다. 지지 부재(92)는 오직 손잡이의 길이에 걸쳐서 필요하기 때문에, 이 범위에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이한 제작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기지부를 교차하도록 하향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는 데 있어 최적의 모드의 단지 설명적인 것으로서 단지 여기에서 묘사되고 도시된 설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형식, 크기, 부분의 배열 및 작업의 상세한 것에 대한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정해진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이와 같은 변경을 포함한다.
내용없음

Claims (11)

  1. 개구를 형성하는 목부, 바닥부 및 상기 목부와 바닥부를 상호 교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 본체부 및 바닥부는 바닥부에서 밀폐된 공동형 공간을 형성하고 목부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목부, 본체부 및 바닥부는 내벽면 및 외벽면을 가지며, 공동형 공간에서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공동형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내벽면을 지지하기 위해서 두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본체부의 내벽면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는 적어도 두개의 인접한 로브를 포함하는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로브들은 두개의 이격된 함몰부와 상기 이격된 양 함몰부의 한쪽에서 다른 쪽까지 연장되는 벽부를 가지며, 상기 공동형 공간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는 상기 이격된 함몰부를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이격된 양 함몰부 의 한쪽에서 다른 쪽까지 연장되며, 상기 이격된 함몰부는 각각 기지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 부재는 공동형 공간 내에서 상기 이격된 함몰부 중 한쪽 함몰부의 기지부에서 상기 이격된 다른쪽 함몰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브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벽부는 주형에 취입되어 상기 주형으로부터 해제 가능하고 내압 하에서 상기 손잡이의 형상으로 변형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 중 하나는 작은 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로브는 상기 함몰부에서 외향으로 연장되고 사실상 곧게 뻗은 벽을 갖는 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는 상기 용기가 탄산 음료로 채워졌을 때 외향으로 물룩해져서 호형 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로브들은 동일하지 않은 크기이며, 작은 로브들은 상기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해서 이격된 한 함몰부에서 다른 함몰부로 연장된 벽부를 갖는 상기 두개의 이격된 함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본체부의 범위로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한 이격된 함몰부에서 다른 함몰부로 연장된 지지 부재는 본체부와 손잡이의 범위내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곡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공동형 공간 및 내벽면을 갖고 공동형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내벽면을 지지하기 위해서 두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내벽면과 일체로 된 내벽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갖는 예비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두개의 이격된 함몰부에 의해서 분리된 적어도 두개의 인접 로브를 포함하는 예비 성형물의 형상으로 취입 주형에서 예비 성형물을 취입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예비물을 취입 성형으로부터 제거하는 단계와, 그곳으로부터 만곡된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변형시키도록 내압을 작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은 한 함몰부에서 다른 함몰부까지 연장되고, 이격된 함몰부는 기지부를 갖고 지지 부재는 공동형 공간 내에서 상기 이격된 함몰부 중 한 함몰부에서 다른 상기 함몰부의 기지부로 연장되며, 상기 로브는 취입 주형의 분리 표면 부분에서 제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이 예비 성형물의 본체부의 범위로 제한된 예비 성형물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이 취입 주형으로부터 제거되고 내압이 상기 예비 성형물에 작용되어서 손잡이 형상으로 변형된 로브의 벽부를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예비 성형물을 상기 로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용기의 최종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내압은 예비 성형물에 탄산 음료를 채움으로써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45580A 1996-10-12 1996-10-12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KR19980026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80A KR19980026975A (ko) 1996-10-12 1996-10-12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580A KR19980026975A (ko) 1996-10-12 1996-10-12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975A true KR19980026975A (ko) 1998-07-15

Family

ID=6628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80A KR19980026975A (ko) 1996-10-12 1996-10-12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97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536A (en) * 1974-07-31 1977-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recisely partitioned bulbous-shape container
JPS61110514U (ko) * 1984-12-25 1986-07-12
JPH0285142A (ja) * 1988-09-22 1990-03-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対称ボトル
JPH0390331A (ja) * 1989-09-01 1991-04-16 Nissei Ee S B Kikai Kk 把手付き薄肉合成樹脂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36932A (ja) * 1990-02-15 1991-10-22 Yoshida Kogyo Kk <Ykk> 容器、前記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5232108A (en) * 1991-02-09 1993-08-03 Nissei Asb Machine Co., Ltd. Preform having inner partition wall and process of making plastic vessel having inner partition wal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536A (en) * 1974-07-31 1977-12-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precisely partitioned bulbous-shape container
JPS61110514U (ko) * 1984-12-25 1986-07-12
JPH0285142A (ja) * 1988-09-22 1990-03-26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対称ボトル
JPH0390331A (ja) * 1989-09-01 1991-04-16 Nissei Ee S B Kikai Kk 把手付き薄肉合成樹脂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236932A (ja) * 1990-02-15 1991-10-22 Yoshida Kogyo Kk <Ykk> 容器、前記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US5232108A (en) * 1991-02-09 1993-08-03 Nissei Asb Machine Co., Ltd. Preform having inner partition wall and process of making plastic vessel having inner partition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9937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including a handgrip and method for obtaining same
CA2187249C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US4785948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having a reinforced wall structure and preform therefor
US5217128A (en) Thermoplastic bottle with reinforcing ribs
EP0444069B1 (en) Plastics bottles and similar containers
KR100404817B1 (ko) 연신블로우성형에의해형성된핸들을갖는보틀및그보틀의형성방법
US5529195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KR970010905B1 (ko) 취입식 플라스틱 용기
MXPA97003516A (en) Plastic container with ma
KR102350004B1 (ko) 이너백 용기용 프리폼 및 이중 구조 용기
US5126177A (en) Thermoplastic preform for blow molding a bottle with reinforcing ribs
US6179142B1 (en) Wire-frame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4981736A (en) Preform with geodesic reinforcement ring
JPH0624759B2 (ja) ブロー成型されたプラスチック製の容器を製造する方法
US4959006A (en) Apparatus relating to a preform with geodesic reinforcement ring
WO2012073744A1 (ja) プリフォーム
WO1999042277A1 (en) Process for obtaining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KR19980026975A (ko)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EP1710166A2 (en) Handled plastic container
RU2144894C1 (ru) Формованный дутьем пластиковый сосу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H10139029A (ja) 合成樹脂製の超薄肉中空容器
WO1991000220A1 (en) Apparatus and process relating to a preform with geodesic reinforcement ring
MXPA96004797A (es) Recipientes plasticos moldeados a soplado.
KR0169181B1 (ko) 손잡이붙이 병체의 일차성형품과 손잡이붙이 병체의 성형방법
KR100242505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