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505B1 -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 Google Patents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505B1
KR100242505B1 KR1019940009077A KR19940009077A KR100242505B1 KR 100242505 B1 KR100242505 B1 KR 100242505B1 KR 1019940009077 A KR1019940009077 A KR 1019940009077A KR 19940009077 A KR19940009077 A KR 19940009077A KR 100242505 B1 KR100242505 B1 KR 100242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container
wall
blow molded
molded plastic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 발리 에머리
Original Assignee
클레이 지. 스몰, 켈리 마혼 툴리어
페푸시코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077,271 external-priority patent/US5398828A/en
Application filed by 클레이 지. 스몰, 켈리 마혼 툴리어, 페푸시코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클레이 지. 스몰, 켈리 마혼 툴리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505B1/ko

Links

Landscapes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 내벽면과 일체로 되어 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본체부는 손잡이를 형성하는 오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로브가 형성되며 오목부는 내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방향 내향 부분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용기를 마련하기 위한 예비 성형체의 측단면도
제1a도는 제1도의 1A-1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예비 성형체를 성형하기 위한 코어의 부분 사시도
제2b도는 제1도의 예비 성형체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사출 성형 조립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용기의 정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예비 성형체와 유사한 예비 성형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용기를 성형하는 취입 주형의 부분 단면도.
제5a도는 제3도의 5A-5A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실시예의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
제5c도는 제3도의 5C-5C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3도와 유사한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축방향 내향 바닥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용기의 바닥부의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용기의 지지 바닥부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바닥부의 단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도시한 용기 구조에 적합한 예비 성형체를 형성하는 예비성형체 코어의 부분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예비 성형체 11, 41 : 목부
12,42 : 개구 13,45 : 외부나사
14, 44 : 본체부 15,43 : 바닥부
16,51,86 : 중공 공간 17,50 : 내벽
20 : 사출 성형 코어 23 : 사출주형
24 : 사출 헤드 27 : 용융플라스틱
29 : 플래튼 30 : 취입주형
40,70,80 : 용기 46,81 : 바닥
47 : 견부 60 : 로브
72,82 : 원추부 90 : 코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유체를 담는 용기, 특히 탄산 음료 등을 담는 플라스틱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들 용기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후 소정 형상의 취입 주형을 사용하여 예비 성형체를 취입 성형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용기로 제조된다. 통상의 열 가소성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PET, 폴리올레핀 등이지만 다른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용기의 형상은 대체로 캡 수용 수단을 구비한 목부, 그로부터 현수된 견부, 이 견부로부터 현수된 측벽 또는 본체부 및 측벽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현수된 바닥부를 구비한다. 이들 용기는 대부분 바닥부가 축방향 내향하는 원추형인 샴페인병 바닥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용기의 바닥부는 용기의 취약한 부분이 되므로 바닥 구조를 보강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대중적 편리성과 경제성 때문에 대형 용기들이 선호되고 있으며, 예컨대 탄산 음료용으로 2리터들이 병이 선호되고 있다. 실제로 이들 보다 더 큰 용기라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렇게 크면 특히 어린이들은 잡기가 어려워진다. 또한, 이들 용기의 벽은 불거져 나오게 되어 취급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구조를 갖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화된 바닥 구조, 특히 축방향 내향 연장되어 강화된 바닥 구조를 갖는 전술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이라도 취급이 용이하며 성형이 용이하고 강화된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부를 구비한 전술한 형태의 개선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벽과 본체부가 보강된 개선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하에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 및 장점이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는 개구를 형성하는 목부와, 바닥부와, 본체부와, 목부 및 바닥부를 상호 연결하는 견부를 포함하며, 목부와 본체부와 견부와 바닥부는 바닥부가 막히고 목부가 개방된 중공 공간을 한정하며, 본체부 외벽면은 본체부를 적어도 두개의 인접 성형된 로브로 분할하는 적어도 두개의 성형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한정하고 오목부와 로브는 본체부 범위 내로만 한정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를 포함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오목부는 오목부가 외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지지 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지지 부재는 중공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고 본체부의 내벽면과 일체이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서는 본체부 외벽면이 오목부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인접 로브로 구성된 영역을 형성하고 지지 부재가 오목부 부근의 본체부 내벽면과 일체로 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로브와 오목부는 손잡이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는 오목부에 인접하여 2개의 오목부를 지지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인접 로브와 4개의 오목부가 제공되며, 지지 부재 중 2개는 중공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는 내부 지지벽을 갖고 각 지지벽은 오목부 중 2개를 연결한다. 한 실시예에서 로브는 대략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지지벽은 중공 공간의 중심을 대략 가로지른다. 다른 실시예에서, 로브는 크기가 각기 다르며 지지벽은 중공 공간의 중심을 벗어나서 가로지른다. 내부 지지벽은 바닥부로부터 본체부까지 연장되며 본체부에서 종료되어 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로브와 오목부는 본체부에만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바닥부는 내벽면을 갖는 축방향 내향부를 가지며, 지지부는 본체부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되고 내향부 내벽면과도 일체로 되어 일체의 내벽면들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수의 지지벽을 제공하고 지지벽이 본체부까지 연결된다.
