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788A -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788A
KR19980026788A KR1019960045353A KR19960045353A KR19980026788A KR 19980026788 A KR19980026788 A KR 19980026788A KR 1019960045353 A KR1019960045353 A KR 1019960045353A KR 19960045353 A KR19960045353 A KR 19960045353A KR 19980026788 A KR19980026788 A KR 19980026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il
weight
cosmetic composition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우
김형진
유영창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6004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788A/ko
Publication of KR1998002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88A/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폴리에틸렌 또는 불소에 의해 표면처리된 분체 60 내지 80 중량%에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여 부착성, 화장지속성, 화장흐트러짐성 및 분체가루날림 면에서 나타난 종래 화장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아니라 오일 특성에 의한 매끄러운 발림성, 부드러운 사용감촉 및 촉촉한 느낌 등이 향상되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새로운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현재, 고형 분체 화장료의 원료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세리사이트,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등의 체질안료, 나일론가루 등의 기능성 안료,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 황산화철, 흑산화철, 군청 등의 착색안료 및 운모티탄, 산화철 처리된 운모티탄 등의 진주광택안료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이들을 고형화시키기 위해 에스테르계 오일,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실리콘계오일, 에스테르계 왁스 및 하이드로카본계 왁스 등의 오일이 5 내지 15 중량% 범위로 사용되고 있다. 오일을 15 중량% 초과하도록 기존의 화장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분쇄공정이 수월하게 진행되지 않고 제형화 단계에서 air pocket 등의 결함이 생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들 점성을 갖고 있는 오일들은 각 분체표면에 뿌려져 서로 이웃하고 있는 분체간의 결합을 도와줌으로써 분체상호간의 결합력을 높여 제형화(고형화)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료들은 오일을 상기 언급한 함량 범위로만 함유함으로해서 완전 고형으로 존재하며, 화장료를 피부에 이송시킬 경우에는 오일량의 부족으로 피부에 대한 부착성이 나쁘고 화장이 오래 지속되지 못하며 쉽게 흐트러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시 분체가루가 날려 주변이 오염되는 등 여러면에서 불편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 화장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오일량을 증가시키는 한편 분체의 오일에 대한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연구하던중, 분체의 표면처리를 통해 분체 표면에 친유성을 부여하면 분체의 오일에 대한 젖음성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다량의 오일(20 내지 40 중량%)을 첨가하여 반죽함으로써 분체를 완전히 오일에 젖게하는 것이 가능해져 부착성, 화장지속성, 화장흐트러짐성 및 분체가루날림 면에서 나타난 종래 화장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뿐아니라 오일 특성에 의한 매끄러운 발림성, 부드러운 사용감촉 및 촉촉한 느낌 등이 향상되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분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분체 60 내지 80 중량%에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에서 주성분인 분체로는 탈크, 마이카, 이산화티탄, 세리사이트, 산화철 및 나일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성분을 어떤 함량으로 사용하는가에 관한 것은 제조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종류에 따라,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표면처리된 분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하며, 특히 실리콘, 불소 또는 폴리에틸렌 등에 의해 표면처리된 분체를 사용한다. 분체의 표면처리는 오일과 혼합되기 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표면처리된 분체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는데, 실리콘처리 분체로는 일본의 Miyoshi(주) 제품, 불소처리 분체로는 일본의 Daito Kasei(주) 제품, 폴리에틸렌처리 분체로는 역시 일본의 Iwase(주) 제품을 바람직하게 사용하였다. 실리콘을 이용하여 분체를 표면처리하면 분체에 친유성을 부여하여 오일 젖음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불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분체를 표면처리하면 과다한 오일젖음성을 조절하고 피부친화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표면처리 물질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용함으로써 원하는 결과를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체와 함께 혼합되는 오일로는 고형 분체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등의 에스테르계 오일, 스쿠알란 등의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오일, 라놀린 등의 에스테르계 왁스, 바세린 등의 탄화수소계 왁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오일은 20 내지 40 중량% 범위로 사용하는데, 2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반죽이 잘 되지 않으며, 40중량%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조된 분체 화장료가 물렁물렁해지거나 끈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분체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리콘, 불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표면처리된 각 분체를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분체 60 - 80 중량%를 믹서에 넣고 5 내지 1000rpm 으로 혼합하면서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혼합, 반죽한다.
