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702A -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702A
KR19980026702A KR1019960045234A KR19960045234A KR19980026702A KR 19980026702 A KR19980026702 A KR 19980026702A KR 1019960045234 A KR1019960045234 A KR 1019960045234A KR 19960045234 A KR19960045234 A KR 19960045234A KR 19980026702 A KR19980026702 A KR 19980026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ier
refrigerator
discharge
hot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4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6702A/ko
Publication of KR19980026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70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베리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베리어를 구성하는 베리어씨와 베리어엘이 평면접촉되게 접합된 상태이므로 냉기가 토출구를 통하여 흐르고 더운기류가 흡입구를 통해 증발기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베리어씨와 베리어엘이 평면접촉에 의해 부착한 상태이므로 접촉상태가 완전하지 못해 냉기와 더운기류가 접촉하게 되어 이슬이 발생, 결빙될 뿐만 아니라 더운기류가 흡입구를 통해 증발기로 유입되지 않고 토출 유로홈으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통해 냉장실로 토출되어 냉장실의 냉각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본발명은 토출구 및 토출유로홈으로 이루어지는 냉기유로와 흡입구사이에 냉기와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하는 냉가차단부를 형성하여 냉기와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이슬이 생성, 결빙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운기류가 증발기로 유입되지 않고 토출구 및 토출유로홈을 통해 냉장실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실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냉장고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 냉장고의 베리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평면도,
(나)는 정단면도.
제4도는 종래 냉장고의 베리어구조를 이루는 베리어씨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평면도,
(나)는 측단면도.
제5도는 종래 냉장고의 베리어구조를 이루는 베리어엘을 도시한 것으로,
(가)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평면도,
(나)는 정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의 베리어구조를 이루는 베리어씨를 도시한 것으로,
(가)는 평면도.
(나)는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를 이루는 베리어엘을 도시한 것으로,
(가)는 측면도.
(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증발기R:냉장실
5:베리어씨5b:씨측 흡입구
5c:씨측 제1토출구5d:토출유로홈
5g:단턱홈6:베리어엘
6b:엘측 흡입구6c:엘측 제1토출구
6d:제2토출구6e:단턱돌기
본 발명은 냉장고의 베리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기에서 열 교환되어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와 냉장실을 순환한 더운기류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냉장실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냉장고는 내부에 냉동사이클장치를 장착하여 냉동사이클장치를 구성하는 증발기에 의해 형성된 냉기를 이용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게 된다. 보통 내장고는, 제1,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를 이루는 내부 상측으로 냉동실(F)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 냉장실(R)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냉동실(F)과 냉장실(R)사이에는 냉동실(F)과 냉장실(R)을 구분하는 베리어(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F)의 배면에는 증발기(2)가 설치되어 있어 증발기(2)에 의해 형성된 냉기가 냉동실(F)내부를 순환하면서 냉동실(F)의 내부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게 되고, 또한 증발기(2)에서 형성된 냉기의 일부와 냉동실(F)을 순환한 냉기의 일부가 상기 베리어(B)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냉장실(R)로 유입되어 냉장실(R)내부를 순환하면서 냉장실(R)의 내부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게 되며 냉장실(R)을 순환하여 더워진 기류는 베리어(B)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증발기(2)로 유입된다. 또한 증발기(2)로 유입된 기류는 증발기(2)에 의해 열교환되어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3은 쉬라우드를 도시한 것이고, 4는 그릴팬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냉동실(F)과 냉장실(R)사이에 형성되어 증발기(2)에서 형성된 냉기가 냉장실(R)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유로와 냉장실(R)을 순환한 냉기가 증발기(2)로 유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종래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깊이와 면적을 갖는 결합홈부(5a)가 형성된 베리어씨(BARRIER-C)(5)와, 상기 베리어씨(5)의 결합홈부(5a)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베이어엘(BARRIER-L)(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베리어씨(5)의 