전술한 바 이외에, 본 발명은 취입 성형 용기를 성형하기 위한 플라스틱 예비성형체를 제공한다. 예비 성형체는 개구를 형성하는 목부와, 그로부터 현수된 본체부와, 본체부로부터 현수된 일체의 바닥부로 구성되며, 본체부는 바닥부에서 폐쇄되고 목부에서는 개방된 중공 공간을 형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내벽이 중공 공간을 바닥부에서 본체부까지 완전히 가로지르고 본체부까지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용기는 수많은 장점을 게공한다. 우선,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내측에 지지체를 제공하는 지지부재가 제공된다. 지지된 손잡이도 성형이 용이하며 축방향 내향 바닥부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지지 부재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런 용기는 간편하고 손쉽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하기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점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후술하는 것으로부터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용기의 외부 구조는 병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목부들 사이에 로브를 둔다. 이는 대형 병이나 용기에 특히 적합하며 용기가 가득찬 상태 또는 일부 들어 있는 상태에서 취급이 용이하다. 내부 지지 부재는 오목부 부근에서 내압에 대해 이들 오목부를 지지하여 견고한 손잡이부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원추형인 축방향 내향부를 가진 기부 또는 바닥부와, 내압으로 인한 변형에 대항하여 바닥부를 지지하는 용기내측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부재를 제공한다. 이는 이런 내향부 또는 샴페인 병형태의 구조를 강화하기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특히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내부 지지벽은 지지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취입 성형되는 플라스틱 용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들 용기를 형성하는 예비 성형체는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 기술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내벽이 최종 취입 성형된 내부 지지 부재에 대응하는 예비 성형체의 내부를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플라스틱 패리슨 또는 예비 성형체(10)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이중축으로 배향될 수 있는 합성 수지로부터 사출 성형 또는 압출 성형하여 얻어진다. 예비 성형체(10)는 개구(12)를 한정하는 목부(11)를 가지며, 완성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상에 캡이나 마개 수단을 부착하기 위한 사이트(site)로서 작용하는 외부 나사(13)가 마련될 수 있다. 예비 성형체(10)는 목부(11)로부터 현수된 본체부(14)와 본체부로부터 현수된 일체의 바닥부(15)를 갖는다. 제1도의 본체부는 물론 관형 구조와는 약간 다를 수도 있지만 대체로 관형이다. 목부(11)는 내벽면(11A)과 외벽면(11B)을 가지며 관형 본체부(14)는 내벽면(14A)과 외벽면(14B)을 가지고, 바닥부(15)는 내벽면(15A)과 외벽면(15B)을 갖는다. 본체부(14)는 예비 성형체(10)내에 중공 공간(16)을 한정하며, 이 중공 공간(16)은 바닥부(15)에서 폐쇄되고 목부(12)에서 개방된다. 바닥부(15)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둥근 반원형 또는 예컨대 납작한 또는 조금 내향하는 바닥 형상 등 소정의 가공 및 최종 용기 특성에 따라 필요한 혹은 편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비 성형체(10)는 제1a도에 도시된 두개의 벽과 같이 적어도 하나 그리고 양호하게는 2개인 내부벽(17)을 포함한다. 내부벽(17)은 바닥부(15)로부터 중공공간(16)을 완전히 가로질러 본체부(14)에서 종료하는 관형 본체부(14)까지 연장된다.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벽(17)위에서 서로 연통되기는 하지만 4개의 분리 챔버(17A, 17B, 17C 및 17D)가 내부벽(17)에 의해 형성된다. 제1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벽(17)은 내벽면(14A)과 일체이다. 내부벽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면(15A)과도 일체이다. 따라서 내부벽은 예비 성형체 벽에 대해 일체형 지지 구조를 제공한다. 