상기 방법에서 믹서로는 헨셀믹서 또는 리본믹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분쇄는 3 내지 4 회, 분사시간은 5 내지 60분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반고형 분체 화장료는 길쭉한 스틱형상으로 만든 후, 이를 적당량 잘라 접시에 담고 0.1 내지 40 Kgf/㎠ 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형화 한다. 이와 같이 제형화된 본 발명에 다른 분체 화장료 조성물은 투웨이케익, 콤팩트 등의 얼굴전체 화장용 화장료일 수 있고, 아이섀도우 등의 부분 화장용 화장료일 수도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본 발명에 따른 콤팩트의 제조
표면처리된 분체(1 내지 7)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비로 혼합하고 3회 분쇄한 다음, 리본믹서에 투입하고 100rpm으로 믹서를 회전시키면서 역시 표 1의 조성비로 오일을 30분간 분사하였다. 60분간 혼합한 다음, 20kgf/㎠의 압력하에 반고형의 콤팩트로 제형화하였다.
원 료 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 실리콘처리 마이카 7 7 7 7
2. 실리콘처리 이산화티탄 3 3 3 3
3. 실리콘처리 탈크 10 10 10 10
4. 폴리에틸렌처리 마이카 40 30 20 15
5. 불소처리 세리사이트 10 10 10 10
6. 실리콘처리 나일론가루 5 5 5 5
7. 실리콘처리 산화철 5 5 5 5
8.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10 20 30 35
9. 스쿠알란 5 5 5 5
10. 실리콘오일 3 3 3 3
11. 라놀린 2 2 2 2
주) 단위: 중량%
실험예 1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반죽정도, 경도 및 낙하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는 ASKER JAL 형 K6301 경도계로 평가하였고, 낙하안정성은 60㎝ 높이에서 자유낙하시킨 결과를 기재하였으며, 반죽정도는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무척 뻑뻑함:1, 뻑뻑함:2, 보통:3, 무름:4, 아주무름:5
항목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반죽정도 2 3 4 5
경도 35 25 21 15
낙하평가 5 회 안정 5 회 안정 5 회 안정 3 회 안정
상기 표 2 의 결과로 부터, 오일함량이 20 중량%인 실시예 1 조성물의 경우 반죽정도가 약간 뻑뻑한 반면, 오일함량이 45 중량%인 실시예 4의 조성물인 경우에는 반죽이 너무 물렁물렁하여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4 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실소비자 100 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착성, 지속성, 가루날림성 및 화장흐트러짐성의 4 가지 점에 관한 화장효과를 평가하게 하고 아울러 제품안정성을 평가하게 한 다음,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부착성) 1.0:매우불량, 2.0:불량, 3.0:보통, 4.0:우수. 5.0:매우우수
(지속성) 1.0:매우불량, 2.0:불량, 3.0:보통, 4.0:우수. 5.0:매우우수
(가루날림성) 1.0:매우심함, 2.0:심함, 3.0:보통, 4.0:없음. 5.0:전혀없음
(화장흐트러짐성) 1.0:매우심함, 2.0:심함, 3.0:보통, 4.0:없음. 5.0:전혀없음
(제품안정성) 1.0:매우불량, 2.0:불량, 3.0:보통, 4.0:우수. 5.0:매우우수
항목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부착성 3.6 4.5 4.7 4.5
지속성 4.1 4.7 4.7 4.7
가루날림성 3.2 4.9 4.9 4.9
화장흐트러짐성 4.1 4.5 4.4 4.0
제품안정성 3.5 4.8 4.5 2.9
상기 표 3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오일성분이 20중량%로 함유된 경우 부착성, 가루날림성, 화장흐트러짐성 및 제품안정성 등 대부분의 항목에서 보통 수준의 평가결과를 나타낸 반면, 오일성분이 30 또는 40중량%인 경우에는 전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일성분이 45중량%로 과다하게 함유된 경우, 대부분의 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오일량이 너무 많은 까닭에 제품안정성에 다소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1
하기 표 4의 조성비에 따라 콤팩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1의 콤팩트는 일반적인 콤팩트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하였고, 실시예 5의 콤팩트는 실시예 1 내지 4 의 제조공정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실시예 5 원 료 명 비교예 1
1. 실리콘처리 마이카 7 1. 마이카 39
2. 실리콘처리 이산화티탄 3 2. 탈크 20
3. 실리콘처리 탈크 10 3. 이산화티탄 10
4. 폴리에틸렌처리 마이카 25 4. 산화철 5
5. 불소처리 세리사이트 10 5. 나일론가루 5
6. 실리콘처리 나일론가루 5 6. 세리사이트 10
7. 실리콘처리 산화철 5 7. 라놀린 3
8.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25 8. 실리콘오일 5
9. 스쿠알란 5 9. 유동파라핀 3
10. 실리콘오일 3
11. 라놀린 2
주) 단위: 중량%
실시예 6 및 비교예 2
하기 표 5의 조성비에 따라 아이섀도우를 제조하였다. 이때, 비교예 2의 아이섀도우는 일반적인 아이섀도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고, 실시예 6의 아이섀도우는 실시예 1 내지 4 의 제조공정을 준용하여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실시예 6 원 료 명 비교예 2
1. 실리콘처리 마이카 7 1. 마이카 33
2. 실리콘처리 이산화티탄 3 2. 탈크 20
3. 실리콘처리 탈크 10 3. 이산화티탄 10
4. 폴리에틸렌처리 마이카 20 4. 산화철 10
5. 불소처리 세리사이트 10 5. 나일론가루 5
6. 실리콘처리 나일론가루 5 6. 세리사이트 10
7. 실리콘처리 산화철 10 7. 라놀린 5
8.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25 8. 실리콘오일 2
9. 스쿠알란 5 9. 유동파라핀 3
10. 실리콘오일 3 1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2
11. 라놀린 2
주) 단위: 중량%
실험예 3