결합홈부(5a)가 형성된 면이 냉장실(R)측으로 향하고 반대측면이 냉동실(F)을 향하도록 냉장고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리어씨(5)와 베리어엘(6)이 접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이피(E.P) 성형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베리어씨(5)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부(5a)의 일측 양쪽에 관통된 씨측 흡입구(5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씨측 흡입구(5b)사이에 경사지게 관통된 씨측 제1토출구(5c)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씨측 제1토출구(5c)와 연통되게 소정의 깊이로 토출유로홈(5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토출유로홈(5d)은 씨측 제1토출구(5c)와 연통되게 일직선으로 형성됨과 함께 일직선의 중간부에서 양측으로 경사지게 분지되고 분지된 단부에 토출방(5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5a)는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일측에 경사부(5f)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리어엘(6)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리어씨(5)에 형성된 결합홈부(5a)의 폭과 같은 두께로 형성되고, 일측 양쪽에 결합시 베리어씨(5)에 형성된 씨측 흡입구(5b)와 서로 통하도록 관통된 엘측 흡입구(6b)가 각각 형성되고, 이 엘측 흡입구(6b)의 가운데 또한 결합시 상기 씨측 제1토출구(5c)와 통하도록 관통된 엘측 제1토출구(5c)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상기 토출방(5c)과 결합시 일치하게 제2토출구(6d)가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증발기(2)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제1토출구(5c)로 유입되면 유입된 냉기의 일부는 토출유로홈(5d)을 따라 유동하여 토출방(5e)을 거쳐 제2토출구(6d)을 통해 로 각각 냉장실(R)로 토출된다. 상기 냉장실(R)로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R)을 순환하면서 더운기류가 되며 이 더운기류는 흡입구(5b, 6b)를 통해 증발기(2)로 유입되고 증발기(2)로 유입된 더운기류는 증발기(2)에 의해 열교환되어 제1, 2토출구(5c, 6c, 6d)를 통해 재순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는 베리어씨(5)에 베리어엘(6)이 평면접촉되게 부착한 상태이므로 냉기가 제1, 2토출구(5c, 6c, 6d)를 통하여 흐르고 더운기류가 흡입구(5b)를 통해 증발기(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베리어씨(5)와 베리어엘(6)이 평면접촉에 의해 부착한 상태이므로 접촉상태가 완전하지 못해 냉기와 더운기류가 만나게 되어 이슬이 발생하게 되고 점차 결빙으로 성장하게 된다. 또한 흡입구(5b, 6b)를 통해 증발기(2)로 유입되어야 할 더운기류가 토출유로홈(5d)으로 유입되어 제1, 2토출구(5c, 6c 6d)를 통해 냉장실(R)로 토출되어 냉장실(R)의 냉각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에서 열교환되어 냉장실로 유입되는 냉기와 냉장실을 순환한 더운기류가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냉장실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베리어씨와 베리어엘이 접합되어 내부에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홈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냉기유로가 형성되고 냉장실을 순환한 더운기류를 증발기로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냉장고 베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와 흡입구사이에 냉기와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하는 냉기차단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냉기차단부는 상기 베리어씨에 형성된 냉기유로의 테두리에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엘이 상기 단턱홈과 형합되는 단턱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단턱홈에 단턱돌기를 형합시 단턱홈의 깊이보다 단턱돌기의 높이가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구조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리어씨(5)와 베리어엘(6)이 접합되어 내부에 냉기를 냉장실(R)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홈(5d) 및 제1, 2토출구(5c, 6c, 6d)로 이루어진 냉기유로가 형성되고 냉장실(R)을 순환한 더운기류를 증발기(2)로 안내하는 흡입구(5b, 6b)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은 종래와 같다. 그리고 상기 냉기유로와 흡입구(5b, 6b)사이에 냉기유로를 흐르는 냉기와 흡입구(5b, 6b)를 통하는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하는 냉기차단부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차단부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리어씨(5)의 결합홈부(5a)의 저면에 형성된 씨측 제1토출구(5c)의 테두리와 이 씨측 제1토출구(5c)와 연통되게 형성된 토출유로홈(5d)의 테두리에 소정의 깊이로 단턱홈(5g)과,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리어씨(5)의 결합홈부(5a)에 삽입되어 접합되는 베리어엘(6)의 접합면에 상기 단턱홈(5g)에 형합되게 형성된 단턱돌기(6e)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리어씨(5)의 씨측 제1토출구(5c)가 형성된 양측으로 씨측 흡입구(5b)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베리어엘(6)의 단턱돌기(6e)가 형성된 양측으로 상기 베리어씨(5)의 씨측 흡입구(5b)와 결합시 일치하는 엘측 흡입구(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리어씨(5)의 결합홈부(5a)에 베리어엘(6)을 삽입하여 단턱홈(5g)에 단턱돌기(6e)가 형합되도록 접합된다.