또 예비 성형체는 내부벽이 쉽게 보이도록 투명한 PET로 제조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의한 종래의 예비 성형체(10)형성 방법이 제2a도 및 제2b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예비 성형체(10)를 형성하기 위한 양호한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지만, 원하는 경우 예비 성형체(10)는 소정의 내부벽을 형성하기 위해 압출헤드가 개구 횡단 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압출 성형 방법으로 압출 성형한 후, 계속해서 바닥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바닥을 핀칭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2a도에서, 사출 성형 코어(20)는 예비 성형체(10)의 소정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원통형으로 된 외부벽(12)을 갖도록 제조된다. 또 사출 성형 코어(20)는 예비 성형체 내의 소정 내부 격벽에 대응하는 연통식 중공 횡단 채널이나 슬롯(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코어(20)는 종래의 방법으로 사출 헤드(24)가 사출 성형 코어(20)의 바닥부(25)에 인접한 사출 주형(23)내에 안착되는 상태로 사출 주형(23)내에 배치된다. 코어(20)는 사출 주형(23)내에 배치되어 코어(20)와 사출 주형(23)사이에 공간(26)이 형성되고 용융 플라스틱(27)이 사출 헤드(24)를 통해 공간(26)내로 사출된다. 용융 플라스틱(27)은 또 코어(20)내의 슬롯(22)으로 이동하여 내부벽(17)을 형성한다. 그후 사출 주형과 코어 조립체가 개방되고 사출 성형 코어와 그 위에 붙은 예비 성형체(10)가 플래튼(29)을 거쳐 제거된다. 그 후 예비성형체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코어를 축방향으로 빼내면 사출 성형 코어(20)가 예비성형체로부터 제거된다.
그후 고온의 예비 성형체(10)를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입 주형에 넣고 후술하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용기를 성형한다.
이렇게 형성된 예비 성형체는 취입 성형될 수 있는 온도로 놓이게 되며, 이것은 미리 성형된 예비 성형체를 가열하거나 사출 성형 작업과 함께 고온의 예비 성형체를 필요에 따라 그 온도를 조절하면서 성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취입 성형수행 온도로 가열된다. 필요하다면 중공 공간(16)내측의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내부벽(17)에 의해 형성된 격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에 히터를 삽입하여 내벽의 가열을 행할 수도 있다.
예비 성형체가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팽창시켜 이중축으로 배향되고 축방향 연장되도록 그 내부에 압축 공기를 불어넣는 동안 고온 예비성형체는 제4도의 취입 주형(30)과 같이 소정 용기의 형상을 갖는 취입 주형 내에 배치된다. 이 공정은 축방향으로 연신을 수행하는 신장 로드나 맨드렐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로드를 사용하면 격벽의 수만큼의 각 격벽내의 예비 성형체 바닥과 맞닿는 분기부(prong)를 가져야 한다. 내부벽(17)은 취입주형(30)에 의해 허용된 범위로 팽창된다. 제4도의 특정 취입 주형은 다른 형상이 선택될 수도 있지만 제3도에 도시한 플라스틱 용기(40)을 형성할 수 있는 내부 형상을 갖는다. 물론 소정의 최종 형상이 오목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인접 로브를 포함하면 취입 주형은 이런 구조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축방향 내향 바닥부가 요구되면(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입 주형은 이런 형상을 갖는다. 예비 성형체는 취입 주형에 따르는 형상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내부벽도 이에 대응해서 팽창된다.
따라서, 개구(42)를 한정하는 목부(41), 바닥부(43) 그리고 이들 목부(41)와 바닥부(43)를 서로 연결하는 관형 부분으로서의 본체부(44)를 갖는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40)가 성형된다. 목부(41)에는 용기 상의 뚜껑 부착을 위한 사이트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예비 성형체 상의 나사(13)에 대응하는 외부 나사(45)가 구비된다. 바닥부(43)는 축방향 내향 원추형 기부(46)를 갖는다. 용기(40)는 또 목부(41) 및 관형 본체부(44)를 연결하는 견부(47), 본체부 내벽면(48A) 및 외벽면(49A), 견부 내벽면(48B) 및 외벽면(49B), 바닥부 내벽면(48C) 및 외벽면(49C), 그리고 목부 내벽면(48D) 및 외벽면(49D)을 갖는다.