실시예 5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에 대한 사용감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20 내지 40세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블라인드 테스트 방식으로 부착성, 지속성, 가루날림성 및 화장흐트러짐성의 4 가지 점에 관한 화장효과를 평가하게 하고 아울러 제품안정성을 평가하게 한 다음, 그 결과를 표 6 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 평가기준은 실험예 2에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항목구분 실시예 5 비교예 1 실시예 6 비교예 2
부착성 4.7 2.2 4.5 2.7
지속성 4.5 3.0 4.5 3.0
가루날림성 5.0 2.5 5.0 2.5
화장흐트러짐성 4.5 3.5 4.7 3.0
제품안정성 4.5 3.2 4.9 3.5
본 명세서의 설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폴리에틸렌 또는 불소에 의해 각각 표면처리된 분체 혼합물 60 내지 80 중량%를 적당한 조성비의 오일 20 내지 40 중량%와 혼합하여 콤팩트, 아이섀도우 등의 화장료를 제조함으로써 부착성, 화장지속성, 화장흐트러짐성 및 분체가루날림 면에서 나타난 종래 화장료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뿐아니라 오일 특성에 의한 매끄러운 발림성, 부드러운 사용감촉 및 촉촉한 느낌 등이 향상되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분체에 다량의 오일을 첨가하여 혼합, 반죽하고 압축제형화시킴으로써 기존의 고형 분체화장료에 대해 지적되어온 여러 가지 단점을 개선한 새로운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표면처리된 분체 60 내지 80 중량%에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분체가 탈크, 마이카, 이산화티탄, 세리사이트, 산화철 및 나일론가루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처리 물질이 실리콘, 폴리에틸렌 또는 불소인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오일이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스쿠알란, 폴리디메틸실록산, 라놀린 및 바세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투웨이케익, 콤팩트 또는 아이섀도우인 조성물.
  6. 표면처리된 각 분체를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분체 60 - 80 중량%를 믹서에 넣고 5 내지 1000rpm 으로 혼합하면서 오일 20 내지 40 중량%를 분무기로 분사하여 혼합, 반죽하고 0.1 내지 40 Kgf/㎠ 의 압력을 가함으로써 제형화시켜 제 1 항에 따른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믹서가 헨셀믹서 또는 리본믹서인 방법.
KR1019960045353A 1996-10-11 1996-10-11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KR19980026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353A KR19980026788A (ko) 1996-10-11 1996-10-11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353A KR19980026788A (ko) 1996-10-11 1996-10-11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88A true KR19980026788A (ko) 1998-07-15

Family

ID=66289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353A KR19980026788A (ko) 1996-10-11 1996-10-11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034B1 (ko) * 1996-12-27 2006-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압축성형타입오일케익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034B1 (ko) * 1996-12-27 2006-04-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압축성형타입오일케익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42084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nacreous pigments of large sized synthetic mica
KR10106450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269405B1 (ko)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7811A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6779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4783333A (en) Cosmetic containing color particles
KR20120091579A (ko) 소성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928032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859284B1 (ko) 밀착성 및 발림성이 동시에 향상된 색조 화장료 조성물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19980026788A (ko) 반고형 분체 화장료 조성물
KR102213431B1 (ko) 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아이 메이크업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090126031A (ko) 유중수 유화물을 바인더로 사용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의제조방법
KR101426854B1 (ko) 반고형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67034B1 (ko) 압축성형타입오일케익화장료및그의제조방법
KR101445099B1 (ko) 고함량 펄 파우더 및 오일바인더를 포함하는 루스타입 반고형 화장료 조성물
US6503515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arnesol, farnesyl acetate and panthenyl triacetate
KR20160070048A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059183A (ko) 페이스트 상 에스터 오일과 다공성 구상 분체를 포함하는 분백류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2428616B1 (ko) 고형상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