또한 상기 단턱홈(5g)에 단턱돌기(6e)를 형합시 단턱홈(5g)의 깊이보다 단턱돌기(6e)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차단을 보다 정확한 차단이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냉장고 베리어(B)는 베리어엘(6)이 접합된 면을 냉장실(R)측으로 하고 반대편면을 냉동실(F)측으로 하여 냉장고의 내부에 냉장실(R)과 냉동실(F)을 구분하도록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냉동실(F)에 설치된 증발기(2)에서 형성된 냉기가 씨측 제1토출구(5c)로 유입되면 유입된 냉기는 토출유로홈(5d)을 따라 유동하여 토출방(5e)을 거쳐 제2토출구(6d)를 통해 각각 냉장실(R)로 토출된다. 상기 냉장실(R)로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R)을 순환하면서 더운기류가 되며 이 더운기류는 흡입구(5b, 6b)를 통해 증발기(2)로 유입되고 증발기(2)로 유입된 더운기류는 증발기(2)에 의해 열교환되어 제1, 2토출구(5c, 6c, 6d)를 통해 재순환된다.
상기 순환 과정에서 제1, 2토출구(5c, 6c, 6d)를 통해 냉장실(R)로 유입되는 냉기와 냉장실(R)을 순환하여 흡입구(5b, 6b)를 통하는 더운기류가 단턱홈(5g)과 단턱돌기(6e)로 형성되는 냉기차단부에 의해 서로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2토출구(5c, 6c, 6d) 및 토출유로홈(5d)을 통해 냉장실(R)로 유입되는 냉기와 흡입구(5b, 6b)를 통해 냉장실(R)을 순환한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이슬이 생성, 결빙되는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운기류가 증발기(2)로 유입되지 않고 제1, 2토출구(5c, 6c, 6d) 및 토출유로홈(5d)을 통해 냉장실(R)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냉장실(R)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베리어씨와 베리어엘이 접합되어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유로홈 및 토출구로 이루어진 냉기유로가 형성되고 냉장실을 순환한 더운기류를 증발기로 안내하는 흡입구가 형성된 냉장고 베리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냉기유로와 흡입구사이에 냉기와 더운기류의 접촉을 차단하는 냉기차단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차단부는 상기 베리어씨에 형성된 냉기유로의 테두리에 단턱홈이 형성되고 상기 베리어엘에 상기 단턱홈과 형합되는 단턱돌기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홈에 단턱돌기를 형합시 단턱홈의 깊이보다 단턱돌기의 높이가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KR1019960045234A 1996-10-11 1996-10-11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KR19980026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34A KR19980026702A (ko) 1996-10-11 1996-10-11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234A KR19980026702A (ko) 1996-10-11 1996-10-11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702A true KR19980026702A (ko) 1998-07-15

Family

ID=6628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234A KR19980026702A (ko) 1996-10-11 1996-10-11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67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3329B2 (en) 2001-07-23 2005-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3329B2 (en) 2001-07-23 2005-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comput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019B1 (ko) 냉기유도로를 구비한 냉장고
JPH08511088A (ja) 冷蔵庫の冷気ダクト
KR20000008994U (ko)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US20180340726A1 (en) Refrigerator
KR20000009637U (ko) 냉장고의 에어커텐 장치
KR20190127027A (ko) 냉장고
TWI678506B (zh) 電冰箱
KR19980026702A (ko) 냉장고의 베리어구조
JP2620539B2 (ja) 冷気循環装置を設けた冷蔵庫
KR101645731B1 (ko) 냉장고
JP4008555B2 (ja) 冷蔵庫の冷気循環構造
KR20190121437A (ko) 냉장고
KR100521082B1 (ko) 냉장고
KR100202606B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순환장치
JP2594178B2 (ja) 冷凍ケース
KR101203993B1 (ko) 냉장고
KR20200141877A (ko) 냉장고
KR20200141880A (ko) 냉장고
TWI822308B (zh) 冰箱
CN219511092U (zh) 一种冷藏室和冰箱
KR0138575Y1 (ko) 냉장고의 냉동실 루버구조
KR100370008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구조
KR0113197Y1 (ko) 냉장고 냉기 순환장치
KR100366528B1 (ko) 냉장고의냉기순환구조
JP2002340465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