용기(40)에는 예비 성형체(10)의 내부벽(17)에 대응하며 용기(40)내의 중공공간(51)을 완전히 가로질러 바닥부(43)로부터 본체부(44)까지 연장되어 본체부에서 종결되어 적어도 2개의 분리된 챔버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벽(50)이 마련되며, 제5A도 및 제5B도에서는 이들 챔버(51A, 51B, 51C, 51D)는 본체 내의 내부벽(50)의 종결부에서 서로 연통된다.
제3도와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벽은 용기와 일체로 되어 있고, 제5a도 및 제5b도에는 내부벽(50)이 내벽면(48C)과 일체로 되어 용기 벽을 위한 견고한 지지체를 형성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지지벽도 바닥부 내벽면(48C)과 일체로 되어 견고한 지지체를 제공한다.
제5a도 및 제5b도를 참조하면, 외벽면(49)은 오목한 영역 또는 오목부(61)에 의해 서로 연결된 서로 인접한 호형 로브(60)를 한정하며 이들은 대형 용기에서 손잡이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물론, 다른 형상도 채택할 수 있다. 중공공간 내의 지지 부재(50)는 오목부에 인접 위치되어 지지체를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된 지지된 손잡이는 용기 압축 시에 뒤집히지 않는다.
제5b도의 실시예는 로브(60A')가 로브(60A'')보다 작고, 상기 로브는 오목부(61A)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중공 공간(51)을 가로지르는 지지벽이 그 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있는 단일 지지벽(50A)을 도시한다. 이런 구조는 비교적 작고 취급이 용이한 로브를 제공한다.
이와 반대로, 제5a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대략 크기가 같고 지지벽(60)이 중공공간(51)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로브(60)를 도시한다. 예측할 수 있겠지만,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지지벽을 사용하거나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지지벽을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지지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양호하게는 지지벽은 바닥부 내벽면 및 지지벽의 상부 범위 상에 현수되는 본체부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된다. 이들은 오목부 부근에 배치되어 예컨대 벽의 좌굴을 방지하는 견고한 지지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용기가 가득차 있든 일부만 들어 있든 손잡이도 견고해지며 안정되게 된다. 제3도 및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벽은 본체부 내에서 종결되게 하는 것이 좋다. 마찬가지로 손잡이로 이용되는 로브와 오목부는 본체부에서 종결될 수 있고, 실제로 필요에 따라서 본체부에서 시작하여 본체부에서 끝나게 하여 별도의 손잡이가 될 수 있다. 이는 제6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40A)가 오목부(61B)와 로브(60B)에 의해 형성된 별도의 손잡이를 갖고 있다. 근처에 지지 부재(50B)가 마련되어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오목부를 지지한다. 물론, 필요하다면 손잡이를 바닥부까지 전체적으로 연장시킬 수도 있고, 또 견부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용기에 상당한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다.
소정의 경우 제5a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브와 오목부에는 용기를 분별하기 위해 외벽면에 굴곡이나 다른 장식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따르면 장식 목적으로 쉽게 다수의 좁은 로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7도는 대체로 축방향 내향하는 원추부(72)를 포함하는 변형된 샴페인 기부를 가진 용기(70)를 도시한 것이다. 중공 공간(51)내의 지지 부재(50)는 원추부(72)에 인접 위치되어 원추부를 지지하고, 이것은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50)는 원추부(72)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3도에 도시한 용기의 본체부까지 연장된다.
제8도의 실시예는 변형된 기부(81)가 축방향 내향 원추부(82)를 포함하는 용기(80)를 도시한다. 다수의 내부벽 또는 지지 부재(83,84,85)가 중공 공간(86)내에 위치되어 원추부(82) 및 측벽(87)과 기부(81)를 지지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는 본체부 내벽면(87A)의 일부와 내향부 내벽면(82A)에 일체로 되어 내향부와 일체의 인접 벽을 지지하는 견고하고 강성인 지지체를 제공한다. 지지벽은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체부 내에서 종료될 수 있다. 지지벽의 정확한 수는 특정 용기에 따라 달라진다.
제10도는 제8도 및 제9도의 용기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예비 성형체를 형성하는 적당한 코어(90)의 부분 사시도이다. 코어(90)는 제2a도에 도시한 코어와 유사한 원통형 형상의 외벽(91)을 갖는다. 서로 연통되며 중공부를 가로지르는 채널이나 슬롯(92)은 최종 용기의 필요한 지지벽의 수 및 높이에 대응한다. 제2a도와 제2b도 이후에 용융 플라스틱은 슬롯(92)내로 이동되어 내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행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모드를 단순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그 부품의 형상, 크기, 배치 구조 및 작동에 대한 세부 사항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 청구 범위에 기술된 정신 및 범주 내에 드는 모든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8)

  1. 개구(42)를 한정하는 목부(41)와, 바닥부(43)와, 본체부(44)와, 상기 목부 및 본체부를 상호 연결하는 견부(47)를 포함하며,
    상기 목부와 본체부와 견부와 바닥부는 바닥부(43)가 막히고 목부(41)가 개방된 중공 공간(51)을 한정하며,
    상기 본체부 외벽면(49A)은 상기 본체부(44)를 인접 성형된 적어두 두개의 로브(60)로 분할하는 적어도 두개의 성형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영역을 한정하고 상기 오목부와 로브는 상기 본체부(44)범위 내로만 한정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는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61)는 오목부가 외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50)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중공 공간(5)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고 본체부(44)의 내벽면(48A)과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50)는 상기 바닥부(43)로부터 상기 본체부(44)까지 연장되며, 상기 바닥부 및 본체부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성형 플라스틱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인접한 로브(68)와 4개의 오목부(61)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부재 중 2개는 중공 공간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되는 내부 지지벽을 포함하고 각 지지벽은 상기 오목부(61) 중 2개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60)는 대략 같은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 부재(50)는 중공 공간의 대략 중심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성형 플라스틱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브는 크기가 각기 다르며 상기 지지부재(50A)는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중공 공간을 가로지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내벽면을 갖는 축방향 내향부(44)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50)는 본체부(44)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이고 내향부 내벽면과도 일체로 되어 상기 일체의 내벽면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83,84,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취입 주형(30)내의 예비 성형체(10)로부터 팽창되고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취입 주형에 의해 허용되는 범위까지 팽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KR1019940009077A 1993-04-29 1994-04-28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KR100242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566393A 1993-04-29 1993-04-29
US8/055,663 1993-04-29
US08/077,271 US5398828A (en) 1993-04-29 1993-06-17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including internal support and handgrip
US8/077,271 1993-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2505B1 true KR100242505B1 (ko) 2000-03-02

Family

ID=2673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077A KR100242505B1 (ko) 1993-04-29 1994-04-28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5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22379C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including handgrip
US5398828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including internal support and handgrip
EP0277557B1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KR0166578B1 (ko) 모노베이스 용기용 프리폼
US5242066A (en) Plastic bottles and similar containers having internal spiders
CA2604231C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low molded containers having optimal plastic distribution
US8747727B2 (en) Method of forming container
US5906285A (en) Plastic blow molded container
US20120267381A1 (en) Container
US5529195A (en)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US4280630A (en) Container with handle
US5837170A (en) Process for obtaining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KR100242505B1 (ko) 손잡이를 구비한 취입 성형 플라스틱 용기
JPH03268907A (ja) 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並びにそのプリフォーム及び取手付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WO1997043108A1 (en) Handled plastic container
RU2109665C1 (ru) Пластмассовый сосуд с ручкой
JP2597903B2 (ja) 把手付延伸中空容器の製造方法
AU720928B2 (en) Process for obtaining blow molded plastic containers
HU218428B (hu) Fogantyús műanyag tartály
KR19980026975A (ko) 취입 성형된 플라스틱 용기
MXPA96004797A (es) Recipientes plasticos moldeados a soplado.
RU96120354A (ru) Формованный дутьем пластиковый сосуд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Z293296A3 (cs) Plastová nádoba vyfouknutá do formy a způsob její výro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